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00:56:54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신라-왜 전쟁
, 신라구
, 신라-일본 관계
,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4a2d5b,#0e0f37>전쟁·정벌우군세력교전세력
신라-가야 전쟁 <colbgcolor=#4a2d5b,#0e0f37> ,황산진구 전투,
,77,
- 가야
,마두성 전투,
,94,
- 가야
,황산하 전투,
,115,
- 가야
,포상팔국 전쟁,
,209,
안라국 포상팔국 연맹
신라-왜 전쟁
,(신라의 일본침공사례),
,364 ~ 404
(291 ~ 720)
,
고구려 가야, 백제, 왜국
신라-우산국 전투
,512,
- 우산국
이와이의 난
,527,
규슈 긴키
독성산성 전투
,548,
백제 고구려
신라의 한강 유역 점령
,551,
백제, 가야 고구려
관산성 전투
,554,
- 백제, 가야, 왜국
가야멸망전
,562,
- 가야, 백제, 왜국
아막성 전투
,602,
- 백제
북한산성 전투
,603,
- 고구려
가잠성 전투
,611,
- 백제
가잠성 전투
,618,
- 백제
가잠성 전투
,628,
- 백제
칠중성 전투
,638,
- 고구려
대야성 전투
,642,
- 백제
황산벌 전투
,660,
- 백제
백제멸망전
,660,
당나라 백제
칠중성 전투
,660,
- 고구려
북한산성 전투
,661,
- 고구려, 말갈
과천 전투
,662,
- 고구려
백강 전투
,663,
당나라 백제 부흥군, 왜국
사천 전투
,668,
- 고구려
평양성 전투
,668,
당나라 고구려
나당 전쟁
,670 ~ 676,
석문 전투
,673,
고구려 부흥군 당나라
호로와 왕봉 전투
,673,
- 당나라
칠중성 전투
,675,
- 당나라
매소성 전투
,675,
- 당나라
기벌포 전투
,676,
- 당나라
발해-당 전쟁
,732~733,
당나라 발해
김헌창의 난
,822,
- 장안국
달벌대전
,839,
- 청해진, 김우징
신라구의 일본 침입
,811 ~ 936,
- 일본
후삼국 통일 전쟁
,889 ~ 936 ,
원종ㆍ애노의 난
,889,
- 원종애노
대야성 전투
,901,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16,
- 후백제
대야성 전투
,920,
- 후백제
서라벌 기습
,927,
고려 후백제
고창전투
,930,
후백제 고려
운주성 전투
,934,
고려 후백제
}}}}}}}}}||


파일:일본 황실.svg파일:투명.png일본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전근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시대 전쟁·전투 교전 세력
고훈 시대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291년~720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신라-왜 전쟁
364년~404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아스카 시대 이와이의 난
527년
규슈 왜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관산성 전투
554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가야멸망전
562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백강 전투
663년
파일:신라 상징 초승달(삼국사기 및 대구신문 기반 창작).svg 신라
파일:tang_fel2.jpg
가마쿠라 막부 원나라의 1차 일본원정
1274년
파일:원나라 국기.jpg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원나라의 2차 일본원정
1281년
파일:원나라 국기.jpg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무로마치 막부 1차 대마도 정벌
1389년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2차 대마도 정벌
1396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3차 대마도 정벌
1419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임진왜란
1592년~1598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파일:명나라 보.svg
에도 막부 사쓰마의 류큐 침공
1609년
파일:류큐 왕국 국장.svg 류큐 왕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년·1864년
파일:미국 국기(1863-1865).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사쓰에이 전쟁
1863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근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시대 전쟁·전투 교전 세력
메이지 시대 대만 출병
1874년
파일:청나라 국기.svg 대만 원주민
운요호 사건
1875년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동학 농민 혁명
1894년
파일:척왜양창의.svg 동학농민군
청일전쟁
1894년~1895년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의화단 운동
1899년~1901년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러일전쟁
1904년~1905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제국
남대문 전투
1907년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남한 대토벌 작전
1909년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호남계 의병
다이쇼 시대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1918년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일본의 시베리아 개입
1918년~1925년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삼둔자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봉오동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청산리 전투
1920년
파일:1280px-Korea_Independence_Army_Marching_Flag.svg.png 대한독립군
쇼와 시대 만주사변
1931년~1932년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봉천군벌
영릉가 전투
1932년
한중연합군
파일:조선혁명군 군기.png 조선혁명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의용군
쌍성보 전투
1932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열하사변
1933년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경박호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사도하자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흥경성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조선혁명군 군기.png 조선혁명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의용군
동경성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대전자령 전투
1933년
한중연합군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국 호로군
중일전쟁
1937년~1945년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소련-일본 국경분쟁
1932년~1939년
하산 호 전투
1938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할힌골 전투
1939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1945년
태평양 전쟁
1941년~1945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자치령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자치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소련-일본 전쟁
1945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40–1945).svg 몽골 인민 공화국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현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이승만 라인 분쟁
1952년~1965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년~1956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라제즈드노이호 사건
1953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독도 대첩
1954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년~2011년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파일:투명.png파일:바트당 당기.svg 후세인 정권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일관계 관련 문서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역사칠지도 · 신라-왜 전쟁 ·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 · 신라의 일본 침공 사례 · 한국 역사상 일본을 공격한 사례 · 가야멸망전 · 백제부흥운동 · 백강 전투 · 원나라의 일본원정 · 왜구 · 대마도 정벌 · 계해약조 · 삼포왜란 · 을묘왜변 · 사량진 왜변 · 임진왜란 · 조선통신사 · 기유약조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조규 · 조일통상장정 · 주한일본공사관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동학 농민 혁명 · 갑오사변 · 을미사변 · 톈진 조약 · 제물포 조약 · 한성조약 · 제1차 한일협약 · 청일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 을미사변 · 니시-로젠 협정 · 영일동맹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러일전쟁 · 포츠머스 조약 · 을미의병 · 을사의병 · 정미의병 · 대한제국 군대해산 · 남한 대토벌 작전 · 을사조약 · 한일의정서 · 기유각서 · 한일약정각서 · 정미 7조약 · 간도협약 · 한일병합조약 · 일제강점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 조선총독부 · 3.1운동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독립군 · 한인애국단 · 한국광복군 · 국가총동원법 · 일본군 위안부 · 8.15 광복
사건사고
미군정우키시마호 사건
이승만 정부6.25 전쟁 · 다이호마루 사건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독도 대첩 · 재일교포 북송 ·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 평화선
박정희 정부6.3 항쟁 · 김대중 납치 사건
문민정부시노하라 사건 · 조선총독부 철거
국민의 정부신오쿠보역 승객 추락사고
참여정부갑신왜란
이명박 정부 2010년 삼일절 사이버 전쟁 · 대한항공 A380 독도 시범비행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독도 방문 ·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천황 사과 요구
박근혜 정부한국의 강제징용공 사진 날조 사건 · 한국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한 WTO 분쟁 · 아베 신조 한국 비하 발언 논란 · 도미타 나오야 카메라 절도 사건 · 일본 축구부 단체 절도 사건
문재인 정부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 저공 위협비행 사건 · 제주 국제관함식 자위대 욱일기 논란 · 김포공항 일본 공무원 난동 사건 · 한일 무역 분쟁 ·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 · 홍대거리 일본 여행객 폭행 사건 · 대한민국 해경 일본 측량선 저지 사건 · 2020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사이트 독도 및 쿠릴열도 표기 논란 · 주한 일본 공사 한국 대통령 비하 발언 논란 · 2020 도쿄 올림픽 한국 선수단 현수막 논란
윤석열 정부한-일 정상 약식회담 논란 · 2022년 일본 국제 관함식 욱일기 대함경례 논란 · 일본안보전략 독도영유권주장 · 윤석열 대통령 삼일절 기념사 논란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네이버 지분 매각 압박 논란
외교한일관계 (2020년대) · 한일안보협력 · 한일수교 ·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한국-대만-일본 관계 · 한일동맹 · 주일본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일본대사관 · 한일기본조약 · 독도 밀약 · 전두환 대통령 일본국 공식 방문 · 일본 대중문화 개방 · 6자회담 · 고노 담화 · 무라야마 담화 · 고이즈미 담화 · 간 담화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 21세기의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을 위한 행동계획 · 한일공동이공계학부유학 ·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2015년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합의 · 한일 군사정보포괄보호협정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문재인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일외교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한국기업 대납안 · 2023년 한일정상회담 (3월·5월)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교통 한일 해저터널 · 한일 사전입국심사(검토중) · 항공편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항공편 · 선박편
기타한국군 vs 자위대 · 한일전 · 혐한/일본 · 반일/대한민국 · 일본/과거사 청산 문제 · 사죄와 배상을 요구한다 · 독도 · 평화의 소녀상 · 동해/명칭 문제 · 토착왜구 · 친일파 · 친일반민족행위자 · 친일몰이 · 반일씹덕 · 일본의 한류 · 일본을 공격한다 · 일본 극우사관 · 예스 재팬 세대 · 자코타 삼각지대 · 오키나와 리그 }}}}}}}}}

