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11 23:23:36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파일:The Nobel Prize.png
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1901 1902 1903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빌헬름 뢴트겐 헨드릭 로런츠 피터르 제이만 앙투안 베크렐
<rowcolor=#cd9f51> 1903 1904 190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 존 라일리 필립 레나르트
<rowcolor=#cd9f51> 1906 1907 1908 190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조지프 톰슨 앨버트 마이클슨 가브리엘 리프만 굴리엘모 마르코니
<rowcolor=#cd9f51> 1909 1910 1911 1912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카를 브라운 요하네스 판 데르 발스 빌헬름 빈 닐스 달렌
<rowcolor=#cd9f51> 1913 1914 191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헤이커 오너스 막스 폰 라우에 헨리 브래그 윌리엄 브래그
<rowcolor=#cd9f51> 1917 1918 1919 192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찰스 바클라 막스 플랑크 요하네스 슈타르크 샤를 기욤
<rowcolor=#cd9f51> 1921 1922 1923 1924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닐스 보어 로버트 밀리컨 만네 시그반
<rowcolor=#cd9f51> 1925 1926 1927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임스 프랑크 구스타프 헤르츠 장 페랭 아서 콤프턴
<rowcolor=#cd9f51> 1927 1928 1929 1930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찰스 윌슨 오언 리처드슨 루이 드 브로이 찬드라세카라 라만
<rowcolor=#cd9f51> 1932 1933 1935
파일:독일 국기(3:2 비율).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폴 디랙 에르빈 슈뢰딩거 제임스 채드윅
<rowcolor=#cd9f51> 1936 1937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빅터 헤스 칼 앤더슨 클린턴 데이비슨 조지 톰슨
<rowcolor=#cd9f51> 1938 1939 1943 1944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엔리코 페르미 어니스트 로런스 오토 슈테른 이지도어 라비
<rowcolor=#cd9f51> 1945 1946 1947 1948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볼프강 파울리 퍼시 브리지먼 에드워드 애플턴 패트릭 블래킷
<rowcolor=#cd9f51> 1949 1950 1951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유카와 히데키 세실 파월 존 콕크로프트 어니스트 월턴
<rowcolor=#cd9f51> 1952 1953 1954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펠릭스 블로흐 에드워드 퍼셀 프리츠 제르니케 막스 보른
<rowcolor=#cd9f51> 1954 1955 1956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발터 보테 윌리스 램 폴리카프 쿠시 윌리엄 쇼클리
<rowcolor=#cd9f51> 1956 1957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존 바딘 월터 브래튼 리정다오 양전닝
<rowcolor=#cd9f51> 1958 1959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파벨 체렌코프 일리야 프란크 이고르 탐 오언 체임벌린
<rowcolor=#cd9f51> 1959 1960 196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도널드 글레이저 로버트 호프스태터 루돌프 뫼스바우어
<rowcolor=#cd9f51> 1962 1963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레프 란다우 유진 위그너 마리아 메이어 한스 옌젠
<rowcolor=#cd9f51> 1964 196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타운스 니콜라이 바소프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리처드 파인만
<rowcolor=#cd9f51> 1965 1966 196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줄리언 슈윙거 도모나가 신이치로 알프레드 카스틀레르 한스 베테
<rowcolor=#cd9f51> 1968 1969 197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루이스 앨버레즈 머리 겔만 한네스 알벤 루이 네엘
<rowcolor=#cd9f51> 1971 1972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데니스 가보르 존 바딘 리언 쿠퍼 존 슈리퍼
<rowcolor=#cd9f51> 1973 1974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에사키 레오나 이바르 예베르 브라이언 조지프슨 마틴 라일
<rowcolor=#cd9f51> 1974 197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앤서니 휴이시 오게 보어 벤 모텔손 제임스 레인워터
<rowcolor=#cd9f51> 1976 197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버턴 릭터 새뮤얼 팅 필립 앤더슨 존 밴블랙
<rowcolor=#cd9f51> 1977 197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1955-1980).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네빌 모트 표트르 카피차 아노 펜지어스 로버트 윌슨
<rowcolor=#cd9f51> 1979 198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와인버그 무함마드 살람 셸든 글래쇼 제임스 크로닌
