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d5bab><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 }}} |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투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N13 | N15 | N16 | N26 | N30 | ||
N31 | N37 | N51 | N61 | N62 | |||
N64 | N72 | N73 | N75 | 심야A21 |
삼화상운 차량 |
1. 개요
관악교통, 삼화상운, 영인운수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8.6km다.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1번 | |||||
| |||||
기점[1] |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양천공영차고지) | 종점[2] | [도착]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주공7단지.광림교회앞) [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온곡중학교.노원중앙도서관) | ||
종점 행 | 첫차 | 23:40 | 기점 행 | 첫차 | 23:40 |
막차 | 04:10 | 막차 | 04:10 | ||
배차간격 | 10~30분 (1일 16회) | ||||
운수사명 | 관악교통 / 삼화상운 / 영인운수 | 인가대수 | 16대[3] | ||
노선 | 양천공영차고지 - 신정현대아파트.서부트럭터미널 - 개봉역 - 구일우성아파트 - 디지털단지오거리.가산파출소 - 난곡입구 - 신림사거리.신림역 - 봉천역.관악초등학교 - 봉천사거리 - 낙성대입구 -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 - 방배래미안타워.동덕여중고 - 방배동임광아파트 - 서울고등학교 - 남부터미널.한일시멘트 - 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 - 선릉역 - 삼성역 - 봉은사역 - 청담역 - 영동대교 - 건대입구역 - 어린이대공원역.화양천주교회 - 능동사거리.군자역 - 군자교 - 면목119안전센터 - 면목2동 - 중화역 - 먹골역 - 태릉입구역 - 서울과학기술대입구 - 하계역 - 중계역 - 상계주공6단지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7단지.광림교회앞[4] → 온곡중학교.노원중앙도서관[5] → 노원역 → 상계주공3단지 → 이후 역순 |
3. 역사
- 2014년 11월 16일을 기해 수요 급증에 따른 배차간격 개선을 위해 차량 2대를 증차하여 8대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 2016년 11월 28일을 기해 163번/643번에서 각각 1대씩 차출하여, 2대 증차되었다.
- 2017년 8월 28일부터 배차간격이 50분까지 벌어지는 시간대를 없애기 위해 모든 시간대에 30분 간격으로 운행하도록 시간표가 조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양 방향 공통으로 첫차시각은 23:50에서 23:40으로 10분 앞당겨졌으며 막차시각은 03:50에서 04:10으로 20분 늦춰졌다. 관련 공문
- 2018년 10월 8일부터 2대가 증차되어 12대로 운행한다. 다만 모든 시간대에 걸쳐서 배차 간격이 조금씩 좁혀지는 대신, 기존 시간표의 근간은 유지되면서 중간에 15분 간격 시간대가 생겨났다.관련 공문
- 구로고가차도가 철거됨에 따라 2019년 4월 10일부터 상계7단지 방향 디지털단지오거리, 가산파출소, 디지털단지오거리 정류장/양천공영차고지 방향 디지털단지오거리 정류장에 추가로 정차한다. 관련 공문
- 2021년 3월부터 '가리봉파출소' 정류소가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한다.
-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1월 1일까지 인가댓수가 한시적으로 12대에서 14대로 증차됐다. 이 기간동안 15분 간격으로 출발하는 시간대가 더 많아졌었다.관련 게시물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4대가 증차됐으며, N61양천에 영인운수가 공동 배차로 참여한다. 차량은 영인운수 650번, 6630번, 삼화상운 173번, 1137번에서 각각 1대씩 투입됐다. 이에 따라 15분이던 최소 배차간격이 10분으로 줄어들었다. 같은 날을 기해 강남역 정류소(22339)에 추가 정차한다. 이 정류소는 강남역 8번 출구 앞에 있는데 평시에는 340번만 정차하고, 심야에는 교대역~한서병원 구간에서 N61번과 경로가 동일한 N64번은 정차했으나 N61번은 무정차 통과하던 곳이다. 관련 공지사항(공문 1) 관련 공문 2 관련 공문 3
- 2023년 12월 15일부터 2024년 1월 1일까지 146번과, 6515번에서 각 1대씩 총 2대가 증차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
- 남부순환로를 길게 달린다. 신정현대아파트.서부트럭터미널 정류소(양천공영차고지 인근) ~ 경남임광아파트 정류소(방배동 경남아파트 사거리) 구간을 쭉 직진하는데 이 거리가 16km이다. 당연히 표정 속도도 꽤 빠른 편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아예 없지만, 심야시간대이므로 정시성과 표정 속도에는 영향이 없다.