1. 개요2. 목록
2.1. 삼국시대
2.1.1. 신라의 일본 정벌 관련 기록들(명석포 침공과 서일본 침공)
2.1.1.1. 의문점
2.2. 남북국시대
2.2.1. 백제유민의 미야자키현 점거 및 신라의 미야자키현 침공 기록2.2.2. 통일신라의 서일본 침공 기록2.2.3. 신라구(신라 해적)의 일본 약탈
3. 신라의 일본 침공 루트는?4. 기타 기록들
4.1. 실성 마립간 시기 신라의 대마도 공격시도와 왜병 격퇴4.2. 일본이 구메 황자를 총대장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시도한 기록4.3. 성덕왕 시기 신라의 일본군 격퇴4.4. 일본을 침공한 전설의 존재 신라 장수 진륜(塵輪)의 기록4.5. 긴메이 덴노 시절 일본 침공
5. 같이 보기

1. 개요

국내에서는 대개 신라왜구들한테 자주 시달렸다거나 반대로 신라구일본을 약탈했다고 주로 알려져 있다. 역으로 일본 측 역사서들을 확인해 보면 신라구와 별개로 신라가 정규군을 이끌고 일본을 침공한 기록도 상당히 많이 발견되는 편이다.

다만 신라의 정규군들이 왜국을 침공하였다는 일본 측의 기록들은 신라구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이 한국 측 사서인 삼국사기 등에서는 확인이 되지 않고 한국 측 기록에서는 거의 조선시대 이후 기록들[1]에서부터 등장하기 때문에 실제 있었던 일인지는 현재로서는 확실하게 알 수 없는 것들이 대다수다. 반대로, 신라측 사서에 등장하는 일본 해군의 침입이나, 일본 해적들의 약탈 기록들도 일본측 사서에는 제대로 실려있지 않다. 오늘날과 달리 민관이 혼용되어 뱃사람들이 해적이 되기도 하고, 해군이 되기도 하고, 무역상이 되기도 하는 난잡했던 전근대 시대의 특성상, 양쪽 국가의 사서에 제대로 실리지 않은 수많은 민관의 무력 행위들이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런 경우는 공문서에도 제대로 다뤄지지 않아, 대부분 피해국의 입장에서만 서술되었을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신라구의 사례처럼 한국 측에서는 해당 기록이 전무하지만 일본 측 사서들에서 꾸준히 확인이 되는 사례들이 실제로 있으므로, 좀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왜냐하면 삼국사기가 삼국통일로부터 500여년이 지난 시대인 고려시대 중기인 1145년에 편찬된 역사서이고, 그 이전의 신라의 공문서와 역사적인 사료들이 후삼국시대[2] 고려-거란 전쟁, 여몽전쟁 등을 거치면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제왕운기, 삼국사절요에 인용된 부분들을 제외하면 거의 대부분 사라졌기 때문에[3] 기록이 남지 않은 부분들이 실제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기록들에서는 누락된 부분들이 일본 기록들에서는 사실로 증명된 경우들도 고당회의, 사비회의, 백제 성왕의 최후 등 몇몇 사례들이 이미 존재한다.

2. 목록

2.1. 삼국시대

2.1.1. 신라의 일본 정벌 관련 기록들(명석포 침공과 서일본 침공)

을묘년 신라 유례왕 12년, 고구려 봉상왕 4년, 백제 책계왕 10년(진 혜제 원강 5년, 서기 295년)

봄 계림이 왜를 정벌하려 했으나 이루지 못하였다.

신라 왕이, 왜인이 자주 침범하고 백성을 편안히 살지 못하게 함을 분히 여겨, 백제와 함께 동시에 바다를 건너 왜국에 들어가 칠 것을 도모하니, 서불한(舒弗邯) 홍권(弘權, ? ~ ?)이 간하기를, “우리 나라 사람이 수전(水戰)에 익숙하지 못하여 험난을 무릅쓰고 원정(遠征)하면 생각지 않은 위험이 있을까 두려운데, 하물며 백제는 속임수가 많고 항상 병탄할 욕심을 가지고 있음에리까? 더불어 도모할 수 없습니다.”하니, 왕이 좋은 말로 여겼다.
【안】 동명(東溟) 김세렴(金世濂, 1593 ~ 1646)의 《해사록(海槎錄)》에는,

“일본은 극동에 멀리 떨어져 있고 사면이 큰 바다로 둘려 있어, 외국의 군사가 들어갈 수가 없다. 단지 그 연대기(年代記)를 보면, 왜황 응신(應神) 22년에 신라 군사가 명석포(明石浦)에 들어왔다고 되어 있는데, 명석포대판(大阪)에서 겨우 1백 리 떨어져 있다. 적간관(赤間關)의 동쪽에 한 구롱(丘隴)이 있는데, 왜인이 이를 가리켜 ‘이것이 백마(白馬墳)인데, 신라 군사가 일본에 깊이 쳐들어오니, 일본이 화친하고 군사를 풀어 주기를 청하여 백마(白馬)를 죽여서 맹세한 뒤에 말을 이곳에다 묻었다.’ 한다.” 하였다. 상고하건대, 응신 12년[22년] 신해가 바로 유례왕 8년에 해당되니, 이 해와는 조금 차이가 있으나 대개 같은 때의 사건인데, 東史(동사)에는 보이지 않는 것은 글이 빠진 것이다.

– 유례왕 8년 신해는 서력 291년임, 신해년은 응신 22년임
안정복 동사강목 제2상
계묘년 신라 진평왕 5년, 고구려 평원왕 25년, 백제 위덕왕 30년(진(陳) 후주(後主=진숙보) 지덕(至德) 원년, 583)

2월 신라가 왜(倭)의 서변(西邊)을 토벌하였다. 왜사에서 보충
【안】 《해동기(海東記)》에는,

“왜황(倭皇) 민달(敏達) 12년 계묘(癸卯)에 신라가 서변을 토벌하였다.” – (진평왕 5년, 서력으로 583년임)

고 적혔으나 신라와 백제가 왜와 접경하여 그 환(患)을 자주 입었는데 교빙과 정벌에 대하여는 사적(史籍)에 드물어서, 바다를 건너서 왜국을 정벌하였다는 일은 듣지 못하였다. 왜사(倭史) 《연대기(年代記)》에는, “응신천황(應神天皇)이 신라의 유례왕(儒禮王) 때를 당하여, 신라 군사가 명석포(明石浦)에 와서 흰 말을 죽여 맹서를 받아 간 일이 있었는데 지금도 그 나라 적간관(赤間關) 동쪽에 백마총(白馬塚)이 있다.” 하고, 또 “신라가 토벌하여 온 일이 두어 곳이[번] 있었다.” 적혔으나, 우리 역사에는 전하여지지 않는다. 지금 동래(東萊)의 절영도(絶影島)에 태종대(太宗臺)가 있는데 속전(俗傳)하기를 ‘신라의 태종(太宗)대마도(對馬島)를 토벌할 때 주필(駐蹕)하였던 곳’이라 한다. 신라는 조그마한 한 구석진 땅이로되, 육지로는 능히 고구려와 백제에 대적하고, 바다로는 왜국을 정벌하였으니, 그 병력의 웅대함이 삼국을 통일할 만한 것임을 생각할 수 있겠다. 후세에 해동의 온 땅덩어리가 섬나라 오랑캐[島夷]들에게 곤욕을 당한 것은 반드시 까닭이 있을 것이다. 위정자(爲政者=정치인)들은 의당 그 방어책을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안정복 동사강목 제3상
정사년(광해 9, 1617) 10월 18일(기묘)

