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6 09:31:23

안드레이 린데


안드레이 린데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E3A6F><tablebgcolor=#2E3A6F> 파일:ictp 로고 화이트.png디랙 메달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야코프 젤도비치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난부 요이치로
<rowcolor=#fff> 1987 198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브루노 추미노 브라이스 디윗 데이비드 그로스 예핌 프레디킨
<rowcolor=#fff> 1989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존 슈워츠 마이클 그린 류드비크 파데예프 시드니 콜먼
<rowcolor=#fff>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탠리 맨델스탐 제프리 골드스톤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야코프 시나이
<rowcolor=#fff>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프리드먼 페터르 판니우언하위전 세르조 페라라 프랭크 윌첵
<rowcolor=#fff> 1995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베리 마르티뉘스 펠트만 툴리오 레제 데이비드 올리브
<rowcolor=#fff> 1997 1998 199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터 고다드 로먼 재키브 스티븐 애들러 조르조 파리시
<rowcolor=#fff> 2000 2001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헬렌 퀸 하워드 조자이 조제쉬 파티 존 홉필드
<rowcolor=#fff> 200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구스 안드레이 린데 폴 스타인하트 로버트 크라이넌
<rowcolor=#fff> 2003 2004 2005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블라디미르 자하로프 커티스 캘런 제임스 요르겐 패트릭 리
<rowcolor=#fff> 2005 2006 200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샘 에드워즈 페터 졸러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루치아노 마이아니
<rowcolor=#fff> 2008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셉 폴친스키 후안 말다세나 캄란 바파 로베르토 카
<rowcolor=#fff> 2009 2010 20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첼 파리넬로 니콜라 카비보 조지 수드라샨 에두아르드 브라진
<rowcolor=#fff> 2011 201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존 카디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덩컨 홀데인 찰스 케인
<rowcolor=#fff> 2012 2013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쇼우쳉 제임스 피블스 톰 키블 마틴 리스
<rowcolor=#fff> 2014 2015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쇼케 센 앤드루 스트로민저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알렉세이 키타예프
<rowcolor=#fff>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고리 무어 니콜라스 리드 나탄 자이베르그 미하일 쉬프먼
<rowcolor=#fff> 2016 2017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르카디 바인슈타인 찰스 베넷 데이비드 도이치 피터 쇼어
<rowcolor=#fff> 2018 2019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수비르 사흐데프 쏜담탄 원샤오강
<rowcolor=#fff> 2019 2020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뱌체슬라프 무카노프 라시드 썬야예프 피에르 라몽 앙드레 느뵈
<rowcolor=#fff> 2020 202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구엘 비라소로 알렉산드라 부오나노 티보 다무르 프랜스 프레토리우스
<rowcolor=#fff> 2021 202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사울 테우콜스키 조엘 레보위츠 엘리엇 리브 다비드 루엘
<rowcolor=#fff> 2023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이고르 클레바노프 제프리 하비 스테판 셴커 레너드 서스킨드
<rowcolor=#fff> 20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호라치오 카시니 마리나 후에르타 류 신세이 타카야나기 타다시
<rowcolor=#fff> 202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게리 기번스 게리 호로위츠 로이 커 로버트 발드 }}}}}}}}}}}}

