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41e42> | 롯데 자이언츠 관련 문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구단 기본 정보 |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모기업 | ||
구단 | 롯데 자이언츠 | 롯데 자이언츠 2군 | |||
롯데 자이언트(실업 시절) | ||||
프런트 | 선수단 | ||||
경기장 | 1군 메인 사직 야구장(재건축) 과거 | |||
1군 보조 울산 문수 야구장(1호 기록) 과거 마산 야구장 | ||||
2군 상동 야구장 | ||||
현재 시즌 | 2025 시즌(8월) | |||
구단 역사 정보 | ||||
통합 역사 | 역사 | |||
우승 | 1984년 한국시리즈(V1) 1992년 한국시리즈(V2) | |||
암흑기 | 암흑기(8888577, 5788, 7A78877) | |||
선수단 | 역대 선수 | 프랜차이즈 스타 | 역대 등번호 | 역대 필승조 | |||
영구 결번 | 11 최동원 | 10 이대호 | |||
기타 | 역대 기록 | 역대 신인드래프트 | |||
구단 세부 정보 | 특징 | 팀 컬러 | 유니폼(얼터너티브) | ||
라이벌리 | 상대 전적 | |||
vs vs vs vs vs | ||||
지역 연고 학교 | 개성고 | 경남고 | 부경고 | 부산고 | 부산공고 | 부산정보고 | | |||
팬덤 관련 정보 | 유튜브 | Giants TV(자티비) | ||
응원 | 응원단장 | 응원단 | 응원도구 | 마스코트 | |||
선수 응원가 | 팀 응원가 | 마! | 부산 갈매기 | 돌아와요 부산항에 | ||||
팬덤 | 유명 자이언츠 팬 |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 | 갈매기 마당 | 샤다라빠 | 오롯이 | 꼴리건 | | |||
기담 | 팀 관련 | 엘롯기 | 엘롯한 | 두엘롯 | 한롯기 | 헬로키티 | 기롯삼한 | 조류동맹 | 야구는 경상도 | ||
선수 관련 | 로나쌩 클럽 | 비갈 | 금테안경 | 턱거돼 | 마무리 브레이커 | |||
성적 관련 | 기세 | 8치올 | 봄데 | 데이비슨의 저주 | |||
라인업 관련 | 이왕기름넣을거 최대성능으로 가득염 | 족까고마 | 롯데시네마 | 남두오성 | 홍대갈 | 2010년 롯데 전설의 라인업 | 박트리오 | 나나랜드 | 구최김 | 유돈노 | 윤나고황 | 롯데 육상부 | |||
매직 | 로이스터 매직 | 아로요 매직 | |||
기타 | 여담 | 이야깃거리 | ||
사건 사고 | 논란 및 사건사고 (경기 관련 | 팬 관련 | 선수 관련 | 구단 관련) | |||
작품 | 죽어도 자이언츠 | 나는 갈매기 | 1984 최동원 | 꼴데툰 | |||
주관 대회 | 롯데기 야구대회 | 전국 명문고 야구열전 | |||
틀 문서 | ||||
역대 구단주 | 역대 대표이사 | 역대 단장 | 역대 감독 | 역대 2군 감독 | 역대 주장 | 영구 결번 | 역대 외국인 선수 | 역대 응원단장 | 역대 시즌 | 역대 1차 지명 선수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역대 지명 선수 | 역대 은퇴식 | 개막전 선발 투수 | 프런트 | 코칭 스태프 | 선수단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유니폼 | 응원단 | 마스코트 | 선수 통산 기록 일지 | 선수 플레이 스타일 |