일본은 아득하게 하늘 동쪽에 있어 사방이 큰 바다이므로 외국 군사가 들어가지 않았다. 다만 그들의 ‘연대기’를 보니, 소위 ‘응신천황(應神天皇) 22년[서력 291년]에 신국(新國) 군사가 왔다.’ 하였고, 딴 본(本)에도, ‘신라 군사가 명석포(明石浦)에 들어왔다.’ 했다. 명석포는 대판까지 겨우 1백여 리다. 적간관(赤間關) 동쪽에 구롱(丘壟) 하나가 있는데, 왜인들이 가리키면서, ‘이것이 백마분(白馬墳)이라는 것인데, 신라 군사가 일본에 깊이 들어왔으므로 일본 사람이 화친하기를 청하여 백마를 잡아 맹세하고 말을 여기에다 묻은 까닭이다.’ 하였다. 이세(李稅)의 일을 추적(追跡)해 알았으나 밀교(密敎 임금의 비밀 전교(傳敎))에 관계된 것이므로 별도로 계초(啓草 계본(啓本)의 초고)를 만들고 여기에다 다시 갖추어 기재하지 않는다.

日本邈在天東。四面大海。外兵不入。但見其年代記。其所謂應神之二十二年。新國兵軍來。一本則曰。新羅兵入明石浦。石浦距大坂纔百有餘里。赤間關之東有一丘壟。倭人指之曰。此是白馬墳。新羅兵深入日本。日本人請和解兵。刑白馬以盟。埋馬於此故云。跟尋李稅之事。係是密敎。故別具啓草。不復具載於此。
부상록(扶桑錄) [석문(石門) 이경직(李景稷)] (조선 광해 9년에 에도막부를 방문한 통사관 이경직이 당시 열람한 일본 비장 도서의 하나인 '일본연대기'를 부상록에 옮김)
시(詩)

우리 역사를 보다가 느낌이 있어 악부체를 본떠 읊다[觀東史有感 效樂府體]

백마총행(白馬塚行) 동명(東溟) 김세렴(金世濂)의 사상록(槎上錄)에 이르기를, “일본의 연대기(年代記)를 보면, ‘왜황(倭皇) 응신(應神) 22년에 신라 군대가 명석포(明石浦)에 들어오니 대판(大阪)과의 거리가 겨우 1백 리 정도였다.’라 하였다. 적간관(赤間關) 동쪽에 무덤이 하나 있는데 왜인들이 그 곳을 가리키며 말하기를 ‘저기가 바로 백마(白馬)의 무덤인데, 신라 군대가 쳐들어왔을 때 일본 사람들이 화의를 청하여 군대를 풀고 백마를 잡아 맹약한 후 그 말을 저 곳에 묻었다.’고 한다.” 하였고, 보한재(保閑齋) 신숙주(申叔舟)의 해동제국기(海東諸國記)에 의하면, 응신 22년은 신라 유리왕(儒理王) 8년[유례왕 8년이 맞음]에 해당하고, 중국으로는 진(晉)의 혜제(惠帝) 원강(元康) 원년이 되는 해[서력 291년]인데, 그 사실이 동사(東史)에는 실려 있지 않다. 해동기(海東記)에 의하면, 달민천황(達敏天皇) 계묘년[서력 583년]에 신라가 서비(西鄙)를 쳐들어왔다고 되어 있는데, 그 해는 신라 진평왕 5년에 해당하고, 또 원정천황(元正天皇) 경신년에도 신라가 서비를 쳐들어왔다고 했는데, 그 때는 신라 성덕왕 19년[서력 720년]이지만 그 사실이 이 동사에는 다 빠지고 없다. 지금 동래(東萊) 바다 절영도(絶影島)에 옛 진지가 있는데, 세상에 전해 오는 말로 신라 태종이 왜국을 정벌할 때 쌓은 것이라 하여, 이에 태종대(太宗臺)라고 불린다.
일본 지역에 백마총이 있는데 / 白馬塚在日域
왜인들이 대를 이어 그 무덤을 손질하며 하는 말이 / 倭人世世勤封築
옛날에 신라 왕이 쳐들어 올 때 / 謂昔羅王憤侵軼
수만 명 정병이 바다에 떠 밀려오니 / 精兵數萬浮海伐
물귀신도 뒤로 주춤 해신(海神)도 길을 비켜 / 馮夷淪易海若奔
큰 바다 동쪽에는 거칠 것이 없었다네 / 大海以東無涯藩
용 깃발을 휘날리고 타고를 울리면서 / 揚龍旆擊鼉鼓
선발대가 곧바로 명석포를 공격하니 / 前茅直擣明石浦
왜왕이 겁에 질려 화친을 청하고는 / 倭王失色事和親
짐승 잡아 맹세 쓰고 신명께 고하였네 / 刑牲載書告明神
그 후로는 오랜 기간 바다가 조용했고 / 從此鯨波久不涌
천고의 유적으로 저 무덤이 남았다네 / 千古勝蹟留遺塚
그 옛날 진터가 절영도에도 있는데 / 絶影又有古壘寨
이것이 태종대라고 뒷사람들 말을 하지 / 後人說是太宗臺
총알만한 신라 땅 한쪽에 있었으면서 / 彈丸羅地在一隅
장하여라 병력이 어찌 그리 강했던가 / 猗歟兵力何壯哉
어쩌다가 후세 들어 옛날과는 정반대로 / 歸來後世事反古
우리 나라 전역이 적의 침략 늘 당하고 / 大東全地受侵侮
지금도 해상에는 허구 많은 공갈배가 / 至今海上多虛喝
제 욕심 채우려고 해마다 손 벌린다네 / 穀帛年年充其欲
생각하면 그리 된 것 까닭이 왜 없겠는가 / 靜思其故豈無因
서생이 부질없이 국경을 안정시킬 계책 짜본다네 / 書生謾有安邊策
안정복 / 순암선생문집 제1권
변어전고(邊圉典故) /서쪽 변방[西邊]

○ 보충. 일본 신응(神應) 22년[서력 291년]에 신라의 군사가 명석포(明石浦)에 들어가니, 대판(大板)과의 거리가 1백 리라, 일본이 화친하고 군사를 풀어달라고 애걸하며 흰 말을 잡아서 맹서하였다. 호원(胡元)이 크게 군사를 동원하였으나 겨우 일기도(一岐島)에 이르러 마침내 크게 패했으니, 역대로 깊이 쳐들어가 왜인에게 이긴 나라는 오직 신라뿐이었다. - 신경준(申景濬) 《여암고(旅菴藁)》
이긍익 / 연려실기술 별집 제18권
병전 兵戰 /여몽정벌(麗蒙征伐)