파일:브레이크스루상 로고.png
기초물리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201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에드워드 위튼 앨런 구스 나탄 자이베르그 알렉세이 키타예프
<rowcolor=#fff> 2012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rowcolor=#222,#fff> 안드레이 린데 막심 콘체비치 후안 말다세나
<rowcolor=#fff> 2012 2013 2014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아쇼케 센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존 슈워츠 마이클 그린
<rowcolor=#fff>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rowcolor=#222,#fff> 브라이언 슈미트 애덤 리스 솔 펄머터 아서 맥도날드
<rowcolor=#fff> 201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222,#fff> 가지타 다카아키 스즈키 요이치로 스즈키 아츠토 니시카와 코이치로
<rowcolor=#fff> 2016 2017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왕이팡 룩 캄비우 조셉 폴친스키 캄란 바파
<rowcolor=#fff> 2017 201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앤드루 스트로민저 데이비드 슈퍼겔 라이먼 페이지 노먼 야로식
<rowcolor=#fff>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게리 힌쇼 찰스 L. 베넷 찰스 케인 유진 멜레
<rowcolor=#fff> 20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222,#fff> EHT 프로젝트 에릭 아델버거 옌스 군들라흐 블레인 헤켈
<rowcolor=#fff> 2022 2023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카토리 히데토시 준 예 찰스 H. 베넷 피터 쇼어
<rowcolor=#fff> 2023 202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데이비드 도이치 질 브라사드 존 카디
<rowcolor=#fff> 2025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rowcolor=#222,#fff> ATLAS LHCb CMS ALICE
}}}}}}}}} ||
파일:카블리상.png
역대 카블리 천체물리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d9f5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rowcolor=#cd9f51> 2008 201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르턴 슈미트 도널드 린든벨 제리 넬슨 레이먼드 윌슨
<rowcolor=#cd9f51> 2010 201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제임스 앤젤 데이비드 제윗 제인 루 마이클 브라운
<rowcolor=#cd9f51> 2014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구스 안드레이 린데 로널드 드레버
<rowcolor=#cd9f51> 2016 2018 202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킵 손 라이너 바이스 에비네 반디쇼에크 앤드류 파비안
<rowcolor=#cd9f51> 2022 202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로저 울리히 요르겐 크리스텐센
다스가르드
코니 에르츠 사라 시거
<rowcolor=#cd9f51> 2024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다비드 샤봉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안드레이 린데
Андрей Линде | Andrei D. Linde
파일:안드레이 린데.jpg
본명 안드레이 드미트리예비치 린데
Андрей Дмитриевич Линде
출생 1948년 3월 2일 ([age(1948-03-20)]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이론물리학자
천체물리학자
분야 입자이론(양자장론, 끈이론)
천체물리학(우주론)
학력 모스크바 제52학교 (졸업)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물리학 / 1971년 준석사)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 (이학 / 1975년 준박사[1])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 (이학 / 1984년 박사)[2]
경력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유럽입자물리연구원 (방문연구원)
스탠퍼드 대학교 (방문연구원)
스탠퍼드 대학교 (명예교수)
링크 파일:구글 스칼라 아이콘.png 파일:스코푸스.png

1. 개요2. 생애 약력3. 연구 약력

1. 개요

러시아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 분야는 우주론과 양자장론이다. 급팽창 이론의 고안자중 한명으로 유명하다.

2. 생애 약력

1948년 3월 2일 소련 모스크바에서 물리학자 부부인 드미트리 린데와 이리나 랴코블랴스카 슬하 장남으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 드미트리 린데는 응용물리학자로 레이더 송신 장치의 전문가였고, 그의 어머니 이리나 랴코블랴스카는 우주선 연구의 전문가였고, 소련 정부로부터 다수의 훈장을 수여받은 과학자였다.

집안 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유년기 시절부터 물리학과 수학에 두각을 보였고, 모스크바의 유명한 영재학교였던 제52학교에서 수학했다. 그때 당시 제 52학교는 А, В, Б, Г, Д반으로 나뉘어졌는데 물리 중점반이었던 Г반에서 수학했고, 18살이었던 1966년에 졸업했다. 동년에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하여 1972년에 준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의 물리학 준박사 과정에 입학해서 다비드 키르즈니치의 지도하에서 게이지 이론의 거시적 형식을 연구했다. 1972년에 표준모형의 거시적 연속성을 주제로한 그의 첫논문이 피직스 레터스에 게재되었고, 1975년에 게이지 이론의 거시적인 대칭깨짐을 주제로한 학위 논문으로 준박사(Кандидат Наук) 학위를 받았다.

1981년부터 유효 급팽창 이론을 연구했고, 구스의 급팽창 이론을 보완한 신 급팽창 이론과 신 급팽창 이론의 원인을 양자 혼돈으로 지목하는 혼돈 급팽창이론을 제안했다. 1983년에 신 급팽창 이론과 혼돈 급팽창 이론을 정리한 논문으로 박사(Доктор) 학위를 받았다.

