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6:45:26

영릉가 전투



한국 독립운동의 전쟁·전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30066><rowcolor=#fff> 전쟁·정벌 우군세력 교전세력
<colcolor=#fff> 삼둔자 전투
1920
파일:봉오동전투 독립군기.png
대한북로독군부
파일:봉오동전투 독립군기.png
신민단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봉오동 전투
1920
파일:봉오동전투 독립군기.png
대한북로독군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청산리 전투
1920
파일:봉오동전투 독립군기.png
북로군정서
파일:봉오동전투 독립군기.png
대한독립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영릉가 전투
1932
파일:조선혁명군 군기.png
조선혁명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쌍성보 전투
1932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경박호 전투
1933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사도하자 전투
1933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흥경성 전투
1933
파일:조선혁명군 군기.png
조선혁명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동경성 전투
1933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대전자령 전투
1933
파일:한국독립군 진군기.svg
한국독립군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보천보 전투
1937
파일:동북항일연군기.png
동북항일연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훙치허 전투
1940
파일:동북항일연군기.png
동북항일연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호가장 전투
1941
파일:조선의용대의 군기.png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타이항산 전투
1942
파일:조선의용대의 군기.png
조선의용대 화북지대
파일:대만 육군기.svg
팔로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임팔 전투
1944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한국광복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인도 제국 국기.svg
인도 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 ||


1. 개요2. 전개

1. 개요

영릉가 전투는 1932년, 조선혁명군과 중국 의용군이 연합하여 만주 영릉가성[1]에서 일본군과 벌인 전투다.

2. 전개

조선혁명군 소속 양세봉은 3개의 중대를 이끌고 중국군과 합류하여 진군하다가 신빈에 도착하여 머물렀다.

이 정보를 탐지한 일본군은 곧 공격을 감행하였고, 양측간의 치열한 교전이 벌어진다.

전투에서 승리한 한중연합군은 달아나는 일본군을 추격하였고, 영릉가성에 머루르고 있는 것을 발견한 뒤, 공격한다.

교전 끝에 영릉가성을 점령하면서 승리를 거두었고, 일본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철수하게 된다.
[1] 현 랴오닝 성 푸순시 일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