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말 그대로 특정 주제나 IP를 좋아하는 팬들이 만든 게임이다. 팬심으로 제작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격적으로 수익성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비슷한 류로 동인 게임과 교집합이 많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으나 뜻은 엄연히 다르다. 동인 게임은 동인(소규모, 취미로써 모인 집단)[1]에서 제작한 게임이라는 뜻이기에 1차 창작인 경우들도 있으며 반드시 동인 게임=2차 창작물이라는 의미는 아니다.[2] 팬 게임은 반대로 블랙 메사의 사례처럼 나름 팀 규모가 큰 쪽에서 만든 경우도 있으므로 항상 팬 게임=동인 게임이라고 할 수도 없다.
2. 주의점
본 문서에서 설명하는 팬 게임은 일단 리소스나 IP 등은 원작에서 가져오긴 하되 개발 자체는 팬들이 직접 이루어낸 경우만을 뜻한다. 애초에 클라이언트 파일 자체를 크래킹하거나 불법 복제된 프리 서버, 개조 롬은 본 문서에서 다루는 팬 게임에 분류하지 않으며, 해당하는 경우는 각각의 문서들을 참조할 것.[3]2.1. 저작권 문제
일부 리메이크는 개발사에서 직접 공식 승인해 주기도 하지만, 허가를 받지 않은 팬 리메이크는 설령 팬심에 의한 것이거나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원칙적으로는 모두 저작권을 위반한 것이 된다. 하지만 만약 그것이 이미 오래 전에 서비스 중단 혹은 판매 중단된 게임이라 어차피 그 게임으로 현재 수익을 벌고있지 않은 개발사 입장에서는 그냥 묵인해 주는 경우도 있다. 혹은 개발사가 이미 폐업해서 저작권을 행사할 저작권자가 사라진 어밴던웨어가 된 경우 팬 리메이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편.[4]팬 게임에 관대한 회사로는 밸브 코퍼레이션[5], 세가가 있으며, 반대로 매우 빡세게 금지하고 단속하는 것으로 유명한 예시로는 코나미[6]와 닌텐도가 있다.[7]
3. 종류
3.1. 기존 게임 수정(모드)
특정 원본 게임을 기반으로 게임을 수정하여 원본에는 없던 새로운 콘텐츠나 기능들을 구현하는 경우로, MOD(게임 용어) 문서를 참조할 것. 일단 반드시 원본 게임이 필요하고 그 위에 모드를 덧씌운다는 점에서, 원본 게임 구입없이 불법으로 게임을 크래킹해서 배포하는 프리 서버나 개조 롬하고는 구분된다.MOD로 시작한 게 공식 게임이 되는 경우도 은근 많다. 밸브 코퍼레이션의 경우 하프라이프의 모드를 SDK까지 배포하면서 다양하게 허용해주었으며 그 결과 카운터 스트라이크, 데이 오브 디피트 등은 팬들이 제작한 하프라이프 모드로 시작되었다가 훗날 공식 게임으로 인정된다. 소스 엔진 모드로 시작했던 더 스탠리 패러블, 게리 모드나 블랙 메사 소스도 현재 공식적인 독립 게임이 되었다. ARMA 2의 좀비 모드로 시작했던 DayZ도 공식 게임이 된 사례.
3.2. 원작 게임의 구현(리메이크)
원본 | 팬 게임 |
하프라이프 | 블랙 메사 |
당연히 현재 멀쩡히 판매 중이거나 서비스 중인 게임의 무단 리메이크작은 원작의 매출에도 하락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원작에 피해를 주는 리메이크는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며 팬심에 의한 리메이크는 주로 다음과 같은 경우 활발히 이루어지는 편이다.
- 애초에 원작이 무료 게임으로 배포했거나, 개발자가 비상업적 2차 창작을 환영한 경우
- 원작이 이미 판매 중지 혹은 서비스 중지된 게임이라서 현재로써 합법적으로 플레이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경우[8][9] 이 경우 원작에서 향상시키기 보다는 최대한 원작 그대로 구현하려고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리메이크' 대신 '팬 복구', '팬 리마스터' 등 다양한 대체 표현으로도 불릴 수 있다.
