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
| | | | |
빌헬름 뢴트겐 | 헨드릭 로런츠 | 피터르 제이만 | 앙투안 베크렐 | |
<rowcolor=#cd9f51> 1903 | 1904 | 1905 | ||
| | | | |
피에르 퀴리 | 마리 퀴리 | 존 라일리 | 필리프 레나르트 | |
<rowcolor=#cd9f51> 1906 | 1907 | 1908 | 1909 | |
| | | | |
조지프 톰슨 | 앨버트 마이컬슨 | 가브리엘 리프만 | 굴리엘모 마르코니 | |
<rowcolor=#cd9f51> 1909 | 1910 | 1911 | 1912 | |
| | | | |
카를 브라운 | 요하너스 판데르발스 | 빌헬름 빈 | 닐스 달렌 | |
<rowcolor=#cd9f51> 1913 | 1914 | 1915 | ||
| | | | |
헤이커 오너스 | 막스 폰 라우에 | 헨리 브래그 | 윌리엄 브래그 | |
<rowcolor=#cd9f51> 1917 | 1918 | 1919 | 1920 | |
| | | | |
찰스 바클라 | 막스 플랑크 | 요하네스 슈타르크 | 샤를 기욤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 | | |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닐스 보어 | 로버트 밀리컨 | 만네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
| | | | |
제임스 프랑크 | 구스타프 헤르츠 | 장 페랭 | 아서 콤프턴 | |
<rowcolor=#cd9f51> 1927 | 1928 | 1929 | 1930 | |
| | | | |
찰스 윌슨 | 오언 리처드슨 | 루이 드 브로이 | 찬드라세카라 라만 | |
<rowcolor=#cd9f51> 1932 | 1933 | 1935 | ||
| | | |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폴 디랙 | 에르빈 슈뢰딩거 | 제임스 채드윅 | |
<rowcolor=#cd9f51> 1936 | 1937 | |||
| | | | |
빅터 헤스 | 칼 앤더슨 | 클린턴 데이비슨 | 조지 톰슨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3 | 1944 | |
| | | | |
엔리코 페르미 | 어니스트 로런스 | 오토 슈테른 | 이지도어 라비 | |
<rowcolor=#cd9f51> 1945 | 1946 | 1947 | 1948 | |
| | | | |
볼프강 파울리 | 퍼시 브리지먼 | 에드워드 애플턴 | 패트릭 블래킷 | |
<rowcolor=#cd9f51> 1949 | 1950 | 1951 | ||
| | | | |
유카와 히데키 | 세실 파월 | 존 콕크로프트 | 어니스트 월턴 | |
<rowcolor=#cd9f51> 1952 | 1953 | 1954 | ||
| | | | |
펠릭스 블로흐 | 에드워드 퍼셀 | 프리츠 제르니커 | 막스 보른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 | | | |
발터 보테 | 윌리스 램 | 폴리카프 쿠시 | 윌리엄 쇼클리 | |
<rowcolor=#cd9f51> 1956 | 1957 | |||
| | | | |
존 바딘 | 월터 브래튼 | 리정다오 | 양전닝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
| | | | |
파벨 체렌코프 | 일리야 프란크 | 이고르 탐 | 오언 체임벌린 | |
<rowcolor=#cd9f51> 1959 | 1960 | 1961 | ||
| | | | |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 도널드 글레이저 | 로버트 호프스태터 | 루돌프 뫼스바우어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
| | | | |
레프 란다우 | 유진 위그너 | 마리아 메이어 | 한스 옌젠 | |
<rowcolor=#cd9f51> 1964 | 1965 | |||
| | | | |
찰스 타운스 | 니콜라이 바소프 |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 리처드 파인만 | |
<rowcolor=#cd9f51> 1965 | 1966 | 1967 | ||
| | | | |
줄리언 슈윙거 | 도모나가 신이치로 |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 한스 베테 | |
<rowcolor=#cd9f51> 1968 | 1969 | 1970 | ||
| | | | |
루이스 앨버레즈 | 머리 겔만 | 한네스 알벤 | 루이 네엘 | |
<rowcolor=#cd9f51> 1971 | 1972 | |||
| | | | |
데니스 가보르 | 존 바딘 | 리언 쿠퍼 | 존 슈리퍼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
| | | | |
에사키 레오나 | 이바르 예베르 | 브라이언 조지프슨 | 마틴 라일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
| | | | |
앤서니 휴이시 | 오게 보어 | 벤 모텔손 | 제임스 레인워터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
| | | | |
버턴 릭터 | 새뮤얼 팅 | 필립 앤더슨 | 존 밴블랙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
| | | | |
