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23:18:23

렉스 해리슨

렉스 해리슨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영국 기사 서임자 (남성)
British Knights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여성)
GBE 파일:Grand Cross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_.jpg
찰스
스콧 셰링턴

(1922)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1946)
리들리
스콧
(2024)
KBE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b160a24b08857219efc111189b9773d.jpg
프레더릭 벤팅
(1934)
에드먼드 힐러리
(1953)
게오르그 솔티
(1971)
시드니 푸아티에이
(1974)
찰리 채플린
(1975)
앨프리드 히치콕
(1980)
밥 호프
(1998)
앤드루 와일스
(2000)
로저 무어
(2003)
팀 버너스리
(2004)
조너선 아이브
(2012)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아이작 뉴턴
(1705)
찰스 라이엘
(1848)
찰스 휘트스톤
(1868)
조지프 리스터
(1883)
아서 코난 도일
(1902)
W. S. 길버트
(1907)
프랜시스 골턴
(1909)
핼퍼드 매킨더
(1920)
프레더릭
G. 홉킨스

(1925)
무하마드
자파룰라 칸

(1935)
오언 리처드슨
(1939)
알렉산더 플레밍
(1944)
랠프 리처드슨
(1947)
로런스 올리비에
(1947)
존 길구드
(1953)
칼 포퍼
(1965)
알프 램지
(1967)
쉬리다스 람팔
(1970)
제임스 블랙
(1981)
마이클 아티야
(1983)
클라이브
싱클레어

(1983)
렉스 해리슨
(1989)
V. S. 나이폴
(1990)
더크 보가드
(1992)
로저 펜로즈
(1994)
팀 라이스
(1994)
캐머런 매킨토시
(1996)
마이클 스타우트
(1998)
폴 너스
(1999)
리처드 브랜슨
(2000)
숀 코너리
(2000)
톰 커트니
(2001)
믹 재거
(2002)
벤 킹슬리
(2002)
리들리 스콧
(2003)
조너선 색스
(2005)
헨리 세실
(2011)
케네스 브래너
(2012)
안드레 가임
(2012)
다니엘
데이 루이스

(2014)
패트릭 헤드
(2015)
마크 라일랜스
(2017)
제임스
래트클리프

(2018)
톰 무어
(2020)
마이클 호턴
(2021)
마틴 에이미스
(2023)
C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데이비드 린
(1953)
마이클
레드그레이브

(1959)
알렉 기네스
(1959)
스탠리 매튜스
(1965)
맷 버스비
(1968)
알렉 이시고니스
(1969)
에른스트
곰브리치

(1972)
리처드 애튼버러
(1976)
존 밀스
(1976)
월터 윈터보텀
(1978)
데이비드
애튼버러

(1985)
윌리엄 골딩
(1988)
피터 유스티노프
(1990)
이안 맥켈런
(1991)
안소니 홉킨스
(1993)
데릭 제이코비
(1994)
바비 찰튼
(1994)
사이먼 래틀
(1994)
조지 마틴
(1996)
마이클 갬본
(1998)
아서 C. 클라크
(1998)
엘튼 존
(1998)
이안 홈
(1998)
존 엘리엇
가디너

