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30 22:14:14

미소녀/캐릭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소녀
<colcolor=#fff,#fff><nopad> 파일:1000083618.gif
라무 (시끌별 녀석들, 1978)
'모에의 원조'이자 오타쿠들에게 열광적인 인기를 끈 미소녀 캐릭터의 시초라고 평가받는다.
<colcolor=#fff,#fff><nopad> 파일:하츠네 미쿠.png
하츠네 미쿠 (VOCALOID, 2007)
2007년에 등장한 이후 수많은 오리지널 곡, 관련 상품, 리듬 게임, 콜라보레이션으로 인지도를 꾸준히 쌓아올라 현대 서브컬처의 상징으로서 자리잡은 미소녀 캐릭터이다.[1]

1. 개요2. 특징3. 미소녀 캐릭터들이 자주 등장하는 장르4. 미소녀임이 언급된 캐릭터들5. 여담

1. 개요

각종 서브컬처[2]에 등장하는 소녀 외모/나이대의 여성 캐릭터를 지칭하는 단어.[3] 그 중에서도 일본오타쿠 문화의 짙은 영향을 받아 모에속성을 갖추고 모에 그림으로 그려진 미소녀 캐릭터들을 지칭하는 의미가 강하다. 영미권에선 주로 'anime girl'이라는 표현을 쓴다.

보통 이런 캐릭터들 사이에서 종류별로 기호화된 외적/내적 속성들은 헤어 스타일, 얼굴 생김새, 머리카락과 눈동자 색깔, 성격과 서사, 행동 양식(혹은 네타 관련 요소) 등이 있다. 그리고 저런 속성들이 잘 모여 어우러진 '조합'에 열광하는 현상을 모에[4]라고 한다.

2. 특징

미소녀 캐릭터는 일본 오타쿠 문화의 중요 컨텐츠이자 핵심이며, 서브컬처를 논할 때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다.[5] 시대에 따라 유행하는 매체[6]나 캐릭터의 속성, 작품의 장르가 달라졌을 뿐, 1970년대 중후반 우주전함 야마토기동전사 건담의 이례적인 대성공으로 오타쿠 문화가 태동하고[7] 80년대 초창기 러브 코미디물이 흥행하며 오타쿠들이 미소녀 캐릭터의 매력에 열광하는 현상이 처음으로 대두된 이후로, 미소녀 캐릭터는 늘 오타쿠(혹은 서브컬처), 더 나아가 거시적 일본 문화의 원동력이자 상징으로 작용해 왔다.

미소녀나 로맨스가 중요 소재가 아닌 소년만화에서도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를 등장시켜 남성 독자들에게 어필하는 경우가 많고,[8] 여아 대상 작품[9]부터 성인 남성향 성인물 장르[10]에 이르기까지 일부 BL/오토메 게임 장르를 제외하면 사실상 최근 일본에서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거의 모든 2D 작품에선 미소녀 캐릭터가 대규모로 등장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BL과 오토메 게임처럼 남성 캐릭터 위주로 등장하는 여성향 게임도 등장하는 여자 캐릭터의 수가 매우 적을 뿐, 미소녀 캐릭터는 한명 이상 등장한다.[11]

현재 '미소녀 캐릭터'라는 개념은 굉장히 포괄적인 용어가 됐지만, 그래도 '가상의 2D 여성 캐릭터'가 '미소녀 캐릭터'로 불리는 최소한의 조건을 꼽자면 모에 그림체로 그려진 외모에 20대 미만의 나이[12] 캐릭터적인 매력을 극대화한 특정한 설정(모에속성)[예시]을 탑재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외모/복장/연령/성격/직업/서사에 따른 아주 다양한 취향 스펙트럼이 존재한다.