<rowcolor=#cd9f51> 1980 198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벨 피치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아서 숄로 카이 시그반
<rowcolor=#cd9f51> 1982 1983 198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케네스 윌슨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윌리엄 A. 파울러 카를로 루비아
<rowcolor=#cd9f51> 1984 1985 198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시몬 판 데르 메이르 클라우스 폰 클리칭 에른스트 루스카 게르트 비니히
<rowcolor=#cd9f51> 1986 1987 1988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하인리히 로러 요하네스 베드노르츠 카를 뮐러 리언 레더먼
<rowcolor=#cd9f51> 1988 198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멜빈 슈워츠 잭 스타인버거 한스 데멜트 볼프강 파울
<rowcolor=#cd9f51> 1990 199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제롬 프리드먼 헨리 켄들 리처드 테일러 피에르질 드 젠
<rowcolor=#cd9f51> 1992 1993 1994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르주 샤르파크 러셀 헐스 조지프 테일러 버트럼 브록하우스
<rowcolor=#cd9f51> 1994 1995 199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클리퍼드 슐 프레더릭 라이네스 마틴 펄 데이비드 리
<rowcolor=#cd9f51> 1996 1997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더글러스 오셔로프 로버트 리처드슨 윌리엄 필립스 스티븐 추
<rowcolor=#cd9f51> 1997 1998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클로드 코엔타누지 대니얼 추이 로버트 러플린 호르스트 슈퇴르머
<rowcolor=#cd9f51> 1999 200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 조레스 알표로프 허버트 크뢰머
<rowcolor=#cd9f51> 2000 200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잭 킬비 칼 위먼 에릭 코넬 볼프강 케털리
<rowcolor=#cd9f51> 200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이먼드 데이비스 고시바 마사토시 리카르도 자코니 비탈리 긴즈부르크
<rowcolor=#cd9f51> 2003 2004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세이 아브리코소프 앤서니 레깃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폴리처
<rowcolor=#cd9f51> 2004 2005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프랭크 윌첵 로이 글라우버 존 홀 테오도어 헨슈
<rowcolor=#cd9f51> 2006 2007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알베르 페르 페터 그륀베르크 고바야시 마코토 마스카와 도시히데
<rowcolor=#cd9f51> 2008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난부 요이치로 찰스 가오 윌러드 보일 조지 스미스
<rowcolor=#cd9f51> 2010 201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안드레 가임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솔 펄머터 애덤 리스
<rowcolor=#cd9f51> 2011 2012 201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브라이언 슈미트 세르주 아로슈 데이비드 와인랜드 피터 힉스
<rowcolor=#cd9f51> 2013 2014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수아 앙글레르 아카사키 이사무 아마노 히로시 나카무라 슈지
<rowcolor=#cd9f51> 2015 201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가지타 다카아키 아서 맥도널드 데이비드 사울레스 덩컨 홀데인
<rowcolor=#cd9f51> 2016 201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코스털리츠 킵 손 배리 배리쉬 라이너 바이스
<rowcolor=#cd9f51>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아서 애슈킨 제라르 무루 도나 스트리클런드 제임스 피블스
<rowcolor=#cd9f51> 2019 2020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미셸 마요르 디디에 쿠엘로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첼
<rowcolor=#cd9f51> 20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드레아 게즈 마나베 슈쿠로 클라우스 하셀만 조르조 파리시
<rowcolor=#cd9f51> 2022 2023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아스페 존 클라우저 안톤 차일링거 피에르 아고스티니
<rowcolor=#cd9f51> 2023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크러우스 페렌츠 안 륄리에
수상자의 국적은 수상 시점 기준이다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Gerardus 't Hooft
파일:’tHooftPot.1.jpg
출생 1946년 7월 5일 ([age(1946-07-05)]세)
네덜란드 노르트홀란트 덴헬더르
국적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직업 이론물리학자
분야 양자장론(게이지 장론)
학력 위트레흐트 대학교 (수학 · 물리학 / kand.)
위트레흐트 대학교 대학원 (이론물리학 / Ph.D.[1])
소속 위트레흐트 대학교
유럽 입자물리연구소
하버드 대학교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서명 파일:헤라르뒤스 엇호프트 서명.png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스코푸스.png 파일:orcidid.png

