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08:45:39

일본군/무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태평양 전쟁 당시 연합국에 의해 부여된 일본 소속 기체의 코드네임에 대한 내용은 연합국 코드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아직 나무위키에 문서가 작성되어있지 않은 일본 제국의 모든 항공병기 목록에 대한 내용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일본군
[[일본군|
파일:일본 황실.svg
일본군
日本軍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대일본제국 육군
大日本帝國陸軍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대일본제국 해군
大日本帝國海軍
<rowcolor=#FFF>

||<-3><tablewidth=100%><bgcolor=#B0313F><tablebgcolor=#FDFEFA,#2D2F34><colcolor=#FFF> 관련 문서 ||
<colbgcolor=#B0313F> 정보·역사 검술 · 군가 · 군복 · 계급 · 무기 목록 · 역사 · 대본영 · 연합국 코드명 · 욱일기 · 진수부 · 함대결전사상 · 해군반성회 · 해군선옥론 · 731부대 · 의열공정대 · 해군성 · 육군성
병역 일본군의 소집 · 징병제 · 병역법
편제 육군 관동군 만주군 · 조선군 · 대만군 · 남방군 · 항공총군 · 몽강군 · 화평건국군 · 베트남 제국군 · 인도 국민군
해군 연합함대 · 제1함대 · 88함대 · 수뢰전대 · 제2 수뢰전대 · 343 해군항공대
무기체계 일본군/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원인 · 일본군/무기체계/육군 · 일본군/무기체계/해군
전술 반자이 돌격 · 대전차총검술 · 카미카제 · 신멸작전 · 대륙타통작전
인물 인물 · 포로 · 전후 패잔병 · 삼간사우 · 삼대오물 · 조선인 일본군
철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조선총독부 철도국
교육기관 일본육군사관학교 · 일본해군병학교 · 육군대학교 · 육군항공사관학교 · 나카노 학교 · 총력전 연구소
식민지 및 통치기관 조선(조선총독부) · 대만(대만총독부) · 가라후토(가라후토청) · ▤관동주(관동청)
논란 일본군/문제점 · 일본의 전쟁범죄 · 야스쿠니 신사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 일본군 위안부
▤ : 만주국 관련 문서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DFEFA,#2D2F34><bgcolor=#B0313F> 장비 둘러보기 틀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화포 · 함선(1차 대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bgcolor=#B0313F> 관련 틀 ||
군가 · 식민지 · 괴뢰국 · 군정청 · 일본군의 전쟁 범죄
}}}}}}}}} ||


1. 개요2. 육군
2.1. 보병2.2. 기갑, 차량2.3. 화포류2.4. 양륙함2.5. 수송정
3. 해군
3.1. 전함3.2. 항공모함
3.2.1. 정규 항공모함3.2.2. 경항공모함
3.3. 순양함
3.3.1. 중순양함(1등 순양함)3.3.2. 경순양함(2등 순양함)
3.4. 구축함
3.4.1. 1등구축함(기준배수량 1000톤급이상)3.4.2. 2등구축함 (기준배수량 1000톤급이하)
3.5. 잠수함
3.5.1. 대형 잠수함 (1등 잠수함)3.5.2. 중형 잠수함 (2등 잠수함)3.5.3. 잠수정 (3등 잠수함)3.5.4. 수송 잠수함
3.6. 특무함3.7. 노획3.8. 해군 개인화기3.9. 기타3.10. 함포3.11. 지상병기
4. 항공병기
4.1. 전투기
4.1.1. 육군 항공대4.1.2. 해군 항공대
4.2. 폭격기4.3. 정찰기4.4. 노획 항공기4.5. 기타
5. 자살특공병기
5.1. 외부 링크

1. 개요

이 문서에서는 일본군이 사용하였던 육상/해상/항공 병기와 보병 장비 및 화포류의 종류와 명칭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문서는 중립적으로 서술한다.