미소녀 캐릭터는 보통 작품에서 (주로 남성)독자들에게 아름다움, 귀여움, 섹시함 등의 매력을 어필하고 독자들의 개인적인 취향과 판타지를 충족시켜주는 존재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미소녀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작품에선 다소 과장되고 비현실적인 클리셰가 자주 등장하는데, 예를 들어 러브 코미디 장르 작품에서 자주 쓰이는 '외모는 학교 제일의 미소녀에 공부는 전교 1등, 스포츠도 만능인 여주인공[14]평범한 고등학생인 남주를 짝사랑함' 클리셰가 대표적이다. '외모는 미소녀인데 사실 미연시, 에로게 등을 좋아하는 미소녀 오타쿠'[15] 속성의 캐릭터 또한 오타쿠 독자들의 공감대를 쌓으면서도 독자들의 환상을 충족시켜주기 위한 클리셰의 일종이다. 아이돌물걸즈 밴드물처럼 남성 캐릭터와 연애 요소가 드러나지 않고 미소녀들이 음악을 하며 성장하는 내용의 미소녀물도 음악가들이 겪는 현실적인 고충과 갈등은 절대 깊은 수준까지 묘사되지 않으며, 어디까지나 독자들이 다양한 개성을 가진 미소녀들의 음악/퍼포먼스와 매력을 만끽하게 만드는 것에 중점이 맞춰져 있다. 여기서 등장인물의 평균 나이를 고등학생 정도로 상정하는 이유는 풋풋하고 미숙한 청춘 요소나 과장 가능한 행보를 부각함과 동시에, 그 이하의 나잇대에 종종 터지는 소아성애 논란에서 거리를 둘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미소녀 캐릭터와 배틀, 액션 같은 소재를 결합한 장르들도 존재하는데, 이렇게 싸우는 미소녀들이 등장하는 작품들엔 미소녀들이 대검이나 미니건[16]을 사용하는 장면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런 거대한 무기를 사용하면서도, 미(美)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근육 없이 말랐다. 거기에 교복 한 벌이나 심하게는 방어가 전혀 되지 않을 것 같은 노출 많은 의상을 입고 전투를 벌이는 것처럼 여전히 다분히 비현실적인 상황을 연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애초에 이런 컨셉에서 출발해 주류로 올라선 장르가 서브컬쳐 모바일 게임인데, 여러 큰 회사가 뛰어들어 미소녀의 생산성이 급증한 현재는 이미 파쿠리, 오마쥬, 표절, 샤라웃의 정확한 경계[17]조차 애매해진 상황이다.

그러나 작품에서 미소녀 캐릭터들의 매력이 중심이 되면 작품성보단 오타쿠의 지극히 개인적인 성적 취향, 망상, 변태성, 이상성욕을 만족시키는 것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18] 일반인들이 이렇게 과도하게 망상적이고 비현실적인 표현 방식에 반감을 느껴 오타쿠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19] 21세기 이후로는 모에 문화가 과열되어 모에한 미소녀들을 어필한 작품만 나올 뿐 명작들이 사라졌다는 비관론이 제시되기도 했다. 작품성은 내다 버리고 모에한 미소녀들로만 점철된 작품들은 흔히 남성향 작품을 비하하는 용어인 뽕빨물, 캐빨물이라 불리며 비판의 대상이 된다. 이런 문제가 업계에서 가장 화두에 올랐던 당시의 실상은 모에 문서의 폐해 문단이나, 일본 애니메이션 역사 문서의 명작의 감소 문단에 자세히 작성되어 있다.

3. 미소녀 캐릭터들이 자주 등장하는 장르

현재는 일본의 거의 모든 2D 매체에서 장르를 불문하고 미소녀 캐릭터가 등장하는 만큼 정보가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열람 시 하단에 언급된 장르나 작품들 안에서만 인기 미소녀 캐릭터가 나온 것이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당대 인기 미소녀물들은 서브컬처 자체의 역사에도 깊게 관여하기 때문에,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볼드체로 표시한 링크나 일본 애니메이션/역사, 라이트 노벨/역사, 심야 애니메이션, 캐릭터 송, 오타쿠(특징), 모에(신조어), 모에 관련 정보 문서도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3.1. 미소녀 게임

