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11:23:08

하루히즘

1.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영향을 칭하는 말2. 이토 노이지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다룬 화보집

1.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영향을 칭하는 말

파일:attachment/haruhism2.png

HARUHI-ISM(Haruhism)[1]

스즈미야 하루히 애니메이션의 캐치프레이즈, 혹은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폭넓은 미디어믹스에 의해 발생한 세계적인 여파 또는 광적인 선호 현상을 총칭하는 단어이다. 넒은 의미에서의 하루히즘은 이런 '전세계적으로 하루히에 대한 것을 볼 수 있는 현상'을 지칭하며, 좀 더 구체적인 정의는 일본 애니메이션 및 연관 주류 오타쿠 문화의 패턴화와 정형화로 일반적으로 매체에 통용되는 의미는 이 쪽.

하루히 시리즈가 원작소설, 애니메이션, 코믹, 캐릭터 상품, 웹 라디오, 캐릭터 싱글, 성우 라이브 등을 통해 2차 파생 미디어로 폭을 넓혀 간 것을 미디어믹스의 체계화된 이론(ism)으로 보고, 이후 나온 굵직한 작품에서 그와 같은 단계를 밟아 나가는 현상 자체를 '하루히즘'이라고 일반화시켜 부르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 하지만 이런 확장된 정의는 아직 널리 통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런 애니메이션의 히트로 인한 다양한 미디어 믹스 비지니스 산업은 신세기 에반게리온이나 슬레이어즈 등이 나오던 1990년대부터 이미 정착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하루히 시리즈만이 독보적으로 끼친 영향은, 이전과는 다른 스케일로 라노벨 시장을 키운 것과 미소녀를 위시로한 모에 애니메이션의 유행에 박차를 가한 것이 있다. 당시 UHF 심야 애니메이션에 대한 평가 및 관련 시장 규모를 바꾸는데 큰 공을 세웠기 때문에, 하루히 시리즈는 단순히 인기나 완성도가 높은 다른 명작들과 그 궤부터 다른 문화사적 의의를 가진다.

사실 정확히는 하루히 1기가 애니화된 2006년 2분기 이전에도, 나노하 시리즈, 로젠 메이든, 작안의 샤나, 페이트 스테이 나이트 같은 심야 애니 히트작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그 이전까지는 모에 관련 시장의 성장은 그리 폭발적이지 못해 대형 신인들이 가뭄에 콩 나듯 나왔고, 그 때문에 각종 인기 투표를 비롯한 여러 지표에서 로젠연방 vs 나노하 공국 같은 예처럼 팬덤의 고착화 현상이 지속되었었다.

그러나 하루히 시리즈가 2000년대 들어서 최대 히트를 기록하고, 같은 년도에 방영한 코드 기아스나 다른 쿄애니 들의 연달은 히트로 심야 애니메이션의 주목도가 올라가 심야 애니 시장을 키우는데 일조하였으며, 하루히를 의식한 다른 라이트 노벨 작품들의 애니화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2] 이로 인해 이후 수없이 흩어져 있던 라노벨이나 만화 출신 모에 캐릭터들이 애니화를 통해 메인스트림으로 대거 끌려나오며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끝없는 경쟁이 벌어지게 되었고[3], 결국 오타쿠 팬덤의 중심은 작품에서 캐릭터로 완전히 넘어가버린다.

이런 캐릭터 위주의 메타 덕에 피어난 또 다른 유산이 바로, 2007년 하츠네 미쿠를 필두로 한 보컬로이드 계열이다. 또한 하루히즘은 씹덕 문화가 기존 미연시, 에로게 중심에서 라이트 노벨 천하로 넘어가게 되는 계기를 제공한 중요한 사건으로서 역사적 의의를 가짐과 함께, 여성향 오타쿠를 겨냥한 BL/노말 작품들이 OVACD 대신 접근성이 우수한 TVA로 방영되게 만든 도화선 및 촉매 역할을 하기도 했다. 여성향 관련 시장이 이것의 영향[4]으로 확장되면서 동인녀, 부녀자 집단은 이 때부터 본격적으로 양산되었다.

훗날 2020년대 중반엔, 끝나지 않을 것 같았던 라이트 노벨심야 애니메이션 중심의 오타쿠 메타가 마침내 모바일 게임버튜버같은 스트리밍 쪽으로 완전히 대체되고 만다. 그럼에도 이들의 팬덤이나 그 뿌리 역시 미연시, 러브 코미디, 일상물 난민 등 위 현상의 영향 범주에 들어가 있는 모습은, 향후 어떠한 오타쿠 서브컬쳐가 생겨나도 하루히즘은 떼놓을 수 없는 기반으로 작용할 것임을 자명하게 하는 증거가 된다.

2. 이토 노이지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를 다룬 화보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화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 쪽으로 써도 영어 문법적으로 틀린 말은 아니다. 영어권에선 이렇게 더 많이 쓰인다.[2] 반대로 이 시기를 기점으로 일본의 아동용 애니메이션 시장은 점점 축소되었다.[3] 대표적인 예로, 애니화된 모에 캐릭터 사이의 무한 경쟁성 인기 투표모에 토너먼트는 2001년 탄생했음에도 정체되어 있다가, 2006년 한 해 만에 무려 20배 이상 성장하게 된다.[4] 이전에도 그랬지만 13시즌 Free!의 히트 이후에는, 거의 모든 여성향 애니들이 예외 없이 남성향 오타쿠 문화에서 확립된 개념과 클리셰만큼은 그대로 차용하게 되면서, 하루히즘과의 연결고리는 더욱 견고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