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2 20:52:36

일본해군병학교


파일:일본 황실.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육군기.svg
대일본제국 육군
大日本帝國陸軍

(육군 항공대 / 육군 헌병)
파일:일본 제국 해군기.svg
대일본제국 해군
大日本帝國海軍

(해군 항공대 / 해군 육전대)

||<-3><tablewidth=100%><bgcolor=#b0313f><tablebgcolor=#fdfefa,#2d2f34> 관련 문서 ||
<colbgcolor=#ca7079> 정보·역사 검술 · 군가 · 군복 · 계급 · 무기 목록 · 역사 · 대본영 · 연합국 코드명 · 욱일기 · 진수부 · 함대결전사상 · 해군반성회 · 해군선옥론 · 731부대 · 의열공정대
병역 일본군의 소집 · 징병제 · 병역법
편제 육군 관동군 만주군 · 조선군 · 대만군 · 남방군 · 항공총군 · 몽강군 · 화평건국군 · 베트남 제국군 · 인도 국민군
해군 연합함대 · 제1함대 · 88함대 · 수뢰전대 · 제2 수뢰전대 · 343 해군항공대
무기체계 일본군/무기체계 · 일본군/무기체계/원인 · 일본군/무기체계/육군 · 일본군/무기체계/해군
전술 반자이 돌격 · 대전차총검술 · 카미카제 · 신멸작전 · 대륙타통작전
인물 인물 · 포로 · 전후 패잔병 · 삼간사우 · 삼대오물 · 조선인 일본군
철도 남만주철도주식회사 · 조선총독부 철도국
교육기관 일본육군사관학교 · 일본해군병학교 · 육군대학교 · 일본육군항공사관학교 · 나카노 학교 · 총력전 연구소
식민지 및
통치기관
조선(조선총독부) · 대만(대만총독부) · 가라후토(가라후토청) · ▤관동주(관동청)
논란 일본군/문제점 · 일본의 전쟁범죄 · 야스쿠니 신사 ·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 · 일본군 위안부
▤ : 만주국 관련 문서

||<tablewidth=100%><bgcolor=#b0313f> 장비 둘러보기 틀 ||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 기갑차량 | 보병장비 | 화포 | 함선(1차 대전) | 함선(2차 대전) | 항공병기

||<tablewidth=100%><bgcolor=#b0313f> 관련 틀 ||
식민지 · 괴뢰국 · 군정청 · 일본군의 전쟁 범죄
}}}}}}}}} ||


1. 개요2. 역사3. 생도 선발과 운영4. 분교5. 주요 동문6. 기타

1. 개요

파일:해군병학교.jpg

1876년부터 1945년까지 운영되었던 일본 제국해군사관학교. 한자(일본어)로는 海軍兵學校 / 海軍兵学校 (かいぐんへいがっこう). 약칭은 해병(海兵)으로, 기수를 나타낼 때도 해병XX기 같은 식으로 불렀다.

이름의 의미는 '일본 해군'에서 '병과사관'을 교육하는 '학교'였기에 '해군 / 병학 / 교'다. 여기서 '병과사관'이란 오늘날 한국 해군의 의미로는 '함정 병과'를 의미한다. 당시 일본 해군은 '병과'와 반대말인 비(非)병과를 구분했다. 병과사관들은 세부 특기로 항해, 포술, 수뢰 등의 특기를 받아 관련 전술 교육을 집중적으로 받았다. 육전대 전투부대도 이들이 배치됐다. 일본 해군에서 전투병과는 '항공과'가 추가되기 전에는 '병과' 단 하나뿐이었으며, 그나마 항공과의 하늘색 병과색이 들어간 계급장은 사병 출신들 중에서 선발하는 특무사관들만 썼다. 이마저도 소수의 소좌 진급자들부턴 병과로 자동 편입되었다. 그래서 해군병학교 졸업자는 전원 병과사관이다. 그 외 비병과 장교를 위한 학교로, 기관과 사관을 양성하는 해군기관학교, 일본 해군에서 주계과 사관을 양성하는 해군경리학교 등이 따로 있었으며, 그 외 군의과, 법무과 사관 등은 민간에서 전공한 자들을 임관시키는 과정을 도입해 영입했다.

