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세계대전 당시 Sd.Kfz. 251을 개발한 회사에 대한 내용은 하노마크 문서 참고하십시오.
노획차량 및 개조품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
Pz.Kpfw. 32 (j) | 르노 FT |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
프로토타입 |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 |
페이퍼 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 |
차량 |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 |
모터사이클 |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 |
그 외 |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 |
기타 |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
※둘러보기 :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Der mittlere Schützenpanzerwagen Sd.Kfz. 251 |
1. 개요2. 제원3. 상세4. 형식5. 파생형
5.1. 나치 독일
6. 미디어7. 모형8. 둘러보기5.1.1. Sd.Kfz. 251/15.1.2. Sd.Kfz. 251/25.1.3. Sd.Kfz 251/35.1.4. Sd.Kfz 251/45.1.5. Sd.Kfz 251/55.1.6. Sd.Kfz 251/65.1.7. Sd.Kfz 251/7-I5.1.8. Sd.Kfz 251/7-II5.1.9. Sd.Kfz 251/85.1.10. Sd.Kfz 251/8-II5.1.11. Sd.Kfz. 251/95.1.12. Sd.Kfz 251/105.1.13. Sd.Kfz 251/115.1.14. Sd.Kfz 251/125.1.15. Sd.Kfz 251/135.1.16. Sd.Kfz 251/145.1.17. Sd.Kfz 251/155.1.18. Sd.Kfz 251/165.1.19. Sd.Kfz 251/175.1.20. Sd.Kfz 251/18-I5.1.21. Sd.Kfz 251/195.1.22. Sd.Kfz 251/205.1.23. Sd.Kfz 251/215.1.24. Sd.Kfz 251/225.1.25. Sd.Kfz 251/23
5.2. 체코슬로바키아5.2.1. OT-810
1. 개요
Sd.Kfz. 251 기동 영상 |
2. 제원
베를린 운터 덴 린덴 거리의 Sd.Kfz. 251/1 A형, 1940년 1월 1일[1] | |
제원 | |
제식명 | mittlere Schützenpanzerwagen Sd.Kfz. 251 (Sonderkraftfahrzeug 251) |
형식번호 | Sd.Kfz.251 |
개발국가 | 나치 독일 |
개발기관 | 하노마크 |
생산기관 | 하노마크, Auto-Union, 아들러베르케, ČKD, 보르크바르트, 호르히 |
장갑 방호력 | 6~14.5mm[2] |
중량 | 7.91톤 |
전장 | 5.80m |
전폭 | 2.10m |
전고 | 1.75m |
승무원 | 2명 (단차장, 조종수) + 10명의 병력 수송 가능 |
엔진 | 마이바흐 HL 42 6실린더 휘발유 엔진 1기 (99hp) |
출력비 | 12.8 hp/t |
현가장치 | 리프스프링/토션 바 병용(하프트랙) |
항속거리 | 300km |
속도 | 최고 52.5km/h[3] |
무장 | MG34 or MG42 1정[4] |
3. 상세
하노마크라는 이름은 별칭이며, 공식적인 형식번호는 Der mittlere Schützenpanzerwagen Sd.Kfz. 251(특수목적차량 251 중형 보병장갑차[5])이다. 하노마크라고 하면 본 차량의 제조사보다 Sd.Kfz. 251 반궤도 장갑차를 떠올리는 편이다. 아카데미 과학의 프라모델 Sd.Kfz 251 키트 이름이 '독일 하노마그 장갑차'였던 것이 가장 큰 이유일 듯.[6]독특하게 전방의 차륜이 15도 이상 꺾일 경우 한쪽 궤도에도 제동을 걸어 선회하는 식인데 이는 케텐크라프트라트와 동일한 방식이다.[7]
동시기 미군이 운용한 M3 하프트랙과 많이 비교되곤 한다. 둘 다 보병 운송용 APC의 조상격이라 할 수 있으며, 아주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나온 것도 비슷하다. 방어력은 전체적으로 경사각이 심하고 약간 더 두꺼운 하노마크가 좀 더 우수한 편이다. 교리상으로 하노마크는 장갑차의 개념에 더 가깝고 미군의 하프트랙은 트럭의 연장선상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하노마크가 좀 더 전투적인 설계로 나왔기 때문이다.
M3은 앞바퀴에도 동력이 들어가는데 하노마크는 바퀴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순전히 조향에 도움을 주는 용도로만 쓰이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하노마크는 궤도만으로도 조향이 가능하다. 독일 특유의 겹치는 로드휠이 장착된 하노마크가 정비성이 더 떨어지지만 궤도의 길이가 길어 접지압은 좀 더 낮고, M3은 아예 통짜 고무 궤도를 장착하고 토션바가 아닌 외장형 서스펜션을 사용해서 마찬가지로 정비가 더 편하다. 마지막으로 하노마크는 생산량이 부족해서 대부분의 독일군은 대신 트럭이나 마차를 타고 진격했다. 미군이 M3 하프트랙을 대량 보급한 것과 대조적이다. 사실 2차 대전 참전국 전체 중에 완전한 차량 기계화를 달성한 군대는 미군뿐이었다.[8]
보병 수송칸 앞쪽에 부착된 포방패에 기관총[9]이 장착되어 있어 적군 보병에 대한 견제가 가능했다. 병사들의 견인 대전차포를 방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 보병 탑승구획 칸 위에 견인 대전차포를 올려서 사용하기도 했다. 이 아이디어는 개발자들에게 피드백되어 공장에서 견인 대전차포를 고정할 수 있는 부품이 부착되어 출고되었으며 아예 대전차포를 고정장비한 모델도 생산되었다. 그외에도 박격포나 대공포, 화염방사기 등 쓸만한 것들은 다 올려서 사용하였고 역시 이런 무기들을 고정장비한 모델이 나왔다. 상부를 장갑판으로 덮고 Sd.Kfz. 222의 20mm 포탑을 탑재한 정찰형 등 파생형이 많다.