베스트 에로게 TOP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1위 Kanon 끝없이 푸른, 이 하늘 아래에서 그대가 바라는 영원 칭송받는 자 CROSS†CHANNEL
2위 방울이 울리는 날 PureMail 가족계획 BALDR FORCE 마브러브
3위 트라이앵글 하트 2 Phantom -PHANTOM OF INFERNO- 대악사 스이게츠 Ricotte ~알펜브루의 노래하는 공주~
<rowcolor=#FFFFFF>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1위 Fate/stay night 파르페 -쇼콜라 세컨드 브루- 전국 란스 세상에서 가장 NG인 사랑 스마가
2위 RanceⅥ -제스 붕괴- 츠요키스 이 푸른 하늘에 약속을 키라☆키라 G선상의 마왕
3위 라쿠엔 ~변함없는 나.의 경우~ Fate/hollow ataraxia 마브러브 얼터너티브 카타하네 루이는 토모를 부른다
<rowcolor=#FFFFFF>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1위 BALDR SKY Dive 2 "RECORDARE" 멋진 나날들 ~불연속 존재~ WHITE ALBUM2 -closing chapter- 하츠유키 사쿠라 소녀이론과 주변
2위 BALDR SKY Dive 1 "Lost Memory" 황혼의 신세미아 예익의 유스티아 이 넓은 하늘에, 날개를 펼치고 ChuSingura 46+1
3위 장갑악귀 무라마사 전여신 VERITA 카미도리 알케미 마이스터 황뢰의 가크툰 VenusBlood -GAIA-
<rowcolor=#FFFFFF>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rowcolor=#FFFFFF> 5ch 트위터
1위 달에 다가가는 소녀의 작법 2 사쿠라의 시 Re:LieF ~친애하는 당신에게~ 금빛 러브리체
2위 저 맑은 하늘보다 높이 이브니클 발드 하트 Making * Lovers 빛의 바다의 아페이리아
3위 비행기구름 너머 사노바위치
퓨어 커넥트
천의 인도, 도화염의 황희 빛의 바다의 아페이리아 크로노 박스
}}}
<rowcolor=#FFFFFF> 2018년 2019년
<rowcolor=#FFFFFF> 5ch 트위터 5ch 트위터
1위 RanceX -결전-
누키게 같은 섬에 살고 있는 빈유(나)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누키게 같은 섬에 살고 있는 빈유(나)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벚꽃, 싹트다. -as the Night's, Reincarnation-
2위 RanceX -결전- 누키게 같은 섬에 살고 있는 빈유(나)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2
3위 어메이징 그레이스 -What color is your attribute?- MUSICUS! 아오나츠 라인
금빛 러브리체 -Golden Time-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rowcolor=#FFFFFF> 5ch 트위터 5ch 트위터
1위 벚꽃의 구름*스칼렛의 사랑 명계의 루페르칼리아
2위 9-nine- 유키이로 유키하나 유키노아토 손끝 커넥션
3위 도나도나 같이 나쁜 짓을 하자 백일몽의 청사진 해피 라이브 쇼 업!
<rowcolor=#FFFFFF> 2022년 2023년
<rowcolor=#FFFFFF> 5ch 트위터 5ch
1위 헨타이 프리즌 사쿠라의 각
2위 쥬얼리 하츠 아카데미아 사랑이야기 연애
Geminism ~게미니즘~
3위 상어와 사는 7일간 달콤한 색 쇼콜라타 3
사랑이야기 연애
<rowcolor=#FFFFFF> 2024년
<rowcolor=#FFFFFF> 5ch
1위 시작하는 세계의 이상론 -goodbye world index-
2위 언래블 트리거
3위 욱광의 마리아주
* 통상 집계 결과가 여럿인 경우에는 모든 집계 결과 합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였음.
}}}}}}}}}||