응신 22년(291)에 신라의 군사가 대판(大阪 오오사까)에서 1백 리 떨어진 명석포(明石浦 아까시[明石])까지 깊이 들어오니, 일본이 강화하고 적간관(赤間關) 동쪽 땅에서 백마(白馬)를 죽여 맹약(盟約)하였는데, 지금도 그 백마총(白馬塚)이 있다. 흠명(欽命 540~571)[4] 때에 신라가 일본을 치고 임나를 멸망시켰다.
이덕무 / 《청장관전서》 제65권 1793년 저.
일본은 멀리 하늘 동쪽에 있고, 사면이 큰 바다이므로, 다른 나라의 군사가 침입하지 못한다. 다만 그들의 《연대기(年代記)》를 보면, ‘이른바 응신(應神 응신 왜왕을 일컬음) 22년[5]에 신라(新羅) 군사가 명석포(明石浦)에 들어왔다.’ 하였는데, 명석포는 대판(大坂)에서 겨우 1백 리 떨어져 있다. 적간관(赤間關) 동편에 큰 무덤 하나가 있는데, 왜인이 이를 가리켜 말하기를, ‘이는 백마분(白馬墳)인데, 신라 군사가 깊이 들어오니, 일본 사람이 화호(和好)를 청하여 군사를 해산하고, 흰 말을 베어서 맹세하고, 여기에 말을 묻었다.’ 한다.
김세렴(金世濂)[6] / 《해사록(海槎錄)》/문견잡록(聞見雜錄)
일본 응신천황 22년(서기 291년), 신라 군사가 명석포에 들어가니 (대판)과 거리가 백 리였으므로 일본이 화친하고 군사를 풀어 달라고 애원하여 백마를 잡아서 맹세하였다. 호원이 크게 군대를 일으켰으나 겨우 일기도(一岐島)에 이르러 마침내 크게 패하였으니 역대로 깊이 쳐들어가 왜인에게 이긴 나라는 오직 신라뿐이었다.

昔百濟臨政太子。乘舟入日本。都周防州。號大內殿。傳四十七世而絶。其從者之裔。代襲其土。都安藝州。卽秀吉驍將輝元之祖也。余竊以臨政爲王子豐。豊甞質於日本。百濟亡。百濟宗室。迎立爲王。豐乞師於日本以拒唐。及敗不知所之。是必與倭俱東也。方蘓烈以十三萬兵。杖鉞而來合新羅。共滅百濟。而豊以覆巢餘卵。嬰孤城而號咷。其亡不日。誰肯與之同其禍乎。然而白江之敗。血戰四合。海水盡赤。倭船焚者。四百餘艘。其不焚而逃者。不知幾艘。其致兵何其多也。其得死心。又何以至此也。百濟六百五十年之間。倭寇史無一見。至其亡救不得。則以王子歸。分土存祀。此不可謂只以利結也。新羅昔于老。儐倭使言曰。早晩以汝王爲塩奴。王妃爲爨婢。此戱耳。而侮之則深也。于老以是爲倭所焚。而于老之妻。又焚殺倭使以復讎。羅人之易倭可知。日本神應之二十二年。新羅兵入明石浦。浦距大阪纔百里。日本人乞和解兵。刑白馬以盟。今赤間關之東。有白馬墳云。日本環以重溟。外兵莫加。胡元大擧。廑至日歧島而卒大敗。歷代能深入取勝者。惟新羅而已。
신경준/旅菴遺稿(여암유고)卷之三/ 序 /送使之日本序(송사지일본서)
"진 원강(元康) 원년 신라병이 일본을 공격하매[여], 깊이 명석포에 들어왔다."
- 일본 에도 막부 초기에 쓰여진 "이칭일본전(異稱日本傳)"[7]

1617년 2차 조선통신사였던 이경직이 확인한 일본의 역사서(기록)인 '연대기(年代記)'[8]일본 국학의 시조격인 ‘마쓰시타 겐린(松下見林)’이 저술한 ‘이칭일본전(異稱日本傳)'[9] 그리고 1471년에 그 당시 일본에서 전래된 문헌들을 참고하여 신숙주가 간행한 해동기(海東記)와 1636년 4차 조선통신사였던 김세렴이 저술한 해사록, 또 그 해사록을 인용한 동사강목(東史綱目) 등에는 유례 이사금 시절 신라가 왜국의 대판(大阪) 근방인 명석포까지 공격 하였으며, 그 이후 진흥왕, 진평왕 시절에도 일본을 공격하였고 또한 태종 무열왕 시절에는 신라가 일본의 대마도를 공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남북국시대인 성덕왕 시절에 또 다시 현재의 미야자키현과 일본의 서쪽 변방을 신라가 718년과 720년에 각각 한 번씩 총 두 차례 공격 하였다는 기록들이 나온다.

이들 기록을 보면 조선이 고대 일본을 어떻게 인식하였는지 살펴볼 수 있다는 소수의견도 있다. 즉, 과거 한반도 국가들이 고대 일본에 우월적인 위치를 가졌던 것으로 상정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조선시대 학자들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임나일본부설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으며 (정확히는 일본 측의 기록에 등장하니 아예 근거가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는 견해였다.) 위에 등장하는 신라의 일본 침공 기록들도 뚜렷한 의도가 있다기보다는 단순히 일본 사서에 등장하는 기록인만큼 단순 인용만 하였을 뿐이다. 딱히 해당 기록들만을 통해서 당대 조선 지식인들이 과거 한반도 국가들이 고대 일본보다 우월하였다고 인식하는 태도는 확인되지 않는다.[10]
즉위 12년(295년)에 유례왕은 왜국 원정을 결심하고, 신하들에게 물었다.
"왜인들이 자주 우리의 성읍을 침범하여 백성들이 편하게 살 수 없으니 내 생각엔 백제와 더불어 일시에 바다를 건너 왜국으로 쳐들어가는 것이 어떠한가?"
이에 서불한 홍권(弘權)이 만류하였다.
"우리는 수전에 익숙지 못한데 모험을 무름쓰고 바다를 건너 원정하면 예기치 못한 변을 당할까 우려되며, 하물며 백제는 거짓이 많고 항상 우리를 삼키려는 마음이 있으니 백제와 일을 도모하는 것은 곤란합니다."
이에 유례왕은 왜국 원정을 그만두었다.

삼국사기 유례 이사금
295년, 왜의 침략이 늘어나자 한 말. 하지만 물을 건너 멀리 가야 한다는 점과 백제가 배신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결국 포기한다.

반면 《삼국사기》에서의 기록은 위의 기록처럼 유례 이사금이 왜국 원정을 시작하기도 전에 그만두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가 침공을 시도한 시기도 295년으로 일본측에서 기록한 291년의 침공 시점과 약 4년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또한 진흥왕, 진평왕과 태종 무열왕 그리고 남북국시대 성덕왕의 일본 본토 공격에 대한 기록들이 나오지 않고 있어서 기록상 서로 차이가 있다. 물론 291년의 침공과 295년의 침공시도를 별개로 본다면 291년에는 어떤 상황인지 몰라도 실제 침공에 성공하였지만 295년의 침공시도는 여러 문제점들 때문에 결국 포기 했다고도 설명 할 수 있다. 하지만 관련 기록들이 너무 부족하여 정확한 상황은 파악 할 수가 없다.
엽전(葉田)의 위수궁(葦守宮)에서 머무름 / 어우별(御友別)의 형제자손에게 길비국을 나누어 줌

경인(10일)에 다시 엽전(葉田;하다노) [葉田은 하다(簸娜)라고 읽는다.]의 위수궁(葦守宮;아시모리노미야)으로 가서 머물렀다. 이때 어우별이 찾아와 그의 형제 자손으로 하여금 선부로서 (천황)식사를 위해 봉사하도록 하였다. 천황은 어우별이 삼가 공손히 받드는 것을 보고 기뻐하는 마음을 가졌다. 그래서 길비국을 나눠서 그 자손 등에게 주었다. 즉 천도현(川嶋縣;카하시마노아가타)을 나눠서 큰 아들 도속별(稻速別;이나하야와케)에게 주었다. 그가 하도신(下道臣;시모츠미치노오미)의 시조다. 다음으로 상도현(上道縣;가미츠미치노아가타)을 둘째 아들 중언(仲彥;나카츠히코)에게 주었다. 그가 상도신(上道臣;가미츠미치노오미)과 향옥신(香屋臣;카야노오미)의 시조다. 다음으로 삼야현(三野縣;미노노아가타)을 제언(弟彥;오토히코)에게 주었다. 이가 삼야신(三野臣;미노노오미)의 시조다. 또 파구예현(波區藝縣;하쿠기노아가타)을 어우별의 동생 압별(鴨別;가모와케)에게 주었다. 이가 입신(笠臣;가사노오미)의 시조다. 그리고 원현(苑縣;소노노아가타)을 그의 형 포응별(浦凝別;우라코리와케)에게 주었다. 이가 원신(苑臣;소노노오미)의 시조다. 다음으로 직부(織部;하토리베)를 형원(兄媛;에히메)에게 하사했다. 이로 인해 그 자손이 아직 길비국에 살고 있다. 이것이 그 연유이다.
(웅신 22년) 291년 9월 10일 원문

일본서기 응신(應神) 22년(서기 291년) 조에, 갑자기 등장한 어우별(御友別) 세력에게 응신왜왕이 여섯 현을 떼어주었다는 기록이 유례 이사금 시절 신라가 일본을 침공했다는 기록과 모종의 연관이 있는 것 아니냐는 의견 또한 존재한다.

