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19:36:11

브레이크스루상

<colbgcolor=#e9ebe1><colcolor=#000> 브레이크스루상
Breakthrough Prize
파일:브레이크스루상 트로피.jpg
설립 2012년 ([age(2012-12-31)]년차)
설립자 유리 밀너 & 줄리아 밀너
마크 저커버그 & 프리실라 챈
세르게이 브린
앤 워치츠키
이사회
의장
후다 조그비[1]
이사
마크 저커버그
이사
유리 밀너
이사
앤 워치츠키
분야 기초물리학, 생명과학, 수학
상금 300만 달러
시상 장소 베이 에이리어
외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수상자3. 기타

1. 개요

2012년 실리콘밸리의 첨단 기업 경영인들이 공동으로 과학 발전에 공헌하는 학자들을 위해 만든 상이다. 학자들의 명성을 높혀주고, 학생들에게 과학자가 되고 싶어하는 열망을 심어주는 것이 목표라고 한다. 과학계의 오스카상, 실리콘밸리의 노벨상이라는 별칭이 있다.

상금은 유리 밀너, 마크 저커버그, 세르게이 브린, 마윈, 마화텅 등의 개인 재단을 통해 조달하는데, 이들이 상당한 재산가인 만큼 액수는 300만 달러로 노벨상보다 3배 가량 높다.

