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11:23:33

존 카디

존 카디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538b><tablebgcolor=#00538b> 파일:미국 물리학회 로고 화이트.png라르스 온사게르 통계물리학상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95 1997 1998 199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피셔 로버트 크라이넌 리오 카다노프 양전닝
<rowcolor=#fff> 2000 2001 200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데이비드 사울레스 마이클 코스털리츠 버트 할페린 야나톨리 라르킨
<rowcolor=#fff> 2003 2004 2005 2006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피에르 호엔베르 존 카디 발레리 포크롭스키 로드니 백스터
<rowcolor=#fff> 2007 200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브룩스 해리스 크리스토퍼 패트릭 고든 바임 호틴룬
<rowcolor=#fff> 2009 2010 2011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리람 샤스트리 대니얼 프리던 스테판 셴커 알렉산드르 벨라빈
<rowcolor=#fff> 2011 2012 2013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이안 애플렉 대니얼 피셔
<rowcolor=#fff> 2014 2015 2016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그리고리 보볼릭 블라디미르 미네예프 프란츠 베그너 조르조 파리시
<rowcolor=#fff> 2016 2017 201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리카르도 체치나 마르크 메자르 나탄 안드레이 파벨 비그만
<rowcolor=#fff> 2019 202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크리스토퍼 자르진스키 비첵 타마스 존 토너 투유아이
<rowcolor=#fff> 2021 2022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레프 피타옙스키 보리스 알트슐러 데이비드 휴스 이고르 얼라이너
<rowcolor=#fff> 2023 2024 2025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페터 핸기 자크 프로스트 장필리프 보차드
레티시아 쿠글리안돌로
<rowcolor=#fff> 202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호르헤 쿠르찬 }}}}}}}}}}}}