파일:20210726_082018.jpg
파일:20210726_082057.jpg

단, 조선측의 기록에서 보이는 원전을 보면 응신(應神)덴노 때가 아닌 비다쓰(敏達)덴노 때와 스이코(推古)덴노 때의 기사로 나오며 연대기(年代記)가 아니라 연대력(年代歷)이라고 한다. (사진의 출전은 年代歷과 八幡宇佐宮御託宣集이다.)

2.1.1.1. 의문점
위의 사료에서는 명석포 침공 당시 백마의 목을 베어 화의한 대상이 신라로 되어있는데 반해 임수간의 동사일기에서는 백마의 목을 베어 화의한 대상이 백제라고 되어있고 조명체의 봉사일본시문견록에서는 고려로 되어있다. 이러한 기술로 미루어보아 전승에 혼란이 있었을 수 있고 봉사일본시문견록에서 신라가 아니라 고려로 되어있는 것이 주목되는데, 1274년부터 있었던 여몽연합군의 일본 침공과 관련이 있지 않을까 추측해 볼 수 있다.

백마(白馬墳)이 있었다는 지역에서 백마분이 현재 확인이되지 않으며 고대의 사서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이 발견되지 않는다. 그들이 본 백마분의 실체가 무엇이였는 지는 현재로서는 불분명하다. 일단 ‘제2회 조선통신사‘ 오윤경의 종사관으로 일본에 갔던 이경직은 자신의 책인 '부상록(扶桑錄)'에서 "그 말을 묻은 백마분을 아카마노세키(赤間關: 적간관) 동쪽의 구릉에 썼다"고 소개하였다. 어쩌면 '백마분'이 훗날에 손실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이경직이 살펴본 연대기라는 책(기록)에 대해 밝혀진 바가 없어 2차, 3차 사료에 의존해야만 하는 상황이고 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다. 백제삼서 처럼 원형을 잃거나 소실되어버린 기록일 수도 있다.

또 다른 해석으로는 통신사행록에서 신라군이 현재의 일본 효고현까지 도달했다는 것은 천일창(천지일모)과 관련된 집단의 도왜 사실이 '일본 침공'의 설화로 전승된 것이라는 관점도 있다.

문제는 《일본서기》에서 사로국 즉, 신라 출신의 왕자라고 주장하는 천일창(天日槍)의 경우 해당 문서를 보면 확인 할 수 있듯이 일본서기에서 11대 스이닌 덴노 시기에 등장하는 인물은 맞으나 (《고사기》에서는 천지일모(天之日矛) 즉, '아메노히보코'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귀화 동기 등도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한국측 고서들에서는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또한 가공의 인물인 신공왕후가 그의 후손이라는 기록 등에서 알 수 있듯이 사실상 실존인물인지에 대해서 매우 논란이 많은터라 실제로 천일창이 도왜 했는지 부터가 또 다시 의문의 영역으로 남는다.

물론 풍전국풍토기의 기록은 설화에 불과하고 천일창에 대해서는 전승 상의 인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도왜인과 천일창과 관련된 집단과의 연관성에 있어서 주목을 받아왔기에 신라군이 효고현까지 들어왔다는 기록은 천일창과 관련된 도왜인 집단의 기록이 아닐까 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이 경우 앞서 말했듯이 천일창의 실존여부와 그 세력의 도왜 여부부터 먼저 입증해야만 사실관계를 밝힐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사료의 부족으로 신라군의 명석포 침공과 백마분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태이며 관련된 연구 또한 부족한 상태이기에, 이와 관련된 연구가 오랫동안 진행되고 의문점에 대한 공신력 있는 학설이 제기된다면 이 문제도 결국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2.2. 남북국시대

2.2.1. 백제유민의 미야자키현 점거 및 신라의 미야자키현 침공 기록

규슈(九州) 미야자키현(宮崎県) 미사토정(美郷町)에 있는 미카도신사(神門神社)에 전해 내려오는 전승에 의하면, 백제 왕족인 정가왕(禎嘉王)이 나라 현에서 규슈 미야자키현 일대로 이주하여 정착했다고 한다. 그런데 반란군 혹은 신라군의 공격을 받아서 전사했다는 전설이 남아있다. 이 사건이 《해동제국기》에서 언급된 신라의 720년 일본 서쪽 변방 공격과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2.2.2. 통일신라의 서일본 침공 기록

해동제국기에 따르면 720년에 신라가 서일본 변방을 공격했다는 기록이 있다. 단, 이 기록은 삼국사기에는 전혀 없는 내용이다.
원정 천황(元正天皇) 4년(서기 720년, 성덕왕 14년)

4년 경신에 신라가 서쪽 변방을 와서 쳤다. (四年庚申。新羅來伐西鄙。)
해동제국기

파일:20210726_135059.jpg

일본측 사료에서는 원정천황(44대)이 아니라 원명천황(43대)으로 나와있고 신라가 아니라 고려군으로 나와있지만 당시 고구려는 존재하지않는 남북국시대이며 북국 발해는 지리적으로 7만3천의 병력을 남하시킬 수 없으므로 사실상 이 기록속 고려군은 신라군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또한 일본 육국사 중 하나인 일본삼대실록에 따르면 870년 2월 12일 대마도 사람 우라베노 오토쿠소마로(卜部乙屎麿呂)가 신라 바다 근처에 가마우지를 잡으러 갔다가 신라국에 붙잡혀 감옥에 갇혔다. 그가 살펴보니 당시 신라에서는 큰 배를 만들고 군사를 훈련하고 있었고, 신라인에게 물어보니 신라가 대마도를 정벌하기 위한 준비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그는 겨우 탈옥해 일본 본국에 이 사실을 전하고 본국의 지원을 요청, 대비했다고 한다. 다만 개인이 소식을 전해들은 것이라 당시 신라 경문왕 정권이 국가적으로 진지하게 대마도 정벌 준비를 했는지는 불확실하며, 원종과 애노의 난 발발까지 20년도 남지 않은 시점이었기 때문에 그럴 여력이 없었을 가능성도 높다. 혹은 당시 신라구 해적이 일본 연안을 약탈하는 일이 잦았다는 점이나 이후 점점 신라구의 규모가 수천 단위로 커진다는 점을 볼 때 오토쿠소마로가 붙잡혔고 봤던 것은 정식 신라 해군이 아닌 대규모 신라인 해적기지였을 수도 있다.

2.2.3. 신라구(신라 해적)의 일본 약탈

9세기 초부터 신라 출신 해적들의 일본에 대한 여러 차례의 대규모 침략들이 있었다. 이탓에 9세기에 와서도 일본은 신라의 침공을 두려워했다. 서기 811년 신라 해적선이 대마도(對馬島) 사스우라(佐須浦)에 출현함으로 대재부(大宰府) 관내(管內)와 나가토(長門), 이와미(石見), 이즈모(出雲) 등 각국에 경호령(京護令)을 내렸다. “신라의 적선(賊船)이 자주 우리의 변경을 위협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일본은 신라의 침략을 매우 두려워하는 모습을 자주 보였다.