13~18세 학생에게는 본상과 별도로 주니어 브레이크스루 챌린지를 시상한다.#

2. 수상자

2.1. 기초물리학

파일:브레이크스루상 로고.png
기초물리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201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에드워드 위튼 앨런 구스 나탄 자이베르그 알렉세이 키타예프
<rowcolor=#fff> 2012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rowcolor=#222,#fff> 안드레이 린데 막심 콘체비치 후안 말다세나
<rowcolor=#fff> 2012 2013 2014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아쇼케 센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존 슈워츠 마이클 그린
<rowcolor=#fff>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rowcolor=#222,#fff> 브라이언 슈미트 애덤 리스 솔 펄머터 아서 맥도날드
<rowcolor=#fff> 201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222,#fff> 가지타 다카아키 스즈키 요이치로 스즈키 아츠토 니시카와 코이치로
<rowcolor=#fff> 2016 2017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왕이팡 룩 캄비우 조셉 폴친스키 캄란 바파
<rowcolor=#fff> 2017 201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앤드루 스트로민저 데이비드 슈퍼겔 라이먼 페이지 노먼 야로식
<rowcolor=#fff>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게리 힌쇼 찰스 L. 베넷 찰스 케인 유진 멜레
<rowcolor=#fff> 20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222,#fff> EHT 프로젝트 에릭 아델버거 옌스 군들라흐 블레인 헤켈
<rowcolor=#fff> 2022 2023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카토리 히데토시 준 예 찰스 H. 베넷 피터 쇼어
<rowcolor=#fff> 2023 202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데이비드 도이치 질 브라사드 존 카디
<rowcolor=#fff> 2025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rowcolor=#222,#fff> ATLAS LHCb CMS ALICE
}}}}}}}}} ||
파일:브레이크스루상 로고.png
기초물리학 특별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201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스티븐 호킹 페터 예니 미첼 네그라 테진더 비르디
<rowcolor=#fff> 2013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rowcolor=#222,#fff> 린 애번스 귀도 토넬리 조 인칸델라 파비올라 지오나티
<rowcolor=#fff> 2016 2018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로널드 드레버 킵 손 라이너 바이스 조셀린 벨
<rowcolor=#fff> 2019 202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대니얼 프리드먼 피터르 판니우벤휘젠 세르조 페라라 스티븐 와인버그
<rowcolor=#fff> 202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
연도 수상자 수상 내역 비고
2012 니마 아르카니하메드 입자 물리학의 중요한 문제에 대한 독창적인 접근 방식
앨런 구스 인플레이션 우주론의 발명과 양자 요동에서 발생하는 우주 밀도 요동 생성 이론에 대한 기여
알렉세이 키타예프 위상양자상을 활용한 양자 메모리와 결함 허용 양자컴퓨터의 이론적 기여
막심 콘체비치 호몰로지 거울 대칭 의 개발과 벽 교차 현상에 대한 연구 등
안드레이 린데 끈이론의 진공 안정 상태 및 인플레이션 우주론의 기여
후안 말다세나 게이지/중력 이중성네 대한 기여, 시공간에서의 중력 물리학과 시공간 경계에서의 양자장 이론에 대한 기여
나탄 자이베르크 양자장론끈이론의 이해
아쇼크 센 모든 끈 이론이 동일한 기본 이론의 서로 다른 한계임을 보임
에드워드 위튼 물리학에 대한 위상수학의 응용, 비섭동적 이중성 대칭, 끈 이론에서 파생된 입자 물리학 모델, 암흑 물질 탐지, 입자 산란 진폭에 대한 트위스터 이론, 그리고 수학에 대한 양자장 이론의 수많은 응용
2013(특별상)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서 호킹 복사를 발견, 양자 중력 및 초기 우주의 양자적 측면에 대한 깊은 공헌