1. 개요
울산 문수 야구장 개장 이후 기록들을 정리한 문서.2. 원정팀별 첫 정규 경기
정규시즌 기준이며, 시범경기는 다음해 2015년 3월 17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다.- 삼성 라이온즈 : 2014년 4월 4일
- KIA 타이거즈 : 2014년 5월 23일
- 한화 이글스 : 2014년 8월 19일
- NC 다이노스[1] : 2015년 7월 21일
- 두산 베어스 : 2015년 8월 4일
- kt wiz : 2015년 9월 1일
- LG 트윈스 : 2016년 5월 25일[2]
- 키움 히어로즈[3] : 2018년 4월 10일
- SSG 랜더스[4] : 2018년 9월 6일
3. 1호 기록
이 야구장의 프로야구 페넌트레이스 첫 경기는 2014년 4월 4일, 삼성 라이온즈 VS 롯데 자이언츠 시즌 1차전이다.- 첫 경기(對 삼성 라이온즈) 선발 엔트리
삼성 라이온즈 | 롯데 자이언츠 | ||||
타순 | 선수명 | 포지션 | 타순 | 선수명 | 포지션 |
1 | 정형식 | CF | 1 | 이우민 | CF |
2 | 나바로 | 2B | 2 | 김문호 | LF |
3 | 채태인 | 1B | 3 | 손아섭 | RF |
4 | 최형우 | LF | 4 | 최준석 | DH |
5 | 박석민 | 3B | 5 | 박종윤 | 1B |
6 | 이승엽 | DH | 6 | 강민호 | C |
7 | 박한이 | RF | 7 | 황재균 | 3B |
8 | 이정식 | C | 8 | 문규현 | SS |
9 | 김상수 | SS | 9 | 정훈 | 2B |
SP | 윤성환 | SP | 옥스프링 |
- 1호 심판: 주심 최수원, 1루심 박종철, 2루심 이기중, 3루심 임채섭
- 1호 좌석매진: 2014년 4월 4일, 삼성 라이온즈 VS 롯데 자이언츠
- 1호 승리팀: 롯데 자이언츠
- 1호 패전팀: 삼성 라이온즈
- 1호 무승부 경기: 2017년 7월 20일 對 삼성 라이온즈 전[5]
- 1호 연장 경기: 2015년 9월 1일 對 kt wiz 전[6]
- 1호 우천취소: 2014년 8월 20일 한화 이글스 VS 롯데 자이언츠 - 2014년 10월 12일 사직 경기로 재편성
- 1호 콜드게임: 없음
- 1호 1루타: 1회초 채태인
- 1호 2루타: 2회말 황재균. 1호 결승타
- 1호 3루타: 3회말 손아섭
- 1호 홈런, 1호 2점 홈런: 2014년 4월 5일 2회초 이승엽 2점 홈런(상대 투수: 유먼)
- 1호 솔로홈런: 2014년 5월 25일 3회초 나지완(상대 투수: 이상화)
- 1호 3점 홈런: 2014년 4월 6일 3회초 채태인(상대 투수: 송승준)[8]
- 1호 만루홈런: 2015년 7월 23일 1회초 조영훈(상대 투수: 심수창)[9]
- 1호 타점: 2회말 황재균. 1호 결승타
- 1호 득점: 2회말 박종윤
- 1호 희생타
- 1호 끝내기: 2015년 7월 21일 9회말 김주현 밀어내기 볼넷
- 1호 투수교체: 7회초 무사 옥스프링 → 이명우
- 1호 대타: 7회말 전준우
- 1호 대타 안타: 7회말 전준우
- 1호 대주자: 8회말 백민기, 강민호 대신 투입
- 1호 대수비: 9회초 신본기, 용덕한
- 1호 도루: 2014년 5월 25일 7회초 안치홍
- 1호 승리투수: 크리스 옥스프링 - 6이닝 0자책 3피안타 3사사구 3삼진