또 “신라인이 상업을 빙자하고 일본에 들어 와서 일본국정을 정탐했다”, “승화(承和) 10년 8월에 태재부가 정월 중순으로부터 8월 6일까지 멀리 신라측으로 부터 북소리가 들리고 황혼이 되면 또한 불이 보인다”고 했다. 이에 일본은 사자(使者)를 대신궁 외에 여러 신궁과 불상과 산릉에 파견해 신라의 퇴각과 국내의 평안을 기도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신라의 내습을 두려워한 일본은 이를 방위하기 위해 정병(精兵)을 동원해 추토(追討)하고자 하였으나 모든 사람이 두려워서 도피함으로 부득이 죄수를 징발해 방위했다고 했다.[11]

일본역사서 ‘일본과 조선의 2000년/신화시대(神話時代)와 근세(近世)’에는 “886년에 건아(健兒) 이하의 병사를 동원해 신라의 내습을 방위할 뿐만 아니라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서국(西國-구주지방을 지칭한 듯) 각지에 배치하고 신라를 바라볼 수 있는 고지에 사원을 세우고 최승왕경(最勝王經)을 독경해 부처(佛)의 보호에 의하여 신라의 침입을 방위하고자 했다”고 돼있다.

또 “869년 5월에 신라의 해적선 2척이 하카다항에 침입해 견(絹), 면(綿)을 탈취해가니 일본정부는 신라에 대한 공포심이 더욱 높아서 태재부의 관리를 질책해 이 방면의 군비를 증강하고 이세대신궁(伊勢大神宮), 이와시미즈하치만궁(石淸水八幡宮)에 칙사를 보냈다”며 신라의 공격에 대처토록 했다고 적혀 있다.

아울러 “전국의 신사에 폐면(弊綿)을 봉수(奉修)하고 각지 사원에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을 수법(修法)해 신라의 침입을 방위코자 했다”라고 씌여 있다. 이상은 일본의 학자도 그들의 저서에서 인정하고 있는 사실들이다.[12]

이와 같이 신라를 두려워 할 때에 “신라에 잡혀갔다가 도탈(逃脫)해 돌아온 자가 ‘신라가 대선을 만들고 병사를 훈련 중’이라고 보고하니, 신라를 두려워하던 일본정부는 우사하치만궁(宇佐八幡宮)을 비롯해 전국 신사와 불각에 칙사를 파견해 신라의 내습을 방위하는 기원을 했다”고도 적혀있다.

어쩌면 신라의 일본 침공 기록들이 모두 다 사실이라고 가정 할 시에 신라가 일본을 자주 침공하였기 때문에 이 신라구들 역시 일본의 지리에 대해서 자세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고 그 덕분에 일본 여러 지역들을 자유롭게 침략한 것일지도 모른다. 더 자세한 내용은 신라구 문서를 참조.

3. 신라의 일본 침공 루트는?

파일:신라의 왜국 침공.jpg
지도 출처

만약 실제로 신라가 왜국을 침공하였다면 신라는 어떻게 일본을 공격했을까? 일단 침공 루트는 세가지 경로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첫번째는 대한해협을 건너 대마도를 지나, 하관(시모노세키)를 거쳐 명석포를 다다르는 첫번째 방법과 두번째는 주고쿠 지방(규슈로 이어지는 혼슈 가장자리 지역)을 통해 육지에 상륙해서 명석포로 가는 방법, 세번째는 대마도 서남부로 우회해 큐슈 남부를 지나 시코구 지방의 남부 지역을 지나는 방법이 있었다. 어떤 방법이든 위험한 방법이었지만, 신라는 그 세개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명석포까지 공략한 다음 일본측의 요청으로 화친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는 1만리 길의 거대한 파도를 넘어 명석(明石)에 뛰어난 병사들을 주둔시키고 백마를 잡아 적관(赤關)의 맹세를 받았다"는 동사강목의 기록을 참고한다면 당시 신라는 세토내해를 통해 명석포를 공격한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파일:external/dimg.donga.com/66356667.1.jpg

세토내해조선통신사들이 일본을 방문할 때에도 부산에서 배를 이용하여 오사카에 도착할수 있는 수로였으며 고대 한일간의 주요 해상교통로 역할을 했다. 백제 패망후에도 신라의 침공을 두려워한 일본이 세도내해 주변에 20여개의 방어성을 쌓고 대비를 할 정도로 중요한 해상 접근로다. 크기는 동서로 450km, 남북으로 15~55km 정도이며 평균 깊이는 37.3m로 얕은 바다로서 약 3,000개의 섬이 존재하는 일본판 지중해다.

이렇듯 신라의 왜국 침공은 만약 사실이라고 가정 할 경우 신라는 당시 일본의 중심지인 나니와(難波) 근방의 아카시노우라(明石浦)를 공격하기까지 했고 이로인해 한동안 왜구의 침입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고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4. 기타 기록들

4.1. 실성 마립간 시기 신라의 대마도 공격시도와 왜병 격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실성 마립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대마도 공격시도
관련 문서 황남대총 · 포항 냉수리 신라비 · 명활성
가계 가족관계
}}}}}}}}} ||
은 왜인이 쓰시마 섬(對馬島)에 병영을 설치하고 무기와 군량을 쌓아 두고서 우리를 습격하려고 한다는 말을 듣고서 그들이 일을 일으키기 전에 우리가 먼저 정예군사를 뽑아 적의 진영을 격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예불감 벼슬에 있는 미사품은,

"신이 들으니 병사는 흉기요, 싸움은 위험한 일이라 하였습니다. 하물며 넓은 바다를 건너 남을 치다가 이기지 못하면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신의 생각으로는 험한 곳에 요새를 설치하고, 적이 쳐들어오면 막아서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좋을 듯 싶사옵니다. 만약 우리 쪽이 이로우면 나아가서 적을 사로잡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것이 바로 남을 유인하는 것은 좋지만, 남에게 유인당하는 것은 가장 나쁘다는 교훈[13]으로 가장 좋은 계책인가 합니다." 하고 말하였다. 왕은 이 말을 듣고 옳다 하였다.

14년(서기 415년) 7월, 왕이 친히 혈성원에서 군사들을 열병하고 또 금성 남문에 나아가서 군사들이 활 쏘는 모습을 보았다. 이 해 8월에 풍도에서 왜병과 싸워 이겼다.
삼국사기 실성 마립간

유례 이사금 때와 비슷하게 왜국에 대한 선제 공격 이야기가 실성 마립간 시기에도 있었는데, 비록 미사품의 반대로 무산되기는 했지만 이러한 기록들을 볼 때 신라측에서의 일본 침공 시도들은 아주 오래전 부터 주기적으로 논의되던 사안이었던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후 풍도에서 왜군을 격파하면서 왜구들의 침략이 소강 상태에 들어간 듯하다.