피터 제니, 파비올라 지아노티(ATLAS), 미셸 델라 네그라, 테진더 싱 비르디, 귀도 토넬리, 조 인칸델라(CMS), 린 에반스(LHC) CERN의 대형 강입자 충돌기에서 ATLAS 및 CMS 협업을 통해 새로운 힉스 유사 입자를 발견하게 된 과학적 노력의 리더십
2013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등각 부트스트랩, 자기 홀극, 인스턴톤, 구속/해제, 비임계 차원에서의 문자열 양자화, 게이지/문자열 이중성 등 장 이론과 끈 이론에서의 수많은 발견
2014 마이클 그린, 존 슈워츠 양자 중력과 힘의 통합에 대한 새로운 관점
2015 솔 펄머터와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의 멤버들; 브라이언 P. 슈미트, 아담 리스와 하이-Z 초신성 팀의 멤버들 우주 가속 팽창 발견
2016 왕이팡; 캄비우 루크와 다야 베이 팀 중성미자 진동의 근본적인 발견과 탐구를 통해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을 넘어서 어쩌면 훨씬 더 넓은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 공로 5개 연구팀 1370명 수상. 한국인 9명 포함.#
스즈키 아츠토와 KamLAND 팀
니시카와 코이치로와 K2K / T2K 팀
아서 B. 맥도날드와 서드버리 중성미자 관측팀
타카아키 카지타; 스즈키 요이치로와 슈퍼-카미오칸데 팀
2016(특별상) 로널드 드레버, 킵 손, 라이너 와이스 중력파 관측
이진 블랙홀 합병에서 중력파 관측(Physical Review Letters , 2016년 2월 11일) 논문의 저자인 기여자들, LIGO의 성공에 중요한 기여를 한 기여자들
2017 조셉 폴친스키 양자장론, 끈 이론 및 양자중력 분야의 혁신적인 발전
앤드루 스트로밍거, 캄란 바파
2018 찰스 L. 베넷 우주의 진화와 은하 형성의 씨앗이 된 변동에 대한 초기 우주의 상세한 지도에 대하여
게리 힌쇼
노먼 야로식, 라이먼 페이지 주니어, David N. Spergel 및 WMAP 과학 팀(Chris Barnes, Olivier Doré, Joanna Dunkley, Ben Gold, Michael Greason, Mark Halpern, Robert Hill, Al Kogut, Eiichiro Komatsu, David Larson, Michele Limon, Stephan Meyer, Michael Nolta, Nils Odegard, Hiranya Peiris, Kendrick Smith, Greg Tucker, Licia Verde, Janet Weiland, Ed Wollack, E. Wollack, Ned Wright)
2018(특별상) 조셀린 벨 버넬 펄사 발견에 대한 근본적인 기여와 과학계에서 평생 영감을 주는 리더십 발휘 논문에서 제1저자로 기여했으나 주요 저자가 지도교수 앤서니 휴이시로 표기되었고, 노벨상이 가로채졌다는 평가가 있었음.
2019 찰스 케인, 유진 멜 물리학의 위상수학 및 대칭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표면에서만 전기를 전도하는 새로운 종류의 재료를 예측
2019(특별상) 세르지오 페라라 양자 변수가 시공간의 기하학을 설명하는 데 포함되는 초중력의 발명
다니엘 Z. 프리드먼
피터 반 니우벤하위젠
2020 Event Horizon Telescope 협업자 지구 크기의 망원경 연합을 통한 초대질량 블랙홀의 첫 번째 이미지 촬영
2021 에릭 아델버거, 옌스 H. 건들라크 및 블레인 헤켈 중력에 대한 이해를 테스트하고 암흑 에너지의 본질을 조사하고 암흑 물질과의 결합에 대한 한계를 설정하는 정밀한 기본 측정
2021(특별상) 스티븐 와인버그 입자물리학, 중력 및 우주론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과학을 더 폭넓은 청중에게 전달한 기본물리학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리더십
2022 카토리 히데토시 자연의 기본 법칙에 대한 정밀한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는 광학 격자 시계의 발명 및 개발에 대한 뛰어난 공헌에 대하여
예 준
2023 찰스 H. 베넷 양자 정보 분야의 기초 작업에 대하여
질 브라사르
데이비드 도이치
피터 W. 쇼너
2024 존 카디 물리학과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 다양하고 광범위한 응용 분야를 갖춘 통계 물리학과 양자장 이론에 대한 심오한 기여에 대하여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2025 ATLAS 협업자, CMS 협업, 앨리스 협업자, LHCb 협업자 CERN의 대형 강입자 충돌기에서 질량 생성의 대칭성 파괴 메커니즘을 확인하는 힉스 보손 특성의 세부 측정, 새로운 강력 상호 작용 입자의 발견, 희귀 프로세스 및 물질-반물질 비대칭 연구, 가장 짧은 거리와 가장 극한 조건에서의 자연 탐색에 대하여 전 세계 70여 개국 13,508명의 연구진에게 수여. 한국인 150명 포함.#
2025(특별상)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게이지 이론과 표준 모델에 대한 기초적인 통찰력