Sd.Kfz. 251 초기형의 후방 탑승 해치 |
오픈탑 방식이므로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부 공격에 취약하고, 이 때문에 영화등에서 수류탄이 상부로 들어오는 연출도 나온다. 후기형에는 상부에 간이 지붕을 덮기도 했다. 장갑척탄병들도 자주 애용했다.[10]
전쟁초에는 경사장갑으로 날카롭고 강력한 인상을 주는 외형으로 제작되었으나, 애초에 장갑이 너무 얇아서 총탄 정도만 막아낼 수 있는 수준. 후기형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경사각은 그대로이지만 외형이 단순하게 변경되었다.
4. 형식
4.1. Sd.Kfz. 251 A형
Sd.Kfz. 251 A형 |
4.2. Sd.Kfz. 251 B형
Sd.Kfz. 251 B형 |
4.3. Sd.Kfz. 251 C형
Sd.Kfz. 251 C형 |
전면 장갑에 있던 공기 냉각 흡입구가 사라졌고, 양쪽에 있던 점검 문 2개가 삭제됐다. 또한 대량생산에 적합하게 보병 탑승칸의 해치 및 걸쇠와 경첩을 간단하게 디자인했다. 공구 및 잡다한 것을 넣을 수 있는 보관함 위치도 변경됐다.
전조등의 위치가 조금 옮겨졌으며, 기존에 있던 범퍼가 사라지고 대신 견인고리가 추가됐다. 1941년부터 생산됐고 1942년까지 약 1,200대가 생산됐다.
4.4. Sd.Kfz. 251 D형
Sd.Kfz. 251 D형 |
5. 파생형
Sd.Kfz 251에는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한다. 각 파생형은 제식명에 숫자를 붙여 구분한다. 아래에 설명된 것들 외에도 사소한 개량형이나 파생형도 많다.5.1. 나치 독일
5.1.1. Sd.Kfz. 251/1
Sd.Kfz. 251/1 |
Sd.Kfz 251/1-II "Stuka Zu Fuss"[11] |
내부 통신장비가 장착된 Sd.Kfz 251/1-I을 시작으로 개량이 가해지며 전쟁 후반에는 차체 측면에 280mm 구경의 로켓탄을 발사할 수 있는 '40형 로켓 발사기(Wurfrahmen 40)'를 장착한 개량형, Sd.Kfz 251/1-II도 등장했다. 아래쪽 사진의 장갑차도 바로 Sd.Kfz 251/1-II. 네벨베르퍼 같은 독립된 형태의 로켓포들에 비해선 기동력이 좋으니 로켓 발사 후 해당 지역에서 즉시 이탈, 대포병사격을 당할 일이 적어서 평이 좋았던 편. 슈투카 주 푸스(지상의 슈투카, Stuka zu Fuß) / 워킹 슈투카(Walking Stuka) 라는 별칭이 존재한다.
로켓 발사 장면[12] |
5.1.2. Sd.Kfz. 251/2
Sd.Kfz. 251/2 |
5.1.3. Sd.Kfz 251/3
Sd.Kfz 251/3 |
통신차량과 지휘차량으로 활동했다.
251/3 I FuG8, FuG5 무전기 장착.
251/3 II FuG8, FuG5 무전기 장착.
251/3 III FuG7, FuG1 무전기 장착.
251/3 IV FuG11, FuG12 무전기와 9m 높이의 원거리 통신용 마스트를 장착한 지휘용 차량이다.
251/3 V FuG11 무전기 장착.
5.1.4. Sd.Kfz 251/4
Sd.Kfz 251/4 |
5.1.5. Sd.Kfz 251/5
Sd.Kfz 251/3 |
5.1.6. Sd.Kfz 251/6
에니그마 암호기 장착형 지휘차량.5.1.7. Sd.Kfz 251/7-I
'Sd.Kfz 251/7-I" |
5.1.8. Sd.Kfz 251/7-II
Sdkfz 251/7-I 의 파생형으로 레이더가 달랐다.5.1.9. Sd.Kfz 251/8
Sd.kfz 251/8 "Krankenpanzerwagen" |
5.1.10. Sd.Kfz 251/8-II
Sd.Kfz 251/8과 동일하나 무전기만 다른 모델.5.1.11. Sd.Kfz. 251/9
Sd.Kfz. 251/9 |
5.1.12. Sd.Kfz 251/10
Sd.Kfz 251/10 |
5.1.13. Sd.Kfz 251/11
Sd.Kfz 251/11 |
5.1.14. Sd.Kfz 251/12
Sd.Kfz 251/12 |
5.1.15. Sd.Kfz 251/13
포병대용 음향차량. 이는 Sd.Kfz 251/14와 동일. 영어 위키에서는 251/13을 두고 'Sound recording carrier for artillery units' 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포병대 소속으로서 음성을 녹음하는 차량이라는 뜻이다.5.1.16. Sd.Kfz 251/14
포병대용 음향 녹음 차량. 다만 위의 251/13 문단에서 이야기했듯 영어 위키에서는 251/13과 251/14 간에도 구분이 돼있는데 251/14는 'Sound ranging carrier for artillery units' 라고 한다. 음성을 녹음하는 251/13과는 다르게 음원을 탐지하는 데에 쓰이도록 설계된 모양인데 어차피 251/13이든 251/14든 설계안에서 그쳤고 실제로 운용되지 않았으니 의미가 없다.5.1.17. Sd.Kfz 251/15
포병대용 포 섬광 관측차량.5.1.18. Sd.Kfz 251/16
Sd.Kfz 251/16 |
5.1.19. Sd.Kfz 251/17
Sd.Kfz 251/17 |
벌지 전투 때 총통척탄병여단, 제116 기갑사단이 운용하기도 했다.
5.1.20. Sd.Kfz 251/18-I
포병 관측 차량.251/18-Ia - 아직까지 차이점이 밝혀지지 않았다. 아마 서로 무전기가 달랐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251/18-II - 기갑부대의 관측차량.
251/18-IIa - 무전기를 개량시킨 차량.