파일:logo_getchu.png미소녀게임 대상
시나리오 TOP 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1위 CROSS†CHANNEL Fate/stay night 차륜의 나라, 해바라기의 소녀 만약 내일이 맑다면 리틀 버스터즈!
2위 SNOW CLANNAD 파르페 -쇼콜라 세컨드 브루- 마브러브 얼터너티브 세상에서 가장 NG인 사랑
3위 그대가 바라는 영원 DVD specification 소라우타 Fate/hollow ataraxia 이 푸른 하늘에 약속을 그리고 내일의 세계에서
<rowcolor=#FFF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rowcolor=#FFFFFF> side White side Black
1위 Fortune Arterial 껍질소녀 BALDR SKY Dive 2 "RECORDARE" 멋진 나날들 ~불연속 존재~ WHITE ALBUM2 -closing chapter-
2위 리틀 버스터즈! 엑스터시 초앙섬인 하루카 Dies irae 황혼의 신세미아 예익의 유스티아
3위 G선상의 마왕 미육의 향기 우리들에게 날개는 없다 Steins;Gate 그리자이아의 과실
<rowcolor=#FFFFFF>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위 하츠유키 사쿠라 소녀이론과 주변 달에 다가가는 소녀의 작법 2 사쿠라의 시 Re:LieF ~친애하는 당신에게~
2위 달에 다가가는 소녀의 작법 ChuSingura 46+1 저 맑은 하늘보다 높이 시계장치의 레이라인 아침 안개에 지는 꽃 아마츠츠미
3위 형형색색의 빛 그리자이아의 낙원 일곱 빛깔 리인카네이션 소서리 조커즈 아케이로 괴기담
<rowcolor=#FFFFFF>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1위 금빛 러브리체 Summer Pockets 벚꽃, 싹트다. -as the Night's, Reincarnation- 벚꽃의 구름*스칼렛의 사랑 명계의 루페르칼리아
2위 빛의 바다의 아페이리아 어메이징 그레이스 -What color is your attribute?- 누키게 같은 섬에 살고 있는 빈유(나)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2 백일몽의 청사진 창작그녀의 연애공식
3위 수장은화의 이스토리아 누키게 같은 섬에 살고 있는 빈유(나)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달의 저편에서 만나요 9-nine- 유키이로 유키하나 유키노아토 Monkeys!¡
<rowcolor=#FFFFFF> 2022년
1위 헨타이 프리즌
2위 쥬얼리 하츠 아카데미아 -We will wing wonder world-
3위 상어와 사는 7일간
}}}}}}}}} ||

}}}특히 1990년대 중반은 일본에서 인터넷과 PC가 보급되고 코믹 마켓이 부흥하면서 동인 문화가 활성화된 시기로, 이 때쯤 쓰르라미 울 적에, 월희와 함께 3대 동인 게임으로 묶이게 된 동방 프로젝트[42]니코동을 중심으로 한 2000년대 인터넷 문화와 맞물려 수많은 2차 창작물[43]을 만들어냈다. 그에 따라 이들의 영향을 받은 2000년대 초반부터 게임에 등장하는 미소녀 캐릭터들도 큰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3.2. 가상 아이돌

4. 미소녀임이 언급된 캐릭터들

5. 여담

파일:세피로트채색sd.png파일:무냐sd1.png
세피로트 무냐
* 나무위키의 공식 마스코트 세피로트무냐도 미소녀 캐릭터이다.
  • 한국어의 형태론 상 미(美)+한자어 명사의 조어는 생산성이 있으므로 '미소녀'라는 표현 자체는 '미소년'과 마찬가지로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기 전부터 통용되어 왔다.[44] 이어서 오타쿠 하위문화 외에서도 미소녀의 사용 현상이 관측되자 2000년대 중반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등재됨에 따라, '미소녀'라는 개념은 한중일을 포함한 한자 문화권 모두에서 같은 대상을 지칭하게 되었다.