2. 육군

2.1. 보병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736942> 중일전쟁제2차 세계 대전
일본군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736942> 소총 <colbgcolor=#736942> 볼트액션 소총 13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35년식 해군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99식 저격총, 100식 소총, 1식 소총, 2식 소총, 간이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 갑형 자동소총, 을형 자동소총, 병형 자동소총, 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1927 기관단총, 1형 기관단총, 2형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베식 기관단총, MAB 38
권총 자동권총 남부 권총, 15년식 권총, 스기우라식 권총, 하마다식 권총, 94식 권총
리볼버 26년식 권총
조명탄 권총 90식 신호권총, 97식 신호권총, 해군 4식 더블배럴 산탄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시제 1식/3식 경기관총
중기관총 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93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99식 기총
대전차화기 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5식 8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 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94식 90mm 박격포, 96/97식 150mm 박격포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일본 군도(구군도/신군도), 30년식 총검, 35년식 총검
취소선 : 실전에 투입되지 않음}}}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2.2. 기갑, 차량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기갑장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일본 제국 육·해군·해군 육전대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efefe,#191919> 차륜 장갑차 스미다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궤도 장갑차 98식 장갑운반차 소다, 1식 장갑병차 호키
탱켓 카식 기총차, 92식 중장갑차, 94식 경장갑차 TK, 97식 경장갑차 테케
반궤도차량 1식 양장궤장갑병차 호하
철도 수송 차량 95식 장갑궤도차 소키
전차 경전차 갑식 전차, 을식 전차,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98식 경전차 케니, 2식 경전차 케토, 3식 경전차 케루
중형전차 89식 중전차 이고/치로, 97식 중전차 치하, 97식 중전차 치하 改, 1식 중전차 치헤,
3식 중전차 치누, 4식 중전차 치토, 5호 중전차G, 3호 전차 J형G, 3호 전차 N형G
중전차 95식 중전차, 6호 중전차G
노획전차 파일:영국 국기.svgM3 스튜어트, 유니버설 캐리어 파일:호주 국기.svg 유니버설 캐리어 파일:대만 국기.svg1호 전차, 4식 중전차 치루, 르노 FT, 빅커스 Mk.E B형 파일:소련 국기.svgBT-7, T-34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M3 스튜어트, M4A3 (75) WB, M3 GMC
지휘전차 하고 지휘차형, 치하 지휘차형, 97식 시키
전파방출 전차 97식 카하
구난전차 특 97식 세리
지뢰제거전차 97식 치유, 97식 GS
공병전차 장갑작업기
수륙양용 특 2식 내화정 카미, 특 3식 내화정 카치, 특 4식 내화정 카츠
자주포 1식 포전차 호니 I, 1식 포전차 호니 II, 2식 포전차 호이, 3식 포전차 호니 III,
4식 포전차 호로, 12리 자주포, 5식 포전차 나토
차량 95식 4륜 자동차, 94식 6륜 트럭, 닛산 180
견인 차량 95식 13톤 견인차, 이스즈 98식 6톤 견인차 로케, 92식 8톤 견인차 니쿠, 치하 견인차, 98식 견인차 시케
오토바이 93식 측차결합 자동이륜차, 97식 측차결합 자동이륜차
프로토타입 /
페이퍼 플랜
특 1식 내화정 미샤, 특 4식 내화정 카샤, 5식 경전차 케호, 특 3호 전차 쿠로, 97식 중전차 치니, 98식 중전차 치호, 특 5식 내화정 토쿠,
시제 4식 중박격포 하토, 4식 자주포 호토, 5식 구축전차 호루, 치세, 5식 중전차 치리, 5식 포전차 호리, 100식 초중전차 오이, 5식 포전차 호치, 시제 대전차 자주포 카토
그 외 쿠겔판처G, 나가야마 전차, 98식 소형 공병전차 야이고, 이시카와지마 수륙양용 전차
윗첨자 B : 탈취한 그 전투서 바로 소모됨.
윗첨자 G : 독일에서 구매한 품목. 쿠겔판처를 제외하면 본토에서 사용되지는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여기서 일본군 기갑차량들의 스펙에 관한 기본 정보를 알 수 있다.

2.3. 화포류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화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곡사포 <colbgcolor=#fefefe,#191919>91식 10cm 곡사포, 92식 10cm 캐논포, 12cm 캐논포, 96식 150mm 곡사포
야포/산포 90식 75mm 야포, 41식 산포, 94식 산포
대전차포/전차포 90/97식 57mm 전차포, 94식 37mm 속사포, 1식 기동 47mm 속사포, 시제 57mm 대전차포, 시제 105mm 전차포
보병포 11식 37mm 보병포, 92식 70mm 보병포
대공포 96식 25mm 고각기총, 98식 20mm 기관포, 5식 40mm 중대공포, 88식 75mm 대공포, 99식 88mm 대공포, 89식 12.7cm 40 구경장 함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cannon_icon__.png 화포 }}}
}}}}}}