5.1.21. Sd.Kfz 251/19
전화 교환 차량.5.1.22. Sd.Kfz 251/20
Sd.Kfz 251/20 |
1944년 후반부터 생산되었고, 60cm 크기의 적외선 탐조등은 1.5km 거리까지 빛을 비출 수 있었다. 이 차량을 운용하던 독일군은 '우후'(수리부엉이)란 별명을 붙여줬다. 적외선 탐조등이 장착된 판터 전차의 적외선 탐조등은 야간 작전 시 탐조등 크기가 작았기 때문에 작전 반경이 그리 넓지 않았다. 이 때 이 장갑차와 같이 작전을 할 시, 장갑차가 1km 너머까지 빛을 비출 수 있었기에 야간 작전 시 서로 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5.1.23. Sd.Kfz 251/21
Sd.Kfz 251/21 |
5.1.24. Sd.Kfz 251/22
Sd.Kfz 251/22 |
방어용 무기에 알맞게 위장이 용이하고, 기동성도 좋으며 전투에서도 대전차 자주포 역할을 훌륭히 해냈던 차량이다. 1944년 한 전투에선, 매복해서 IS-2 중전차의 측면을 공격해, 격파시킨 적도 있다.
다만 251 장갑차는 이 75mm 장포신 화포의 반동과 무게를 견디도록 설계된 것이 아니라서, 몇 발을 사격하면 장갑차의 기계나 부품이 고장나거나 이상을 일으키는 현상이 많았다. 주포 고저각은 -3 / 22°, 회전각은 왼쪽이 18°, 오른쪽이 19°였다. 포탄 최대 적재량은 22발이었으나, 너무 적은 수로 인해 보병탑승칸 구간에도 포탄을 추가적재해서 운용했다.
5.1.25. Sd.Kfz 251/23
Sd.Kfz 251/23 |
5.2. 체코슬로바키아
5.2.1. OT-810
OT-810 |
OT-810 기동 영상 |
전쟁 종전 후, 체코슬로바키아 공산군은 쓸만한 기갑차량이 없었기에 무엇이든 가져와서 사용하려 했다. 전쟁 당시 독일이 관리했던 스코다 공장 내에 Sd.kfz.250/251 장갑차 생산공장이 있었기에, 체코군은 이것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나치 독일이 세운 체코의 250/251 장갑차 생산공장은 두 곳이었는데, 믈라다볼레슬라프에 있는 스코다 자동차 공장이었고 또 하나는 코프르지브니체에 있는 타트라 회사였다. 체코군은 타트라 회사에 있던 251 생산공장은 HKL-6[14], 250 생산공장은 D-7[15]이라는 관리명을 부여했다. 그리고, 이 장갑차를 운용하던 체코군은 HKL-6을 부르기 쉽게 '하클(Hakl)'이라는 별명을 붙여줬다.[16] 이 독일제 장갑차의 체코슬로바키아군 제식명칭은 OPp3N(독일제, 3톤 반궤도 장갑차의 약자)이었다.[17] 주로 국경수비대와 차량화보병부대에 배치되었다. 1952년에는 몇 개의 차량들이 타트라 T-928-3 8기통 디젤 엔진으로 교체되기도 했다.
1951년에 체코슬로바키아군은 736대의 250/251 장갑차들을 운용하고 있었고,[18] 1957년에는 476대의 HKL-6p(Sd.kfz.251), 154대의 D-7p(Sd.kfz.250), 총합 630대를 운용하고 있었다.
체코 당국은 전쟁이 끝났어도 신형 무기들을 생산할 수 있다는 능력을 보여주기 위해, 여러 노력을 했는데 그 중 하나가 이 반궤도장갑차 자체생산이었다. 그래서 소련에게서 1948년도에 체코만의 신형 장갑차를 생산해도 좋다는 허가를 받아냈다.[19] OT-810의 개발은 1952년부터 시작되었다. 처음 개발안은, 이 구식 독일제 장갑차의 모습을 하나도 바꾸지 않고 본모습 그대로 생산하자는 거였는데, 1954년에 돌연 개발이 취소되었다. 1956년부터 다시 개발이 시작되었고, 프로토타입은 원본 독일제 251 장갑차와 비교하여 모습이 다르게 변형되었다. 대표적인 차이점은, 보병 탑승칸에 장갑화된 지붕이 설치되었다는 거였다. 프로토타입 / 프로토타입 2
프로토타입의 여러 디자인을 바꾸고 1958년~1959년동안 10대가 선행생산되었다. 1959년 말, 체코군은 OT-810[20]이라는 제식명으로 군에 제식채택했고, 1960년부터 슬로바키아에 있는 건설장비 전문 생산 공장인 PPS Detva에서 양산을 시작, 1962년까지 1,140대가 생산되었다. 기존에 체코군이 사용하던 Sd.kfz.250/251 장갑차는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판단, 1960년대 초~중반부터 퇴역하고 OT-810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내부 부품들은 OT-810이 사용할 수 있게 동류전환용으로 해체된 후 장갑차 껍데기는 용광로로 폐기처분되었다.[21] 알 수 없는 적은 수량만이 해외의 밀리터리 수집가나 영화 촬영용으로 팔려갔다.