(1998)
톰 피니
(1998)
나이젤 호손
(1999)
알렉스 퍼거슨
(1999)
프랭크 윌리엄스
(1999)
마이클 케인
(2000)
폴 스미스
(2000)
바비 롭슨
(2002)
앨런 파커
(2002)
앨런 베이츠
(2003)
그레고리 윈터
(2004)
트레버 브루킹
(2004)
제임스 다이슨
(2007)
크리스토퍼 리
(2009)
브래들리 위긴스
(2013)
존 허트
(2015)
칼 젠킨스
(2015)
로드 스튜어트
(2016)
레이 데이비스
(2017)
빌리 코놀리
(2017)
배리 깁
(2018)
마이클 페일린
(2019)
데이비드 수셰이
(2020)
샘 멘데스
(2020)
스티브 맥퀸
(2020)
로저 디킨스
(2021)
조너선 프라이스
(2021)
존 부어만
(2022)
브라이언 메이
(2023)
O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어니스트 섀클턴
(1909)
윌리엄 브래그
(1941)
리처드 돌
(1971)
잭 브라밤
(1978)
지미 새빌
(1990)
클리프 리처드
(1995)
트레버 맥도날드
(1999)
스털링 모스
(2000)
재키 스튜어트
(2001)
톰 존스
(2006)
테리 프래쳇
(2009)
패트릭 스튜어트
(2010)
밴 모리슨
(2015)
앤디 머리
(2017)
가즈오 이시구로
(2018)
마이클 모퍼고
(2018)
MBE + Knight Bachelor 파일:knightbachelor.jpg
폴 매카트니
(1997)
제프 허스트
(1998)
나이젤 쇼트
(1999)
니콜라스 윈턴
(2003)
닉 팔도
(2009)
링고 스타
(2018)
케니 달글리시
(2018)
루이스 해밀턴
(2021)
}}}}}}}}}}}}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
'''[[틀:아카데미 남우주연상 수상자|Academy Award for Best Actor]]'''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1회
(1929년)
제2회
(1930년)
제3회
(1931년)
제4회
(1932년)
제5회
(1933년)
에밀 야닝스
(최후의 명령)
(육체의 길)
워너 백스터
(추억의 아리조나)
조지 알리스
(디즈레일리)
라이오넬 배리모어
(자유의 혼)
프레드릭 마치
(지킬 박사와 하이드)
월레스 비어리
(챔프)
제6회
(1934년)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찰스 로튼
(헨리 8세)
클라크 게이블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빅터 맥라글렌
(밀고자)
폴 무니
(과학자의 길)
스펜서 트레이시
(굿바이 마이 라이프)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스펜서 트레이시
(소년의 거리)
로버트 도나트
(굿바이 미스터 칩스)
제임스 스튜어트
(필라델피아 스토리)
게리 쿠퍼
(요크 상사)
제임스 카그니
(성조기의 행진)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폴 루카스
(라인의 감시)
빙 크로스비
(나의 길을 가련다)
레이 밀랜드
(잃어버린 주말)
프레드릭 마치
(우리 생애 최고의 해)
로널드 콜먼
(이중 생활)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로런스 올리비에
(햄릿)
브로데릭 크로포드
(모두가 왕의 부하들)
호세 페레
(시라노)
험프리 보가트
(아프리카의 여왕)
게리 쿠퍼
(하이 눈)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윌리엄 홀든
(제17 포로수용소)
말론 브란도
(워터프론트)
어니스트 보그나인
(마티)
율 브리너
(왕과 나)
알렉 기네스
(콰이 강의 다리)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데이비드 니븐
(애수의 여로)
찰턴 헤스턴
(벤허)
버트 랭카스터
(엘머 갠트리)
막시밀리안 셸
(뉘른베르크의 재판)
그레고리 펙
(앵무새 죽이기)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시드니 푸아티에
(들백합)
렉스 해리슨
(마이 페어 레이디)
리 마빈
(캣 벌루)
폴 스코필드
(사계절의 사나이)
로드 스타이거
(밤의 열기 속으로)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클리프 로버트슨
(찰리)
존 웨인
(트루 그릿)
조지 C. 스콧
(패튼 대전차군단)
진 해크먼
(프렌치 커넥션)
말론 브란도
(대부)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잭 레먼
(호랑이를 구하라)
아트 카니
(해리와 톤토)
잭 니콜슨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피터 핀치
(네트워크)
리처드 드레이퍼스
(굿바이 걸)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존 보이트
(귀향)
더스틴 호프먼
(크레이머 대 크레이머)
로버트 드 니로
(분노의 주먹)
헨리 폰다
(황금 연못)
벤 킹슬리
(간디)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로버트 듀발
(텐더 머시스)
F. 머레이 에이브러햄
(아마데우스)
윌리엄 허트
(거미여인의 키스)
폴 뉴먼
(컬러 오브 머니)
마이클 더글러스
(월 스트리트)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더스틴 호프먼
(레인 맨)
다니엘 데이루이스
(나의 왼발)
제러미 아이언스
(행운의 반전)
안소니 홉킨스
(양들의 침묵)
알 파치노
(여인의 향기)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톰 행크스
(필라델피아)
톰 행크스
(포레스트 검프)
니콜라스 케이지
(라스베가스를 떠나며)
제프리 러시
(샤인)
잭 니콜슨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로베르토 베니니
(인생은 아름다워)
케빈 스페이시
(아메리칸 뷰티)
러셀 크로우
(글래디에이터)
덴젤 워싱턴
(트레이닝 데이)
에이드리언 브로디
(피아니스트)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숀 펜
(미스틱 리버)
제이미 폭스
(레이)
필립 시모어 호프먼
(카포티)
포레스트 휘태커
(라스트 킹)
다니엘 데이루이스
(데어 윌 비 블러드)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숀 펜
(밀크)
제프 브리지스
(크레이지 하트)
콜린 퍼스
(킹스 스피치)
장 뒤자르댕
(아티스트)
다니엘 데이루이스
(링컨)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매튜 매커너히
(달라스 바이어스 클럽)
에디 레드메인
(사랑에 대한 모든 것)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케이시 애플렉
(맨체스터 바이 더 씨)
게리 올드만
(다키스트 아워)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라미 말렉
(보헤미안 랩소디)
호아킨 피닉스
(조커)
안소니 홉킨스
(더 파더)
윌 스미스
(킹 리차드)
브랜든 프레이저
(더 웨일)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킬리언 머피
(오펜하이머)
----
}}}}}}}}}}}}}}} ||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남우주연상 - 뮤지컬 / 코미디
제21회
(1964년)
제22회
(1965년)
제23회
(1966년)
알베르토 소르디
(To Bed or Not to Bed)
렉스 해리슨
(마이 페어 레이디)
리 마빈
(캣 벌루)