2.4. 양륙함

  • 신슈마루급 상륙선거함
  • 특종선 병형
    • 아키츠마루급
    • 쿠마노마루

2.5. 수송정

3. 해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투함
구축함
(DD)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잠수함
(SS)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로500, 유보트 Type XC
경순양함
(CL)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815형, 이오시마C, 야소시마C
장갑순양함 이즈모급R, 카스가급
중순양함
(CA)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이부키급
순양전함
(CC)
공고급, 아마기급, 13호급, B-65
전함
(BB)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카가급, 키이급,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 A-140 전함, 야마토급, 슈퍼 야마토급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호쇼,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치요다), 다이요급(다이요-운요-추요-신요-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정규항공모함
(CV)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G18, 다이호, 카이다이호, 시나노
수상기모함
(AV)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강습상륙함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연습함 / 포함
(CL/FF)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어뢰정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해방함
(DE)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특공 병기 신요, 마루레,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군수지원함
공작함 아카시, 아사히
급유/급탄/급병함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타카노급, 하리오급, 무로토급, 카시노
급양함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상륙함정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잠수모함 진게이급, 타이게이
잡역선 아스카C, 아타다C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일본 제국 해군의 항공모함 계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최초의 정식 항공모함

호쇼


 
수상기 모함 → 항공모함
굴절하강식 연돌 적용

류조


 
순양전함 → 항공모함
3단 갑판 적용

아카기


 
전함 → 항공모함

카가


 
정규 항공모함 형태 확립
군축조약 탈퇴형 설계 적용

소류급 항공모함
히류급 항공모함

 
최초의 구상선수 도입

쇼카쿠급 항공모함


 
최초의 장갑갑판 도입
아일랜드형 연돌 도입

다이호급 항공모함


 
1942년 계획, 취소됨

개(改)다이호급 항공모함


 
미드웨이 해전의 여파
야마토급 전함 3번함 개장

시나노


 
히류급 기반 중형 항공모함
항공전력 보강 위한 생산성 집중

운류급 항공모함

}}}}}}}}}


일본군 해군의 함선 명명법은 다음과 같다.
  • 전함 : 에도 시대까지 존재했던 구 번국명. 단 후소의 경우 번국명이 아닌 일본의 다른 이름에서 따온 사례.
  • 항공모함 : 용, 봉황, 학, 매 등의 하늘을 나는 생물체. 이 항모는 날아오르는 항모이다. 개장항모가 있어서 예외가 좀 많은 편인데, 이 경우에는 전투함 출신(전함,순양함,수상기모함)의 경우는 개장되기 이전의 함명을 그대로 명명했다. (예: 전함(카가급 전함 1번함)출신 항모 카가 , 순양전함(아마기급 순양전함 2번함) 출신 항모 아카기, 수상기모함(치토세급 수상기모함 1번함) 출신 항모 치토세) 자세한 사항은 하단에 기술. 또한 1943년 이후 명명법이 변경되면서 운류급 2번함 이후부터는 산 이름도 채용하게 되었다.
  • 중순양함 : 산명. 순양전함의 경우도 중순양함처럼 산 이름을 채용.(공고급, 아마기급 순양전함 등. 공고급을 계획할 당시에는 1등 장갑순양함이라고 계획해서 순양함 명명법칙을 따르게 되었다고 한다.) 예외적으로는 후루타카급 2번함 카코는 취소된 센다이급 4번함의 이름을 가져와서 서류상으로도 중순양함이면서 경순양함의 이름을 가졌다.
  • 경순양함 : 하천명. 단 중순양함인 모가미급은 명목상으로는 경순양함이었기 때문에 경순양함식 명명법을 채용했으며 이는 후속형인 토네급도 마찬가지였다.
  • 구축함 : 1등 구축함의 경우 자연 현상, 기상 현상, 월명, 2등 구축함 및 마츠,타치바나급의 경우(이쪽은 1943년이후에 명명법칙이 바뀌어서 식물명도 사용가능해진것에 따름) 식물명
  • 잠수함 : 이로하 노래의 순서에 따라 1등 잠수함은 이(伊), 2등 잠수함은 로(呂), 500톤 이하의 잠수함은 하(波)를 불이고 공통적으로 ~호 제**잠수함이라고 명명. 예를 들어 순잠 1형 잠수함 1번함의 경우 위 방식에 따라 伊호 제 1잠수함이 정식 명칭이고 줄여서 伊1 로 부르는 방식.
  • 수뢰정 : 새 이름.
  • 해방함 : 섬 이름. 단, 태평양전쟁 말기의 건조함 중에는 잠수함처럼 번호만을 채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 수상기모함 : 과거의 무훈함 또는 추상명사
  • 포함 : 절경지 등 명소의 이름을 사용. 공작함 아카시도 이 방식에 따라 명명.
  • 특무함 : 해협, 수도, 반도, 항만 등의 지명
  • 잠수모함 : 뒤에 고래를 뜻하는 鯨(고래 경, 일본어로는 게이자를 붙임(진게이급 잠수모함, 타이게이 등)