- 146번과 643번 대부분의 구간을 운행한다. 차이점이라면 N61은 사당고가차도 - 방배역 - 남부터미널 - 교대역을 경유하고, 146번의 진흥아파트 회차구간, 마들로, 동일로 수락산역 - 마들역 구간은 경유하지 않으며, 군자지하차도 - 성수사거리 구간도 동일로로 직진하는 대신 군자역 - 어린이대공원 - 건대입구역으로 우회한다.
- 하지만 심야 노선이 아예 없다시피 했던 643번 코스 대부분과, 예전에 있었던 심야버스 운행이 없어져 분통을 자아냈던 146번 코스에 확실한 심야노선이 다시 생겼다는 점만으로도 메리트가 워낙 크다보니 크게 문제되지는 않고 있다. 물론 146번 코스 쪽은 본래 있던 심야버스가 없어졌다가 다시 생겨난 것이란 점에서 마들로, 수락산역/마들역 인근지역, 군자지하차도 - 성수사거리 구간 등은 심야 대중교통 복구의 혜택에서 소외된 것이고 그 지역에서 불만이 제기될 법한 문제인 건 맞다. 그나마 수락산역/마들역 인근지역은 심야시간 초반부에 한해 3100N번, 3600번 등 준심야운행을 해 주는 직행좌석버스들이라도 있지만 나머지 구간은 가까운 지점까지 이용해서 다른 수단으로 이용하는 방법 뿐이다.
- 광명시 철산동을 잠깐 경유하며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에 정차한다.
- 동일로와 테헤란로에서 N13번과 구간을 공유한다. 테헤란로에서는 N13번과 기.종점 방향이 반대이다. N13번의 노원구(양천구) 방면과 N61번의 양천구(노원구) 방면이 테헤란로의 서쪽(동쪽) 방향으로 달린다. 여기서는 정류소 노선도를 잘 확인한 뒤 이용해야 한다. 또한 남부순환로에서 N15번과 관악우체국~남서울농협 구간을 공유한다.
- 양천 측의 7번째와 막차는 영인운수가 고정으로 운행하고 있다.
- 현존하는 심야버스 노선 중 가장 길다. 가장 짧은 심야버스는 N30번.
- 심야버스 노선들 중에서는 인가대수가 가장 많으며, 평균 배차간격도 가장 짧다. 일 평균 승차량도 심야버스 중에서는 1위로 서울시에서도 운행 개시한 이래 4차례의 증차와 중복노선 개설(N75번 신림~강남 구간) 등 차내 혼잡 완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온 현재는 서로 분산되었다.
- 삼화상운 노선 중 유일하게 현금 승차가 가능하다. 애초에 심야버스는 예외로 두었기 때문이다.
- 삼화상운 측 차량 돈통에는 노선번호란에 운행계통상의 노선번호인 'N61상계'가 적혀있다.
4.1. 시간표
양방향 동시 출발 | |||
23:40 | 23:50 | 00:00 | 00:20 |
00:40 | 01:00 | 01:20 | 01:40 |
02:10 | 02:20 | 02:30 | 02:50 |
03:10 | 03:30 | 03:50 | 04:10 |
4.2. 수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중에서 가장 악명높은 신림-강남과 서울 지하철 7호선에서도 가장 혼잡한 노원-건대입구를 지나니 당연히 엄청나게 많다. 수요 때문에 신설 이후 무려 4번이나 증차된 바 있다.
- 신설된 초기에는 심야버스 노선 중에서 이 노선의 배차간격이 가장 길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모습이 나타났다.
- 강남역에서 노원구로 갈 때는 3100N번/3600번이 비교적 늦게까지 운행하고 146번 막차가 양천 측 첫차보다 10~15분 늦은 시각까지 다닐 정도로 심야시간 초반의 교통망이 잘 되어있었기에 혼잡이 아주 심각하진 않았다. 그러나 노원구/중랑구는 기본적으로 인구가 많고 3100번/3600번으로 모든 시간대와 모든 지역이 커버되는 것은 아닌 만큼 엄연히 수요도 많았으며 혼잡 문제가 분명히 있었다. 어디까지나 아래에 서술한 양천 방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도가 덜할 뿐이었다.
- 신림/양천 방향 643번 막차가 끊어지면 N61번과는 1시간의 공백기가 있었다. 이 방향은 야간 대체수단이 아예 없어서 N61을 탔다 하면 가축수송은 당연한 수준이고, 만차로 인한 미탑승도 종종 있었는데 1대를 보내면 또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하기에 혼잡과 불편이 매우 극심했다.