네빌 모트 | 표트르 카피차 | 아노 펜지어스 | 로버트 윌슨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 | | | |
스티븐 와인버그 | 무함마드 살람 | 셸든 글래쇼 | 제임스 크로닌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
| | | | |
벨 피치 |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 아서 숄로 | 카이 시그반 | |
<rowcolor=#cd9f51> 1982 | 1983 | 1984 | ||
| | | | |
케네스 윌슨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윌리엄 A. 파울러 | 카를로 루비아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
| | | | |
시몬 판 데르 메이르 | 클라우스 폰 클리칭 | 에른스트 루스카 | 게르트 비니히 | |
<rowcolor=#cd9f51> 1986 | 1987 | 1988 | ||
| | | | |
하인리히 로러 |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 카를 뮐러 | 리언 레더먼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
| | | | |
멜빈 슈워츠 | 잭 스타인버거 | 한스 데멜트 | 볼프강 파울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
| | | | |
제롬 프리드먼 | 헨리 켄들 | 리처드 테일러 | 피에르질 드 젠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
| | | | |
조르주 샤르파크 | 러셀 헐스 | 조지프 테일러 | 버트럼 브록하우스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 | | | |
클리퍼드 슐 | 프레더릭 라이네스 | 마틴 펄 | 데이비드 리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
| | | | |
더글러스 오셔로프 | 로버트 리처드슨 | 윌리엄 필립스 | 스티븐 추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
| | | | |
클로드 코엔타누지 | 대니얼 추이 | 로버트 러플린 | 호르스트 슈퇴르머 | |
<rowcolor=#cd9f51> 1999 | 2000 | |||
| | | |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마르티뉘스 펠트만 | 조레스 알표로프 | 허버트 크뢰머 | |
<rowcolor=#cd9f51> 2000 | ||||
| ||||
잭 킬비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e90606> | 올해의 인물 (1960년대) Time Person of the Year 1960's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rowcolor=#fff> 1960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1961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1962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1963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1964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
1965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1966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1967년 | 1968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1969년 {{{#!wiki style="letter-spacing: -1.0px; font-size: 0.9em;" | |
|
<colbgcolor=#000><colcolor=#fff,#dddddd>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 Isidor Isaac Rabi | |
| |
1944년의 라비 | |
본명 | 이스라엘[1] 아이작 라비 Israel Isaac Rabi |
출생 | 1898년 7월 29일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갈리치아-로도메리아 왕국 리마누프[2] | |
사망 | 1988년 1월 11일 (향년 89세) |
미국 뉴욕주 뉴욕시 | |
국적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코넬 대학교 (화학 / 1919년 학사) 컬럼비아 대학교 (물리학 / 1927년 박사) |
지도교수 | 앨버트 포터 윌스 (Albert Potter Wills) |
지도학생 | 줄리언 슈윙거 노먼 포스터 램지 마틴 루이스 펄 |
종교 | 유대교 |
직업 | 이론물리학자 |
소속 | 컬럼비아 대학교 |
서명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물리학자.1944년 원자핵의 자성을 기록하는 핵자기공명에 대한 기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라비가 발견한 핵자기공명을 응용한 것이 MRI 검사다.