3.1. 전함

3.2. 항공모함

3.2.1. 정규 항공모함

3.2.2. 경항공모함

  • 개조항모
  • 치토세급 - 치토세(千歳), 치요다(千代田) - 수상기 모함 출신이라 그전의 방호순양함들의 이름을 따왔다.
  • 쇼호급 - 쇼호(祥鳳), 즈이호(瑞鳳)
  • 다이요급 - 다이요(大鷹), 운요(雲鷹), 주요(冲鷹)
  • 신요(神鷹)
  • 카이요(海鷹)
  • 호쇼(鳳翔) - 일본군 최초의 항공모함
  • 류조(龍驤)
  • 류호(龍鳳) - 쇼호급에 묶여 분류되기도 한다.

3.3. 순양함

3.3.1. 중순양함(1등 순양함)

3.3.2. 경순양함(2등 순양함)

3.4. 구축함

3.4.1. 1등구축함(기준배수량 1000톤급이상)

  • 미네카제급 구축함
    미네카제, 사와카제, 오키카제, 시마카제, 나다카제, 야카제, 하카제, 시오카제, 아키카제, 유카제, 타치카제, 호카제, 노카제, 나미카제, 누마카제
  • 카미카제급 구축함(1922) 구축함
    카미카제, 아사카제, 하루카제, 마츠카제, 하타카제, 오이테, 하야테, 아사나기, 유나기,
  • 무츠키급 구축함
    무츠키, 키사라기, 야요이, 우즈키, 사츠키, 미나즈키, 후미즈키, 나가츠키, 키쿠즈키, 미카즈키, 모치즈키, 유즈키
  • 후부키급 구축함
    특 1형 후부키급 : 후부키, 시라유키, 하츠유키, 미유키, 무라쿠모, 시노노메, 우스구모, 시라쿠모, 이소나미, 우라나미,
    특 2형 아야나미급 : 아야나미, 시키나미, 아사기리, 유기리, 아마기리, 사기리, 오보로, 아케보노, 사자나미, 우시오,
    특 3형 아카츠키급 : 아카츠키, 히비키, 이카즈치, 이나즈마
  • 하츠하루급 구축함
    하츠하루, 네노히, 와카바, 하츠시모, 아리아케, 유구레
  • 시라츠유급 구축함
    시라츠유, 시구레, 무라사메, 유다치, 하루사메, 사미다레, 우미카제, 아마카제, 카와카제, 스즈카제
  • 아사시오급 구축함
    아사시오, 오오시오, 미치시오, 아라시오, 아사구모, 야마구모, 나츠구모, 미네구모, 카스미, 아라레
  • 가게로급 구축함
    가게로, 시라누이, 쿠로시오, 오야시오, 하야시오, 나츠시오, 하츠카제, 유키카제, 아마츠카제, 토키츠카제, 우라카제, 이소카제, 하마카제, 타니카제, 노와키, 아라시, 하기카제, 마이카제, 아키구모
  • 유구모급 구축함
    유구모, 마키구모, 카자구모, 나가나미, 마키나미, 타카나미, 오오나미, 키요나미, 타마나미, 스즈나미, 후지나미, 하야나미, 오키나미, 키시나미, 아사시모, 하야시모, 아키시모, 키요시모
  • 아키즈키급 구축함
    아키즈키, 테루즈키, 스즈츠키, 하츠즈키, 니이즈키, 와카츠키, 시모츠키, 휴츠키, 하루츠키, 요이즈키, 나츠즈키, 하나즈키
  • 시마카제급 구축함
    시마카제
  • 마츠급 구축함(43년의 명명기준 변경으로 인해 기존의 2등구축함에 사용되었던 식물명을 사용함)
    마츠, 타케, 우메, 모모, 쿠와, 키리, 스기, 마키, 모미, 카시, 카야, 나라, 사쿠라, 야나기, 츠바키, 히노키, 카에데, 키에키
  • 타치바나급 구축함
    타치바나(橘), 카키(柿), 카바(樺), 츠타(蔦), 하기(萩), 스미레(菫), 쿠스노키(楠), 하츠자쿠라(初櫻), 니레(楡), 나시(梨), 시이(椎), 에노키(榎), 오다케(雄竹), 하츠우메(初梅)