OT-810 장갑차는 이 장비를 운용하는 체코군 사이에서 욕을 많이 먹었다. 보병 탑승 공간에 장갑화된 지붕이 설치되었지만, 차 높이는 원본 독일제와 똑같아서 내부 공간이 원본 독일제 251보다 더 비좁았으며, 조향 성능과 정비성도 나빴기 때문이다. 또한, 독일제를 본떠 만들었으므로 체코군 사이에선 이 장갑차를 '히틀러의 복수Hitlerova pomsta(히틀레로바 폼스타)'라는 별명을 붙이기도 했는데, 제식명 OT-810보다 이 별명이 더 유명하기도 했다. 총합 1,150대를 체코슬로바키아군이 운용했으며, 기계화보병, 차량화보병부대에 배치되었다. OT-62(BTR-50), OT-64 SKOT 장갑차가 도입되자, 구식 OT-810 장갑차는 점점 퇴역, 1980년대부터 완전히 퇴역해서 치장물자로 남겨두었다. 독일제 Sd.kfz.250/251 장갑차는 전쟁 당시 독일이 계속 사용해서 원본을 찾기 힘들었기 때문에, 치장물자로 남겨져 있던 OT-810 장갑차를 민수용으로 전쟁 영화 촬영용, 리인액트, 밀리터리 수집가들에게 민간불하 처리 방식으로 팔기 시작했고,[22] 체코슬로바키아군의 치장창고에 마지막 1대 남아있던 물량도 1995년에 팔렸다. 전쟁 영화 대부분에서 나오는 하노마크 장갑차는 OT-810이 대부분이다.
OT-810은 독일제와 차이점이 많이 있다.
중량 | 9톤 |
전장 | 5.71m |
전폭 | 2.19m |
전고 | 1.88m |
승무원 | 2명 (단차장, 조종수) + 10명의 병력 수송 가능 |
엔진 | 타트라 T-928-3 디젤 엔진(122 마력) |
현가장치 | 리프스프링/토션 바 병용(하프트랙) |
항속거리 | 600km |
속도 | 최고 60km/h |
무장 | Vz.59 혹은 SGMT 기관총 1정 |
2. 보병 탑승 구획에 총안구가 5개 추가되었다.(보병탑승문에 1개, 차체 양 옆에 각 2개) 보병은 이 총안구에 Vz.58을 거치하고 사격할 수 있다.
3. 기관총좌는 방탄판이 사라졌고 위치가 단차장 쪽으로 옮겨졌으며, 이제 차장이 해치를 열고 기관총을 직접 운용해야 한다. 핀틀 마운트에 소련제 SGMT 기관총 혹은 체코제 Vz.59 기관총을 장착할 수 있다.
4. 엔진을 타트라 T-928-3 8기통 디젤 엔진을 장착하여 항속거리가 독일제의 300km보다 최대 600km로 매우 향상되었고, 최고 속도도 60km/h로 향상되었다.
5. 차체 양 옆에 있던 공구 및 잡다한 것을 넣을 수 있는 수납함이 전부 사라졌다. 대신 몇 개의 수납함이 차체 내부에 추가되었다.
6. 장갑차 지휘형은 소련제 R-113 무전기가 추가됨. 이런 개량을 거친 덕에 무게는 9톤으로 늘어났다.
이 외엔 보기륜, 바퀴, 조향기기, 변속기 및 기타 부품들은 독일제 Sd.kfz.251의 부품을 그대로 유용했다.
1960년대에 개발된 OT-810D도 있다. 신규 생산되지 않았고 기존에 생산된 OT-810을 개량했는데, 얼마나 많은 수가 개량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OT-810D는 1959년에 개발된 Vz.59 82mm 무반동포를 장착한 대전차 자주포이다. # OT-810D는 운용 시, 포방패를 활짝 열어서 운용한다. 또한, # 이 사진에서 볼 수 있다시피, 장갑차에서 탈착하여, 차체 내부에 적재된 무반동포용 바퀴를 장착하고 지상에서 보병이 운용가능하다.
6. 미디어
Sd.Kfz. 251이 등장하는 미디어 모음 |
6.1. 영화/드라마
70~80년대 미국 전쟁영화에서는 오리지널 차량을 구하지 못해 미군의 M3 하프트랙에 판자를 덧붙인 레플리카 차량을 사용했지만[23], 동구권 개방 후 체코군이 대전 후에 독일군의 생산시설을 이용해 생산해서 사용하다 예비군용으로 비축했던 체코제 하노마크인 OT-810이 민간 시장에 풀리면서 밴드 오브 브라더스나 라이언 일병 구하기 등에는 제대로 된 외형의 하노마크가 등장할 수 있었다.6.1.1. 7중대는 어디있는가?
1973년 프랑스 고몽사에서 제작한 코믹전쟁물 "7중대는 어디있는가?" Mais où est donc passée la 7ème compagnie에서는 프랑스 침공 당시 프랑스군 낙오병들이 이 장갑차를 탈취해서 전선을 빠져나오는 스토리를 다룬다. 대한민국에서도 1980년대 주말의 명화시간에 방영해준 바 있다.6.1.2. 작전명 발키리
도입부의 북아프리카 전선 장면에서 등장한다.6.1.3. 밴드 오브 브라더스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서 등장한 독일 국방군 소속 Sd.Kfz. 251 |
6.1.4. 라이언 일병 구하기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등장한 독일 국방군 소속 Sd.Kfz. 251 |
6.1.5. 퓨리
퓨리에서 등장한 무장친위대 소속 Sd.Kfz. 251 |
이후 쭉 등장이 없다가 최후의 전투 이후 무장친위대가 생존자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배경에 잠깐 비춰진다.[24] 파생형들처럼 대전차포가 달린 것도 아니고 무장이 딸랑 MG34 한 정밖에 없는 형식이기에 퓨리와의 전투에는 투입되지 않은 듯 하다.
참고로 최후의 전투 초반에 무장친위대의 트럭 한 대[25]가 퓨리의 주포 사격에 의해 격파되는데, 워낙 빨리 지나가는 장면이라 많은 관객들이 해당 Sd.Kfz.251이 격파된 것으로 오해하였다는 일화가 있다. 사실은 위에서도 말했지만 전혀 다른 트럭.
6.2. 게임
6.2.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6.2.1.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국방군 진영이 기본형을 사용하며, 뮤니션을 들여 Sd.Kfz 251/16이나 Sd.Kfz 251/1-II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판엘은 기본형 한 가지만을 탄약보충차량으로 사용한다.6.2.1.2.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국방군 진영 역시 기본형을 사용하고, Sd.Kfz 251/16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진급하면 대보병 지뢰를 묻을 수 있고, 지휘관에 따라 대전차 지뢰도 매설 가능.서부전선군은 Sd.Kfz 251/20, Sd.Kfz 251/17, Sd.Kfz 251/1-II를 사용한다.