역대 토니상 시상식
파일:tonyawards.png
남우주연상 - 연극
제2회
(1948년)
제3회
(1949년)
제4회
(1950년)
헨리 폰다
(미스터 로버츠)
폴 켈리
(전략폭격지령)
배절 래스본
(상속자)
렉스 해리슨
(천일의 앤)
시드니 블래크머
(사랑하는 시바여, 돌아오라)
남우주연상 - 뮤지컬
제10회
(1956년)
제11회
(1957년)
제12회
(1958년)
레이 월스톤
(Damn Yankees)
렉스 해리슨
(마이 페어 레이디)
로버트 프레스턴
(뮤직 맨)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렉스 해리슨
REX HARRISON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텔레비전 심볼.jpg 텔레비전
입성날짜 1960년 2월 8일
위치 6390 Hollywood Blvd. }}}}}}}}}


{{{#!wiki style="margin:-10px -10px"<tablewidth=90%><tablebordercolor=#fff,#1c1d1f>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svg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로고 화이트.svg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
Hollywood Walk of Fame Star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d4a1a1><colcolor=#fff,#000> 이름 렉스 해리슨
REX HARRISON
분야 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 1960년 2월 8일
위치 6904 Hollywood Blvd. }}}}}}}}}


}}} ||
<colbgcolor=#093046><colcolor=#ffffff> 렉스 해리슨
Sir Rex Harrison
파일:rexharrison.jpg
본명 레저널드 케리 해리슨
Reginald Carey Harrison
출생 1908년 3월 5일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랭커셔 리버풀 하이튼[1]
사망 1990년 6월 2일 (향년 82세)
미국 뉴욕주 뉴욕시 맨해튼
국적
[[영국|]][[틀:국기|]][[틀:국기|]]
묘지 없음[2]
신장 185cm
학력 리버풀 대학교
직업 배우
영화 데뷔 1930년, 'The Great Game'
활동 기간 1924년 ~ 1990년
배우자 에설 마저리 너엘 콜렛-토머스(1934년~1942년 이혼)
릴리 팔머(1943년~1957년 이혼)
케이 켄들(1957년~1959년 사별)
레이철 로버츠(1962년~1971년 이혼)
일리저버스 리스-윌리엄스(1971년~1975년 이혼)
머시어 팅커(1979년 결혼)
자녀 아들 너엘 해리슨(1934년생)[3]
아들 케리 해리슨(1944년생)[4]
1. 개요2. 생애 및 활동3. 출연작
3.1. 영화3.2. TV
4. 여담