- 지나치게 오래된 게임이라 현 시점에서 플레이 하기에는 그래픽이 너무 올드하기에 현 시대에 맞춰서 그래픽을 향상시키 위한 경우[10]
- 원작에 없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장르를 크게 바꾸기 위한 경우[11]
- 현재 서비스 중인 게임이나 업데이트 이후 초기와 지나치게 모습이 달라져, 초기 모습을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구 버전을 구현하려는 경우[12]
3.2.1. 사례
- 공식 승인
- 하프라이프 → 블랙 메사: 이쪽은 처음에 소스 엔진 모드로 시작했다가 원작자인 밸브가 직접 공식 리메이크를 허가해 주었고, 밸브 플랫폼인 스팀에서 유료 판매까지 진행되면서 가장 성공적인 팬 리메이크 사례로 남게 되었다.
- 빅뱅 이전의 메이플스토리 → 아르테일, Mapleland: 아예 넥슨의 공식 플랫폼인 메이플스토리 월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 Skywind, Skyblivion: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모드 형태로 엘더스크롤 3: 모로윈드, 엘더스크롤 4: 오블리비언을 구현했다. 저작권 문제를 피하기 위해 무료 모드이면서, 각각 원본 게임인 스카이림과 모로윈드 혹은 오블리비언 둘 다 가지고 있어야 플레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그 결과 베네스다가 공식적으로 프로젝트를 지지해주었다.
- 비공식, 비제재
-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 → 오퍼레이션: 블랙 메사
- 하프라이프: 블루 쉬프트 → 블랙 메사: 블루 쉬프트, 가드 듀티
- 하프라이프: 디케이 → 피어 리뷰(게임)
- 하프라이프: 업링크 → 시그널 로스트
- 하프라이프 2 → 프로젝트 17, 하프라이프 2 RTX
- LSD: Dream Emulator → LSD: Revamped: PS1 게임이었던 LSD의 PC 리메이크작. 허가받지 않은 팬 리메이크이나, 개발사가 파산한 시점에서 어밴던웨어가 되었기 때문에 큰 저작권 문제가 발생하진 않았다.
- 바이스시티: 리마스터: GTA 5의 모드 형식으로 Grand Theft Auto: Vice City를 구현하였다.
- 소닉 & 테일즈 2 → Sonic the Hedgehog Triple Trouble 16-Bit
- 툼 레이더 II → Nicobass의 툼 레이더 2 HD 리메이크.
- 유메닛키 → 유메닛키 3D: 원작 유메닛키를 3D화 시킨 리메이크작.[13]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리서전스 오브 더 스톰: 스타크래프트 2의 유즈맵 형식으로 구현.
- 플래시 도타 → DD도타
- 별을 보는 사람: 원작이 게임 시스템 자체는 쓰레기였지만 그 외 요소는 명작이라는 평 때문에 문제가 되는 시스템만 갈아치운 팬 리메이크가 2개 만들어졌다.
- 커맨드 앤 컨커 레니게이드 → 레니게이드 X
- 고대왕자 공룡킹 → 다이노소어 킹덤
- 삼국지 5 → 삼국지 5 황금판
-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임무 → 스타크래프트 2/매스리콜
- SUPERSTAR IZ*ONE → Rhythm*IZ
- 비공식, 제재
- 사일런트 힐즈 P.T: 개발 중단으로 플레이어블 티저가 PS4 서버에서 내려가 다시는 플레이할 수 없는 상태가 되자, 일부 사람들이 PC판으로 리메이크를 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코나미의 저작권 신고로 배포가 중단되었다.
- 메트로이드 시리즈 → AM2R: 마찬가지로 닌텐도의 신고로 배포 중단.
- 포탈 → 포탈 64: 포탈을 닌텐도 64에서 돌아가게 만든 일종의 디메이크(Demake)[14] 작품이나 밸브의 저작권 신고로 내려갔다.[밸브]
- 팀 포트리스 2 → 팀 포트리스 2: 소스 2: 기존의 팀포2를 소스 2로 이식하려던 팬 프로젝트 였으나 마찬가지로 밸브의 저작권 신고로 개발 중단.[밸브]
- 베어 너클 시리즈 → 스트리트 오브 레이지 리메이크
3.3. IP 기반 다른 내용 구현
원본 | 팬 게임 |
포탈 | 포탈:프렐류드 |
3세대 포켓몬스터 | 포켓몬스터 우라늄 |
MOD 형식으로 구현되는 경우도 많지만, 이하 사례에서는 타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이 이루어져 코드 단위로 처음부터 직접 구현된 경우까지도 포함한다.