[1] 모에 그림으로 그려진 외모+16세라는 어린 나이+충실한 모에속성, 동인 설정, 네타들로도 미소녀 캐릭터의 기준에 충실하다.[2] 애니메이션, 만화, 게임, 비주얼 노벨, 라이트 노벨, VOCALOID, 버츄얼 유튜버, 마스코트 캐릭터 등.[3] 사실상 외모만 미소녀의 기준에 충족해도 미소녀 캐릭터의 범주에 들어간다. 합법로리 항목 참고.[4] 하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 개인을 매혹시키는 개념은 '모에'에서 오시(최애캐)나 waifu라는 단어로 넘어갔고, 2차 창작과 팬픽, 다양한 세계관 호환, 커플링 분화 영향으로 오히려 이 쪽은 이제 여러 작품에 나오는 동일한 캐릭터 구분의 근거 지표로 쓰인다. 일례로 이 쪽여기가 동일캐 취급받는 이유를 생각해보자.[5] 당장 남성 오타쿠스테레오 타입만 생각해도 '후덕한 외모+가상의 미소녀 캐릭터에 흥분함'이다.[6] 미소녀 연애 시뮬레이션에로게(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라이트 노벨 및 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2000년대 초중반~2010년대 중반)→버츄얼 유튜버서브컬처 모바일 게임(2010년대 후반~).[7] 우주전함 야마토의 모리 유키, 기동전사 건담의 세일러 마스는 매력적인 캐릭터성과 서비스신으로 오타쿠들에게 처음으로 성적으로 어필했던 여캐로도 평가받는다. 세일러 마스의 목욕 장면이 '최초의 야애니'라 불리는 크림레몬을 탄생시킨 것은 유명한 일화이며, 모리 유키의 바디슈트 의상은 후대 또 다른 전설적인 미소녀 캐릭터들인 신세기 에반게리온소류 아스카 랑그레이아야나미 레이플러그 슈트에 영향을 주었다.[8] 드래곤볼치치브루마, 원피스나미니코 로빈, 나루토하루노 사쿠라휴우가 히나타, 블리치쿠치키 루키아이노우에 오리히메 같은 캐릭터들이 대표적이다. 2020년엔 귀멸의 칼날의 여주인공 카마도 네즈코를 중심으로 코쵸우 시노부, 칸로지 미츠리, 츠유리 카나오 등의 여성 캐릭터들이 당대 픽시브 일러스트 투고수 상위권을 차지했다.[9] 캐릭캐릭 체인지, 만월을 찾아서, 피치피치핏치, 베리베리 뮤우뮤우, 꼬마 마법사 레미, 키라링☆레볼루션, 슈가슈가룬, 카드캡터 체리 같은 작품들. 여기에 프리큐어 시리즈, 프리티 시리즈, 아이카츠 시리즈가 여아 대상 시리즈로 가장 대표적이다. 당연하지만 이런 장르에 나오는 미소녀 캐릭터들은 섹스 어필, 서비스신 같은 요소의 부각이 적다.[10] 에로게, 에로 라이트 노벨, 성인 만화, 야애니 등.[11] 여성향 게임의 여주인공은 극소수의 사례를 제외하면 대체로 미소녀로 설정되고, 여주인공의 동성 친구들도 웬만해서는 미소녀로 묘사된다.[12] 사실상 공식적인 나이 설정이 없거나 실제로는 외모보다 나이가 훨씬 많다는 설정이어도 외모가 '일반적인 미소녀 캐릭터의 그것'이라면 미소녀 캐릭터로 취급된다.[예시] 최상단 사진의 라무가 가진 모에 속성으로는 메가데레, 비키니, 거유, , 폭력녀, 특수한 어미, 외계인 등이 있다.[14] 스즈미야 하루히, 코우사카 키리노, 유키노시타 유키노, 카시와자키 세나, 키리사키 치토게, 아리사 미하일로브나 쿠죠 등이 대표적.[15] 이즈미 코나타, 코우사카 키리노, 카시와자키 세나, 사와무라 스펜서 에리리, 키타가와 마린 등.[16] 이건 현역 시절의 아놀드 슈워제네거도 들고 쏘는 게 불가능하다. 터미네이터 2의 미니건 난사 장면은 반동이 적은 공포탄을 사용하고도 견딜 수가 없어서 4000~5000rpm의 발사속도를 크게 떨어뜨리고서 촬영한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전투기나 대공포에 달리는 M61 발칸포의 축소형이라고 미니건인지라.[17] 이미 현재 씹덕겜 분야에서 가장 큰 회사 중 하나인 HoYoverse부터가 모션과 연출에서 이 논쟁의 중심에 있다. 애초에 최근 모바게 캐릭터들은 과거 인기 애니캐들의 컨셉을 차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각청캬루, 스파클토키사키 쿠루미, 아로나, 페비키노모토 사쿠라, 복링미사카 미코토 등이 그 예다.[18] 일례로 일본 연애물에선 미국/영국/러시아 혈통의 금발벽안 백인 미소녀가 일본인 남주에게 반하는 전개가 자주 나오는데, 이것을 일본인들이 서양 열강에 느끼는 열등감과 선망을 창작물에서 대리만족적인 형태로 나타낸 것이라고도 해석하는 시선도 있다.