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전투함 | ||||
구축함 (DD) |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 ||||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 |||||
잠수함 (SS) |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육 로500, 유보트 Type XC | ||||
경순양함 (CL) |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 ||||
장갑순양함 | 이즈모급R, 카스가급 | ||||
중순양함 (CA) |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 ||||
순양전함 (CC) | 공고급, | ||||
전함 (BB) |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 ||||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 호쇼,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치요다), 다이요급(다이요-운요-추요-신요-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 ||||
정규항공모함 (CV) |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 ||||
수상기모함 (AV) |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 ||||
강습상륙함 |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육 | ||||
연습함 / 포함 (CL/FF) |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 ||||
어뢰정 |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 ||||
해방함 (DE) |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 ||||
특공 병기 | 신요, 마루레육, 가이텐 | ||||
군수지원함 | |||||
공작함 | 아카시, 아사히 | ||||
급유/급탄/급병함 |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 ||||
급양함 | 마미야, 이라코, 노사키 | ||||
상륙함정 |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 ||||
잠수모함 | 진게이급, 타이게이 | ||||
잡역선 | 아스카C, 아타다C | ||||
※ ※ 윗첨자육: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일본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四式肉薄攻撃艇 |
1. 개요
일본 제국 육군의 자살특공병기 사식육박공격정(四式肉薄攻撃艇)제2차 세계 대전 중 태평양 전쟁 말기에 일본 제국 해군의 자살특공병기인 신요와 비슷한 개념과 성능의 경쟁품으로 일본 제국 육군이 개발하여 운용한 자살특공병기이다. 정식명칭은 사식육박공격정(四式肉薄攻撃艇)이지만 마루레[1]라는 명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선체를 녹색으로 칠했기 때문에 청개구리라는 별명도 있었다.
2. 상세
일본의 패색이 짙어지던 1944년 5월, 육군은 해안방어를 위한 소형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마냥 해군에게 맡길 수는 없다는 생각으로 1인승 공격정의 개발 준비에 들어갔다. 6월 중순 대본영의 인가가 떨어진 후 개발마루레의 경우 처음부터 자폭 목적으로 개발된 것은 아니었다. 평소에는 해안동굴에 몸을 숨기고 있다가 적의 선단이 나타나면 접근해 주무장인 폭뢰를 투하하고 전속력으로 이탈하는 것이 기본...이었으나 연합군 선박을 상대로 급조된 보트로 이런 기동을 할만한 여력은 거의 없었고 결국 들이받는 자폭특공이 주류가 되었다. 그래도 신요와는 다르게 치고 빠질 수 있다는 선택 옵션이 있다 보니 돌격하면 무조건 죽는 것은 아니었고 운좋게 생환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같은 시기에 유사한 용도로 개발된 일본 해군의 신요와 해안방어용 공격정 자리를 두고 치열한 입찰경쟁을 했다. 이따위 걸로 경쟁해야 하나 서글퍼지는데...결국은 마루레와 신요 둘다 섞어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났다. 이렇다 보니 상황에 따라서는 일본 해군의 어뢰정 부대에 편입되어 지휘를 받아야 하기도 했다.
3. 실전
마루레는 총 3000척 가량이 건조되어 일본 본토와 오키나와, 대만, 필리핀(루손 섬)등 연합군의 상륙이 예상되는 지점에 배치되었다. 1945년 루손 섬 전투와 오키나와 전투에서 실전 투입되었는데, 마루레와 신요가 한데 섞인데다 부대째로 전멸하는 경우가 흔하다 보니 정확한 전과는 불분명하다. 양쪽 통틀어 약간의 상륙정이나 소형함정을 격침시킨 전과는 남아 있다. 정말 선전해서 플레처급 구축함을 대파시킨 사례가 있지만 마루레와 신요 중 어느쪽의 전과인지는 불분명하다. #[2]#총 1300척의 마루레가 손실되었고 출격해보지도 못한 채 수송선이나 기지째로 쓸려나가는 경우가 허다했다. 일본 본토의 마루레는 본토결전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가 그대로 종전을 맞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