히로시마에타지마시(江田島市)[1]에 위치하며 1945년 이전에 에타지마는 해군사관학교를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78기수를 배출했으며 총 인원은 12,433명이다. 가는 방법은 히로시마 항에서 에타지마 코요항 페리를 타고 코요항에 가서 코요항 바로 앞에 있는 버스를 타고 가면 된다. 코요항에서 해군병학교 안내소가 있는데 주말에만 운영한다. 평일 주말 매일 정해진 시간에 민간인이 구내식당을 이용하거나 학교 견학 투어를 신청할 수 있으며, 건물 외부 사진 촬영은 어디든 가능하지만 건물 내부는 허가된 지역 외에 사진을 찍으면 안 된다. 심지어 건물 내부도 화장실 같은 곳은 아예 전파 차단막을 해놔서 스마트폰 데이터 통신도 안 된다.

해군병학교는 일본육군사관학교보다 규모가 작고 인원 풀이 좁았던 탓에, 일본 내에서도 귀족적이고 배타적이란 평가를 많이 받았다. 해군 사관들 내에선 일본 육군 장교들을 국제정세나 예의범절에 무지한 촌뜨기들로 여기는 풍조가 있었다고 한다. 반대로 육군은 해군을 필요 이상으로 국가예산을 축내는 거만한 엘리트주의 집단이라고 욕했다. 결국 자신들보다 엘리트라는 건 부정 못했다는 뜻이다. 같은 군인인 육군 장교들보다 비슷한 교양 수준의 문민 관료들과 더 말이 잘 통한다 생각한 이들도 많았다. 해군 내 친목질도 만만치 않아서, 같은 해군병학교 출신끼리도 특기가 다르면 계급과 상관없이 지내는 일이 많았다고 한다. 민간에서도 해군 장교들을 육군 장교들보다 좀 더 교육받고 품위있는 신사들로 보는 경향이 컸다.

이러한 특유의 엘리트 의식은 실용적인 방향으로 작용되기도 했다. 일례로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과의 전쟁을 수행하느라 영어가 적성어로 교육이 금지됐지만 해군병학교는 그냥 가르쳤다고 한다. 당시 교장 이노우에 시게요시 제독이 "아무리 적성국의 언어라지만 이 세상 천지에 국제 공용어를 못 하는 해군 장교가 어딨는가?"[2]라며 강행했고, 우익들이 교장 탄핵 운동을 벌였지만 교장은 되려 그들이 무식한 놈들이라고 힐난했다. 전후 GHQ 통치기를 거친 뒤 미국의 영향에 따라 영어 구사력이 높은 경쟁력을 발휘하는 시대가 되자, 영어 한 마디 못 하던 육사 출신들보다 더 출세할 수 있었던 해군병학교 졸업자들은 이노우에 제독에게 감사를 표했다고 한다. 이노우에 제독 본인도 전후 영어를 가르치며 생계를 유지했다.

또한 조선인, 대만인 등 외지의 일반인에게도 해군병학교의 문호를 개방하자는 주장도 의외로 일찍부터 나왔다. 1919년 3.1 운동을 계기로 조선인에 대한 차별을 시정하고 적극적인 동화정책을 펴자는 주장이 대두된 것이다. 그 결과 일본 해군에서는 일본육군사관학교보다도 한참 앞선 1921년 1월에, 3.1 운동 이후 격변한 "조선의 실정" 및 "사위(四圍)의 정세"에 따라 조선인을 해군병학교 생도로 받아들이라는 결정을 공식적으로 내린 바 있다.[3] 문제는 이러한 지침이 실제 현장에서는 지켜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해군병학교에서는 지원자들이 수준이 떨어진다는 핑계로 패망 직전까지 입교를 거부하여[4] 조선인이나 대만인 해군병학교 졸업생은 사실상 전무하다. 그나마 일본인 가정에 입양되는 등 서류상으로 일본인(내지인)인 경우로 입교한 사례만이 극소수 있을 뿐이다.[5] 이 때문에 광복대한민국 해군을 창설할 당시 일본 해군에서 함선 및 항해 관련 교육을 받은 인재가 없어서[6] 손원일, 박옥규, 정긍모상선사관 출신 인물들이 주축이 되었다.

2. 역사

1869년 해군조련소(海軍操練所)가 설치됐으며 도쿠가와 막부 소속의 해군의 인원을 각 번마다 운영한 해군과 합쳐 일본 해군으로 전환한다. 그 후 이름을 해군병학료[7](海軍兵學寮)로 개편하였고, 메이지 시대 당시 해군성이 설치되어 있던 도쿄 츠키지[8]에 위치했다. 1888년에 에타지마로 옮겼다.