3.4.2. 2등구축함 (기준배수량 1000톤급이하)

  • 모모급 구축함
    모모, 카시, 하노키, 야나기
  • 나라급 구축함
    나라, 쿠와, 츠바키, 마키, 케야키, 에노키
  • 모미급 구축함
    모미, 카야, 나시, 타케, 카기, 츠가, 니레, 쿠리
  • 와카타케급 구축함
    와카타케, 쿠레타케, 사나에, 사와라비, 아사가오, 유우가오, 후요우, 카루카야

3.5. 잠수함

3.5.1. 대형 잠수함 (1등 잠수함)

  • 카이다이(해대)형 잡수함
    • 해대 1형
    • 해대 2형
    • 해대 3형A/3형B
    • 해대 4형
    • 해대 5형
    • 해대 6형A/6형B
    • 해대 7형
  • 순잠형 잠수함
    • 순잠 1형
      • 순잠 1형 개
    • 순잠 2형
    • 순잠 3형
    • 순잠 갑형
      • 순잠 갑형 개1
      • 순잠 갑형 개2
    • 순잠 을형
      • 순잠 을형 개1
      • 순잠 을형 개2
    • 순잠 병형
      • 순잠 병형 개
  • 키라이센급
  • 센토쿠급
  • 센호급
  • 센타카급
  • 순잠 정형(센유오오가타)

3.5.2. 중형 잠수함 (2등 잠수함)

  • 피아트 F1급/F2급
  • 빅커스 L1급/L2급/L3급
  • 카이츄(해중) 1형/2형/3형/4형/5형(특중형)/6형
  • 중형(센츄가타)
  • 소형(센코가타)

3.5.3. 잠수정 (3등 잠수함)

  • 타입 A급/마메센급
  • 타입 B급
  • 타입 C급
  • 타입 D급/코류급
    • 이상의 '타입' 시리즈 잠수정들을 갑표적이라 칭한다.
  • 카이류급

3.5.4. 수송 잠수함

  • 테이가타급
  • 테이가타 2급
  • 센타카쇼우급

3.6. 특무함

3.7. 노획

왜 미국배가 여깄냐만은 사정이 약간 복잡하다. 태평양 전쟁 개전 직후, 발리 섬에 일본군이 상륙하려한다는 정보를 하달받고 선두에서 달리던 스튜어트는 일본해군과 교전후 심각한 피해를 입고 현 인도네시아의 수라뱌아까지 도착했다. 그렇게 선거에 들어가서 인양하는 도중 함이 전복돼서 37도가량 기울어지고 선체에 손상을 입었다. 그와중에 일본군이 코앞까지 몰려와서 결국 폭파시키기로 하고 폭탄을 설치후 무사히 떠났는데 문제는 이 폭탄이 폭발하지 않았다.저질 신관 당연히 이 물건을 일본군이 입수했지만 선체가 너무 손상돼서 제 102호 초계정으로 취역시켰다.[8][9] 이때문에 미해병들 사이에서는 미군 구축함이 일본해군기를 달고 다닌다는 괴소문이 따라다녔다고...[10]
제101호 초계정으로 취역했으며 연습함으로 사용하였다.

