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1:59:27

로저 펜로즈

주요 상훈 이력 및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뢴트겐 헨드릭 로런츠 피터르 제이만 앙투안 베크렐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 존 라일리 필리프 레나르트
<rowcolor=#cd9f51> 1906 1907 1908 190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조지프 톰슨 앨버트 마이컬슨 가브리엘 리프만 굴리엘모 마르코니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카를 브라운 요하너스 판데르발스 빌헬름 빈 닐스 달렌
<rowcolor=#cd9f51> 1913 1914 191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헤이커 오너스 막스 폰 라우에 헨리 브래그 윌리엄 브래그
<rowcolor=#cd9f51> 1917 1918 1919 192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찰스 바클라 막스 플랑크 요하네스 슈타르크 샤를 기욤
<rowcolor=#cd9f51> 1921 1922 1923 192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로버트 밀리컨 만네 시그반
<rowcolor=#cd9f51> 1925 1926 1927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장 페랭 아서 콤프턴
<rowcolor=#cd9f51> 1927 1928 1929 193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찰스 윌슨 오언 리처드슨 루이 드 브로이 찬드라세카라 라만
<rowcolor=#cd9f51> 1932 1933 1935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폴 디랙 에르빈 슈뢰딩거 제임스 채드윅
<rowcolor=#cd9f51> 1936 193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빅터 헤스 칼 앤더슨 클린턴 데이비슨 조지 톰슨
<rowcolor=#cd9f51> 1938 1939 1943 1944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엔리코 페르미 어니스트 로런스 오토 슈테른 이지도어 라비
<rowcolor=#cd9f51> 1945 1946 1947 194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볼프강 파울리 퍼시 브리지먼 에드워드 애플턴 패트릭 블래킷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유카와 히데키 세실 파월 존 콕크로프트 어니스트 월턴
<rowcolor=#cd9f51> 1952 1953 1954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펠릭스 블로흐 에드워드 퍼셀 프리츠 제르니케 막스 보른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발터 보테 윌리스 램 폴리카프 쿠시 윌리엄 쇼클리
<rowcolor=#cd9f51> 1956 1957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존 바딘 월터 브래튼 리정다오 양전닝
<rowcolor=#cd9f51> 1958 1959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란크 이고르 탐 오언 체임벌린
<rowcolor=#cd9f51> 1959 1960 196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도널드 글레이저 로버트 호프스태터 루돌프 뫼스바우어
<rowcolor=#cd9f51> 1962 1963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레프 란다우 유진 위그너 마리아 메이어 한스 옌젠
<rowcolor=#cd9f51>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타운스 니콜라이 바소프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리처드 파인만
<rowcolor=#cd9f51> 1965 1966 196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줄리언 슈윙거 도모나가 신이치로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한스 베테
<rowcolor=#cd9f51> 1968 1969 197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이스 앨버레즈 머리 겔만 한네스 알벤 루이 네엘
<rowcolor=#cd9f51> 1971 1972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데니스 가보르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슈리퍼
<rowcolor=#cd9f51> 1973 1974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에사키 레오나 이바르 예베르 브라이언 조지프슨 마틴 라일