2. 생애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에서 폴란드 유대인 가족에서 출생했고, 유아기에 뉴욕으로 이민을 와서 정착했다. 코넬 대학교의 전기공학과에 입학했다가 화학과로 전과했으나 물리학에 흥미를 느끼게 된다.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가 박사 학위를 취득한다.1927년 유럽으로 가서 2년 동안 볼프강 파울리, 폴 디랙, 월터 하이틀러, 프리츠 런던, 존 폰 노이만, 레오 실라르드, 유진 위그너를 포함한 많은 물리학자들과 교류하며 공부한다. 특히 라이프치히에서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를 만나 평생 우정이 시작되었다.
1929년 컬럼비아에서 패컬티를 제안 받아 미국에 돌아왔고, 그레고리 브레이트와 협업하여 브레이트-라비 방정식을 개발하여 스턴-겔락 실험을 변형하면 원자핵의 특성을 확정지을 수 있음을 예견한다. 핵자기공명을 통해 원자의 자기 모먼트와 핵 스핀을 식별하는 이 테크닉은 이후 핵물리학과 화학의 중요한 도구가 되었고 이 업적으로 194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차 세계대전 동안 MIT 에서 레이더 연구를 수행하고 맨해튼 계획에도 참여했다. 오펜하이머가 라비와 로버트 바셔를 로스 앨러모스에 초빙했을 때 과학자들을 군대에 파견하는 방식으로 계획한 것을 알고, 그렇게 하면 과학자들의 협력을 얻기 어려우니 새 연구소는 전쟁부와 계약을 맺어 캘리포니아 대학이 운영하는 민간 연구소로 구성하도록 조언했다. 라비는 직접 맨해튼 계획에는 참여하지 않았고 컨설턴트로 일했으며 트리니티 실험에도 참석했다.[4]
전후 1952년부터 56년까지 오펜하이머에 이어 원자력 위원회(AEC)의 자문 위원회(GAC)의 위원장을 역임하고,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과학 고문이었다. 1954년 오펜하이머의 보안 허가와 관련된 원자력 위원회의 청문회에서 그를 강력하게 지지하는 증언을 했으나 결국 오펜하이머는 보안 허가를 박탈당한다.
So it didn't seem to me the sort of thing that called for this kind of proceeding... against a man who has accomplished what Dr. Oppenheimer has accomplished. There is a real positive record... We have an A-bomb and a whole series of it, and we have a whole series of super bombs, and what more do you want, mermaids?
오펜하이머 박사가 이룩해 낸 확실한 결과물이 있잖아요. 우린 원자 폭탄을 포함한 슈퍼 폭탄 시리즈를 갖고 있죠. 이런 위업을 성취한 사람에게 이러한 소송을 제기할 만한 건 아닌 것 같아요. 뭘 더 원하십니까? 인어인가요?
보안 청문회에서 라비의 발언
오펜하이머 박사가 이룩해 낸 확실한 결과물이 있잖아요. 우린 원자 폭탄을 포함한 슈퍼 폭탄 시리즈를 갖고 있죠. 이런 위업을 성취한 사람에게 이러한 소송을 제기할 만한 건 아닌 것 같아요. 뭘 더 원하십니까? 인어인가요?
보안 청문회에서 라비의 발언
브룩헤븐 국립 연구소 설립 및 CERN 설립에도 유네스코 미국 대표로 참여했다. 1967년 교수직에서 은퇴하였으나 사망할 때까지 명예 교수로 강의를 이어갔다.
3. 여담
1964년 컬럼비아 대학교가 'Faculty Committee' 를 만들었고 그가 초기 의장이 되었다. 현재 이 위원회는 'Rabi Faculty Committee'로 불린다. 또한 학교의 가장 가치 있는 연구 장학금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프랑스 프레베생에 있는 CERN 의 거리 'Route Rabi'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