6.2.1.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에 등장한 독일 국방군 소속 Sd.Kfz. 251 |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에 등장한 독일 아프리카 군단 소속 Sd.Kfz. 251/1-II |
6.2.2. 워게임 시리즈
워게임: 유러피안 에스컬레이션과 워게임: 에어랜드 배틀,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 체코슬로바키아제 OT-810이 등장한다.6.2.3. 스틸 디비전 시리즈
워게임 시리즈의 2차대전 버전인 스디 시리즈에도 등장한다.독일 정예 사단 기갑척탄병들의 탈것으로 등장하며 화염방사나 대전차소총, 대전차포, 대공기관포, 다연장로켓 등 다양한 버전을 쓸 수 있다.
조금 어중간한 기갑척탄병 사단들은 이것도 타지 못하고 트럭만 타고 다닌다.
7. 모형
7.1. 프라모델
아카데미의 1/35 하노마그(Sd.Kfz. 251/1) 키트 |
니토 과학의 1/35 Sd.Kfz. 251/1 키트 |
7.2. 브릭
레고 제품에서도 나온 적이 있다. 레고 파라오 퀘스트 시리즈 중 하나인 '스콜피언 피라미드'에 소형 하노마크가 들어있다.[27] 2차 세계대전 느낌의 기관총과 장총은 덤(...).8.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루마니아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루마니아 왕국군의 기갑차량 | ||||
<colbgcolor=#ce1126> 장갑차 | Sd.Kfz. 222, OA. vz. 27, OA. vz. 30, SPW ușor, SPW mijlociu, Şeniletă Malaxa tipul, T-20, AB40/41, BA-10, BA-3-2, CKD Praga TN SPE 34/TN SPE 37 | ||||
전차 | <colbgcolor=#ce1126> 경전차 | 르노 FT, 르노 R35, T-60, T-26BC, T-26SC, R-1, R-2, R-2a, R-2c, T-37A, T-38, BT-7C, 톨디 경전차C, 7TP | |||
중형전차 | T-3, T-4, T-5, C.L.T 34C, T-34-85, R-3, V-8-H, M3 중형C | ||||
중전차 | KV-1C, 6호 전차 티거C, IS-2C | ||||
대전차자주포/구축전차 | TACAM T-60C/M, TACAM R-2M, TACAM T-38M, R35 대전차자주포M, 마레샬 구축전차C/M, 헤처C | ||||
돌격포 | TAs T-3, 43M 즈리니C | ||||
차량 | Sd.Kfz. 8, Sd.Kfz. 11 | ||||
※ 윗첨자C: 노획차량 ※ 윗첨자M 자국생산 및 개조형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루마니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의 불가리아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2e8b57,#74d09d> 제2차 세계 대전 불가리아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Sdkfz221, Хорх M.222 и M.223, Sd.Kfz. 232, Sd.Kfz. 250, Sd.Kfz. 251G/S, AB 41S, Sd.Kfz. 260/261S | |||||
전차 | <colcolor=#2e8b57,#74d09d> 탱켓 | "Ансалдо-Фиат"/"Ансалдо" | ||||
경전차 | Рено, 호치키스 H35, Викерс, , T-11 Шкода, Прага, 1호 전차 | |||||
중(中)형전차 | 소뮤아 S35, Майбах T-IV GG, Майбах T-IV HS/G, 5호 전차 판터S, T-34-85S, ВенгерS, T-34-85S | |||||
구축전차 | 헤처S, 4호 구축전차S, 4호 구축전차 70구경장S | |||||
돌격포 | Майбах T-III, StuH 42, stormovo orvdie Maybach T-IVS, | |||||
자주포 | 세모벤테 L40 47/32S, 훔멜 자주포S, 베스페S | |||||
자주대공포 | 40M 님로드S | |||||
차량 | 퀴벨바겐, R-75, 오펠 블리츠 | |||||
노획차량 | SU-76M, T-34-76, M.2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윗첨자S: 소련군으로부터 구입한/공여받은 차량 윗첨자G: 나치 독일으로부터 구입한/공여받은 차량 ※둘러보기 : 불가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헝가리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헝가리 왕국군의 기갑차량 | ||||
전차 | 경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35M 안살도, 37M 안살도, TKS, C2P, 르노 UE, 1호 전차, 38M 톨디, 42M 톨디 II, 42M 톨디 IIA, 43M 톨디 III, T-38, 호치키스 H35, 호치키스 H39, V-3, V-4 | |||
중형전차 | 40M 투란, 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 소뮤아 S35 | ||||
중전차 | 44M 타스, 6호 전차 티거 | ||||
노획전차 | T-27, T-34-76, T-34-85, T-28, T-70, T-26S, BT-7, BA-6, T-20 콤소몰레츠, M3 스튜어트, M3 리 | ||||
장갑차 | 39/40M 처버, AB41 | ||||
자주포 | AHD, 마르더 II, 톨디 판셀바다즈 | ||||
돌격포 | 43M 즈리니 II, 44M 즈리니 I, 3호 돌격포 | ||||
구축전차 | 헤처 | ||||
차량 | 38M 보톤드, 오펠 블리츠, Kfz 70, 37M | ||||
자주대공포 | 40M 님로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헝가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efefe,#c0392b>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의 기갑차량 | ||
전간기 차량 | 피우수트스키 장갑차, 포드 Tf-c, 오스틴-푸틸로프O, 제프리-포플라프코O, 가포드-푸틸로프O, 에르하르트 E-V/4O, 피어리스O, 피아트-이조르스키O, 푸조O, 카든 로이드 Mk.VIO, 르노 FTO, 르노 M26/27O, 르노 NC-27O, 피아트 3000O | ||
전차 | <colbgcolor=#fefefe,#c0392b> 탱켓 | TK-3, TKF, TKS | |
경전차 | 7TP, 빅커스 Mk. EO, 르노 FTO, 르노 R35O, 호치키스 H35O | ||