2.2. 생명과학

연도 수상자 수상 내역 비고
2013 코넬리아 바그만 신경 회로와 행동의 유전학, 그리고 시냅스 가이드포스트 분자에 관한 연구
데이비드 보츠타인 DNA 다형성을 사용하여 인간의 멘델 질병에 대한 연관 지도를 작성
루이스 C. 캔틀리 PI 3-카이네이스와 암 대사에서의 역할을 발견
한스 클레버스 조직 줄기 세포와 암에서 Wnt 신호 전달의 역할을 설명
티티아 드 랑게 텔로미어에 대한 연구를 통해 텔로미어가 염색체 말단을 보호하는 방식과 암에서 유전체 불안정성에 미치는 역할을 규명
나폴레오네 페라라 암과 안구 질환에 대한 치료법으로 이어진 혈관신생 메커니즘의 발견
에릭 S. 랜더 인간 질병 유전자를 식별하는 일반 원리를 발견하고, 인간 게놈의 유전적, 물리적, 서열 지도를 작성하고 분석하여 의학에 응용할 수 있게 한 공로
찰스 L. 소여스 암 유전자와 표적 치료
로버트 A. 와인버그 인간 암 유전자의 특성 분석
야마나카 신야 유도만능줄기세포
베르트 포겔슈타인 암 유전체학 및 종양 억제 유전자에 대한 연구
2014 제임스 P. 앨리슨 T세포 체크포인트 차단이 효과적인 암 치료법이라는 사실을 발견
마흘론 델롱 파킨슨병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뇌의 상호 연결 회로를 정의한 과학적 근거. 뇌 심부 자극을 통한 파킨슨병의 회로 기반 치료의 기초가 됨.
마이클 N. 홀 라파마이신 표적(TOR)을 발견하고 세포 성장 조절에 있어서 TOR의 역할을 발견
로버트 랭거 제어된 약물 방출 시스템과 새로운 생체재료의 개발로 이어지는 발견
리처드 P. 리프턴 고혈압을 유발하는 유전자와 생화학적 메커니즘을 발견
알렉산더 바르샤브스키 세포 내 단백질 분해의 중요한 분자적 결정인자와 생물학적 기능을 발견
2015 알림 루이스-베나비드 파킨슨병 치료에 혁명을 일으킨 고주파 심부 뇌 자극(DBS)의 개발에 대한 발견과 선구적 연구
C. 데이비드 앨리스 히스톤 단백질의 공유 결합 변형과 유전자 발현 및 크로마틴 구성 조절에 있어서 히스톤 단백질이 하는 중요한 역할을 발견하여 선천적 결함에서 암에 이르는 다양한 질병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킨 공로
빅터 암브로스, 게리 루브쿤 마이크로RNA에 의한 유전적 조절의 새로운 세계를 발견한 공로
제니퍼 더우드나, 에마니엘 샤르팡튀에 박테리아 면역의 고대 메커니즘을 강력하고 일반적인 유전체 편집 기술로 활용하여 생물학과 의학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로
2016 에드워드 S. 보이든, 칼 다이서로스 광유전학의 개발 및 구현 - 빛에 의해 활성화되는 이온 채널과 펌프를 발현하도록 뉴런을 프로그래밍하여 빛으로 전기적 활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존 하디 조기 발병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하는 아밀로이드 전구체 단백질(APP)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발견하고, APP 유래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 축적을 알츠하이머병 발병 기전과 연결하고, 질병 예방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
헬렌 홉스 콜레스테롤과 기타 지질의 수치와 분포를 변화시키는 인간 유전자 변이를 발견하여 심혈관 및 간 질환 예방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
스반테 파보 고대 DNA와 고대 유전체의 시퀀싱을 개척하여 현대인의 기원, 네안데르탈인과 같은 멸종된 친척과의 관계, 그리고 인간 집단과 특성의 진화를 규명
2017 스티븐 J. 엘리지 진핵 세포가 DNA 손상을 감지하고 반응하는 방식을 밝히고 암의 발병과 치료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 공로
해리 F. 놀러 모든 세포에서 단백질 합성의 기본 기계인 리보솜의 활성 중심을 형성하는 데 RNA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현대 생물학을 생명의 기원과 연결하고, 많은 천연 항생제가 단백질 합성을 방해하는 방식을 설명한 공로
롤랜드 누스 발달, 암, 줄기세포 생물학에서 중요한 세포 간 신호 전달 시스템 중 하나인 Wnt 경로에 대한 선구적 연구
오스미 요시노리 세포가 자신에게 필수적이지 않거나 손상된 구성 요소로부터 영양소를 생성하는 데 사용하는 재활용 시스템인 자가포식을 설명
후다 조그비 척수소뇌성 실조증과 레트 증후군의 유전적 원인과 생화학적 메커니즘을 발견하여 신경퇴행성 질환과 신경계 질환의 병인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 연구
2018 조앤 코리 식물이 햇빛을 화학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성장, 발달, 세포 구조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발견한 공로
피터 월터, 모리 카즈토시 접히지 않은 단백질 반응을 규명하기 위해, 질병을 유발하는 접히지 않은 단백질을 감지하고 세포에 시정 조치를 취하도록 지시하는 세포 품질 관리 시스템을 개발
킴 나스미스 세포 분열 중 중복된 염색체의 위험한 분리를 중재하는 정교한 메커니즘을 밝혀내어 암과 같은 유전 질환을 예방