1. 개요2. 생애3. 세부 연구 분야4. 기타5. 물리학에 관한 어록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의 이론물리학자. 분야는 양자장론이다.

2. 생애

1946년 7월 5일 네덜란드 덴헬더르의 학자 집안에서 1남 2녀중 둘째로 출생했다. 아버지는 해양공학자였고, 어머니는 레이던 대학교의 동물학 교수였던 Pieter Nicolaas Van Kenpan의 장녀였다. 외할머니는 195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였던 프리츠 제르니케의 누이로, 제르니케는 엇호프트의 외외종조부이다.

유년기는 헤이그에서 보냈고, 해양공학자였던 아버지는 공학에 대한 꿈을 심어주고자 자동차, 선박공학, 라디오 서적을 선물로 주었다. 8살에는 가족들을 따라서 10개월동안 잠시 런던에서 체류하기도 했는데, 영어를 첫번째 외국어로 습득했다. 잠시 초등학교에 다니기도 했었고, 하루는 시골로 여행을 가서 난생 처음으로 산을 보기도 했었다. 그때 당시 영국에는 Meccano라는 장난감이 유행하고 있었고, 아버지가 Meccano를 사와서 같이 설명서보고 조립했지만, 독창적으로 Meccano를 조립하는것에 더 흥미를 두었다.

Dalton Lyceum이라는 숙제 자료를 탐구하는 방과후 시간이 있는 초등학교에 들어갔고 분위기에 적응을 잘했지만, 다만 고전학을 1년더 배워야했는데, 물리학자였던 삼촌은 물리를 하는데 “고전학은 필요없지만, 그렇다고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조언해준것을 생각해서 고전학을 1년 더 배웠다.

10대 중반에는 네덜란드수학올림피아드에 2번 출전해서 16살에 열렸던 NMO에서 1차를 통과하고, 2차 시험에서 은상을 받았다. 연습이 부족해서 2차는 몇 문제를 못풀었었다고 회상했다.

1964년 시험을 통과하고, 위트레흐트 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했다. 아버지의 추천을 따라 위트레흐트 학군단에 들어갔고, 이미 군복무를 한 신입생도 있었던 학군단에서 일탈을 자주해서 고학년 선임에게 과학을 뺀 어떤것이든 흥미를 갖지않는 것에 무시를 당하기도 했다. 다만, 생물학 전공이었던 선임이 전공지식 몇가지를 물어보자 답변에 흡족한 나머지 너는 물리학과가 아닌 생물학과로 가라는 말을 듣기도 했다.

1968년에 물리학과를 졸업할 당시 소립자 물리학을 연구하던 마르티뉘스 펠트만이 지도교수로 부임했는데, 펠트만과의 첫만남 당시 삼촌과 외할아버지가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한 가족력을 삼아서 가족 찬스로 높은 성적을 받았다는 의심을 받아 곤욕을 치루었으나, 펠트만은 양-밀스 게이지 장 이론 및 질량 생성의 원인이 되는 자발적 깨짐 대칭중 골드스톤 모형같은 그 당시에 새로운 이론이었던 양자장론 모델을 소개해주었기도 했다.

1969년부터 박사 졸업까지의 연구주제는 양-밀스장의 재규격화였다. 펠트만의 기존 모델은 중간자가 광자로 분해되지 않는다는 오류가 있었는데, 그 오류의 원인으로 밝혀진 ABJ 변칙이 그의 연구에 영향을 끼쳤다. 1970년 코르시카의 카르제스에서 열린 여름 학교에서는, 자발 대칭 깨짐의 재규격화를 다루는 레비-겔만 모형에 대한 이휘소와 레비, 쥐만치크의 강연을 듣고, 위트레흐트로 돌아와 조절 변수(regulator)를 활용한 경로적분 재규격화 방법론들을 연구해 양-밀스 장에 관한 재규격화를 고안하는 논문을 제출했다.

그와 펠트만의 재규격화 연구는 와인버그와 살람의 표준 모형이 실험적으로 검증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어 많은 실험물리학자들로 하여금 표준모형의 검증에 나서게 했다. 그에 따라 1973년 CERN에서 중성 흐름이 발견되어 표준모형이 증명되기에 이르렀다. 와인버그와 살람의 아이디어를 재규격화를 통해 실험 가능한 형태로 정식화한 공로로 그와 펠트만은 1999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는다.

3. 세부 연구 분야

파일:’tHooft Portrait2.jpg

양-밀스 장의 라그랑지언 포멀리즘 및 경로적분 방법의 재규격화와 강한 CP 대칭성 깨짐을 만족하는 정식화[2]를 연구했다.

양-밀스장의 경로적분의 재규격화 과정에서는 재규격화의 과정중 조절(Regularization)이라는 방법을 채택했다. 1-loop 상호작용의 전파인자를 곱하여 확률진폭을 구하는 과정에서, 로그 형태 적분의 무한대로 발산을 처리하기 위해 전파인자항을 영점을 가진 전파인자와 그외의 전파인자항을 무한대의 발산항으로 두어 그 두 인자로 전파인자를 합으로 쪼개는 PVG 조절(pauli-vilars-gupta regularization)을 차용했고, 통상적인 PVG 조절은 게이지 조건을 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PVG 조절의 발산을 조정하는 인수를 아래와 같이 변형했다.[3]
[math(\displaystyle \sum_{ij} c_{i}c_{j} \to \sum_{ij} c_{i}\delta_{ij})]