[19] 대표적으로 1980년대엔 초등학생 나이대의 미소녀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작품들이 인기를 끌면서 로리콘이라는 개념이 대두되고 있었는데, 1989년 도쿄·사이타마 연쇄 유아납치 살해사건의 범인 미야자키 츠토무가 평소 그런 작품들을 즐겨보는 오타쿠였다는 사실이 드러나 오타쿠의 인식이 바닥까지 추락했던 적이 있었으며 대략 그 시점은 1990년대 초반. 이런 상황에서 우주전함 야마토, 기동전사 건담에 이어 3차 애니메이션 붐을 터뜨리며 오타쿠 문화를 다시금 부흥시킨 것이 1995년 애니화가 된 신세기 에반게리온이었다.[20] 러브 코미디 장르의 대모로 불리는 인물이다. 특히 그녀가 창조한 히로인인 라무오토나시 쿄코는 각각 메가데레, 츤데레의 시초격 히로인으로 꼽힌다.[21]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가 전무후무한 히트를 기록하면서, 일본 서브컬처에서 미소녀 캐릭터와 모에를 본격적으로 내세운 비교적 가벼운 서사의 작품들이 등장하게 된 현상을 뜻한다.[22] 2000년대 이전에 창작된 작품에서 오타쿠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고 평가되는 라노벨 출신 미소녀 캐릭터는, 슬레이어즈리나 인버스풀 메탈 패닉테레사 테스타롯사 정도가 유이하다.[23] 이미 80년대부터 타카하시 루미코아다치 미츠루의 영향으로 남성향 장르에 연애물 요소가 섞이고 있었으며, 하렘물 만화의 탄생엔 90년대 오덕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던 미연시의 영향도 적지 않았다.[24] 이 중에서 케이온은 미소녀 동물원의 직접적인 어원이기도 하다.[남캐有] 남성 캐릭터가 존재하긴 하지만 연애 요소가 적고 다수의 미소녀 캐릭터들이 주연으로 등장하는 모에 일상물이라는 점에서 미소녀 동물원에 기준에 충분히 부합한다.[남캐有] 남성 캐릭터가 존재하긴 하지만 연애 요소가 적고 다수의 미소녀 캐릭터들이 주연으로 등장하는 모에 일상물이라는 점에서 미소녀 동물원에 기준에 충분히 부합한다.[27] 야생 동물의 미소녀 모에화를 앞세운 작품. 시리즈 시작 자체는 2015년 게임판이지만, 2017년 애니메이션 1기 방영부터 본격적으로 인기를 얻었다.[28] 마법의 천사 크리미마미, 마법의 요정 페르샤, 마법의 스타 매지컬 에미 등.[29] 일본 애니메이션 최초의 순수 아이돌물이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30] 각각 실존 아이돌인 타무라 에리코(田村英里子)와 타나카 요코(田中陽子)를 홍보하기 위해 타이업한 작품이었다.[31] 가상의 캐릭터 명의로 출시한 최초의 사례이다.[32] 두 작품군이 본격적으로 인기를 끌게 된 계기는 각각 2011년 신데렐라 걸즈의 첫 모바일 게임 출시, 2013년 러브 라이브! 애니메이션의 방송 개시였다.[33] 2023년 엄청난 히트를 한 작품 【최애의 아이】작품의 OST호시노 아이, 호시노 루비, 아리마 카나, MEM쵸 같은 미소녀 아이돌 캐릭터들로 인기를 얻었다는 점에서 언뜻 보면 아이돌물과 비슷한 요소를 보이지만, 살인, 자살, 임신 등 자극적인 소재가 거리낌 없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아이돌물보단 연예계물에 가깝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34] 이 때문에 오타쿠들 사이에선 '애니는 최소한 3화까지 보고 판단해야 한다'라는 불문율이 탄생하기도 했다.[에로게] [에로게] [에로게] [에로게] [에로게] [에로게] [41] 사실상 목록에 작성된 게임들과 동시대에 유행하던 기타 작품들 중에서 Fate/Grand Order와 기타 미디어 믹스의 성공으로 현재까지 유일하게 명맥을 잇고 있는 시리즈라고 할 수 있다.[42] 대표 인기캐는 하쿠레이 레이무, 키리사메 마리사, 이자요이 사쿠야, 플랑드르 스칼렛 등이 있다.[43] PV, 동인 음악, 팬 게임, MMD, 동인지, 애니메이션, 팬아트 등.[44] 여기서 '통용되어 왔다'의 의미는 널리 쓰였다는 뜻이 아니고, 오타쿠 문화에 대해 문외한이더라도 한국어를 능숙하게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미소녀'라는 표현을 듣고 의미를 유추해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