3.8. 해군 개인화기

※ 해군 사용한 화기만 추가

3.9. 기타

3.10. 함포

3.11. 지상병기

미국과 달리 일본은 해병대인 해군 육전대가 독립되어 있지 않고 해군 소속이기 때문에 해군 역시 자체적인 육상병기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4. 항공병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 육·해군 항공병기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육군
항공대
단좌 전투기 Ki-27, Ki-43 하야부사, Ki-44 쇼키, Ki-61 히엔, Ki-84 하야테, ◈Ki-87, ◈Ki-88, ◈Ki-94, ◈Ki-98, Ki-100, †ⓩKi-162, ◈ⓩKi-200 슈스이, ◈ⓩKi-201 카류, †ⓩKu-4
복좌 전투기 Ki-45 토류, ◈Ki-83, Ki-102, ◈Ki-93
폭격기
습격기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BR.20 치코냐, Ki-21, Ki-30, Ki-32,
Ki-48, Ki-49 돈류, Ki-51, Ki-67 히류, †Ki-91
자살 공격기 Ki-115 츠루기
훈련기 Ki-9, Ki-6, Ki-17, Ki-55, Ki-54, Ki-79, Ki-86
정찰기 Ki-16, Ki-36, Ki-46
해군
항공대
<colbgcolor=#2f4f2f> 함재기 <colbgcolor=#2f4f2f> A 함상
전투기
A5M, A6M 제로센, A7M 렛푸,†20시 갑전투기,†N1K3-A 시덴 카이 二
B 함상
공격기
B5M, B5N, B6N 텐잔, B7A 류세이
C 정찰기 C3N, C5M, C6N 사이운,▼D4Y1-C
D 함상
폭격기
D1A, D3A, †D3Y 묘조, D4Y 스이세이
E 수상정찰기 E2N, E7K, E9W, E10A, E13A, E14Y, E15K 시운, E16A 즈이운
F 수상관측기 F1M, F1A
G 육상공격기 G3M, G4M, G5N 신잔, G8N 렌잔, †G10N 후가쿠
H 비행정 H6K, H8K, H11K 소우쿠
J 국지전투기 J1N 겟코, J2M 라이덴, †J3K 17시 국지전투기, ◈J4M 센덴, ◈J5N 텐라이, ◈J6K 진푸, ◈J7W 신덴, †ⓩJ7W2/J7W3 신덴 카이, ◈ⓩJ8M 슈스이, ◈ⓩJ9Y 킷카, ▼N1K-J 시덴, ▼N1K2-J 시덴 카이, ▼N1K3-J 시덴 카이 一, ▼N1K4-J 시덴 카이 三, ▼†A7M3-J 렛푸 카이
K 훈련기 K5Y, K9W 코우요, K10W, K11W 시라기쿠, ▼A6M2-K, ▼M6A1-K 난잔
L 수송기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DC-2,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L2D, L3Y, L4M, ▼H6K-L, ▼H8K-L 세이쿠, ▼H11K-L 소우쿠, ▼G5N2-L 신잔 카이
M 특수공격기
MX 특수활공기
MXY-7 오카, ◈(제식명 불명)N 토카, M6A 세이란, D4Y4 스이세이
N 수상전투기 N1K 쿄후, ▼A6M2-N
P 폭격기 P1Y 긴가
Q 초계기 Q1W 토카이, Q2M 타이요, †Q3W 난카이
R 육상정찰기 R2Y(세이운, 케이운), ◈ⓩR2Y2 케이운 카이, ▼J1N1-R
S 야간전투기 ◈S1A 덴코, ▼J1N-S 겟코, ▼P1Y1-S 바야코, ▼P1Y2-S 쿗쿄, ▼D4Y2-S 스이세이
<colbgcolor=#000000> 노획 항공기 파일:소련 국기.svg LaGG-3-8, I-16, 투폴레프 SB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F2A 버팔로, P-40, B-17(D/E), P-51C, F4U 콜세어, F6F 헬캣, 커티스 BT-32, CW-21, DB-7, 마틴 139
파일:영국 국기.svg 호커 허리케인, 브리스톨 블렌헤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독일로부터 수입한 기체 하인켈 72, A7He, AxHe, 하인켈 He 119, 융커스 Ju 87 슈투카, 메서슈미트 Bf 109E-7, 포케불프 Fw 190A-5, 메서슈미트 Me 210 A2, 메서슈미트 Me 410, ⓩ메서슈미트 Me163, †ⓩ메서슈미트 Me 262, †포케불프 Ta 152, †융커스 Ju 390, †V2 미사일
글라이더, 무동력기, 미사일 Ki-147, †Ki-148, †MXY8 아키구사
◈ 시제, 프로토타입 / † 페이퍼 플랜, 수입 실패 / ⓩ 제트 혹은 로켓 엔진 장착기 / ▼ 타 목적 기체를 유용함
국지전투기: 일본군이 운용했던 본토 방어 및 폭격기 요격 전용 전투기. 요격기 문서 참조.
※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거나 이 틀에 기재되지 않은 일본군의 항공병기 전체 목록은 일본 항공병기 설계안 문서 참조.
연합군(특히 미국)이 대전기의 일본 항공기를 지칭할때 사용했던 코드에 대해서는 연합국 코드명 문서 참조.
템플릿:일본 제국의 항공병기를 참조해 주세요. 전반적인 내용의 개선이 필요합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아래 내용에 서술되어 있는 쌍따옴표 속(" ")의 단어는 연합국이 부여한 코드명이다.)

