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드레이 린데의 주요 수상 이력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ddd> 안드레이 린데 Андрей Линде | Andrei D. Linde | |
| | |
| 본명 | 안드레이 드미트리예비치 린데 Андрей Дмитриевич Линде |
| 출생 | 1948년 3월 2일 ([age(1948-03-20)]세) |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 |
| 국적 | | |
| 직업 | 이론물리학자 천체물리학자 |
| 분야 | 입자이론(양자장론, 끈이론) 천체물리학(우주론) |
| 학력 | 모스크바 제52학교 (졸업)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물리학 / 1971년 준석사)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 (이학 / 1975년 준박사[1])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 (이학 / 1984년 박사)[2] |
| 경력 |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 (박사후연구원) 유럽입자물리연구원 (방문연구원) 스탠퍼드 대학교 (방문연구원) 스탠퍼드 대학교 (명예교수) |
| 링크 | |
1. 개요
러시아와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이자 이론물리학자. 분야는 우주론과 양자장론이다. 급팽창 이론의 고안자중 한명으로 유명하다.2. 생애 약력
1948년 3월 2일 소련 모스크바에서 물리학자 부부인 드미트리 린데와 이리나 랴코블랴스카 슬하 장남으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 드미트리 린데는 응용물리학자로 레이더 송신 장치의 전문가였고, 그의 어머니 이리나 랴코블랴스카는 우주선 연구의 전문가였고, 소련 정부로부터 다수의 훈장을 수여받은 과학자였다.집안 환경에 영향을 받아서 유년기 시절부터 물리학과 수학에 두각을 보였고, 모스크바의 유명한 영재학교였던 제52학교에서 수학했다. 그때 당시 제 52학교는 А, В, Б, Г, Д반으로 나뉘어졌는데 물리 중점반이었던 Г반에서 수학했고, 18살이었던 1966년에 졸업했다. 동년에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물리학과에 입학하여 1972년에 준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2년부터 1975년까지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의 물리학 준박사 과정에 입학해서 다비드 키르즈니치의 지도하에서 게이지 이론의 거시적 형식을 연구했다. 1972년에 표준모형의 거시적 연속성을 주제로한 그의 첫논문이 피직스 레터스에 게재되었고, 1975년에 게이지 이론의 거시적인 대칭깨짐을 주제로한 학위 논문으로 준박사(Кандидат Наук) 학위를 받았다.
1981년부터 유효 급팽창 이론을 연구했고, 구스의 급팽창 이론을 보완한 신 급팽창 이론과 신 급팽창 이론의 원인을 양자 혼돈으로 지목하는 혼돈 급팽창이론을 제안했다. 1983년에 신 급팽창 이론과 혼돈 급팽창 이론을 정리한 논문으로 박사(Доктор) 학위를 받았다.
1989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의 이론부서에서 방문연구원으로 재직했고, 1990년 소련이 해체되자 도미하여 스탠퍼드 대학교 이론물리학 교수로 재직중이다.
3. 연구 약력
1972년에 레베데프 물리 연구원의 준박사 과정에 입학했을때의 연구주제는 게이지 이론의 거시적 형식이었다. 첫 논문은 표준모형의 거시적 연속성을 다룬 논문이었는데, 자발 대칭 깨짐의 라그랑지언 형식이 본래 초전도 해를 설명하기 위해 제안되었던 것에 착안해서, 스칼라 장에 σ(T)항을 대입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sigma &= \sqrt{2}\langle \phi \rangle \\ \phi &= \dfrac{1}{\sqrt{2}}(\phi + i\phi + \sigma(T)) \end{aligned})] |
1980년에 앨런 구스와 알렉세이 스타로빈스키가 구상했던 급팽창 이론은 극초기 우주에 생긴 수많은 거품[5]이 팽창하며 충돌하는 과정에서 상전이가 이루어짐이 주장했다. 하지만, 구스의 상전이 시나리오는 크게 두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번째는 팽창한 거품이 충돌한 후 열평형화가 시작되어 급팽창이 임계점에서 도달할때 끝난다는 점이고, 두번째는 충돌 과정에서 우주의 재가열이 이루어질때 우주는 비등방적, 비균질적으로 변한다는 점이다. 1982년에 위와 같은 상전이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유효 포텐셜 기반 급팽창 이론을 제안했는데 대통일 이론(SU(5))의 콜먼- 와인버그 포텐셜을 급팽창 이론에 도입했다. 이 유효 급팽창 이론의 골자는 동일한 임계온도에서 거품이 생성될때의 상전이의 시작점을 기점으로하는 임계 온도간 양자 터널링 효과로부터 급팽창이 시작되는 것을 시사한다.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V(0, T_c) = V(\phi_1, T_c) \end{aligned})] |
|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e^{Ht} \sim e^{\frac{H}{T_c}} \end{aligned})] |
1983년에는 1981년에 소개한 신 급팽창 이론을 기반으로 급팽창의 원인을 집중적으로 다룬 혼돈 급팽창 이론을 제안했다. 우주 진화 과정에서의 유효 작용내 스칼라 장의 비균질성에 초점을 두어 비균질성의 원인을 혼돈 양자 상태로 가정했고, 왜 비균질성이 빠르게 사라지는지에 대해 더 시터르 공간과 척도 인자를 토대로 설명했다.[8]
2003년에는 배우자이자 동료인 레나타 칼로쉬, 샤밋 카흐루, 산딥 트리벨디와 함께 2종 IIB 끈이론의 더 시터르 진공[9]으로부터 우주적 초중력 장난감 모형인 KKLT 모형을 제안했다.
[1] 준박사 학위 논문 : Внешние токи, увеличение плотности и нарушение симметрии в калибровочных теориях=게이지 이론에서의 대칭깨짐 및 밀도증가, 외부 흐름(1975)[2] 박사 학위 논문 : Фазовые переходы в теории элементарных частиц и космология = 우주론과 기초입자이론의 상전이(1983)[3] D. A. Kirzhnits, A. D. Linde, Macroscopic Consequences of the Weinberg Model, Phys.Lett.B 42 (1972) 471-474[4] А. Д. Линде, Постоянна Ли Космологическая Постоянная?, Письма и ЖЭТФ 19, 320 (1974)[5] 약 [math(10^{83})]개[6] 약 [math(10^{3238})]m[7] A. D. Linde, A new inflationary universe scenario: A possible solution of the horizon, flatness, homogeneity, isotropy and primordial monopole problems, Phys. Lett. B 108 (1982) 389[8] A. D. Linde, Chaotic Inflation, Phys. Lett. B 129 (1983) 177[9] dS/CFT 대응성이 기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