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5 03:04:50

쇼가쿠칸


<bgcolor=transparent>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오토와 그룹 코단샤 (1909년 11월 설립), 코분샤 (1945년 10월 1일 설립), 와니북스 (1979년 11월 설립), 이치진샤 (1992년 8월 설립), 세이카이샤 (2010년 4월 28일 설립)
컬처 컨비니언스 클럽(CCC) 슈후노토모샤 (1916년 9월 10일 설립), 어스 스타 (1939년 6월 1일 설립), 도쿠마 쇼텐 (1954년 3월 19일 설립), 오오조라 출판사 (1983년 설립), 플레스코믹스 (2006년 설립), BookLive (2011년 1월 28일 설립)
히토츠바시 그룹 쇼가쿠칸 (1922년 8월 8일 설립), 슈에이샤 (1926년 설립), 홈샤 (1969년 8월 설립), 쇼덴샤 (1970년 11월 5일 설립), 하쿠센샤 (1973년 12월 1일 설립), 히어로즈 (2010년 4월 6일 설립)
쿠보 쇼텐 분엔도 (1937년 5월 설립), 쿠보 쇼텐 (1953년 4월 1일 설립)
미디어 악스 잇스이샤 (1941년 설립), 미디어 악스 (1990년 2월 1일 설립), 마이웨이 출판 (1999년 6월 9일 설립)
쇼넨가호샤 쇼넨가호샤 (1945년 10월 설립), 다이토샤 (1961년 6월 설립)
KADOKAWA 카도카와 쇼텐 (1945년 11월 10일 설립), 후지미 쇼보 (1972년 설립), 아스키 미디어 웍스 (1977년 5월 24일 설립), 미디어 팩토리 (1986년 12월 1일 설립), 엔터브레인 (1987년 1월 30일 설립)
Beaglee 분카사 (1948년 3월 설립), 카이오샤 (1986년 7월 설립)
후타바샤 후타바샤 (1948년 5월 설립), 엔젤 출판 (1998년 4월 설립)
Media Do 니혼분게이샤 (1959년 1월 설립), 자이브 (2003년 5월 12일 설립), Amazia (2009년 10월 1일 설립)
산코샤 산코샤 (1965년 11월 8일 설립), 미디어 소프트 (1999년 4월 30일 설립), CLAP (2015년 8월 설립)
매거진 매거진 매거진 매거진 (1972년 9월 11일 설립), 주네트 (2017년 10월 설립)
바쿠야 쇼보 바쿠야 쇼보 (1975년 12월 4일 설립), 코어 매거진 (1985년 5월 설립), 가이드 워크스 (2012년 4월 16일 설립)
코믹 하우스 아카네신샤 (1976년 10월 4일 설립), 코믹 하우스 (1985년 6월 19일 설립)
애니메이트 프론티어 웍스 (2002년 8월 설립), 리브레 (2006년 5월 8일 설립)
블랙스톤 에브리스타 (2010년 4월 1일 설립), 암타스 (2013년 4월 17일 설립)
WWWave WWWave (2010년 4월 9일 설립), 스이세이샤 (2015년 1월 14일 설립), 블래스트 출판 (2017년 2월 14일 설립)
신초샤 (1896년 7월 설립) · 지츠교노니혼샤 (1897년 6월 10일 설립) · 슈후토세이카츠샤 (1921년 6월 설립) · 분게이슌주 (1923년 1월 설립) · 후타미 쇼보 (1941년 설립) · 하야카와 쇼보 (1945년 8월 설립) · 인텔핀 (1945년 8월 8일 설립) · 킨다이 에이가샤 (1945년 10월 28일 설립) · 세카이 문화사 (1946년 2월 설립) · 가켄 (1946년 7월 설립) · 포플라사 (1947년 설립) · 아키타 쇼텐 (1948년 8월 10일 설립) · 고료샤 쇼텐 (1948년 10월 12일 설립) · 호분샤 (1950년 7월 10일 설립) · 히후미 쇼보 (1951년 12월 3일 설립) · 타이요 도서 (1952년 6월 설립) · 리드샤 (1960년 4월 설립) · 우시오슛판샤 (1960년 7월 2일 설립) · 신쇼칸 (1961년 6월 14일 설립) · 골프 다이제스트샤 (1961년 8월 설립) · 세이린도 (1962년 설립) · 타츠미 출판 (1967년 11월 1일 