돈 W. 클리블랜드 신경 변성에서 신경교세포의 역할을 포함하여 유전성 ALS의 분자적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ALS 및 헌팅턴병 동물 모델에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치료법을 확립
2019 C. 프랭크 베넷, 에이드리언 R. 크라이너 척수성 근위축증이라는 신경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는 어린이를 위한 효과적인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치료법 개발
안젤리카 아몬 염색체 분리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염색체 수인 이수성의 결과를 결정
샤오웨이 좡 초고해상도 이미징을 개발하여 세포 내 숨겨진 구조를 발견한 공로로, 광학 현미경의 기본적인 공간 분해능 한계를 뛰어넘는 방법
지젠 제임스 췐 DNA 감지 효소인 cGAS를 발견하여 세포 내부에서 DNA가 어떻게 면역 및 자가면역 반응을 유발하는지 규명
2020 제프리 M. 프리드먼 지방 조직이 뇌에 음식 섭취를 조절하도록 신호를 보내는 새로운 내분비 시스템을 발견
프란츠-울리히 하틀, 아서 L. 호위치 단백질 접힘을 매개하고 단백질 응집을 방지하는 분자 샤페론의 기능을 발견
데이비드 줄리어스 통증 감각의 기초가 되는 분자, 세포, 메커니즘을 발견
버지니아 만-이 리 전두측두형 치매와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에서 TDP43 단백질 응집체를 발견하고,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다양한 형태의 알파시누클레인이 파킨슨병과 다발성계통위축증의 원인임을 밝힘
2021 데이비드 베이커 자연에서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단백질을 설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여기에는 인간 질병에 대한 치료적 개입의 잠재력을 지닌 새로운 단백질도 포함
캐서린 듀락 육아의 복잡한 행동을 세포 유형과 그 배선 수준까지 분해하고, 남성과 여성의 특정 육아 행동을 지배하는 신경 회로가 두 성별 모두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임
육 밍 데니스 로 태아 DNA가 모체 혈액에 존재하며 21번 삼염색체증 및 기타 유전 질환의 태아기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
리처드 J. 율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고 이를 통해 파킨슨병을 예방하는 품질 관리 경로를 규명
2022 제프리 W. 켈리 신경 퇴행성 질환과 심장 트랜스티레틴 질환의 분자적 기초를 규명하고, 이러한 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약물인 타파미디스를 개발
카탈린 카리코, 드류 와이스먼 효과적인 COVID-19 백신의 신속한 개발을 가능하게 한 변형 RNA 기술을 개발
샹카르 발라수브라마니안, 데이비드 클레너만, 파스칼 마이어 대규모로 DNA 염기서열을 결정하는 견고하고 저렴한 방법을 개발하여 과학과 의학의 실무에 혁명을 가져옴
2023 클리포드 P. 브랭윈, 앤서니 A. 하이먼 단백질과 RNA를 막이 없는 액체 방울로 분리하는 것을 매개로 한 세포 조직의 기본 메커니즘을 발견
데미스 하사비스, 존 점퍼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통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하는 딥러닝 AI 방법을 개발
에마니엘 미뇨, 야나기사와 마사시 발작성 졸음증은 각성을 촉진하는 물질을 만드는 소수의 뇌세포가 소실되어 발생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수면 장애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길을 엶
2024 칼 H. 준, 미셸 사들랭 환자의 T 세포를 변형하여 암세포를 표적으로 삼아 죽이는 키메라 항원 수용체 T 세포 면역 요법 개발
사빈 하디다, 폴 네굴레스쿠, 프레드릭 반구르 낭포성 섬유증 환자의 결함 있는 염화물 채널 단백질을 복구하여 삶을 변화시키는 약물 조합을 개발
토마스 가서, 엘렌 시드란스키, 앤드류 싱글턴 GBA1과 LRRK2를 파킨슨병의 위험 유전자로 확인하고, 자가포식과 리소좀 생물학이 이 질병의 발병 기전에 중요한 요인임을 밝힘
2025 다니엘 J. 드러커, 조엘 하베너, 옌스 율 홀스트, 로테 비예레크누센, 스베틀라나 모이소프 GLP-1을 발견하고 특성화하였으며, 당뇨병과 비만 치료에 있어서 GLP-1의 생리학적 특성과 잠재력을 밝힘
스티븐 L. 하우저, 알베르토 아스케리오 다발성 경화증에서 B 세포의 역할을 규명하고 B 세포 기반 치료법을 개발하고 Epstein-Barr 바이러스 감염이 다발성 경화증의 주요 위험임을 밝힘
데이비드 R. 류 DNA 이중 나선을 절단하지 않고도 생명체의 DNA를 편집하고, 유전자 부분을 원래 위치에서 다시 작성하여 사실상 모든 돌연변이를 수정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인 베이스 편집과 프라임 편집을 개발