- 1호 홀드: 2014년 5월 23일 김승회 ⅔이닝 1자책 2피안타 2사사구
- 1호 세이브: 김성배 - ⅓이닝 0자책 1피안타 0사사구 0삼진
- 1호 패전투수: 윤성환 - 6이닝 4자책 6피안타 3사사구 3삼진
- 1호 병살타: 1회초 야마이코 나바로
- 1호 삼중살: 2024년 8월 4일 정보근
- 1호 아웃카운트: 1회초 정형식, 야마이코 나바로의 병살타에 의함
- 1호 삼진: 2회초 옥스프링 → 이승엽
- 1호 스트라이크아웃 낫아웃: 4회초 옥스프링 →︎ 이승엽
- 1호 삼자범퇴: 3회초 정형식 - 나바로 - 채태인
- 1호 범타
- 1호 내야 땅볼아웃: 1회초 나바로 1호 병살타
- 1호 직선타아웃: 5회말 김문호
- 1호 외야 플라이아웃: 1회초 최형우
- 1호 내야 플라이아웃(인필드 플라이): 8회말 최준석
- 1호 파울플라이 아웃: 2회말 문규현
- 1호 볼넷: 1회초 정형식 1호 출루
- 1호 몸에 맞는 볼: 3회말 윤성환 → 김문호
- 1호 견제사: 전준우
- 1호 도루자: 2014년 4월 5일 5회말 박종윤
- 1호 실책: 2014년 5월 24일 타자 강민호 → 3루수 이범호
- 1호 폭투: 2회말 윤성환 → 황재균. 폭투로 1루주자 박종윤 2루까지 진루.
- 1호 주루사: 5회말 이승화
- 1호 벤치클리어링: 없음
- 1호 선수퇴장: 2017년 6월 10일 5회초 오재원
- 1호 감독퇴장: 없음
- 1호 비디오 판독: 2014년 4월 5일 2회초 이승엽 - 홈런
- 1호 TV 중계: MBC SPORTS+, 캐스터 정병문 해설 양상문
- 1호 시구자: 2014년 4월 4일 삼성 라이온즈전 울산시 야구협회 이인옥 회장
- 1호 홈팀 위닝 시리즈: VS 삼성 라이온즈(2014년 4월 4일 ~ 2014년 4월 6일)
- 1호 홈팀 2연전 스윕: VS kt wiz(2015년 9월 1일 ~ 2015년 9월 2일)
- 1호 홈팀 3연전 스윕:
- 1호 원정팀 위닝 시리즈: VS KIA 타이거즈(2014년 5월 23일 ~ 2014년 5월 25일)
- 1호 원정팀 3연전 스윕:
[1] 이후 NC 다이노스는 예기치 못한 사고로 인해 울산 문수 야구장을 임시구장으로 사용하게 되면서 롯데 자이언츠와 같이 한 구장에서 홈과 원정 경기를 같이 해본 팀이 된다.[2] 원래 전날인 5월 24일로 예정이었지만 우천취소된 관계로 다음날 5월 25일로 미뤄졌다.[3] 그 당시에는 넥센 히어로즈였으며, 키움 히어로즈라는 이름의 첫 경기는 2019년 8월 7일이다. 원래 전날인 8월 6일로 예정이었지만 태풍 프란시스코로 인해 우천취소가 되어 미뤄졌다.[4] 그 당시에는 SK 와이번스였으며, SSG 랜더스라는 이름으로는 롯데 원정을 줄곧 사직에서만 치렀다.[5] 사실 손아섭 홈런타구 오심이 있었는데, 이 오심만 아니었으면 롯데가 이길 경기였다.[6] 이날 10회말까지 경기[7] 2024년 8월 2일 경기가 KBO 리그 사상 최초로 폭염으로 취소되었다. 인조 잔디이다 보니 32~33도 폭염 수준에도 그리운드의 열기가 50도 정도까지 올라가서 경기를 못 할 수준이었다고 한다.[8] 채태인도 결국 롯데로 오긴 했으나 2014년에는 삼성 소속이었다.[9] 롯데가 후공이라 1호 안타들은 먼저 공격하는 상대팀이 달성할 일이 더 많은 건 사실이다. 특히나 1회초 허용 기록은 타자로써는 어떻게 할 방법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