IP를 직접 따온 경우만 기재하도록 하며, 단순히 게임 플레이 방식만 따라한 경우(항아리류, 감시 호러 등)은 일종의 장르화에 가깝기 때문에 예외로 친다.
이하는 실제 게임물의 형태로 만들어진 2차 창작물만 기재하며, 단순히 '게임 플레이 영상' 식으로만 구현한 '영상물'[17]은 제외한다.
3.3.1. 사례
- 공식 승인
- DJMAX RESPECT V → 왁제이맥스[동시기재]: 네오위즈 측에서 허가해 주었으며 공식적으로 2차 창작을 환영한다고 응원해주었다.
- 소스 엔진 모드 중 일부: 밸브 자체가 직접 모드를 만들 수 있는 SDK를 배포하는 등 2차 창작, 모드에 매우 관대하다. 심지어 2차 창작 모드의 스팀 출시를 승인해주기도 한다. 아무래도 모드 형식이기 때문에 원작 게임의 구입이 필요한 점 때문에 그런 듯. 소스 엔진 모드 중에서도 원작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만 기재한다. 다만 2차 창작만 허용해줬을 뿐 그것을 공식 세계관으로 편입시키거나 정사로 인정해준 것은 아니다.
- 하프라이프 → Hunt Down The Freeman: 원작 모독이라는 악평과는 별개로 일단 밸브가 서비스하는 플랫폼 스팀에서 공식 출시되었다.
- 포탈 → 포탈: 프렐류드: 후에 RTX 모드가 스팀에 공식 출시하였다.
- 포탈 2 → 애퍼처 태그, 포탈 스토리즈: 멜, 포탈 리로디드: 마찬가지로 모두 스팀 공식 출시.
- 왕벽한 멸멍의 날 → Purrfect Apawcalypse IF 시리즈
- 동방 프로젝트 → 동방 프로젝트/2차 창작물/공인 작품
- 비공식, 비제재
- 리듬스타 시리즈 → 막장리듬스타
- 유메닛키 → 유메닛키/파생
- 둠 시리즈 → DoomRL: 둠 시리즈의 저작권자인 제니맥스 미디어에서 저작권 문제로 클레임을 걸어 명칭을 DRL로 수정했다. 이름을 수정한 후 아예 배포 중단을 시키진 않았기 때문에 일단 비제재로 분류한다.
- 두근두근 문예부! → 두근두근 문예부!/모드
- 언더테일 → 언더테일/2차 창작 중 언더테일 옐로우, UNITALE, Bad Time Trio, 데드테일 등 팬 메이드 게임
- I Wanna Be The Guy → I Wanna Be The Guy/파생 팬게임 목록
- IWBTBG x Undertale: I Wanna Be The Guy과 언더테일 둘 다 합친 케이스
- 단간론파 시리즈 → 단간론파 어나더 -또 하나의 절망학원-, 언리얼 단간론파 -글로벌 이스케이프 쇼-, 단간론파 프로젝트: 에덴의 정원
- 노베나 디아볼로스 → 성스러운 현혹, ISOLATE DIABOLOS[동시기재]
- 록맨 시리즈 → 록맨 시리즈/팬 게임 및 패러디 게임 분류판[20]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2차 창작[21][22]
- 아오오니 → 아오오니 시리즈/패러디 게임 목록: 아오오니의 원작자가 직접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2차 창작'에 대해선 허가를 해주었다.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 → Five Nights at Freddy's 시리즈/2차 창작/팬게임
- 마인크래프트 → 마인크래프트/2차 창작/팬 게임
-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 → 포켓몬스터/팬 게임: 다만, 일부 게임은 저작권 신고로 내려갔으며, 신고된 경우만 아래에 추가로 후술.
