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08:49:38

디아벨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파일:드용 이그니스터.jpg
[ruby(@, ruby=앳)]이그니스터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죄보 스토리 관련 카드군
<colbgcolor=#293241><colcolor=#D96971> 주역
[[흑마녀 디아벨스타|
파일:흑마녀 디아벨스타.pn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D96971 디아벨스타}}}
]]
[[원죄의 디아벨제|
파일:디아벨제.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588CCA 디아벨제}}}
]]
[[스네이크아이즈 포프루스|
파일:포플루스.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FEFFEA 포프루스}}}
]]
[[아자미나#아자미나의 요마|
파일:아자미나의 요마.jpg
#!wiki style="margin-top: 3px; letter-spacing: -1.5px; word-break: keep-all
{{{#E02826 아자미나}}}
]]
카드군
디아벨스타 디아벨 모르가나이트 죄보
스네이크아이 고블린라이더 하얀 숲 아자미나

1. 개요2. 효과 몬스터3. 싱크로 몬스터4. 마법 카드
4.1. 속공 마법
4.1.1. 프레이 더 디아벨4.1.2. 라이크 더 디아벨
4.2. 일반 마법
4.2.1. 필리어스 디아벨
5. 함정 카드
5.1. 일반 함정
5.1.1. 커스 오브 디아벨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에 등장하는 카드군. 슈프림 다크니스에서 등장하였으며, 디아벨스타를 하위 테마로써 두었다.

스토리적으로는 하얀 숲의 리제트와 아스테랴가 어떻게 디아벨제와 디아벨스타가 되었는지를 다루고 있다.

디아벨스타와 디아벨제 등 파편화되어 있는 디아벨 몬스터를 묶어 서포트하는 데에 집중한 카드군. 역시 죄보처럼 마함으로 구성되어 있어 실질적인 덱으로써 기능하기보단 죄보처럼 낑겨 들어가는 데에 쓰일 가능성이 높다.

슈프림 다크니스에서 등장한 카드들은 묘지에서 자신의 포함한 마법, 함정을 3장 제외하고 쓰는 효과가 있는 특징이 있으며 얼라이언스 인사이트에서 등장한 카드들은 반대로 제외되었을 때 발동하는 효과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

2. 효과 몬스터

2.1. 레벨 7

2.1.1. 흑마녀 디아벨스타

2.1.2. 원죄의 디아벨제

2.2. 레벨 8

2.2.1. 스네이크아이즈 디아벨스타

2.2.2. 단죄의 디아벨스타

2.2.3. 백마녀 디아벨제

3. 싱크로 몬스터

3.1. 레벨 8

3.1.1. 하얀 숲의 요마 디아벨

4. 마법 카드

4.1. 속공 마법

4.1.1. 프레이 더 디아벨

파일:プレイ・ザ・ディア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프레이 더 디아벨,
일어판 명칭=プレイ・ザ・ディアベル,
영어판 명칭=Play the Diabell,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마법 / 함정 카드가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 / 엑스트라 덱에서 환상마족 /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에서 이 카드를 포함하는 마법 / 함정 카드 3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디아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①의 효과는 마법 / 함정 카드가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해 묘지로 보내질 경우 패 / 덱 / 엑스트라 덱에서 환상마족 /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덤핑하는 효과. 조건은 하얀 숲 몬스터들이 채우기 쉬우며, 추후 이렇게 덤핑한 몬스터의 소생 / 샐비지 등을 기대할 수 있다. 하얀 숲 마함과 마찬가지로, 흑마녀 디아벨스타는 효과 ①이 발동하는 효과가 아니기 때문에 조건을 만족할 수 없음에 주의.

②의 효과는 마법 / 함정 카드를 3장 제외하고 디아벨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 보통 효과 ①로 덤핑한 디아벨 몬스터를 다시 꺼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흑마녀 디아벨스타 / 백마녀 디아벨제를 소환하여 죄보를 세트하거나 덤핑하거나, 원죄의 디아벨제를 꺼내 락을 꺼내는 방법이 있다. 둘 다 강력하니만큼 조건도 이 카드 포함 마함 3장이라는 꽤 무거운 조건이다. 어느 정도 준비는 해야 될 것이다.

일러스트는 눈동자의 마녀 모르가나하얀 숲의 아자미나 리제트가 싸우는 모습. 전투 끝에 모르가나는 디아벨제에게 패배했으며 사망한 모르가나의 육체는 아자미나 모아 레지나가 되어버렸고 영혼은 자아가 사라진 채 죄보 모리안이 되어 아자미나의 속박에서 벗어난 리제트가 회수했다.

한국어명 '프레이'는 오역으로, '플레이'가 올바른 번역이다. 일본어에서 Pray를 가타카나로 표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쓸 경우에도 プレー를 쓴다. 일러스트와 카드명을 보면 디아벨들을 멋대로 가지고 노는 아자미나를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4-10-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JP056 | スプリーム・ダークネス [ SUPREME DARKNESS ]
2025-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KR056 | 슈프림 다크니스
2025-01-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EN056 | SUPREME DARKNESS

4.1.2. 라이크 더 디아벨

파일:ライク・ザ・ディア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 명칭=라이크 더 디아벨,
일어판 명칭=ライク・ザ・ディアベル,
영어판 명칭=Like the Diabell,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마법 / 함정 카드가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자신 필드에 세트한다. 이 효과로 세트한 카드는 이 턴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자신 메인 페이즈에\, 자신 묘지에서 이 카드를 포함하는 마법 / 함정 카드 3장을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디아벨"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모든 것을 빼앗긴 소녀가 성장하는 모습이 그려진 아이콘.
저주에 저항하며 모든 것을 빼앗는 싸움에 몸을 던진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 설명
①의 효과는 마법 / 함정 카드가 카드의 효과로 묘지로 보내질 경우 패 / 묘지에서 마법 / 함정 카드를 세트하는 효과. 프레이 더 디아벨과는 조건이 다름에 유의. 추리게이트 등의 효과로 마법 / 함정 카드가 덱에서 묘지로 보내져도 발동한다.