파일:브레이크스루상 로고.png
기초물리학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201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에드워드 위튼 앨런 구스 나탄 자이베르그 알렉세이 키타예프
<rowcolor=#fff> 2012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rowcolor=#222,#fff> 안드레이 린데 막심 콘체비치
니마 아르카니하메드
후안 말다세나
<rowcolor=#fff> 2012 2013 2014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아쇼케 센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존 슈워르츠 마이클 그린
<rowcolor=#fff>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rowcolor=#222,#fff> 브라이언 슈미트 애덤 리스 솔 펄머터 아서 맥도날드
<rowcolor=#fff> 2016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222,#fff> 가지타 다카아키 스즈키 요이치로 스즈키 아츠토 니시카와 코이치로
<rowcolor=#fff> 2016 2017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홍콩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왕이팡 룩 캄비우 조셉 폴친스키 캄란 바파
<rowcolor=#fff> 2017 2018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앤드루 스트로민저 데이비드 슈퍼겔 라이먼 페이지 노먼 야로식
<rowcolor=#fff> 2018 201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게리 힌쇼 찰스 L. 베넷 찰스 케인 유진 멜레
<rowcolor=#fff> 2020 2021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rowcolor=#222,#fff> EHT 프로젝트 에릭 아델버거 옌스 군들라흐 블레인 헤켈
<rowcolor=#fff> 2022 2023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222,#fff> 카토리 히데토시 준 예 찰스 H. 베넷 피터 쇼어
<rowcolor=#fff> 2023 2024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rowcolor=#222,#fff> 데이비드 도이치 질 브라사드 존 카디
<rowcolor=#fff> 2025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rowcolor=#222,#fff> ATLAS LHCb CMS ALICE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E3A6F><tablebgcolor=#2E3A6F> 파일:ictp 로고 화이트.png디랙 메달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야코프 젤도비치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난부 요이치로
<rowcolor=#fff> 1987 198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브루노 추미노 브라이스 디윗 데이비드 그로스 예핌 프레디킨
<rowcolor=#fff> 1989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존 슈워르츠 마이클 그린 류드비그 파데예프 시드니 콜먼
<rowcolor=#fff>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탠리 맨델스탐 제프리 골드스톤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야코프 시나이
<rowcolor=#fff>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프리드먼 페터르 판니우벤휘젠 세르조 페라라 프랭크 윌첵
<rowcolor=#fff> 1995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베리 마르티뉘스 펠트만 툴리오 레제 데이비드 올리브
<rowcolor=#fff> 1997 1998 199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터 고다드 로먼 재키브 스티븐 애들러 조르조 파리시
<rowcolor=#fff> 2000 2001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헬렌 퀸 호워드 조자이 조제쉬 파티 존 홉필드
<rowcolor=#fff> 200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구스 안드레이 린데 폴 스타인하트 로버트 크라이넌
<rowcolor=#fff> 2003 2004 2005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블라디미르 자하로프 커티스 캘런 제임스 요르겐 패트릭 리
<rowcolor=#fff> 2005 2006 200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샘 에드워즈 페터 졸러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루치아노 마이아니
<rowcolor=#fff> 2008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셉 폴친스키 후안 말다세나 컴런 바파 로베르토 카
<rowcolor=#fff> 2009 2010 20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첼 파리넬로 니콜라 카비보 조지 수드라샨 에두아르드 브라진
<rowcolor=#fff> 2011 201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존 카디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덩컨 홀데인 찰스 케인
<rowcolor=#fff> 2012 2013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쇼우쳉 제임스 피블스 톰 키블 마틴 리스
<rowcolor=#fff> 2014 2015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쇼케 센 앤드루 스트로민저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알렉세이 키타예프
<rowcolor=#fff>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고리 무어 니콜라스 리드 나탄 자이베르그 미하일 쉬프먼
<rowcolor=#fff> 2016 2017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르카디 바인슈타인 찰스 베넷 데이비드 도이치 피터 쇼어
<rowcolor=#fff> 2018 2019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수비르 사흐데프 쏜담탄 원샤오강
알렉세이 스타로빈스키
<rowcolor=#fff> 2019 2020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뱌체슬라프 무카노프 라시드 썬야예프 피에르 라몽 앙드레 느뵈
<rowcolor=#fff> 2020 202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구엘 비라소로 알렉산드라 부오나노 티보 다무르 프랜스 프레토리우스
<rowcolor=#fff> 2021 202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사울 테우콜스키 조엘 레보위츠 엘리엇 리에브 다비드 루엘
<rowcolor=#fff> 2023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이고르 클레바노프 제프리 하비 스테판 셴커 레너드 서스킨드
<rowcolor=#fff> 20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호라치오 카시니 마리나 후에르타 류 신세이 타카야나기 타다시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1D4994><tablebgcolor=#1D4994> 파일:IUPAP 로고.png볼츠만 메달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75 1977 1980 198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케네스 윌슨 쿠보 료고 로드니 벡스터 마이클 피셔
<rowcolor=#fff> 1986 1989 1992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다비드 루엘 야코프 시나이 리오 카다노프 조엘 레보위츠
<rowcolor=#fff> 1992 1995 199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조르조 파리시 샘 에드워즈 엘리엇 리에브 벤저민 위덤
<rowcolor=#fff> 2001 200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버니 앨더 가와사키 교지 에제키엘 코헨 유진 스탠리
<rowcolor=#fff> 2007 201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쿠르트 바인더 조반니 갈라보티 존 카디 베르나르 데리다
<rowcolor=#fff> 2013 201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조반니 조나라지노 해리 스위니 단 프렌켈 이브 포무
<rowcolor=#fff> 2019 2022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헤르베르트 슈폰 디팍 다르 존 홉필드 }}}}}}}}}}}}
<colbgcolor=#000><colcolor=#fff> FRS
존 카디
John Cardy
본명 존 로런스 카디
John Lawrence Cardy
출생 1947년 3월 19일 ([age(1947-03-19)]세)
영국 잉글랜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이론물리학자
분야 입자이론 (양자장론)
통계물리이론 (통계장론)
학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우닝 (수학 / 석사)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우닝 (이론물리학 / 박사)[1]
경력 케임브리지 대학교 DAMTP (이론물리학 / 포닥)
유럽입자물리연구원 (이론분과 / 방문연구원)
UCSB (이론물리학 / 교수)
옥스퍼드 대학교 올 소울즈 (물리학 / 교수)

1. 개요

1. 개요

존 카디는 영국의 이론물리학자로 양자장론에서의 형식론의 거장이다. 주 연구 분야는 양자장론과 통계장론으로, 연구 주제는 양자장론의 편미분방정식 모형, 고차원 등각장론, 등각장론에서의 재규격화군 조건이다.
[1] 박사 학위 논문 : Eikonal Models in High Energy Physics=고에너지 물리의 에이코널 모형(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