<rowcolor=#cd9f51>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휴이시 오게 보어 벤 모텔손 제임스 레인워터
<rowcolor=#cd9f51> 1976 197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버턴 릭터 새뮤얼 팅 필립 앤더슨 존 밴블랙
<rowcolor=#cd9f51> 1977 197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네빌 모트 표트르 카피차 아노 펜지어스 로버트 윌슨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와인버그 무함마드 살람 셸든 글래쇼 제임스 크로닌
<rowcolor=#cd9f51>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벨 피치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아서 숄로 카이 시그반
<rowcolor=#cd9f51> 1982 1983 198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케네스 윌슨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윌리엄 A. 파울러 카를로 루비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시몬 판 데르 메이르 클라우스 폰 클리칭 에른스트 루스카 게르트 비니히
<rowcolor=#cd9f51> 1986 1987 1988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하인리히 로러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카를 뮐러 리언 레더먼
<rowcolor=#cd9f51> 1988 198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 한스 데멜트 볼프강 파울
<rowcolor=#cd9f51>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제롬 프리드먼 헨리 켄들 리처드 테일러 피에르질 드 젠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르주 샤르파크 러셀 헐스 조지프 테일러 버트럼 브록하우스
<rowcolor=#cd9f51> 1994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퍼드 슐 프레더릭 라이네스 마틴 펄 데이비드 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더글러스 오셔로프 로버트 리처드슨 윌리엄 필립스 스티븐 추
<rowcolor=#cd9f51> 1997 1998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클로드 코엔타누지 대니얼 추이 로버트 러플린 호르스트 슈퇴르머
<rowcolor=#cd9f51> 1999 200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 조레스 알표로프 허버트 크뢰머
<rowcolor=#cd9f51> 2000
파일:미국 국기.svg
잭 킬비
}}}
}}}}}}}}}
[ 21세기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1px; background: #663334"
{{{#!wiki style="margin: -7px"
<tablebordercolor=#663334><tablebgcolor=#66333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
영국의 역대 노벨물리학상
28명 수상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rowcolor=#fff> 이름 연도 사유 비고
존 라일리 1904 아르곤의 발견 최초수상
조지프 톰슨 1906 기체 전기전도성 연구
헨리 브래그 1915 X선 회절을 이용한 결정 구조 분석 부자수상
윌리엄 브래그 부자수상
최연소
찰스 바클라 1917 뢴트겐 복사 발견
찰스 윌슨 1927 하전된 입자 경로의 가시화
오언 리처드슨 1928 리처드슨 법칙 고안
폴 디랙 1933 양자역학에 파동방정식 도입
제임스 채드윅 1935 중성자의 발견
조지 톰슨 1937 전자로 굴절된 결정 내 상호간섭현상의 실험적 증명
에드워드 애플턴 1947 전리층에서의 애플턴 층 발견
패트릭 블래킷 1948 핵물리학 및 우주선의 재발견
세실 파월 1950 중간자(메손)의 발견
존 콕크로프트 1951 가속입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데니스 가보르 1971 홀로그래피 발명 헝가리 국적
브라이언 조지프슨 1973 반도체와 초전도체의 터널 효과
마틴 라일 1974 전파천문학 분야의 연구
앤서니 휴이시
네빌 모트 1977 비결정성 고체에서 나타나는 자기에 따른 전자의 반응에 대한 연구
앤서니 레깃 2003 초전도 및 초유체 이론의 공헌 미국 국적
찰스 가오 2009 광통신용 광섬유의 빛 전송에 관한 획기적인 업적 미국 국적
홍콩 국적
안드레 가임 2010 그래핀 합성 네덜란드
러시아 국적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피터 힉스 2013 힉스 입자의 예측
데이비드 사울레스 2016 위상 상전이와 위상부도체의 이론적 고안
덩컨 홀데인 슬로베니아 국적
마이클 코스털리츠 미국 국적
로저 펜로즈 2020 블랙홀 형성이 일반 상대성 이론의 확실한 예측이라는 것을 발견 }}}}}}}}}}}}