아자미나가 융합의 트리거로 죄보들을 묘지로 보내니만큼 만족하기 쉽다. 묘지로 보냈던 죄보들을 세트하거나, 강력한 범용 카드들을 세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효과로 세트한 카드는 이 턴에 발동할 수 없기에 일반 마법을 세트하는 것은 좋지 않고, 속공 마법이나 함정을 세트하는 것이 좋다. 혹은 아자미나 마법 카드의 융합 소재로 곧장 써버리거나, 순환하는 죄보가 묘지에 있다면 효과 ②로 바운스시켜서 그 턴에 바로 쓰는 방법도 있다.

②의 효과는 프레이 더 디아벨과 동일한 디아벨 소환 효과.

일러스트는 리제트와 헤어진 뒤 죄보를 사냥하며 험하게 살아가는 아스테랴.
수록 시리즈
2024-10-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JP057 | スプリーム・ダークネス [ SUPREME DARKNESS ]
2025-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KR057 | 슈프림 다크니스
2025-01-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EN057 | SUPREME DARKNESS

4.2. 일반 마법

4.2.1. 필리어스 디아벨

파일:フィリアス・ディア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필리어스 디아벨,
일어판 명칭=フィリアス・ディアベル,
영어판 명칭=Filia Diabell,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덱에서 레벨 8 이상의 "디아벨"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패에 넣지 않고 특수 소환할 수도 있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 필드의 모든 "디아벨"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 ①은 덱에서 레벨 8 이상의 디아벨 몬스터, 즉 스네이크아이즈 디아벨스타단죄의 디아벨스타, 백마녀 디아벨제를 서치할 수 있는 효과. 상대 필드에만 몬스터가 있으며 바로 필드로 소환할 수 있다. 레벨 8 이상으로 한정되어 원본인 흑마녀 디아벨스타 / 원죄의 디아벨제는 서치할 수 없어 이들만 사용하는 덱에서는 쓰기 어렵다.

효과 ②는 제외되었을 경우 자신 필드의 모든 디아벨 몬스터의 공격력을 500 올리는 효과. 수치가 짜서 이것만으론 별 효용이 없지만, 프레이 더 디아벨 / 라이크 더 디아벨의 효과로 이 카드를 제외하고 다른 디아벨 몬스터를 소환할 경우, 체인을 꼬아서 해당 몬스터의 소환 시 유발 효과에 무효계를 체인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다. 스토리 상으로는 최종보스인 아자미나의 효과 발동 시 공격력 감소의 안티테제격 의미로 넣은 것으로 보인다.

이름의 필리어스(fīlias)는 라틴어로 '딸(fīlia)'의 복수형이다. 일러스트는 성 아자미나와 싸우던 디아벨제를 디아벨스타가 구해주고, 실비아가 디아벨제를 감싸주는 장면이다.
수록 시리즈
2025-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JP057 | アライアンス・インサイト [ ALLIANCE INSIGHT ]
2025-04-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KR057 | 얼라이언스 인사이트
2025-05-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EN057 | ALLIANCE INSIGHT

5. 함정 카드

5.1. 일반 함정

5.1.1. 커스 오브 디아벨

파일:カース・オブ・ディアベル.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커스 오브 디아벨,
일어판 명칭=カース・オブ・ディアベル,
영어판 명칭=Curse of Diabell,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디아벨" 몬스터가 2장 이상 존재할 경우\,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패 / 덱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커스 오브 디아벨" 이외의 "디아벨"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①의 효과는 디아벨 몬스터가 2장 이상 있을 때 자신 몬스터 1장을 코스트로 상대의 앞면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희생시킬 몬스터는 아무 몬스터나 상관없기 때문에 전개하다 남은 몬스터나 효과를 다 쓴 몬스터를 희생시키는 것으로 싸게 넘어갈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패 / 덱에서 묘지로 보내지거나, 제외되었을 때 이 카드 이외의 디아벨 마법/함정 카드를 서치할 수 있다. 디아벨스타의 소환 코스트나 백마녀 디아벨제의 소환 코스트 및 효과로 덤핑, 혹은 그냥 어리석은 부장 등과 연계해 서치를 시도할 수 있다.

일러스트의 인물은 죄보 스토리의 최종보스인 아자미나로 최종결전에서 신인의 힘을 얻은 디아벨스타에 의해 최후를 맞는 모습이다. 어째서인지는 몰라도 최후를 맞는 순간에도 얼굴은 웃고 있다.
수록 시리즈
2025-01-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JP072 | アライアンス・インサイト [ ALLIANCE INSIGHT ]
2025-04-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KR072 | 얼라이언스 인사이트
2025-05-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ALIN-EN072 | ALLIANCE INS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