프로토타입 | TK-1, TK-2, TKW, TKS-B, PZInż.160, 4TP, 9TP, 10TP, PZInż.130 | ||
페이퍼플랜 | 13TP, 14TP, 53TP | ||
장갑차 | 경장갑차 | 푸조 장갑차O, Wz.28, Wz.34 | |
중장갑차 | Wz.29 우르수스 | ||
대전차 자주포 | TKS-D | ||
자주포 | TKD | ||
군용차량 | 모터사이클 | MOJ 130, 소쿠우 200, 소쿠우 600, 소쿠우 1000, 포드코바 98 | |
차량 | CWS T1, PF-508 와지크, PF-518 마주르, PF-508/518, 라플리 V15RO, 르노 AGKO, PF-618 그롬, Wz.34 하프트랙, 라틸 FB6O | ||
군용트럭 | PF-621L, PF-621R, 우르수스 A, 프라가 RVO, 베를리에 CBAO, 쉐보레 157 | ||
견인차 | PZInż.302, C2P, C4P, C7P, 시트로엥-케그레스 B2 10CVO, 시트로엥-케그레스 C6 P14/17/19O | ||
자유 폴란드군 장비 | 르노 FT, 르노 R35, 르노 R40, A13 Mk.III, 마틸다 I, 크롬웰, 크루세이더, 처칠, M3A3 스튜어트, 셔먼 I, 셔먼 IIA, 셔먼 IB, 셔먼 III, 셔먼 V, 셔먼 VC, 셔먼 IC, Mk.I 아처, 유니버설 캐리어, M3 하프트랙, 험버 장갑차, M6 스태그하운드, 모리스-커머셜 LRC, AEC 도체스터 ACV, M10 GMC, 3호 전차G형O, 4호 전차O | ||
폴란드 인민군 장비 | T-34-76O / T-34-85O, T-70O, IS-2O, BA-20O, 윌리스 MBO, BA-64O, M4A2 (76)O, BA-64, SU-57O, SU-76MO, SU-85O, ISU-122O, ISU-152O, 유니버설 캐리어O, M17 MGMCO | ||
폴란드 국내군 장비 | 쿠부시, Sd.Kfz. 251 D형O, BA-20MO, BA-202(r)O, M14/41O, 헤처O, 4호 전차H형O, 5호 전차 판터O, 6호 전차 티거O | ||
※ 윗첨자O: 타국에서 구매, 공여 및 노획 |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크로아티아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5b2c6f> 제2차 세계 대전 크로아티아군의 기갑장비 | ||||
전차 | <colbgcolor=#5b2c6f> 탱켓 | TK-3, L3/33, L3/35 | |||
경전차 | 르노 FT, 르노 R35, 호치키스 H39, L6/40, 1호 전차 B형 | ||||
중형전차 | M14/41, 3호 전차 N형, 4호 전차 F1형, 4호 전차 G형, 4호 전차 H형, 38(t) 포탑 장착 M15/42 | ||||
노획 전차 | T-34 1941년형 | ||||
자주포 | 세모벤테 47/40 | ||||
돌격포 | 3호 돌격포 G형 | ||||
장갑차 | AB 41, AB 41 'Ferroviaria', Partizanska Oklopna Vozila, 1호 전차 포탑 장착 로렌 37L, Sd.Kfz. 251, Sd.Kfz. 221 | ||||
기타 차량 | 오펠 블리츠 A, 퀴벨바겐, 쉬빔바겐, BMW R-75, C2P, 윌리스 MB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크로아티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및 파르티잔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AEC Mk.II | ||||
전차 | 탱켓 | Брза борна кола T-32 | |||
경전차 | 르노 FT, M.28, 르노 R35,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 ||||
중(中)형전차 | T-34-85 | ||||
대전차자주포 | SO-75 M-3A3 | ||||
자주대공포 | M3A3 스튜어트 20mm 플라크피어링38 대공포 장착형 | ||||
자주포 | M8 "캐딜락" | ||||
노획 및 개조차량 | L3/35, L6/40, 소뮤아 S35, SO-57, 3호 전차, 38(t) 경구축전차 헤쳐, Pz.Kpfw. T-34 747(r) "판터", 4호 전차, 3호 돌격포 G형, Sd.Kfz. 251, 40M 투란, PaK38 탑재 Sd.Kfz. 250, AB 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슬라비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자유 프랑스군 기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color=#001489> 제2차 세계 대전 자유 프랑스군의 기갑차량 | ||||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 | ||||
경전차 | H35/H39, 르노 R35 | ||||
랜드리스 | 브렌건 캐리어, 크루세이더 Mk.II, 크루세이더 Mk.III, 밸런타인 Mk.IV, 센토어 Mk.VII, M3A3 스튜어트, M5 스튜어트, M2, M2A1, M3, M3A1, M5, M5A1, M9, M9A1 하프트랙, M8 그레이하운드, M20 스카웃 카, M4A2, M4A3, M4A3(76), M4A3E8, M4A1, M4A4, M8 스콧, M4 (105), M4A3 (105), M10 GMC, M7 프리스트, M36 GMC, M24 채피 | ||||
노획차량 | Sd.Kfz. 251, 4호 전차, 3호 돌격포, 마르더, 헤처, 4호 구축전차, 야크트판터,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 티거 2, B1 bis, S35, Skoda 76,2mm 치하, 하고, 치로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제2차 세계 대전의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군(RSI)의 기갑장비 | |||||
장갑차 | 차륜 장갑차 | <colbgcolor=#fefefe,#393b42>AB 41 | ||||
반궤도 장갑차 | Sd.Kfz. 251C | |||||
전차 | 경전차 | L3/33, L3/35, L3/35 Lf, L6/40 | ||||
중형전차 | M.13/40, M.14/41, M.15/42 | |||||
자주포/대전차 자주포 | 세모벤테 L40 47/32, 세모벤테 M42 75/18, 세모벤테 M42 75/42, 세모벤테 M43 105/25 | |||||