4.2. 일본이 구메 황자를 총대장으로 삼아 신라를 공격 시도한 기록

3월 갑신(甲申) 초하루 무자(戊子). 오토모노 무라지 쿠이(大伴連囓)를 고려에 보내고, 사카모토노 오미 아라테(坂本臣糠手)를 백제에 보내어 “급히 임라를 구원하라”고 조칙을 내렸다.
일본서기》 <스이코 덴노> 9년(601) 3월

일본서기》 601년 기록에 따르면 왜는 고구려와 백제에 임나를 구원하라고 독촉하였고 이는 얼마 뒤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602년 백제아막성 전투와 603년 고구려신라 북한산성 공격 등에서 나타나는데 《일본서기》가 비록 8세기 초반의 율령적 이데올로기로 가필과 윤색이 가해진 점은 부정할 수 없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사가 《삼국사기》의 기사와 어느 정도 교차 검증된 사실을 통해 7세기의 상황을 비교적 정확하게 나타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렇듯 고구려-백제-왜의 긴밀한 협조 관계 속에서 신라에 대한 포위망이 형성되고 있었고 왜국 역시 독자적으로 신라 침공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였기에 이에 따라 신라는 일본에 첩자들을 파견하여 왜국의 동태를 면밀하게 감시하고 있었는데 이는 601년에 신라의 첩자로서 대마도에서 체포된 가마다(迦摩多)의 사례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가을 9월 신사(辛巳) 초하루 무자(戊子). 신라의 간첩 가마다(迦摩多)가 대마(對馬)에 이르렀다. 이에 잡아들여 (천황에게) 올리니 우에노(上野)에 유배하였다.
일본서기》 <스이코 덴노> 9년(601) 가을 9월

그러던 중, 마침내 왜는 백제와 군사적으로 연계하기 위해 602년 2월부터 쇼토쿠 태자의 이복 형인 구메 황자(來目皇子)를 대장군으로 삼고 신라를 공격하기 위한 군사를 모아서 마침내 4월에 출정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었다.
기유(己酉) 초하루. 구메 황자(來目皇子)를 신라를 치는 장군으로 삼고, 여러 신부(神部)와 국조(國造)·반조(伴造) 등과 군사 2만 5천 명을 주었다.
일본서기》 <스이코 덴노> 10년(602) 봄 2월
무신(戊申) 초하루. 장군 구메 황자(來目皇子)가 축자(筑紫)에 도착하였다. 이에 도군(嶋郡)에 나아가 주둔하여, 선박을 모으고 군량을 날랐다.
일본서기》 <스이코 덴노> 10년(602) 여름 4월
정미(丁未) 초하루 기유(己酉). 오토모노 무라지 쿠이(大伴連囓)·사카모토노 오미 아라테(坂本臣糠手)가 함께 백제로부터 도착하였다. 이때 구메 황자(來目皇子)는 병에 걸려 신라 정벌을 다하지 못하였다.
일본서기》 <스이코 덴노> 10년(602) 6월

그런데 갑자기 6월부터 구메 황자가 병을 앓기 시작하여 출병이 연기되더니 급기야 8개월 후인 603년 2월에 사망하기에 이른다. 그 사이 602년 8월에 백제 무왕이 주도하던 아막성 전투는 백제 측의 패배로 끝나게 되고 이로 인해 왜는 603년 4월에 재차 타기마 황자(當摩皇子)를 신라 공격을 위한 사령관으로 임명하나 이미 백제를 지원해 신라를 공격한다는 주요 목표를 상실했기에 결국 7월에 큐슈에서 철수한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구메 황자의 사인(死因)에 관한 기록인데 《일본서기》에서는 그냥 죽었다고만 언급되나 다른 사서인 《성덕태자전력(聖德太子傳曆)》에선 쇼토쿠 태자가 신라인들이 구메 황자를 저주하여 병에 걸렸다고 언급하고 구메 황자가 마침내 죽자 아예 직접적으로 그가 신라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언급한다. 다만 그렇다고 진짜 암살당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는 노릇
대장군(大將軍) 구메 황자(來目皇子)가 축자(筑紫)에 이르러서 죽으니, 태자가 시종에게 말하기를 장군이 신라노(新羅奴) 등(等)에게 살해당했다고 한다.
《성덕태자전력(聖德太子傳曆)》 상권(上卷), 7 추고 11년(603) 2월

4.3. 성덕왕 시기 신라의 일본군 격퇴

성덕왕(聖德王) 30년(서기 731년)

일본국 병선 300척이 바다를 건너 우리의 동쪽 변경을 습격하였는데, 왕이 장수를 시켜 군사를 내어 이를 크게 깨뜨렸다.
(日本國兵船三百?, 越海襲我東邊, 王命將出兵, 大破之.)

- 삼국사기 성덕왕

731년, 일본에서 '후지와라노 나카마로'의 지휘 아래 300척의 군함을 이끌고 쳐들어왔으나 곧바로 격퇴했다. 일본의 신라 침공 계획의 원인이 된 '왕성국 사건'도 734년인 이 때 벌어졌는데, 일본에 보낸 신라 사신이 스스로 왕성국(王城國)에서 왔다고 말한 것이다. 왕성국의 의미는 서경, 주례등 옛 유교 경전에서 말한 세계관에서는 왕성(수도 궁성) - 왕기(수도 근처) - 6복(지방 = 9주 5소경) - 번국(외부 이민족 제후국)의 순서로 주종관계의 체계가 있다는 것을 말하는데 여기서 신라가 왕성국이라면 일본은 번국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가 컸다. 이에 분노한 일본은 무례하다고 사신을 쫓아 버렸다. 왕성국 사건은 앞서 신라가 일본의 침공을 손쉽게 격퇴했다는 자부심 때문으로 보인다.

만약 718년과 720년의 신라의 일본 침공이 사실이라면 731년의 일본 병선 300척의 공격은 그에 대한 보복 공격일 수도 있다.

4.4. 일본을 침공한 전설의 존재 신라 장수 진륜(塵輪)의 기록

파일:20210726_132842.jpg
파일:20210726_101644.jpg

파일:다운로드.jpeg-34.jpg

파일:images.jpeg-16.jpg

일본에서, 주로 시마네현 서부 '이와미' 지방에서 벌어지는 전통연극인 이와미카구라(石見神楽)[14]에는 「진륜(塵輪)」이라고 하는 상연 목록이 있다. 대강의 줄거리를 요약하면, 고대 신라의 진륜이라고 하는 날개를 가진 악귀가 대군을 인솔해 일본을 공격해 왔는데 그것을 주아이 덴노(仲哀天皇)가 퇴치하지만 결국 주아이 덴노 또한 진륜의 화살에 맞고 전사한다고 하는 스토리이다.

진륜의 묘사를 보면, 형상이 귀신같고 몸은 적색에 八자 (이빨이나 벽화의 머리 스타일과 같음) 같은 머리를 하고 검은 구름을 타고 일본에 와서 일본 백성들을 마구 죽였다고 하는데, 외형적인 묘사가 신라의 무덤에서 발견된 벽화(순흥읍내리 벽화)와 흡사하다.

고사기일본서기에 따르면 주아이 덴노(仲哀天皇)는 '서쪽의 나라(삼한)'를 주려는 신탁을 믿으려고 하지 않고, 그 탓에(신의 노여움을 사버려) 급사해 버렸다고 여겨진다. 이는 진구 황후(神功皇后)의 이른바 삼한정벌의 바로 앞 단계의 에피소드이다. 다만 일본서기의 일서에서는 주아이 덴노(仲哀天皇)는 구마소(熊襲) 정벌 중에 유시에 맞아 죽었다고 되어있어#, 기록과 차이를 보인다.

파일:20210726_101644.jpg
중애천황이 신라로 건너가 전쟁을 치렀으나
진륜이라고 불리는 자에게 화살을 맞고
풍포로 돌아와 8월15일에 죽었다
日本書紀 권 8 足仲彦天皇 仲哀天皇