4.1. 전투기

4.1.1. 육군 항공대

4.1.2. 해군 항공대

4.2. 폭격기

4.3. 정찰기

4.4. 노획 항공기

4.5. 기타

5. 자살특공병기

  • 가이텐(回天)
  • 신요 보트
  • MXY-7오카
  • 후쿠류 - 굳이 말하자면 해저에서 운용하는 개인화기이지만, 그런 걸로는 설명이 안되기 때문에 여기에 기록.
  • 카이류 - 가이텐과 비슷한 자살특공용 잠수함으로, 어뢰 2정과 600Kg급 탄두(…)를 탑재했다. 일단 어뢰 2발을 쏜 후에 자살공격하라는 의미로 만들어졌다.
  • Ki-115 츠루기 - 카미카제 전용기이다.

5.1. 외부 링크



[1] 한국전쟁 당시 사진 등으로 보아 한국군도 일본군이 남기고 간 차량을 사용한 것 같다.[2] 아마기급 순양전함에서 항모로 개장 중 폐기된 그 아마기와는 다른 배이다. 참고로 이 배가 만들어질 무렵인 태평양 전쟁 말기부터 명명법이 변경되어 본함의 경우처럼 항모에도 산 이름이 쓰이게 되었으며, 본함 이후의 운류급 함선인 3번함 카츠라기, 미완성함인 아소, 카사기, 이코마, 쿠라마 등의 함명도 전부 산에서 유래된 이름이었다.[3] 정규항모인 소류와 히류보다 더 컸고 탑재량도 거의 필적했으나 상선개조항모였기에 방어력이 낮았고, 속도도 느렸으며, 캐터펄트 부재 때문에 최신 함재기의 운용이 어려웠다.[4] 카토리급 연습순양함은 일반 경순양함과는 달리 대사, 신궁 규모의 신사 이름을 함명으로 채용했다.[5] 태평양전쟁 당시 기준. 원래는 시키시마급 전함의 2번함이며 미카사의 자매함이기도 하다.[6] 원래는 상선이었다가 특무함으로 편입, 전후에는 쇄빙선으로 개장해 남극관측선으로도 활동했다. 현존하는 몇 안되는 구 일본해군 소속 함선 중 하나로 현재는 도쿄 오다이바에 위치한 배의 과학관에 정박해 있다. 여담이지만 이 배는 특무구조대의 훈련시설 용도로 현재도 월 1회 주기로 출항하고 있는 현역함이다.[7] 함종변경이 잦은 편이었던 등급으로 원래는 노토로급 급유함으로 분류되었지만 당초 1번함이었던 노토로가 일찌감치 수상기모함으로 함종변경한 탓에 2번함인 시레토코의 이름을 따서 시레토코급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단, 시레토코도 반쯤 급병함으로 운용되었기 때문에 3번함 에리모의 이름을 따서 에리모급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당초 8척이 건조예정이었으나 이중 1척이 타 함종으로 계획변경되어 7척이 건조되었는데, 이때 설계변경된 1척이 바로 급양함 마미야.[8] 이 과정에서 아군 오사를 피하기위해 1,2번 연돌을 연결하고 삼각마스트를 설치하고 일본군 무기와 소나를 달아서 최대한 일본군처럼 보이게 했다.[9] 이 102호 초계정은 적어도 미군잠수함을 2척 격침시킨것으로 알려졌다.[10] 전후 이 스튜어트는 미군으로 복귀후 나중에 표적함으로 격침된다.[11] 1943년, 소수의 Fw190 A-5가 일본군에게 전달되어 여러가지 테스트를 받았다. 연합군은 일본군에게 제공된 포케볼프에 이 코드명을 붙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