딱히 중요한 항구도 아닌 에타지마에 소재하냐를 두고 말도 많았다. 요코스카요코하마에 위치해야 했다는 주장인데, 이는 도시가 어느 정도 성장한 뒤의 얘기이지 일본 해군이 생길 때만 해도 도쿄의 권역은 지금과는 달랐다.

패전 후 해군병학교의 건물은 해상자위대의 해상자위대 간부후보생학교로 쓰이고 있다.

현재 간부후보생학교로 쓰이면서 해군병학교 시절의 관례를 일부분 바꿨다. 옛날 해군병학교 시절에는 입학졸업이 열리는 건물에 레드카펫은 성적 상위권 1위에서 5위까지만 밟고 자리배치도 성적 순으로 하는 관습으로 하다가 간부후보생학교로 쓰이기 시작해서는 임관식 당시 성적 상위권 1위에서 5위만 레드 카펫을 밟되 나머지 자리배치는 랜덤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연병장 입장인 경우에는 무조건 성적순이라는 관습을 아직도 지키고 있다고 한다.

3. 생도 선발과 운영

16세부터 19세 사이에서 선발했다. 초기에 모집 인원이 적어 일본 최고의 엘리트 집단이었다. 육군유년학교와 마찬가지로 예비과정이 존재했는데 해군예비교라고 불렀다. 교육기간은 초기에는 3년이었고 1927년부턴 3년 8개월이었다. 영국 해군의 영향을 받았고 주말마다 카레를 먹는 관습[9]도 생겼다. 전쟁이 터지면서부터는 교육기간이 줄어들어 1941년에 입교한 73기의 경우엔 2년 4개월이었다. 사관생도들은 일등병조(해군 상사)와 병조장(해군 준위) 사이에 해당[10]하는 대우를 받았다. 일본육군사관학교의 사관생도들이 일병에서 상병 수준인 걸 생각하면 굉장히 높은 편으로, 이는 비 해병 출신 생도들에게도 적용되었기에 고학력자들이 육군보다 자신들을 우대해주는 해군에 보다 많이 몰리는 현상을 불러왔다.

인원은 기수에 따라서 차이가 크다. 입학 시에 장래 좌관급(영관급) 장교 필요 인원을 예측하고 그에 맞춰 정원을 정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나구모 주이치 제독이 입학한 36기의 경우 191명이 졸업했던 반면, 기무라 마사토미 제독이 입학한 41기의 경우 120명이 입학했고 118명이 졸업했다. 기무라 제독의 예를 보듯 한 번 입학하면 유급이나 퇴출이 거의 없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일본 해군의 진급은 소위 '해먹 넘버'라고 해서 해군병학교 졸업성적으로 결정되었다. 정말 사관학교 안에 해먹이 설치 되어 있는건 아니고 생도들에겐 침대가 지급됐지만, 대략 사관학교 내의 석차라는 느낌으로 불러줬다. 즉 해먹 넘버 1이라면 수석 졸업이라는 뜻이다.

성적순으로 잘 하는 사람부터 포술, 수뢰, 항해 쪽의 병과로 갔다. 졸업성적이 좋은 사람은 포술, 수뢰 같은 병과를 택한 뒤 해군성이나 연합함대에서 요직을 맡았다. 하지만 졸업성적이 나쁜 사람은 항해 병과를 택할 수밖에 없고 수뢰정, 소해정, 구축함 등의 정장/함장 등의 한직을 주로 맡아야 했다. 기무라 제독의 경우 118명 중 84등이라 항해밖에 갈 수 없었다. 해군대학 입시를 칠 기회는 주어졌으나 2번 떨어져서 입학하지 못 했다. 그는 일본 해군에서 해군대학을 졸업하지 않은 유일한 제독이었다.[11] 이 졸업성적에 따른 진급은 전시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졸업 성적이 나빴던 졸업생들은 대개는 소좌~중좌 정도로 구축함 함장 등 중요도가 떨어지는 함의 함장이나 육상 한직을 하다가 예편, 전시에 군공을 여럿 세우더라도 대개는 순양함 함장 정도에 대좌 정도가 한계였다. 이런 한계를 뚫고 해군 중장까지 진급한 기무라 마사토미 제독의 시례는 매우 특이한 편에 속한다. 그 외 일부가 항공을 택하기도 했는데, 이들 역시 병과사관으로 분류됐다. 계급장에 항공과의 파란색이 들어간 이들은 병조장과 특무사관들 뿐이었다.