파일:울프상 로고 금색.png
역대 울프상 물리학 부문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78 1979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우젠슝 조지 울렌벡 주세페 오치알리니 마이클 피셔
<rowcolor=#cd9f51>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케네스 윌슨 레오 카다노프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프리먼 다이슨
<rowcolor=#cd9f51> 1981 1982 1983/8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 바이스코프 레온 레더만 마틴 펄 어윈 한
<rowcolor=#cd9f51> 1983/84 198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터 히르쉬 시어도어 마이만 코니어스 헤링 필리프 노지에레
<rowcolor=#cd9f51> 1986 198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미첼 파이겐바움 알베르 리브차버 허버트 프리드먼 브루노 로시
<rowcolor=#cd9f51> 1987 1988 199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리카르도 자코니 스티븐 호킹 로저 펜로즈 피에르질 드 젠
<rowcolor=#cd9f51> 1990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사울레스 모리스 골드하버 발렌틴 텔레그디 조셉 테일러
<rowcolor=#cd9f51> 1993 1994/95 1996/9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브누아 망델브로 비탈리 긴즈부르크 난부 요이치로 존 휠러
<rowcolor=#cd9f51> 1998 1999 200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야키르 아로노프 마이클 배리 단 셰흐트만 레이먼드 데이비스
<rowcolor=#cd9f51> 2000 2002/03 2004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고시바 마사토시 버트런드 할페린 앤서니 레깃 피터 힉스
<rowcolor=#cd9f51> 2005 2006/07 201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클레프너 알베르 페르 페터 그륀베르크 존 클라우저
<rowcolor=#cd9f51> 2010 2011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알랭 아스페 안톤 차일링거 하랄트 로제 크누트 우르반
<rowcolor=#cd9f51> 2012 2013 2015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야코프 베켄슈타인 페터 졸러 이냐치오 시랙 제임스 요르겐
<rowcolor=#cd9f51> 2015 2016 201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로버트 키쉬너 요셉 임리 디디에 쿠엘로 미셸 마요르
<rowcolor=#cd9f51> 2018 202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찰스 베넷 질 브라사르 라피 비스트리저 파블로 헤레로
<rowcolor=#cd9f51> 2020 2021 2022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앨런 맥도널드 조르조 파리시 안 륄리에 크러우스 페렌츠
<rowcolor=#cd9f51> 2022 2024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폴 코쿰 마틴 리스
}}}}}}}}}}}}}}}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colbgcolor=#663334><colcolor=#eee,#ddd> 로저 펜로즈 경
Sir Roger Penrose
OM FRS[1] HonFInstP
파일:Roger Penrose.jpg
[[노벨물리학상|{{{#white 202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출생 1931년 8월 8일 ([age(1931-08-08)]세)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에식스주 콜체스터
국적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부모 아버지 라이오넬 펜로즈(1898년 6월 11일 ~ 1972년 5월 12일)
어머니 Margaret Leathes
형제자매 형 올리버 펜로즈(1929년 6월 6일생)
남동생 조너선 펜로즈(1933년 10월 7일 ~ 2021년 11월 30일)
여동생 셜리 펜로즈 호지슨(1945년 2월 22일생)
배우자 조안 이사벨 웨지(1958년 결혼 ~ 1980년 이혼)
바네사 디 토마스(1988년 결혼)
자녀 장남 크리스토퍼 숀 펜로즈(1963년생)[a]
차남 토비 니콜라스 펜로즈(1964년생)[a]
삼남 에릭 알렉산더 펜로즈(1966년생)[a]
사남 맥스웰 세바스찬 펜로즈(2000년생)[5]
학력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수학 / 1952년 학사)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컬리지
(대수기하학 / 1957년 박사)
지도교수 윌리엄 밸런스 더글라스 호지 경
Sir William Vallance Douglas Hodge
존 토드
John Arthur Todd
직업 교수, 수학자, 이론물리학자, 과학철학자
분야 수리물리학, 테셀레이션
경력 前 베드포드 컬리지[6] (조교수)
버크벡 런던 대학교 (정교수)
옥스퍼드 대학교 (수학연구소 / 명예교수)[7]
옥스퍼드 대학교 워담 컬리지 (명예펠로우)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 존스 컬리지 (명예펠로우)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명예펠로우)
종교 무종교 (불가지론)[8]
1. 개요2. 활동3. 어록4. 저서5. 기타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영국 잉글랜드의 수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이면서 과학철학자이다. UCL에서 학사, 그리고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프린스턴 대학교, KCL, 시라큐스 대학교 등을 거치며 수많은 연구 업적을 쌓았다. 1999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라우스볼 수학 석좌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명예교수로, 2020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이다.


