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23:49:31

마미야

1. 일본의 인명
1.1. 실존 인물1.2. 가상 인물
2. 일본 해군의 급양함 마미야
2.1. 개요2.2. 함생2.3. 능력2.4. 관련 링크
3. 일본의 카메라 및 렌즈 제조기업4. 타타르 해협의 일본식 명칭

1. 일본의 인명

1.1. 실존 인물

1.2. 가상 인물

2. 일본 해군의 급양함 마미야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군함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전투함
구축함
(DD)
미네카제급,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특1형 후부키급, 특2형 아야나미급, 특3형 아카츠키급, 하츠하루급, 시라츠유급, 아사시오급, 카게로급, 유구모급, 시마카제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타치바나급
사쿠라급, 모모급, 나라급, 모미급, 와카타케급, 제101호 초계정C, 제102호 초계정C
잠수함
(SS)
L급, 로 100형, 71호, 해중형(로-34), 해대 1형, 해대 2형, 해대 3형, 해대 4형 해대 5형, 해대 6형, 해대 7형, 순잠 1형, 순잠 2형, 순잠 3형, 순잠 갑형, 순잠 을형, 순잠 병형, 순잠 정형, 센토쿠급, 키라이센급, 갑표적, 삼식잠항수송정 로500, 유보트 Type XC
경순양함
(CL)
텐류급, 쿠마급, 나가라급, 센다이급, 유바리, 아가노급, 오요도, 815형, 이오시마C, 야소시마C
장갑순양함 이즈모급R, 카스가급
중순양함
(CA)
후루타카급, 아오바급, 묘코급, 타카오급, 모가미급, 토네급, 이부키급
순양전함
(CC)
공고급, 아마기급, 13호급, B-65
전함
(BB)
카와치급, 후소급, 이세급, 나가토급, 카가급, 키이급, 후지모토 전함 계획안, A-140 전함, 야마토급, 슈퍼 야마토급
경 / 개조 / 호위항공모함
(CVL/CVE)
호쇼, 쇼호급(쇼호-즈이호), 류호, 히요급(히요-준요), 치토세급(치토세-치요다), 다이요급(다이요-운요-추요-신요-카이요), 시마네마루급-야마시오마루
정규항공모함
(CV)
아카기, 카가, 류조, 소류, 히류, 쇼카쿠급, 운류급, G18, 다이호, 카이다이호, 시나노
수상기모함
(AV)
노토로, 카모이, 아키츠시마, 미즈호급, 닛신
강습상륙함 아키츠마루급, 쿠마노마루
연습함 / 포함
(CL/FF)
카토리급, 하시다테급, 아타카급, 사가급, 아타다C, ?C/?
어뢰정 치도리급, 오오토리급, 갑형 어뢰정, 을형 어뢰정
해방함
(DE)
시무슈형, 에토로후형, 미쿠라형, 히부리형, 우쿠루형, 제1호형, 제2호형
특공 병기 신요, 마루레, 가이텐, 카이류, 후쿠류
군수지원함
공작함 아카시, 아사히
급유/급탄/급병함 시레토코급, 온도급, 카자하야, 하야스이, 타카노급, 하리오급, 무로토급, 카시노
급양함 #s-2, 이라코, 노사키
상륙함정 신슈마루, 대발동정, 제101호형 수송함, 넘버원급
잠수모함 진게이급, 타이게이
잡역선 아스카C, 아타다C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 일본 제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C: 노획 함선
※ 윗첨자R: 재취역한 함선
※ 윗첨자?: 함명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함선
※ 윗첨자A: 전후 완공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IJN_supply_ship_MAMIYA_around_1930.jpg
間宮

2.1. 개요

일본 제국 해군급양함 마미야(間宮).

2.2. 함생

1924년 7월 15일에 취역해서 1944년 12월 20일에 침몰했다. 만재 배수량은 15,820톤으로 건조당시는 세계 최대의 급양함이었다. 이름의 기원은 사할린의 유라시아 대륙의 러시아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해협을 일본쪽에서 부르는 마미야 해협(일반적으로는 타타르 해협이라고 부름)에서 왔다.