- 2017년까지 몇 차례 증차됐지만 도저히 수요량이 감당이 안 됐다. 많은 승객으로 인해 결국 언론까지 탔다. 관련 기사에 의하면 또 증차를 할 예정이라고 했는데, 실제로 기사에 언급된 시점인 2018년 8월보다는 늦어졌지만 동년 10월 8일부터 2대가 추가로 증차됐다. 이때부터 최소 배차간격은 15분까지 줄었다.
- 결국 2022년 서울시에서 심야버스 노선을 확충하면서 N75번을 강남역~신림역을 완전히 동일하게 운행하도록 짜서 개통시켰다. 그렇게 했는데도 둘 다 수요가 많아 가축수송이 일상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결국 서울특별시에서는 N75번 운행 개시 후 채 8개월도 안 지난 같은 해 12월 1일부터 택시요금 인상 보상재 마련 및 이태원 압사 사고 대책 마련을 겸한 조치 차원에서 본 노선과 N75번 각각 4대씩 도합 8대를 증차시켰다. 중간에 수요분산용 별도 노선이 개설됐는데도, 운행 댓수가 최초 대비 2.7배 늘어났으며 이때부터 최소 배차간격이 10분까지 줄어들었다.
4.3.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6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3년 | 980명 | - |
2014년 | 1,163명 | △ 183 |
2015년 | 1,488명 | △ 325 |
2016년 | 1,557명 | △ 69 |
2017년 | 1,911명 | △ 354 |
2018년 | 2,056명 | △ 145 |
2019년 | 2,541명 | △ 485 |
2020년 | 2,146명 | ▽ 395 |
2021년 | 1,479명 | ▽ 667 |
2022년 | 1,956명 | △ 477 |
2023년 | 2,502명 | △ 546 |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3년 자료는 개통일인 9월 12일부터 12월 31일까지 111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서울 심야버스 중 가장 많은 승차량을 기록하고 있다. 2019년 기준 1일에 12회만 운행했던 노선임에도 무려 하루 평균 2500명 이상 탔다. 1회당 평균 208명이 승차한 셈. 더 무서운 점은 계속 승차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2020년과 2021년에는 수요가 줄었으나 이것은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사회적 통제조치의 영향이 나타난 것일 뿐이고, 사회통제가 완화되자 오히려 수요량은 2019년에 버금가는 최고치로 돌아섰다.
5. 연계 철도역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 개봉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건대입구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교대역, 방배역, 사당역, 낙성대역, 서울대입구역, 봉천역, 신림역
- 수도권 전철 3호선: 교대역, 남부터미널역
- 수도권 전철 4호선: 사당역, 노원역
- 수도권 전철 5호선: 군자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태릉입구역
- 서울 지하철 7호선: 노원역, 중계역, 하계역, 공릉역, 태릉입구역, 먹골역, 중화역, 군자역, 어린이대공원역, 건대입구역, 청담역
- 서울 지하철 9호선: 봉은사역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릉역
- 신분당선: 강남역
- 서울 경전철 신림선: 신림역
6. 둘러보기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의정부시 | 1143수 8112수 노원02수 도봉09수 |
구리시 | 202담 1155담 2212담 | |
남양주시 | ||
수: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 담: 담터고개만 정차.(남양주 방면 한정, 서울 방향은 서울시 소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3, 4권역 | 성남, 하남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성남시 | 333위 343위 345위 440위 3420위 4432청 |
하남시 | 341초 370초 3217도 3316효 | |
초: 초이동 / 위:위례신도시 / 도:하남시위례도서관만 정차 / 청: 청계산옛골 / 효: 효죽동입구(천호역 방면 한정, 마천 방향은 서울시 소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4, 5권역 | 안양, 군포, 의왕, 과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안양시 | 152교 500석 5618석 6515교 |
군포시 | 441한 502한 | |
의왕시 | ||
과천시 | 서초08잔 서초20잔 | |
교: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 잔디마을만 정차 / 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 석: 석수역만 정차 / 밑줄 : 해당 시 경유 후 타 시 진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5, 6권역 | 광명, 부천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광명시 | 643철 651철 652철 653철 N61철 5012철 |
부천시 | ||
철: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7권역 | 고양, 파주, 양주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고양시 | 171대 271대 571동 701동 706동 708동 720동 740덕 741동 750A덕 761동 N37동 7211동 7711덕 7722동 7723동 |
파주시 | ||
양주시 | ||
동: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 정류장만 정차 / 덕/대: 덕은동종점,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
서울동행버스에 대한 내용은 틀:서울동행버스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