[clearfix]

1. 개요

영국의 배우.

2. 생애 및 활동

어려서 연극배우가 되기로 결심해 16살에 리버풀 레퍼트리 시어터(Liverpool Repertory Theatre)에 들어갔다.

웨스트엔드 데뷔작은 1930년의 "Getting George Married", 브로드웨이 데뷔작은 1936년의 "Sweet Aloes"이다. 2년이나 이어진 테런스 래티건의 "French Without Tears" 런던 공연으로 연극계 스타가 되었다. 1939년에 공연한 S. N. 베어먼[5]의 "No Time for Comedy"와 노엘 카워드의 "Design for Living"도 1930년대의 주요 연극 출연작이다.

장편영화 데뷔작은 <The Great Game>(1930). <Men Are Not Gods>(1936)에서 연기력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주연작 <뮌헨행 야간열차>(1940), <위대한 바버러>(1941), <Blithe Spirit>(1945)이 할리우드의 관심을 끌어 20세기 폭스와 7년 계약을 맺었다.

<왕과 나>(1946)와 <유령과 뮤어부인>(1947)으로 연이어 주연으로서 좋은 성과를 보였지만 이후 작품들은 흥행이 저조했다. <거짓 편지>(1948)가 후에 컬트 영화가 된 게 그나마의 성과였다. 결국 해리슨은 폭스와 헤어져야했다.

브로드웨이로 복귀하자마자 1948년 맥스웰 앤더슨[6]의 "천일의 앤(Anne of the Thousand Days)"에서 헨리 8세 연기로 토니상을 탔다. T. S. 엘리엇의 "The Cocktail Party"(1950)와 존 밴 드루튼[7]의 "Bell, Book and Candle"(1950)[8], 런던 무대에서 연출까지 맡은 피터 유스티노프의 "The Love of Four Colonels"(1953), 역시 연출을 겸한 노엘 카워드의 "Nina"(1955) 등이 연이어 성공했다. 브로드웨이에서도 "The Bright One"(1958)로 연출가 데뷔를 했다.

1956년 모스 하트가 연출한 "마이 페어 레이디"에 음성학자 히긴스 역으로 출연하면서 다시 영화 운이 트였다. 이 뮤지컬은 뉴욕에서 2년, 런던에서 1년 장기 공연될 정도로 대성공했고, 해리슨에게 다시 중요한 영화 배역들을 안겨주었다. 엘리자베스 테일러클레오파트라 7세 역을 맡은 <클레오파트라>(1963)에서 율리우스 카이사르 역으로 첫 아카데미 연기상 후보 지명을 따낼 수 있었으며, 1964년 영화화된 <마이 페어 레이디>에서 오드리 헵번 상대로 다시 히긴스 역을 하며 결국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탔다. <고뇌와 환희>에서는 전사 교황 율리오 2세 역을 맡았고, <닥터 두리틀>(1967)로는 그를 잘 모르던 어린 세대들 사이에서 새롭게 인지도를 얻게 되었다.

이후 무대로 돌아가 루이지 피란델로의 "헨리 4세(Henry IV)"(1974), 테런스 래티건의 "In Praise of Love"(1974) 등을 공연했다. 브로드웨이 연극 "The Kingfisher"(1978)에선 클로뎃 콜베어와 공동주연이었다. 다시 브로드웨이의 "마이 페어 레이디"(1981)에 나오는가 하면 조지 버너드 쇼의 "Heartbreak House"(1983)로 찬사를 받기도 했다. 이 외에 런던 및 브로드웨이에서 공연한 "Aren't We All?"(1984-5), 런던 공연 "The Admirable Crichton"(1988) 등이 경력 후반기 주요 공연 작품이다.