페이퍼플랜/프로젝트 | P.44P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윗첨자C: 나치 독일로부터 수입/공여 받은 차량 윗첨자P: 라이센스 생산 프로젝트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기갑차량 | }}} }}}}}}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1457e>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1954~1990)의 기갑차량 | ||||
기타 전차 | T-36, LT-38/37, T-40/75, IS-2, | ||||
MBT | <colcolor=#373a3c><colbgcolor=#11457e> 1세대 | T-54(A/AM/AR Reika), T-55(A/AM1 · M1B/AM2 Dyna-1 · M2B/AMB) | |||
2세대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OT-64 SKOT (A/C), OT-65, BRDM-2 | |||
궤도장갑차 | OT-810, BPzV, OT-62(A/B/Vydra), BVP-1 · OT-90, BVP-2 | ||||
차량 | 소형 | 스코다 1101 VO, UAZ-469 | |||
트럭 | 타트라 148 · T-813 · T-815, 스코다 6L · RSO · 706, 프라가 V3S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ST-II, ShKH vz.77 Dana, 2S1 Karafiát, 2S7 Pivonka | |||
자주박격포 | 2S4 튤판 | ||||
대전차 자주포 | ST-I, ST-III, SD 75/40N, SD-100, TSD-152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Vz.53/59 PLDvK, STROP-(1/2)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PLRK S-1M2, PLRK S-10M, 9K33(M2/M3) 오사 | ||||
다연장로켓 | BM-24, RM vz. 70 | ||||
※ 이텔릭체: 외산차량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장비 | }}}}}}}}} |
냉전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유고슬라비아 국군 (1945~1951) 유고슬라비아 인민군 (1951~1992) Jugoslovenska Narodna Armija / Jугословенска Народна Армиjа | ||||
기타전차 | 경전차 | M3A1 스튜어트, M3A3 스튜어트, PT-76B | |||
중형전차 | 3호 전차C, 4호 전차C, T-34-85M, T-34BM, Vozilo-AX, M4A3E4 | ||||
MBT | 1세대 | T-54A, T-55(A/AI), M47 패튼 | |||
3세대 | T-72M, M-84(A/AB/ABN), M-90/91 | ||||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 M-100, BTR-152, BTR-60, BRDM-2, OT TAB-71, BOV | |||
궤도장갑차 | Sd.Kfz. 251, OT M-5, MT-LB, OT M-60(P/PB), BTR-50, BVP M-80(A/A1) | ||||
차량 | 소형 | 피아트 1101 · 1107, 핀츠가우어 | |||
트럭 | TAM-110 · 150 · 260 · 4500 · 5000, FAP 2026 · 2832, ZiL-131 · 157, MAZ-537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Kadilak, SO-105, 2S1, NORA B-52 | |||
대전차 자주포 | SO-75C, SO-75 M-3A3M, M-44, SO-76M, SO-76 Helkat, SO-90 "Dżecksons", M36B1, SO-122X | ||||
대공차량 | 자주대공포 | M15 CGMC, ZSU-57-2, M53/59, BOV-3, BOV-30X, SPAT 30/2 | |||
단거리 대공미사일 | 9K31 스트렐라-1, M-90 Sava, RL-2 프락카M | ||||
다연장로켓 | M-63 플라멘, M-77 오간, M-87 오르칸 | ||||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 윗첨자X: 프로토타입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유고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 ||||
기타전차 | <colbgcolor=#fefefe,#191919>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 ||||
전차 | 경전차 | 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 |||
공수전차 | M551 셰리든 | ||||
주력전차 | 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 |||
궤도장갑차 | 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 ||||
차량 | 소형 | 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 |||
트럭 | ZIS-150C, 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 |||
자주박격포 | M125, M106 | ||||
대전차 자주포 |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 ||||
대공 차량 | 자주 대공포 | 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미군의 운용장비 | 호주군의 운용장비 | 뉴질랜드군의 운용장비 | 남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태국군의 운용장비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라오스군의 운용장비 | 대한민국 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기갑차량 | }}} }}}}}} |
현대 덴마크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40000> 덴마크 방위군 (1945~현재) Forsvaret | ||||
기타전차 | M4A3E4R, 3호 전차 N형R, mKPz T-34/85MP/R | ||||
MBT | <colbgcolor=#a40000> 1세대 | 센추리온 Mk.(3, 5/2)DKR | |||
2세대 | 레오파르트 1(A3/A5)-DKR | ||||
3세대 | 레오파르트 2A5-DKR | ||||
3.5세대 | 레오파르트 2A7-DK | ||||