다만, 성적에서 일본 황족은 예외였다. 당시 일본 황족 남자들은 관례적으로 육군사관학교나 해군병학교를 가야 했다. 보통 이 두 학교에 황족이 입학하면 관례상 수석이나 차석 등 최상위 성적을 이들에게 주었다. 때문에 황족이 입학한 기수는 이들을 제외한 일반 생도들 중 졸업 성적이 가장 좋은 생도를 실질적인 수석으로 여겼다.

졸업 성적이 좋은 사람은 아주 특수한 사정이 없는 한 대좌까지 복무할 수 있었고, 나쁘더라도 소좌나 중좌까진 무리없이 근무했다. 애초 해병 신입 생도의 숫자를 향후 좌관급 장교 숫자에 맞춰 뽑는지라, 중간에 나가면 인력 수급 문제가 생겼다.

75기는 원래 1945년 10월 1일 임관할 예정이었지만, 패전 후 해군이 해체되면서 임관하진 못하고 졸업장만 받았다. 그 이하 기수는 그마저도 없이 그냥 학교가 폐교되며 졸지에 대학 중퇴자가 됐다.

4. 분교

파일:해군기관학교.jpg
  • 해군기관학교(海軍機關學校) : 해군의 기관과 사관을 양성하기 위한 곳이다.
    1874년 해군병 분교로 요코스카에 위치했으며 1881년에 해군기관학교가 된다.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학교 건물이 무너지면서 1925년 교토로 이전했다. 이전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에타지마의 해군병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45년 3월 1일에 해군병학교에 통폐합되었고, 그 이름은 해군의 사관, 기관병조, 기관병 등의 후반기교육을 수행하던 해군공기학교(海軍工機學校)에 넘겨주었다. 그래서 공기학교는 해군기관학교로 개칭하여 폐교될 때까지 이름을 유지하였다.
  • 해군경리학교(海軍經理學校): 주계(主計)과 사관을 양성하던 곳이다.

5. 주요 동문

5.1. 일본군 해군

5.2. 해상자위대

자위관을 보면 해상자위대 해상막료장을 해군병학교 출신들이 독점했다는 걸 알 수 있다.

5.3. 항공자위대

일본 해군 항공대 출신 등이 일부 공자대로 들어가기도 했다.

5.4. 민간

  • 나리타 유타카: 일본 최대 광고대행사덴츠의 창업자. 일본해군병학교 예과 출신이었으나 일본의 패전으로 인해 중학교로 전학가서 도쿄대를 졸업했다.

6. 기타

해군사관학교가 귀족적, 배타적인 모습을 드러내는 현상은 영국 같은 섬나라와 미국, 스페인처럼 섬나라는 아니지만 해군의 비중이나 권력이 큰 나라에서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특히 당시 일본에서 해군은 지원병 제도를 실시했기 때문에 병들 사이에서도 '징집병인 육군과는 수준이 다르다'라는 인식이 퍼져 있었다. 그래서 지원제로 인원을 모집하던 시절에는 수병 입대 자원들의 수준은 육군 병사들보다 높았지만 이후 해군도 전시에 징병권을 얻어 징병받으면서 질적으로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

해군병학교라는 이름은 한국어에서는 해병이나 수병을 교육하는 학교가 아닌지 혼란을 만들기도 한다. 당시 해군 신병 교육기관은 요코스카, 구레, 사세보 등 주요 군항에 위치한 해병단들이었다.

대한민국해군사관학교도 처음 몇 달은 해군병학교란 이름을 썼다.[14] 대한민국 해군은 처음엔 병조라는 일본군 해군의 계급 호칭을 쓰기도 했는데 1962년에 육해공 계급 명칭이 통합되면서 오늘날의 부사관/병 호칭을 썼다.

칸코레 애니화 등 미디어 믹스화로 성공하자 칸코레의 성지순례 장소로 알려지자 많은 오타쿠들이 에타지마에 많이 방문한 것을 눈여겨 본 에타지마 지자체는 이를 응용하여 兵器ストライク라는 해당 관광지에 가서 QR코드를 읽어서 수집하는 코레류 스탬프 게임을 출시하였다. 처음엔 지자체 높으신 분들도 효과에 대해 상당히 의구심이 깊었지만 정말 궁금증에 오는 관광객이 늘었다는 통계를 보고 적극적으로 밀어주고 있다고 한다.