W. 서머싯 몸의 "The Circle" 브로드웨이 재공연 1990년 5월 11일자를 마지막으로 66년에 달하는 연기 활동을 끝냈다. 3주 뒤인 1990년 6월 2일 사망했다.

3. 출연작

3.1. 영화

  • 1930 The Great Game
  • 1935 All at Sea
  • 1936 Men Are Not Gods
  • 1937 찻잔 속의 폭풍(Storm in a Teacup)
  • 1938 성채(The Citadel)
  • 1938 거리의 악사(Sidewalks of London)
  • 1939 Over the Moon
  • 1940 뮌헨행 야간열차(Night Train to Munich)
  • 1940 Ten Days in Paris
  • 1941 위대한 바버러(Major Barbara)
  • 1945 Blithe Spirit
  • 1946 왕과 나(Anna and the King of Siam)
  • 1947 유령과 뮤어 부인(The Ghost and Mrs. Muir)
  • 1947 The Foxes of Harrow
  • 1948 거짓 편지(Unfaithfully Yours)
  • 1951 The Long Dark Hall
  • 1952 The Four Poster
  • 1954 사자왕 리차드와 십자군들(King Richard and the Crusaders)
  • 1960 누군가 노리고 있다(Midnight Lace)
  • 1961 The Happy Thieves
  • 1963 클레오파트라(Cleopatra)
  • 1964 마이 페어 레이디(My Fair Lady)
  • 1964 노란 롤스로이스(The Yellow Rolls-Royce)
  • 1965 고뇌와 환희(The Agony and the Ecstasy)
  • 1967 닥터 두리틀(Doctor Dolittle)
  • 1968 A Flea in Her Ear
  • 1969 Staircase
  • 1982 A Time to Die

3.2. TV

  • 1986 Anastasia: The Story of Anna

4. 여담

  • 동료 배우들 사이에서 평판이 일관되게 좋지 않았다. 심지어 사망한 이후에도 그때까지 아직 살아있던 고전 할리우드 시대 동료 배우들로부터 계속 욕을 먹었다. "화를 잘 내고, 까다롭고, 잘난척을 하는" 성격으로 유명해서 뒤에서 "비열한 새끼(the cunt)"로 불렸다.
  • 황당하게도 2019년 전 CIA 위장 담당자 조나 멘데즈가 밝히길, CIA 요원들의 위장용 가면 모델이라고 한다. 해리슨 얼굴이 커서 얼굴 작은 요원들에게도 잘 어울렸다고.출처

[1] 현재는 머지사이드주의 노즐리(Knowsley)이다.[2] 화장 후 제노바 포르토피노와 포리스트 론 공원묘지에 뿌려졌다.[3] 배우. 첫 번째 아내와의 사이에서 본 자녀. 너엘 해리슨의 장녀인 손녀 캐스린 해리슨도 배우였다.[4] 소설가 및 극작가. 두 번째 아내 릴리 팔머와의 사이에서 본 자녀.[5] Samuel Nathaniel Behrman. 1893 - 1973.[6] Maxwell Anderson. 1888 - 1959. 퓰리처상 수상자.[7] John van Druten.[8] 브로드웨이 초연(1950-1)와 웨스트 엔드 초연(1954-5)에 나왔는데 모두 당시 아내 릴리 팔머가 상대역이었다. 브로드웨이에선 발렌티나(Valentina)가, 웨스트 엔드에선 피에르 발망이 의상을 디자인했다. 해리슨이 빠진 전미 순회 공연(1952-3)엔 라절린드 러슬과 조앤 베넷이 나왔다. 1958년에 제임스 스튜어트, 킴 노백, 잭 레먼이 출연한 동명 영화가 개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