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21:48:47

소수서원

백운동서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21e1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소수서원

남계서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
}}}}}}}}}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다크모드).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023~2024 ]
{{{#!wiki style="margin: -6px -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청와대 앞길 | 경복궁 | 광명동굴 | 익선동 | 자라섬 | 서울숲 |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 | 수원 화성 | 창덕궁과 후원 | 인천 차이나타운 | 헤이리 예술마을 | 양평 두물머리 | 파주 임진각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경희궁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서촌마을 | 덕수궁 | 서울랜드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남산서울타워 | 송도 센트럴파크 | 한국민속촌 | 에버랜드 | 안성팜랜드 | 송월동 동화마을 | 재인폭포 | 창경궁 | 스타필드 코엑스몰 | 백령도 | 대청도 | 홍대
강원권 원대리 자작나무 숲 | 춘천 삼악산 호수케이블카 | 도째비골 해랑전망대 | 남이섬 |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 뮤지엄 산 | 간현관광지 | 대관령 관광특구 | 고석정 | 무릉계곡 | 강릉 커피거리
충청권 수덕사(예산) | 만천하 스카이워크 | 충주 탄금호 무지개길 | 국립세종수목원 | 속리산 테마파크 모노레일 | 중앙탑공원(충주) | 청풍호반케이블카 |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관북리 유적부소산성 | 한밭수목원 | 서동공원과 궁남지 | 단양강 잔도 | 도담삼봉 | 보은 법주사 | 공주 공산성 | 꽃지해수욕장 | 대천해수욕장 | 서산 해미읍성
경상권 여좌천(벚꽃명소) | 진주성 | 대구 동성로거리 | 장생포 고래문화마을 | 수성못 유원지 | 문경단산 모노레일 | 스카이라인 루지(부산) | 부산엑스더스카이 | 스페이스워크 | 광안리 SUP Zone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 디피랑 | 부산 감천문화마을 | 해운대 그린레일웨이 | 죽변해안스카이레일 | 거창 항노화힐링랜드 | 부산 송도해수욕장 | 울릉도 | 경주 불국사 | 영남 알프스 | 대구 서문시장 & 서문시장 야시장 | 송정해수욕장 | 용두산 자갈치 관광특구 | 태종대 | 송도용궁구름다리 | 당항포관광지 | 김해가야테마파크 | 황매산군립공원 | 주산지 | 대왕암공원 | 태화강 국가정원 | 소수서원 | 독도 | 경주 석굴암 | 해운대해수욕장 | 대구앞산공원 | 광안리해변 테마거리
전라권 목포근대역사관 2관 | 고창 운곡람사르습지 | 전북 전주 한옥마을 | 고군산군도 | 천은사 상생의 길 및 소나무숲길 | 무등산국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한려해상국립공원(오동도) | 목포 해상케이블카 | 선유도 | 마이산도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돌산도 | 목포근대역사관 1관 | 5·18 기념공원 | 익산 왕궁리유적 | 국립태권도원 | 무주 반디랜드 | 죽녹원 | 여수 해상케이블카 | 섬진강기차마을 | 양림역사문화마을
제주권 우도 | 제주 올레길 | 한라산(제주도 국가지질공원) | 성산일출봉 | 제주돌문화공원 | 비자림
}}}}}}}}}
[ 2021~2022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독도 | 불국사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영주 소수서원
榮州 紹修書院
Sosuseowon Confucian Academy, Yeongju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 margin-top:-6px; margin-bottom:-5px"
<colbgcolor=#315288><colcolor=#FFF> 위치 <colbgcolor=#FFF,#1F2023>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151
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서원
면적 89\,975㎡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제작시기 조선 중종 37년(1543)
위치
}}}}}}}}} ||
<colbgcolor=#7a3a2c> 소수서원 영상
1. 개요2. 최초의 사액서원3. 주요 문화재 및 건물
3.1. 국보
3.1.1. 안향 초상
3.2. 보물
3.2.1.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3.2.2.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3.2.3. 주세붕 초상3.2.4. 문성공묘3.2.5. 강학당
4. 대중매체에서5. 교통
5.1. 버스
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파일:소수서원.jpg
소수서원 전경

1. 개요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는 서원이다. 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영주를 대표하는 문화재이자 랜드마크 중 하나다. 선비촌과 같이 있으며, 몇 년 뒤에 한국문화테마파크가 들어설 것이다. 한참 더 올라가면 영주에서 제일 큰 사찰이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부석사가 나올 것이다. 방향이 같아서 소수서원과 부석사를 같이 다녀오는 경우가 흔하다.

1963년 사적 제55호로 지정받았으며 2019년 7월 6일에는 한국의 서원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최초의 사액서원

1542년,[1] 풍기군수였던 신재 주세붕이 우리나라에 고려말의 유학자 안향의 연고지에 사묘를 세워 안향의 위패를 봉안했다. 안향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성리학을 들여왔고 후일 조선건국의 주도계층인 신진사대부의 형성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게 된 인물이기도 하다. 그 다음 해에는 유생들을 교육시킬 학사를 건립하여 소수서원의 전신이되는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 창건되었다. 서원의 명칭인 백운동은 주자가 세운 여산의 백록동서원을 본떠 지은것으로 알려져있다.