- 동방 프로젝트 → 동방 프로젝트/2차 창작물
- Friday Night Funkin' → Friday Night Funkin'/모드
- MOTHER 시리즈 → MOTHER 시리즈/2차 창작
- 리그 오브 레전드 → 멀티의신
-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 → 슈퍼 스매시 플래시
- 팀 포트리스 2 → Team Fortress Arcade, 팀 포트리스 2 클래식
- 도돈파치 → 도톤파치 대마왕, 도톤파치 맥시멈
- 슈퍼 마리오 시리즈 → Super Mario Bros. X
- 역전재판 시리즈 → 나이토 재판
- 하프라이프: 어포징 포스 → 어반 카오스
- 포켓몬스터 시리즈 → 포케로그
- 비공식, 제재
- 3·4세대 시절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 → 포켓몬스터 우라늄: 닌텐도의 저작권 신고로 배포 중단되었다.
- 바이오하자드 시리즈 → 도라에몽: 노비타의 바이오 하자드[도라에몽]: 도라에몽과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의 크로스오버 작품. 그러나 오해하면 안되는 게, 신고를 한 쪽은 바이오하자드 시리즈의 제작사인 캡콤[24]이 아닌 도라에몽의 쇼가쿠칸 쪽이다.
아오오니 → 아오오니 레전드: 아오오니는 비상업적 2차 창작만 허가되었기 때문에 수익을 목적으로 한 아오오니 레전드는 결국 저작권 문제가 발생했다. 다만 아오오니 개발자가 직접 고소를 한 건 아니고, 자체적으로 좀비고등학교로 IP를 변경하며 저작권 문제를 해소했다.
3.4. 실존 인물 대상
현실의 인물을 주제로한 팬 게임이다. 개인 그 자체는 특정 작품의 IP가 아니기 때문에 가장 문제가 적다. 굳이 문제를 삼자면 저작권이 아닌 퍼블리시티권 문제일 터이나, 무료로 배포되는 팬 게임이고 팬심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그 내용이 명예훼손 적이거나 성희롱 적인 게 아닌 이상 당사자가 문제 삼는 경우는 거의 없다. 나무위키에 개별 문서가 없는 경우는 서술하지 않는다.3.4.1. 사례
- 공식 승인[25]
- 레바 → 레바의 모험
- 머독
- 우왁굳: Waktaverse Games 참조
- 이세계아이돌
- 케인 → 케인(인터넷 방송인)/팬 게임
- 김왼팔 → 특이점이 온 그래니 시리즈
- PD대정령
- →
무서운 걔임: 대정령 방송 관련 드립이 많이 나와 대정령 팬 게임이라는 인식이 있기도 했지만 제작자인 구스타브가 직접 대정령 전용 게임이 아니라고 못 박았다. - → I Wanna Be The Spirit
- 침착맨, 주호민 → 뇌절탐정 이왕건
- 비공식, 비제재
3.5. 비 게임 작품 대상
만화·드라마·영화 등 원작이 게임이 아닌 경우이다.팬심으로 제작된 비상업적인 목적의 팬 게임만 등재하도록 하며, 당연하게도 공식적으로 IP를 사서 개발된 미디어 믹스는 팬 게임이 아니므로 이 경우는 게임판 문서를 참조할 것. 수익창출을 노린 무단 IP 도용작[28] 역시 제외한다.