1989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이론부서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재직했고, 1990년 소련이 해체되자 도미하여 스탠퍼드 대학교 이론물리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3. 연구 약력

1972년에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의 준박사 과정에 입학했을때의 연구주제는 게이지 이론의 거시적 형식이었다. 첫 논문은 표준모형의 거시적 연속성을 다룬 논문이었는데, 자발 대칭 깨짐의 라그랑지언 형식이 본래 초전도 해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던 것에 착안해서, 스칼라 장에 σ(T)항을 대입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igma &= \sqrt{2}\langle \phi \rangle \\
\phi &= \dfrac{1}{\sqrt{2}}(\phi + i\phi + \sigma(T))
\end{aligned})]
이것을 토대로 임계 온도보다 큰 고온 영역에서 대칭 깨짐이 원복(re-establishment)되는 σ 모형을 제안했고, 뜨거운 초기 우주를 게이지 이론적으로 설명했다.[3] 1974년에는 이 σ(T)항 기반의 라그라지언을 바탕으로 리-와인버그 경계를 설명했다.[4]

1980년에 앨런 구스알렉세이 스타로빈스키가 구상했던 급팽창 이론은 극초기 우주에 생긴 수많은 거품[5]이 팽창하며 충돌하는 과정에서 상전이가 이루어짐이 주장했다. 하지만, 구스의 상전이 시나리오는 크게 두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번째는 팽창한 거품이 충돌한 후 열평형화가 시작되어 급팽창이 임계점에서 도달할때 끝난다는 점이고, 두번째는 충돌 과정에서 우주의 재가열이 이루어질때 우주는 비등방적, 비균질적으로 변한다는 점이다. 1982년에 위와 같은 상전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유효 포텐셜 기반 급팽창 이론을 제안했는데 대통일 이론(SU(5))의 콜먼- 와인버그 포텐셜을 급팽창 이론에 도입했다. 이 유효 급팽창 이론의 골자는 동일한 임계온도에서 거품이 생성될때의 상전이의 시작점을 기점으로하는 임계 온도간 양자 터널링 효과로부터 급팽창이 시작되는 것을 시사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V(0, T_c) = V(\phi_1, T_c)
\end{aligned})]
이 개념을 활용해서 임계 역온도를 급팽창 주기와 비례하게 가정했고, 팽창 가속배를 아래와 같이 제안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e^{Ht} \sim e^{\frac{H}{T_c}}
\end{aligned})]
SU(5)의 콜먼-와인버그 포텐셜에 따른 허블 상수 값과 역임계온도를 팽창 가속배에 대입한 거품의 척도 인자[6]를 계산해서, 관측가능한 우주가 거품의 척도 인자에 포함된다는 결과를 얻어냈고, 거품간 충돌에 따른 비균질성을 볼수 없음을 설명했고 이 제안을 표준모형으로 확장해서 자기 홀극에 관한 문제또한 설명했다.[7]

1983년에는 1981년에 소개한 신 급팽창 이론을 기반으로 급팽창의 원인을 집중적으로 다룬 혼돈 급팽창 이론을 제안했다. 우주 진화 과정에서의 유효 작용내 스칼라 장의 비균질성에 초점을 두어 비균질성의 원인을 혼돈 양자 상태로 가정했고, 왜 비균질성이 빠르게 사라지는지에 대해 더 시터르 공간과 척도 인자를 토대로 설명했다.[8]

2003년에는 배우자이자 동료인 레나타 칼로쉬, 샤밋 카흐루, 산딥 트리벨디와 함께 2종 IIB 끈이론의 더 시터르 진공[9]으로부터 우주적 초중력 장난감 모형인 KKLT 모형을 제안했다.
[1] 준박사 학위 논문 : Внешние токи, увеличение плотности и нарушение симметрии в калибровочных теориях=게이지 이론에서의 대칭깨짐 및 밀도증가, 외부 흐름(1975)[2] 박사 학위 논문 : Фазовые переходы в теории элементарных частиц и космология = 우주론과 기초입자이론의 상전이(1983)[3] D. A. Kirzhnits, A. D. Linde, Macroscopic Consequences of the Weinberg Model, Phys.Lett.B 42 (1972) 471-474[4] А. Д. Линде, Постоянна Ли Космологическая Постоянная?, Письма и ЖЭТФ 19, 320 (1974)[5] 약 [math(10^{83})]개[6] 약 [math(10^{3238})]m[7] A. D. Linde, A new inflationary universe scenario: A possible solution of the horizon, flatness, homogeneity, isotropy and primordial monopole problems, Phys. Lett. B 108 (1982) 389[8] A. D. Linde, Chaotic Inflation, Phys. Lett. B 129 (1983) 177[9] dS/CFT 대응성이 기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