2.3. 수학

파일:브레이크스루상 로고.png
수학 부문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201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rowcolor=#222,#fff> 리처드 테일러 사이먼 도널드슨 테렌스 타오 막심 콘체비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제이콥 루리 이안 아골 장 부르갱 크리스토퍼 하콘
<rowcolor=#fff> 2018 2019 2020 2021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제임스 맥커넌 알렉스 에스킨 빈센트 라포르그 마르틴 하이러
<rowcolor=#fff> 2022 2023 2024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모치즈키 다쿠로 대니얼 스피엘만 사이먼 브랜들
}}}}}}}}} ||
연도 수상자 수상 내역 비고
2015 사이먼 도널드슨 4차원 다양체 의 새로운 혁명적 불변량과 대수 기하학과 글로벌 미분기하학의 안정성 간의 관계 연구, 번들과 파노 다양체 모두에 대한 연구
막심 콘체비치 대수 기하학, 변형 이론, 심플렉틱 위상수학, 호몰로지 대수 및 동적 시스템을 포함한 광범위한 수학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친 업적
제이콥 루리 고차 범주 이론과 유도 대수 기하학의 기초에 대한 연구, 완전히 확장된 위상 양자장 이론의 분류, 타원 코호몰로지의 모듈리 이론적 해석 제공에 대한 연구
테렌스 타오 조화 해석, 조합론, 편미분 방정식 및 해석적 수론 에 대한 수많은 획기적인 기여
리처드 테일러 타니야마-웨일 추측, 일반 선형군에 대한 국소 Langlands 추측, Sato-Tate 추측을 포함한 자기형식 이론의 수많은 획기적인 결과
2016 이안 아골 낮은 차원 위상수학 및 기하학적 군 이론에 대한 놀라운 기여, 특히 길들여짐, 가상 하켄 추측 및 가상 파이버링 추측의 솔루션에 대한 연구
2017 장 부르갱 해석, 조합론, 편미분 방정식, 고차원 기하학 및 수론에 대한 다양한 혁신적 기여
2018 크리스토퍼 헤이컨, 제임스 맥커넌 특히 모든 차원의 최소 모델 프로그램에 대한 이중 유리 대수 기하학에 대한 변형적 기여
2019 뱅상 라포로그 특히 함수 필드 사례에서 Langlands 프로그램에 대한 수학의 여러 분야에 대한 획기적인 기여
2020 알렉스 에스킨, 마리암 미르자카니 아벨 미분의 모듈리 공간의 역학 및 기하학에 대한 혁명적 발견, '마법의 지팡이 정리'의 증명
2021 마틴 헤어러 확률 분석 이론, 특히 확률 편미분 방정식의 규칙성 구조 이론에 대한 변혁적 기여
2022 모치즈키 다쿠로 평평한 연결을 갖는 번들 이론에 대한 이해의 획기적인 진전을 이룬, 불규칙 특이점을 포함한 대수적 다양체
2023 다니엘 스필먼 스펙트럼 그래프 이론, Kadison-Singer 문제, 수치 선형 대수, 최적화 및 코딩 이론을 포함한 이론 컴퓨터 과학 및 수학에 대한 획기적인 기여
2024 사이먼 브렌들 3구의 최소 토러스에 대한 Lawson 추측, 날카로운 기하학적 부등식, Ricci 흐름 및 평균 곡률 흐름에 대한 많은 결과 등 미분 기하학에 대한 변형적 기여
2025 데니스 게이츠고리 기하학적 랭글랜즈 추측의 증명에서 중심적인 역할

3. 기타

  • 노벨상, 필즈상, 울프상같은 기존의 과학상처럼 시상식에 엄격한 관례가 존재하지 않은 상이다. 공중파의 시상식처럼 유명 연예인, 샐럽이 수상식에 초청되어 각 분야별로 시상을 한다. 2024년 브레이크스루상 시상식에는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초청되었고, 2025년에는 미스터비스트가 초청되었다.

[1] 레바논계 미국인 유전학자. 2017년 생명과학 분야 수상자이기도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