3.5.1. 사례
- 비공식, 비제재
- 비공식, 제재
4. 참조
[1] 따라서 동인 게임은 분류상 인디 게임에 더 비슷하다고 볼 수 있는데, 일단 인디 게임은 그래도 규모만 작을 뿐 엄연히 사업성을 목적으로 한 기업에서 제작하는 느낌이라면 동인 게임은 수익성 보다는 말 그대로 취미 활동에 초점을 둬 좀 더 소규모적인 뉘앙스가 강하다.[2] 예를 들어 동인 게임 중 하나인 어이쿠 왕자님, 11월 소년 등은 모두 1차 창작물이다. 비슷하게 동인지도 반드시 2차 창작물만 뜻한다는 오해를 받기도 하는데, 일반적인 출판사를 끼고 출판하는 공식적인 루트를 통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유통하는 모든 회지를 뜻하므로 1차 창작물인 동인지도 많다.[3] 본 문서에서 취급하는 '팬 게임'의 인정 범위는 최소한 MOD로, 원본 게임이 필요하며 그 위에 덧씌우는 경우 정도다. 개조 롬 등은 아예 원본 게임 파일까지 포함해서 불법 유통된 것이므로 예외로 친다.[4] 해당하는 예가 LSD: Dream Emulator로 개발사인 OutSide Directors Company의 폐업으로 저작권을 행사할 저작권자가 사라졌고, PS1 에뮬레이터 없이 직접 PC에서 돌릴 수 있는 LSD: Revamped 등 다양한 팬 리메이크 작들이 나오게 되었다.[5] 그러나 밸브도 2024년 1월에 포탈 64와 팀 포트리스 2: 소스 2를 DMCA에 따라 게시 중단시키는 일이 있었다. IGN 기사 아무래도 지금까지 허용해 주던 2차 창작들은 원본 게임이 필요한 모드인 것에 비해 해당 게임들은 독자적으로 실행 가능하며 원작을 있는 그대로 구현한 팬 게임이기에 제재를 건 듯하다. 다만 포탈 64의 경우 닌텐도 64에서 돌아가게 역이식한 것이다 보니 밸브가 저작권 신고를 한 것이 아니라, '닌텐도가 법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니 조심하라'고 경고하였고 이에 개발자가 닌텐도에게 고소당할까 봐 개발 중단한 것이 '밸브가 직접 저작권 신고한 것'처럼 와전된 것이다.[6] 사일런트 힐즈의 P.T PC 리메이크를 전부 신고로 내렸다.[7] 포켓몬스터 우라늄#,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PC 리메이크## 등 팬 게임 등을 모두 저작권 신고로 내려버렸다.[8] 고전 게임이라면 보통은 에뮬레이터로 플레이가 가능한 편이지만, 에뮬레이터 없이 PC에서 바로 실행시키기 위한 리메이크도 이루어지는 편이다.[9] 사일런트 힐즈 P.T 팬 리메이크, LSD: Dream Emulator → LSD: Revamped, 플래시 도타 → DD도타가 해당하는 예[10] 하프라이프 → 블랙 메사가 대표적인 예.[11] 비 VR 게임의 VR화, 2D 게임의 3D화 등[12] 다만 이 경우 원작이 엄연히 현재 서비스 중인 게임이기 때문에 무단 리메이크할 경우 제작사가 제재할 가능성이 높으며, 심지어 그 방법이 클라이언트 단위로 불법 복제하는 프리 서버라면 말할 것도 없이 제재 대상이다. 다만 아르테일처럼 공식에서 직접 운영하는 플랫폼 기반으로 제작된 합법적인 구현 사례도 존재한다.[13] 원작은 후에 유메닛키 -드림 다이어리-로 공식 3D화 된다.[14] 그래픽을 향상시키는 리메이크와는 반대로, 일부러 '옛날에 발매되었다면 어떤 모습일까'라는 느낌으로 구시대적으로 다시 만드는 것이다.[밸브] [밸브] [17] 슈의 인간공장 등, 실제 게임으로 만든 게 아니라 단순히 플레이 영상만 재현한 영상물이다.[동시기재] 특정 게임에 대한 2차 창작물이자, 특정 대상에 대한 팬 게임이기도 해서 동시에 기재.[동시기재] [20] 단, 해당 문서는 개조 롬까지 같이 포함해서 서술한다.[21] 단, 분류 중 일부는 리메이크에 해당.[22] 닌텐도와 코나미와 달리, 세가는 2차 창작에 관대한 것으로 유명하다.[도라에몽] 도라에몽 원작은 게임이 아니기에 동시 기재.[24] 캡콤은 오히려 2차 창작에 관대한 편이다. 노비타의 바이오하자드는 도라에몽의 IP까지 같이 침해되었기 때문에 문제였던 것.[25] 여기서 말하는 '승인'이란 설령 게임 제작 당시에는 허가를 받고 제작한 게 아닐지언정 훗날 당사자가 재밌게 플레이했거나 문제 삼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등을 모두 포함한다.[동시기재] [동시기재] [28] 귀살의 검 등[도라에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