마르튀니스 펠트만과 함께 차원 조절(Dimensional Regularization) 방법론을 처음으로 소개하기도 했다.[4][5] 먼저 적분 차원을 분류하고, 부분 공간을 인수로 가진 아래와 같은 감마함수꼴 복소해석함수로 만들면,
[math(\displaystyle \int dp \int_{0}^{\infty} d\omega\,\omega^{n-5} \dfrac{2\pi^{\frac{n-4}{2}}}{\Gamma(\frac{n-4}{2})} f(p, \omega^2))]

이는 적분하면 로그 함수꼴 결과가 나오는데, 여기서 특이점을 제외한 경로에서 수렴한다. 이 조절 방법론은 함수 외부로 발산항을 분리하는 BPH 재규격화(Bogoliubow-Parasiuk-Hepp Renormalization)와 PVG 조절 방법론과는 달리, 적분내부의 공간을 변형하기 때문에 게이지 대칭성을 잘 보존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엇호프트가 펠트만과 함께 고안하고 수정한 조절 방법론들은 발산하는 적분꼴 n-loop 전파인자들을 특이점이 아닌 부분에 수렴시켜서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쉽게 변형할수 있다. 위의 방법론으로 전자기약력의 계산적인 규명이 가능함을 보여준것은 1970년대의 이론물리학계에 패러다임을 불러왔으며, 글래쇼, 와인버그, 살람이 주장한 표준모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것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만, 복소해석적으로 차원 조절을 전개하여 적분을 풀면, 복소 변수 값을 0으로 하는 Branch point의 contour 좌표계가 직교좌표계로써 곡면 좌표계에 차원 조절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곡면 좌표계의 표현이 가능한 복소해석함수인 제타 함수를 위의 f 함수의 고유값에 활용하여 곡면 좌표계의 차원조절을 유도할수 있다.[6]

4. 기타

  • 언제는 초등학교 학우가 “라디오가 어떻게 작동되는지 이해하는 사람은 이 세상에 아무도 없다”라고 말한것을 들은적이 있는데, 이를 반박하고자 라디오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들이 작동하는 원리를 체득했다.
  • 10살때는 피아노를 배웠는데, 계기는 남동부 벨기에의 펜션으로 놀러갔을때, 피아노와 악보책이 있었는데 부모님이 어떻게 보는지 알려준다음 흥미가 생겨 교사를 따로 초빙해서 배웠다. 꽤 엄격하게 지도하긴 했지만, 양손으로 치는것을 배우지 않은채 양손으로 칠수 있게 되어 교사를 놀라게 했다.
  • 2022년부터 뤼터 내각에서 교육문화과학부 장관을 역임하기 시작한 수리물리학자 로베르트 다익그라프(Robbert Dijkgraaf)의 박사 과정 지도 교수였다.

5. 물리학에 관한 어록

"나는 끈 이론을 '이론'이나 '모형'으로 부르고 싶지 않다. 그것은 일종의 '직감'에 지나지 않는다. 물리학 이론이라면 입자의 질량이나 전하를 계산하는 등 물리적 대상을 서술하는 정량화된 규칙이 있어야 하며, 그로부터 일어나는 현상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내가 당신에게 의자를 준다면서 "다리는 아직 달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밑창과 등받이, 손걸이는 곧 배달될 것입니다"라고 한다면, 당신은 "의자를 받았다"고 말할 텐가?"

[1] 박사 학위 논문 : Renormalization of massless Yang-Mills Fields = 무질량 양-밀스 장의 재규격화(1971).[2] 후에 페체이와 퀸의 CP 대칭성 보존 정식화의 제약 조건의 구축에 사용되었다.[3] Renormalization of Massless Yang-Mills Field, Nucl. Phys. B 33, (1971) 177.[4] Regularization and Renormalization of Gauge Fields, Nucl. Phys. B 44, (1972) 189.[5]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는 카를로스 볼리니와 후안 지암비아지가 소개했다고 나와있다. 물론, 서로의 논문에는 독립적으로 아이디어를 서술한 논문이 있다고 언급되나, 볼리니와 지암비아지는 다소 짧게 추가적인 정리 및 QED의 적용 위주로 서술했을뿐더러, 학계에 publish되어 정식적으로 소개된 시기는 엇호프트와 펠트만의 논문보다 4개월후이다.[6] S. W. Hawking, Zeta Function Regularization of Path Integrals in Curved Spacetime, Commun. Math. Phys. 55, 133 (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