초학습법의 저자 노구치 유키오 도쿄대 명예교수는 초학습법의 Coffee break 코너에서 "학교 건물은 고풍스러운 것이 좋다"는 취지의 짧은 에세이를 써 놓았는데, 여기에서 해군병학교 건물에 대해 "구 제국 해군을 찬미하려는 마음은 조금도 없다. 그러나 이런 건물을 남긴 조직은 예사롭지는 않았을 것이다." 라고 평하기도 했다.

남은 학교 건물은 일본의 러일전쟁일본제국의 부흥기를 다룬 드라마 언덕 위의 구름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섬이다. 바다를 사이에 두고 북쪽이 히로시마시(廣島市), 동쪽이 구레시(吳市)이다.[2] 현재 전세계의 모든 관제탑에서 영어를 사용하듯 당시 선원들은 전세계 항구에서 영어를 사용했다. 해군도 선원의 일종인 만큼 영어를 구사해야 하는 것은 매우 당연한 일임은 물론이고, 배우지 않으면 작전 수행에 차질이 생길 정도였다.[3] 「朝鮮人ヲ生徒ニ採用ノ件」, 海軍大臣官房 編, 『海軍制度沿革 12』, 海軍大臣官房, 1940, 476쪽.[4] 조선인 출신으로 일본 내지에서도 굉장한 엘리트로 취급받는 제국대학 유학생이 800여명, 고등문관시험 합격자가 400여명으로 적지 않았음을 생각하면 이는 식민지 출신을 배제하려는 일방적인 핑계로 봐야한다.[5] 해양전략연구소에서 발간한 손원일 제독 전기에 해군 창설 멤버 중 이같이 일본인의 양자로 입적해 법률상 내지인이 되어 입학, 소좌까지 진급한 조선인 해군 장교 출신 인물이 합류했음이 언급되어 있다.[6] 일본 해군 출신 인물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순혈 의식 때문에 항해병과는 없다시피 했다. 그래서 거의 대부분 해군 항공대나 해군 육전대 출신이었다.[7] 료(寮)는 일본어기숙사를 말한다. 당시 일본에는 성(省) 아래에 행정기관이 료(寮)였다. 이 료(寮)라는 행정단위는 메이지 유신 이후에도 궁내성에서 종질료(황실 종친 관리부서) 같은 식으로 계속 쓰이다 패전 후 궁내성이 폐지되자 사라진다.[8] 세계 최대의 수산시장츠키지시장이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9] 현재 해상자위대도 이를 계승했으나, 주5일제 시행으로 카레는 금요일에 나오는 것으로 바뀌었다.[10] 일본군의 하사관 계급은 3개로, 우리의 원사에 해당하는 계급은 없었다.[11] 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 해군 제독 중 해군대학을 나오지 않고 중장까지 진급한 예로는 오자와 지사부로, 오니시 다키지로와 타다 다케오, 구리다 다케오, 다나카 라이조, 사콘조 나오마사,니시무라 쇼지 등이 있다. 특히 오자와는 마지막 연합함대사령장관, 오니시는 마지막 군령부차장, 타다는 마지막 해군차관으로 종전을 맞이했다. 오자와와 구리다의 경우에는 해군대학교 을종 학생으로 수학한 적도 있었지만 기수에는 포함되지 않았고, 오니시는 해군대학 입학 필기시험은 합격했으나 요정에서 술이 취해 게이샤를 두들겨 팬 사건(...)으로 구술 시험 응시 자격 박탈을 당해 결국 해군대학에 입교하지 못했다. 대전 이전의 제독중에는 아보 키요카스, 노무라 키치사부로등이 대장에 해군대신까지 올라간 예도 있었으며, 특히 노무라 키치사부로는 해군병학교 수석졸업임에도 본인이 해군대학교 진학을 거부한 사례로 유명하다.[12] 이 기수는 임관일을 당겨 러일전쟁에 참전했다.[13] 1970년 미사일 기지 건설을 위해 농림부에서 국유림을 해제하고 자위대에 사용을 허가하였는데 주민들이 자위대는 위헌이며 국유림을 해제하는 건 불법이라고 소송을 건 사건.[14] 대한민국 공군공군기본군사훈련단의 전신을 공군병학교(空軍兵學校)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