백운동서원은 부지는 원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사찰인 숙수사(宿水寺)가 자리한 곳이었다. 숙수사의 법통이 어떻게 끊겼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안향이 이 숙수사에서 수학하였고 18세에 과거에 급제하였으며 안향의 아들과 손자까지 이 숙수사에서 수학했다고 알려져있어 적어도 고려말까지는 존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원 내에는 아직도 옛 숙수사의 흔적이나 석조물이 남아있고 통일신라 양식의 청동불상 25구가 출토되기도 했다.
파일:명종어필_소수서원_현판.jpg
▲소수서원 명종 어필 현판

본래 명칭은 백운동서원이었으나 1550년[2] 이황이 풍기군수로 재임 중 조정에 건의하여 명종이 친필로 사액을 내리면서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 소수라는 명칭은 '이미 무너진 교학을 다시 이어 닦게 하라'[3]는 뜻을 담고 있다. 사액이란 임금이 서원의 이름을 지은 편액을 하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사액서원이 되면 왕의 친필 현판뿐 아니라 서원 운영에 필요한 서적, 노비, 토지는 물론이고 면세, 면역 등의 혜택이 따라와서 비사액서원과는 격을 달리했다. 때문에 소수서원 이후 세워진 전국의 서원들은 경쟁적으로 사액을 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런데 뛰어난 유학자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초기 서원들과 달리 나중에 생겨난 서원들은 이러한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사림파의 세력 형성, 확장의 목적이 주가 되었고 이로 인해 서원의 수는 폭발적으로 늘어나 나중에 서원철폐론이 등장할 무렵에는 무려 1,000여 개에 이르게 되었다. 특히 정치를 잘했던 숙종은 사액을 남발하면서 130개가 넘는 사액서원을 만들기도 했다.

이렇게 서원이 난립하다 보니 조정에서는 아무나 함부로 제향하지 못하게 하였고 특히 한 사람이 여러 곳에서 제향되지 못하게 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성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이면 자신의 연고지에 서원을 세웠고 송시열 같은 경우에는 전국에 수십 개의 서원이 존재하기도 했다. 또한 한 서원에서 여러 사람을 제향하는 일도 부지기수였으며 본래의 대상인 학문적으로 뛰어나 존경받을 만한 유학자가 아니라도 온갖 이유를 만들어붙여 그 사람을 위한 서원을 세우기도 했다.

서원의 폐단이 지속되자 결국 1741년 영조는 1714년(숙종 40년) 이후 허가 없이 세워진 모든 서원을 철거하라는 명을 내리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은 계속 이어져 1871년에는 흥선대원군에 의해 서원철폐령이 내려지게 된다. 소수서원은 가치를 인정받은 주요 47개 서원에 포함되었고[4] 이황의 제자들을 포함하여 4천여 명의 유생을 배출했다.

3. 주요 문화재 및 건물

서원 내부에는 안향의 위패를 모신 문성공묘(文成公廟)가 보물 제1402호, 강학당(講學堂)이 보물 제1403호에 지정되어 있다. 서원 입구에 있는 숙수사지 당간지주도 보물 제59호 지정되어 있다. 이밖에도 여타 여러 유물들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서원 내에는 소수박물관이 조성되어 소수서원에서 보관하던 여러 유물을 보존 및 전시하고 있다.

3.1. 국보

3.1.1. 안향 초상

파일:안향 초상.jpg
안향 초상

국보 제111호. 고려 후기 문신 회헌 안향(1243~1306)의 초상화.
안향은 고려 원종 1년(1260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도첨의중찬과 문하시중을 비롯한 여러 관직을 지냈다. 원나라에도 여러 차례 다녀오며 주자학을 우리나라에 설파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로 알려져있다.

3.2. 보물

3.2.1. 영주 숙수사지 당간지주

파일:영주_숙수사지_당간지주.jpg
보물 제59호.
통일 신라 시대의 것으로 당이라고 하는 불화를 그린 깃발을 걸던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주던 석재기둥이다.

3.2.2. 대성지성문선왕전좌도

보물 제 485호

제작년도는 1513년(명나라 정덕 8년)
공자를 중심으로 제자들이 공자 앞에 길게 늘어서 안자 있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 공자는 다른 인물보다 크게 그려 강조되었고 제자들은 사각관모를 쓰고 손에는 홀을 들고 있다.

3.2.3. 주세붕 초상

보물 제717호.
조선의 문신이자 학자인 주세붕(1495~1554)의 상반신을 그린 초상화

3.2.4. 문성공묘

파일:소수서원 문성공묘 2015년 문화재청.jpg
소수서원 문성공묘의 모습
파일:소수서원 문성공묘 위패 2015년 문화재청.jpg
소수서원 문성공묘의 위패
2004년 4월 6일 보물 제1402호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로 알려진 회헌 안향의 위패를 모신 곳. 나중에 안보와 안축, 주세붕도 함께 모셔졌다. 매년 음력 3월과 9월 초정일에 제향하고 있다. 묘당현판의 글씨는 명나라 사신 주지번의 것이다.

3.2.5. 강학당

파일:소수서원 강학당 옆모습 2015년 문화재청.jpg
소수서원 강학당의 옆모습
파일:소수서원 강학당 내부 편액들 2015년 문화재청.jpg
소수서원 강학당 내부의 편액들
파일:소수서원 강학당 내부 2015년 문화재청.jpg
소수서원 강학당 내부 모습
2004년 4월 6일 보물 제1403호로 지정되었다.

4. 대중매체에서

5. 교통

5.1. 버스

6. 여담

7. 관련 문서


[1] 중종 37년[2] 명종 5년[3] 旣廢之學 紹而修地(기폐지학 소이수지)[4] 성리학을 도입한 안향을 모신데다가, 최초의 사액서원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높이 샀다. 이황과 그 제자들이 수학하기도 했다는 점에서 없앨수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