2024년 1월 14일 길에서 그를 우연히 만난 중국인 과의 대화와 사진을 통해 90대가 넘은 나이에도 여전히 건강함이 확인되었다. 이 대화에서 본인보다 8세 위인 중국 과학자 양전닝(2024년 당시 101세)의 근황을 묻기도 했다.

2. 활동

현존하는 최고의 수학자 중 한 명이자, 최고의 이론물리학자 중 한 명이다. 2020년 10월 6일에 독일의 라인하르트 겐첼, 미국의 안드레아 게즈와 함께 블랙홀 연구에 대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수학 외 학문에 대한 지식이 상당한 수준을 넘어섰다. 그 업적 중 하나가 양자 중력 연구에서 자주 쓰이는 스핀 네트워크. 이에 많이 묻힌 편인데, 스티븐 호킹과의 공동 논문 저술과 같은 물리학에 대한 기여가 상당하다. 호킹과의 합작품인 특이점 정리[9]가 가장 유명하며, 상대성 이론우주론 등에 대한 지식도 상당하다. 그의 스승이 데니스 시아마(Dennis Sciama)[10]임을 감안하면 당연한 것. 후에 펜로즈는 시아마에게 바치는 책인 <The road to reality>를 썼다. 다만 이 책의 난이도는 관련학과 학부생에게도 조금 버거운 수준이다. 단 후술하겠지만 뇌과학의 경우 다소 유사과학적 주장을 하기도 한다.

1965년에는 천체물리학에 위상수학을 도입하여 블랙홀의 이론적 가능성을 증명하기도 했다. 현재는 양자 중력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자신이 개발한 트위스터 이론을 주축으로 연구 중이며, 고리 변수나 루프 양자 중력 이론에 대한 애정도 상당하다. 초끈 이론에 반하는 세력에 대한 애정이 강한 편이라 볼 수 있다. 이에 관한 교양서적들도 많이 집필했다.

블랙홀의 일종인 커 홀을 연구하면서 상대성 이론에 의거해서 틀 끌림 효과를 예견했다. 자세한 내용은 티플러 원통 참조.

그가 발견한 비주기적 테셀레이션[11]인 '펜로즈 타일링'은 준결정이 이론적으로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준결정 또한 노벨상을 수상한 중대한 발견이었다.

독특하게도 인간의 의식이 뉴런이 근원이 아닌 미세소관의 양자역학적인 특징을 가진 기능에 의해 존재한다는, 주류 과학계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조화 객관 환원 이론을 주장한다. 이 주장은 인간의 의식은 몸이라는 저장장치 안에 얽메여 있는데, 몸이 죽으면 인간의 의식은 소멸하지 않고 양자적인 상태로 회귀한다는 매우 이단적인 이론이다.

또한, 우주가 빅 프리즈로 종말을 맞은 후 억겁의 시간이 흘러 우주가 다시 빅뱅 이전 특이점의 물리적 성질과 같아지는 순간이 반드시 오게 되며, 이 때 다시 빅뱅이 발생하고 이것이 연속되어 기존의 우주에서 새로운 우주가 탄생되는 현상이 무한히 반복된다는 등각순환우주론(Conformal cyclic cosmology)도 제창했다.[12] 여하튼 전반적으로 매우 특이한 이론을 내놓는 인물로 과학계의 이단아라 말할 수 있다. 때문에 몇몇 비판적인 과학자들은 말년에 갑자기 이런 공상적인 이론들을 마구 내놓는 그를 두고 사이비 종교쟁이가 되었다고 까고 있다(...).

한국에 번역되어 출판된 펜로즈의 책은 <황제의 새 마음>[13], <마음의 그림자>, <The road to reality>, <시간의 순환>, <유행, 신조 그리고 공상> 등이 있다. 이 책들 모두 전공자가 아니면 시도 자체가 어려울 정도의 난이도가 있으며 수리물리학자답게 많은 수식과 기호가 등장한다. 이 외에 공저로 참여한 책들이 다수 있다.