(8년) 가을 9월 乙亥 초하루 己卯 群臣에게 詔勅을 내려 熊襲을 토벌하는 것을 의논케 했다. 이 때 神이 황후에게 신탁하여 가르쳐 주기를,“천황은 어찌 熊襲이 복종하지 않는 것을 근심하는가. 그곳은 힘없고 쓸모없는 나라이니 어찌 군대를 일으켜 칠 만하겠는가. 이 나라보다 더욱 寶物이 많은 나라가 있으니 비유하면 처녀의 눈썹과 같고 津의 건너편에 있는 나라이다[碌은 우리말로 麻用弛枳라고 한다] 눈부신 금과 은, 비단이 그 나라에 많이 있다. 이 나라를 杼衾新羅國이라고 한다. 네가 나에게 제사를 잘 지낸다면 칼에 피를 묻히지 않고도 그 나라가 반드시 스스로 항복해 올 것이며 또 웅습도 복종하게 될 것이다. 제사를 지낼 때에는 천황의 배와 穴門直踐立이 바친 水田, 이름하여 大田이라 이름하는 것 등의 물건을 폐백으로 하라”고 하였다. 천황이 神의 말을 듣고 의심하는 마음이 있어 문득 높은 산에 올라 멀리 大海를 바라보았으나, 넓고 멀기만 할뿐 그 나라는 보이지 않았다. 이에 천황이 神에게 “제가 두루 살펴 보았으나 바다만 있고 나라는 없었습니다. 어찌 텅빈 곳에 나라가 있겠습니까. 어떤 神이길래 헛되이 저를 속이십니까. 또한 우리 황실의 여러 천황들이 하늘과 땅의 모든 신들에게 제사를 드렸는데, 어찌 남은 신이 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그때 신이 또한 황후에게 신탁하여 “물에 비친 그림자처럼 분명하게, 내려다 보아 내가 본 나라인데 어찌 없다고 하며 내 말을 비방하느냐. 그런데도 너는 이같이 말하고 마침내 믿지 않으니 너는 그 나라를 얻지 못할 것이다. 오직 지금 황후가 비로소 태기가 있으니 그 아들이 얻게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천황은 여전히 믿지 않고 웅습을 억지로 공격했다가 이기지 못하고 돌아왔다.
- 일본서기 원문
(9년) 이 해 신라 정벌로 말미암아 천황을 장사지낼 수 없었다
- 일본서기 원문
중애천황이 축자국 강일궁에서 죽다 황후말을 듣지않고 천황이 신탁을 따르지않아 일찍죽었다

(神功皇后, 攝政前紀) 九年春二月 足仲彦天皇崩於筑紫橿日宮 時皇后傷天皇不從神敎而早崩 以爲 知所祟之神

이밖에 일본측은
(突然の襲来にも怯むことのなかった仲哀天皇は、塵輪鬼を矢で打ち抜き仕留めたが、自らも負傷しやがて崩御。)

일단 이 신화속 진륜의 이야기를 더 살펴보면 주아이 덴노 7년 7월 7일, 신라장수 진륜(塵輪)이 혈문(穴門; 現 下關) 토유라노미야(豊浦宮)를 공격하여 덴노의 신하 아베노 타요마로(阿部高麿), 아베노 스케마로(阿部助麿) 형제가 전사했다고 이미노미야신사(忌宮神社)에 전해지고 있다. 또한 이 이야기에 따르면 중애천황은 카코유미(鹿児弓)[15]로 반격하여, 화살(天の羽)로 신라장수 진륜을 죽이고, 토유라노미야 안마당에 진륜을 묻고 돌로 덮었는데, 이를 귀석(鬼石)이라 부르며, 진륜은 진린(じんりん)으로 발음한다고 한다. 이 토유라노미야가 있던 이미노미야신사의 귀석에서는 지금까지도 신라귀신을 쫓는 행사를 치르고 있는데 이를 스호테이제(数方庭祭)라고 한다.

또 다른 설화로는 신라인 진륜의 잔당인 진륜귀(塵輪鬼)와 중애천황의 전투 기록이 우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 우시마도신사(牛窓神社)에 따로 전해 내려온다. 이 설화에 따르면 중애천황이 우시마도지마(牛窓島)에서 진륜의 잔당인 진륜귀 괴물과 싸우다가 중애천황이 화살로 진륜귀를 죽이고 중애천황 자신도 결국 화살에 맞아서 붕어했다는 설화라고 한다. 당시 진륜귀는 삼한왕자인 카라코토 왕자(唐琴王子)가 조종하였고, 진륜귀는 바다에 세 조각으로 떨어져 각각 키지마(鬼島, 黄島), 마에지마(前島), 아오시마(青島)가 되었다고 한다. 이후 신공황후가 카라코토 왕자를 화살로 쏘아죽였다고도 한다. 그곳의 지명이 세토우치시라고 전승되고 있다. 또한 신공황후가 서정에서 돌아오는 길에 진륜귀의 잔당인 우귀와 만났고 이를 스미요시대명신(住吉大明神)이 나타나 화살로 죽여서 우귀(牛鬼)가 바다에 떨어져서 키지마(鬼島)가 되었다고도 한다.

4.5. 긴메이 덴노 시절 일본 침공

서쪽에 살고 있는 비열하고 천박한 신라인들, 하늘을 거역하고 우리가 베푼 은혜를 저버리고 우리 관가를 부수고 우리 백성을 독살하고 우리 군현의 사람들을 씨를 말려 죽이고… 살아있는 사람들을 소름이 끼치게 간을 꺼내고 웃으면서 다리를 잘라내고 시체를 태운다. (『日本書紀』「欽明天皇」)
- 킨메이(欽明) 덴노(509~571)가 내린 조서의 일부에 있는 내용

위의 본문은 일본서기 킨메이 덴노조에 실린 내용이다. 참고로 킨메이 덴노의 집권 시기(539~571)는 신라 진흥왕(540~576)의 재위 기간과 대부분 겹친다. 여하튼 글을 보기만 해도 신라에 대한 당대 일본 조정의 감정이 굉장히 나빴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정규군이든 아니든) 어떤 신라 세력이 일본을 직접적으로 공격한 기록이라는 점 또한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일본서기에서 백제와 임나를 왜국의 관가라고 우긴 점에서 진흥왕의 가야 합병 당시 처참하게 당한 넋두리라고도 볼 수 있다.[16]

5. 같이 보기



[1] 대부분은 일본 측의 기록들을 접한 후 그 내용들을 그대로 인용하여 전한 경우들이다.[2] 견훤경애왕을 죽였던 '서라벌 침공' 당시 견훤이 이끌던 후백제군이 경주를 약탈하고 방화를 저질러 신라의 보물들과 문화재들이 다수 손실되었는데, 이 때 신라측이 보관하던 사서들도 상당수 소실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 당장 김부식부터가 삼국사기 본문에서 사론을 통해 남은 기록이 매우 부족하다고 한탄하기도 했다.[4] 흠명 23년(서기 562년)[5] 291년[6] 1593-1646[7] 원강(元康) 원년은 서력 291년, 신라 유례왕 8년, 일본 응신 22년이다.[8] ‘임진왜란’ 이후 ‘제2차 조선통신사‘ 오윤경의 종사관으로 일본에 갔던 ’이경직‘이 확인한 일본측의 역사서(기록)이다. 서기 1617년 막부(幕府)관리의 소개로 '일본연대기(日本年代記)' 내의 기록을 보고 현장답사까지 확인 한 후에 자신의 저서인 부상록(扶桑錄)에 해당 기록을 인용하였다.[9] 1688년(겐로쿠 원년)에, 에도시대의 국학자 마쓰시타 겐린(松下見林)이 쓴 역사 연구서이다. 상권 3책・중권 8책・하권 4책으로 되어 있다. 30년간에 걸쳐 중국, 한국의 계 126종류의 서적 중에서, 일본에 관계되는 기사를 뽑아, 의문 제기와 비판 등을 더하여 편찬하였다. 이 책은 당시 조선에도 반입되어, '한치윤'이 편찬한 '해동역사'의 권41 '통일본시말(通日本始末)'편에 내용 일부가 인용되어 있다.[10] 조선 통신사 기록에서도 일본 에도시대의 몇몇 문화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조금 보이지만 에도 시대의 화려한 모습은 칭찬한다.[11] (日本文化史, 第14章 百濟,高句麗及ぴ新羅との交涉,203面~4面).[12] (日本と朝鮮の2千年/神話時代, 近世 83~84面).[13] 서불한 미사품은 여기서 손자병법 <허실>편 6-1 치인이불치어인(致人而不致於人)의 구절을 그대로 인용하고 있다. 실성왕 시기의 신라가 이미 손자병법을 용병에 이용하고 있었다는 근거가 되는 구절(김광수, 1999)이라고 한다.[14] 시마네현에서 옛날부터 전해지던 신화들을 시나리오로 한 전통연극.[15] 활의 이름.[16] 다만 위의 언급은 관산성 전투, 가야멸망전 당시 백제, 가야 편으로 왜군이 참전했다가 신라에게 패배한 일들을 반영했을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