원래는 급유함으로 예산이 잡힌 상태였는데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에 의해서 전함들의 건조가 중지되자 대량의 급유함이 필요없어졌고 변경된 전력보강 계획인 "1923년도 함정 보충 계획"에 의거하여 급양함으로 목적이 변경되어 건조가 시작된다. 22년 10월에 기공하여 23년 10월에 진수되었고 여기에는 아마기급 순양전함의 보일러 일부가 전용되었다. 원래는 카가의 보일러가 전용될 예정이었지만 관동대지진으로 인한 피해때문에 아마기의 항모 전용이 중단되고 그 대신 카가가 항모로 대체되면서 폐선이 결정된 아마기의 부품이 사용되었다. 순항전함의 보일러를 받았다고는 하나 원래 느린 민간 화객선을 바탕으로 설계가 되었기 때문에 다른 정규적인 해군함정과 함께 행동하기에는 느렸다. 순항속도는 14노트 최고 속도는 17노트 내외로 다른 해군 전투함들과 함께 행동하기가 거의 불가능했었으나 함의 특성상 군 사기에 매우 큰 영향을 줬기 때문에 늘 호위가 따라붙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미야는 대전내내 적 잠수함의 공격에 끊임없이 피해를 받고 있었다.

1944년 12월 20일, 사이공에서 마닐라방면으로 수송중 남중국해 해상에서 미 해군발라오급 잠수함 USS 씨 라이언(Sealion) 함의 공격으로 침몰했다.[3] 구조된 승조원의 상당수는 저체온증으로 사망했고 생환한 인원은 6명에 불과했다.

2.3. 능력

함내에는 당시 최신기술로 제작된 냉장고와 냉동고가 대량으로 배치되어 18,000명의 장병들이 3주간 먹을 수 있는 고기, 생선, 채소를 저장할 수 있었다. 함내에 축사도 있어 살아있는 가축을 배 안에서 키우다가 도축할 수도 있었고, 아이스크림,[4] 모나카, 만두, 라무네 같은 기호식품이나 곤약, 두부, 유부 같은 일본 전통요리의 주재료도 생산할 수 있었다. 당연히 배 안에는 수많은 주방과 이곳에서 근무하는 요리사들이 있어 배에 실은 식자재들을 맛있게 요리할 수 있었으며, 급양함 외에도 입항한 항구에서 간이 매점 역할을 맡기도 했다.

당연히 보급함이라서 순항 속도 14노트에 무장은 14cm 단장포 2문이 전부였으며 그나마도 평소에는 분리해서 육상에 보관하고 식량을 추가 적재했다. 당연히 이 배가 손실되면 18,000명의 병사들은 맛있는 음식을 먹지 못해 사기가 크게 떨어질 것이므로 대부분 구축함 몇 척을 동행해 엄격히 호위했고, 급양임무 외에도 소형 함정의 환자를 수용하는 병원선, 수상 정찰기 등 각종 물자를 수송하는 임무도 종사했다.

일본 해군의 급양함은 원래 마미야 한 척밖에 없었지만, 급양함이 한 척밖에 없으면 전쟁을 할 수 없기에 일본군이 진주만을 침공하기 이틀 전인 1941년 12월 5일에 이라코[5]라는 이름의 급양함이 새로 취역했다. 이 배는 25,000명의 식량 2주 분을 운반할 수 있었다고 하며 특이하게도 된장 등 조미료 특화 냉장고, 제빙시설, 과자와 라무네 같은 기호식품 제조시설, 대형 세탁실,[6] 2톤 지프크레인 8기와 식량 보급 전용 함재정 9척을 가지고 있었다. 이라코는 1944년 9월 24일 콜론 만 공습에서 미군의 공격으로 격침되었다.

2.4. 관련 링크

3. 일본의 카메라 및 렌즈 제조기업

마미야(기업)

4. 타타르 해협의 일본식 명칭

자세한 내용은 타타르 해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새아버지의 성이 마미야라서 현재의 성은 마미야지만 본 성은 밝혀지지 않았다.[2] 리리의 본명, 이리수의 일본 로컬라이징 이름.[3] 씨 라이언은 마미야 이외에도 우라카제공고도 격침시켰다.[4] 사족으로 미국은 아이스크림 제조에 특화된 보급함도 건조해 사용했다. 쿼츠급 보급함 문서 참고.[5] 만재배수량이 1만 1천톤급으로 마미야보다는 작았다.[6] 하루에 군복 400벌을 빨 수 있었으며 다림질도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