3. 어록

While the theory agrees incredibly with experiment and while it is of profound mathematical beauty, it makes absolutely no sense.
(양자역학) 이론은 실험과 믿을 수 없을 만큼 일치하고 동시에 심오한 수학적 아름다움을 가졌지만, 전혀 말이 되지 않습니다.
로저 펜로즈

4. 저서


* 대중과학 단독:

1. The Emperor's New Mind: Concerning Computers, Minds, and The Laws of Physics (1989)

2. Shadows of the Mind: A Search for the Missing Science of Consciousness (1994)

3. The Road to Reality: A Complete Guide to the Laws of the Universe (2004)

4. Cycles of Time: An Extraordinary New View of the Universe (2010)

5. Fashion, Faith, and Fantasy in the New Physics of the Universe (2016)


* 대중과학 공저:

1. The Nature of Space and Time (with Stephen Hawking) (1996)

2. The Large, the Small and the Human Mind (with Abner Shimony, Nancy Cartwright, and Stephen Hawking) (1997)


* 과학소설 공저:

1. White Mars: The Mind Set Free (with Brian Aldiss) (1999)


* 전문분야 서적:

1. Techniques of Differential Topology in Relativity (1972)

2. Spinors and Space-Time: Volume 1, Two-Spinor Calculus and Relativistic Fields (with Wolfgang Rindler, 1987)

3. Spinors and Space-Time: Volume 2, Spinor and Twistor Methods in Space-Time Geometry (with Wolfgang Rindler, 1988)

5. 기타

파일:펜로즈 삼각형.svg
펜로즈 삼각형.

대중에게는 펜로즈 삼각형으로 꽤 알려져 있다. 영화 인셉션에서 등장하는 펜로즈의 계단을 통해 알려져 있기도 하다.[14]

덤으로, 이 펜로즈 삼각형과 펜로즈의 계단은 현실에서는 분명 성립할 수 없는 조형이지만. 이런 조형으로 보이게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물체는 제작이 가능하다.

파일:external/www.geocities.jp/15_3.jpg
파일:external/www.geocities.jp/25_3.jpg

물론 그렇게 보이는 것일 뿐 착시를 이용한 트릭이다.

파일:external/www.geocities.jp/16_1.jpg
파일:external/www.geocities.jp/29_2.jpg

노벨물리학상 수상 발표 당시 샤워 중이었다.#

6. 둘러보기

<colbgcolor=#000> 블랙홀
Black Hole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rowcolor=#000,#fff> 구조사건의 지평선 | 빛 구 | 제트 | 중력 특이점
용어 호킹 복사 | 에르고 영역 | 밀집성 | 티플러 원통 | 에딩턴 광도 | 블랙홀 정보 역설
기타 웜홀 | 화이트홀 | 마이크로 블랙홀
인물 스티븐 호킹 | 킵 손 | 로저 펜로즈
문서가 있는 블랙홀 궁수자리 A* | 포웨히 | 백조자리 X-1 | S5 0014+81 | XTE J1650-500 | Tonantzintla 618 | 봉황자리 A | }}}}}}}}}


[1] Fellow of the Royal Society (FRS)
왕립학회 회원
[a] 전처 소생[a] [a] [5] 후처 소생[6] 현재 로열 홀러웨이 대학교[7] 라우스볼 수학 교수직[8] 2010년 9월, BBC 라디오에서 어떠한 종교도 믿지 않으며 자신을 불가지론자로 여긴다고 말했다.[9] 정확한 논문 제목은 <The Singularities of Gravitational Collapse and Cosmology>이다.[10] 국내에선 잘 안 알려져 있는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의 스승으로 유명하다. 이분의 저서도 한국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어 있지만 비인기 과목인 우주론이라 상당히 묻힌 편. 펜로즈를 특히 아꼈다고 한다.[11] 쪽매맞춤, 평면 도형을 겹치지 않으면서 빈틈이 없게 모으는 것이다.[12] 빅 크런치로 우주가 수축하지 않고, 영구팽창하면서도 가능하다는 독특한 입장이다.[13] 영국왕립학회 과학도서상 수상작[14] 여담으로 해당 부분은 크리스토퍼 놀란 특유의 CG를 최대한 피하는 성향으로 인해 이어지지 않은 계단을 만들었고, 이로인해 계단의 마지막 부분은 걸을때마다 흔들리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