경전차 | M24 채피R, M41 DK-1M/R | ||||
장갑차 | 차륜장갑차 | M6 모세가이스R, 피라냐 III(C/H)/V, XA-185L, ISS 쿠거 6×6L | |||
궤도장갑차 | M3A1 하프트랙R, M5 하프트랙R, IKK CV9035-DK, PMV M113(A1/G3) · PMNK M/92 M113A2M, 아르마딜로*, Sd.Kfz. 251/1 D형R | ||||
차량 | 오토바이 | BMW F650GS · R850RT, 가와사키 KLR650, KTM 450 EXC | |||
소형 | M151R, 디펜더R, Spejdervogn M/95 (이글 I/IV), 겔란데바겐 G240 U/270 · 280 CDI/300 EOD, 험비L, 수파캇 HMT400 | ||||
트럭 | Magirus Deutz 주피터R, 벤츠 유니목 404 · 416 · L1550, RMMV HX77 · SX45 · 8.135 · 13.192 · 18.225 · 27.314 · 26.372 · 25.322 · 27.314 · 40.400 · 35.460 · 41.372 · 41.480 모바크 DURO-III | ||||
자주포 | 자주곡사포 | SKH M109(G/A3-DK)R, | |||
자주박격포 | M106A1R, M125A1R, 카돔 10 | ||||
대전차 자주포 | Panserjæger M10 "Achilles"R | ||||
대공 차량 | 자주대공포 | GMC M45, | |||
다연장로켓 | M270A1 MLRSR, PULS | ||||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L: 리스한 차량 ※ 윗첨자P: 기증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 *: 테스트용으로 운용 중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현대 기갑차량 | }}} }}}}}} |
기갑차량 둘러보기 | ||
대전기(1914~1945) | 냉전기(1945~1991) | 현대전(1991~) |
[1] 왼쪽의 건물은 베를린 구 박물관이고, 오른쪽의 건물은 베를린 돔이다.[2] 요약해서 보병용 소총탄만 방호 가능.[3] 후진속도는 11km/h[4] 보병 탑승용 해치 상단에도 핀틀 마운트가 있어 기관총을 1정 더 장착할 수 있으나, 방탄판이 없어서 위험하여 잘 쓰이진 않았다.[5] Schützen은 독일어로 사격수, 보병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Panzerwagen은 장갑차를 의미하는 단어이다.[6] "하노마그"는 제조사인 "하노버 자동차회사"의 독일어 표기 HANOMAG의 영어식 발음으로, 독일어로 발음하면 '하노마크' 내지 '하노마흐'. 당연히 특정 차량의 이름이 될 수는 없으나, 이 키트가 카피한 일본측 메이커들에서 그렇게 표기하고 있다보니 이를 따른 것. 이 때문에 일본의 모형 메이커에서 멋대로 붙인 별명들까지 공식 명칭인 줄 알고 그대로 알려지기도 했다.[7] 2차 대전 무렵만 해도 한쪽 궤도를 정지시키고 다른 궤도만 돌려서 선회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 경우 선회반경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는데 대부분의 현대 전차들은 양쪽 궤도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제자리 선회가 가능하지만 2차 대전 무렵 독일의 경우 6호 전차 티거나 5호 전차 판터의 경우 제자리 선회가 가능했지만 구동장치에 무리가 심했고 무엇보다 궤도가 벗겨져 기동능력이 무력화될 수 있었기에 잘 쓰지 않았다. 단 동시기 영국군의 크롬웰과 처칠 전차는 제자리 선회에 아무 문제가 없었으며 이보다 한참 앞선 프랑스군의 르노 B1의 경우 포가 차체에 고정되여 제자리 선회 없이는 제대로 사격조차 할 수 없는 방식이었지만 구동계에 무리가 없을 정도로 제자리 선회 능력이 우수했다. 즉 독일이 관련 기술이 부족했던 것이다.[8] 사실 영국군이나, 코사크를 비롯한 기마민족이 편성된 기병대를 제외한 소련군도 차량/기계화를 거의 달성했지만 미국의 압도적인 공업 생산력이 없었으면 턱도 없었을 것이 자명하므로 사실상 미국 혼자라 봐도 무방하다.[9] MG34가 기본이었으나, 전쟁 후기엔 소수의 장갑차가 MG42도 장착했었다.[10] MP40의 총열 아래에는 돌기가 있는데, 이 돌기가 하노마크 장갑차에서 외부로 사격할 때 거치하여 사용하기 편하도록 붙인 것이다.[11] 부르프라멘 40을 장착한 사양으로써 일명 "지상의 슈투카"라는 별명으로 불렸다.[12] 2분 부터 부르프라멘 40의 발사장면이 나온다.[13] 전차메카니즘 도감 240p.[14] HKL-6의 뜻은 6호 하코 공장이다. 하코HAKO라는 뜻은, 체코어로 '하노마그 코프르지브니체Hanomag Kopřivnice'에서 따왔다.(독일어가 아니므로 하노마크가 아닌 마그이다.) 코프르지브니체라는 도시가 있는데, 여기에 체코의 유명 자동차/트럭 회사 타트라가 있다. 나치 독일은 이 타트라 공장에도 Sd.kfz. 250/251 장갑차 생산공장을 지었기 때문에 체코는 이 이름을 그대로 썼다.[15] D의 약자는 Sd.kfz.250을 개발한 독일 회사 '디마크Demag' 에서 따왔다.[16] Sd.kfz. 250은 크랏키 하클krátký hakl, 작은 하클이란 별명이 있었다. 하클은 험비처럼 발음에서 따온 애칭이므로 단어 뜻은 없다.[17] 실제로는 8톤정도 되는 장갑차이다.[18] 거의 대부분이 251 계열이었다.[19] 그래서 체코는 소련의 BTR-152, BTR-40 장갑차를 수입하지 않았다.[20] Obrněný transportér 오브르녜니 트란스포테르. 보병수송장갑차라는 뜻이다.[21] 원래 군용물자는 퇴역하면 치장물자로 변경돼서 창고에 보관되나, 250/251 장갑차는 1960년대 기준으로 시대에 너무 뒤떨어졌다 판단하여 치장물자로 등록하지 않고 폐기처분을 바로 했다.[22] 체코에선 민간으로 불하되어, 운전석과 보병탑승칸을 아예 제거하고 큰 창문이 있는 큰 운전석과 집게를 탑재한 고철 작업용 집게 차량으로 사용했다.#[23] 사실 판자라도 붙이면 다행이었지, 그냥 철십자만 그리고 나오는 경우가 대다수였다.[24] 정확하게 말하자면 전차 밑에 숨어있는 노먼의 시선에서 궤도 부분이 비춰진다.[25] 사족이지만 이 트럭은 전후 생산된 헝가리제 트럭으로, 굳이 따지자면 2차 세계대전을 다루는 이 영화에 등장하는 것은 고증오류가 된다.[26] 독일 돌격부대라는 명칭으로 인형만 별매 키트로 출시되었고 아카데미가 아닌 제일과학에서 카피하였다. 타미야의 인형 시리즈 중에서도 유독 박진감 넘치는 포즈를 하고 있는데, 일설에는 루팡3세 시리즈로 유명한 애니메이터인 오오쓰카 야스오가 참여해서라는 설이 있다.[27] 케텐크라트 같이 생겼다는 평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