설립) · 쇼분칸 (1968년 5월 설립) · 하비재팬 (1969년 9월 27일 설립) · 와니매거진 (1971년 9월 10일 설립) · 타카라지마샤 (1971년 9월 22일 설립) · 타케쇼보 (1972년 10월 설립) · 세이센샤 (1973년 1월 설립) · 코스믹 출판 (1975년 4월 설립) · 카사쿠라 슈반샤 (1975년 4월 9일 설립) · 프랑스 쇼인 (1975년 9월 설립) · 스퀘어 에닉스 (1975년 9월 22일 설립) · 산와 출판 (1976년 7월 8일 설립) · 세이운샤 (1979년 7월 13일 설립) · 이카로스 출판 (1980년 7월 23일 설립) · 오쿠라 슛판 (1981년 4월 설립) · 신코샤 (1981년 6월 20일 설립) · 퓨전 프로덕트 (1982년 7월 설립) · 스타츠 출판 (1983년 3월 2일 설립) · 브라이트 출판 (1983년 6월 설립) · 마이크로 매거진 (1984년 7월 4일 설립) · 아르쥬네스 (1984년 11월 24일 설립) · 다이세이샤 (1985년 3월 설립) · 오타 출판 (1985년 11월 25일 설립) · 후소샤 (1987년 8월 1일 설립) · 이스트 프레스 (1989년 4월 5일 설립) · 슈크림 (1989년 6월 26일 설립) · 토스이샤 (1991년 4월 1일 설립) · 히트 슈반샤 (1993년 2월 22일 설립) · 겐토샤 (1993년 11월 12일 설립) · 신유샤 (1995년 9월 28일 설립) · 킬 타임 커뮤니케이션 (1995년 11월 30일 설립) · GOT (1996년 12월 12일 설립) · 세이린코게이샤 (1997년 10월 9일 설립) · 슈우스이샤 (1997년 11월 14일 설립) · 페어벨 (1997년 12월 설립) · 사이조 (1999년 설립) · 소프트뱅크 크리에이티브 (1999년 3월 24일 설립) · 티아이넷 (1999년 7월 설립) · 코어믹스 (2000년 6월 14일 설립) · 알파폴리스 (2000년 8월 25일 설립) · 맥 가든 (2001년 6월 5일 설립) · 도쿄만가샤 (2001년 9월 1일 설립) · G워크 (2002년 1월 15일 설립) · 클로이 출판 (2003년 12월 28일 설립) · 캐논 크리에이티브 (2005년 6월 설립) · 서드 라인 넥스트 (2005년 7월 설립) · 부시로드 (2007년 5월 18일 설립) · MUGENUP (2011년 6월 14일 설립) · 오버랩 (2011년 11월 11일 설립) · 코미스마 (2013년 2월 1일 설립) · TO북스 (2014년 5월 설립) · IMA (2015년 11월 2일 설립) · J퍼블리싱 (2016년 1월 설립) · Komiflo (2016년 6월 13일 설립) · 팬 길드 (2016년 7월 1일 설립) · viviON (2021년 10월 1일 설립) }}} }}} }}}
쇼가쿠칸
小学館|Shogakukan
파일:쇼가쿠칸 워드마크.svg파일:쇼가쿠칸 화이트 워드마크.svg
<colbgcolor=#fff,#2d2f34><colcolor=#000,#e0e0e0> 기업명 정식: 株式会社 小学館
한글: 주식회사 쇼가쿠칸
영어: SHOGAKUKAN Inc.
설립일 1922년 8월 8일
국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설립자 오오가 타게오(相賀武夫)
대표 오오가 노부히로(相賀信宏)
본사 도쿄도 치요다구 히토츠바시2초메 3-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비판
3.1. 고압적 자세3.2. 극우 성향3.3. 2차 창작 관련
4. 출간물 목록
4.1. 정기간행물
4.1.1. 만화잡지
4.2. 시사잡지4.3. 라이트 노벨4.4. 웹코믹 사이트4.5. 사전

1. 개요

일본출판사. 수없이 많은 유명작들의 발매 레이블로 알려져 있는 곳으로, 한국에서는 한국식 한자 독음인 '소학관'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다른 유명 만화 출판사인 슈에이샤(集英社)와 하쿠센샤(白泉社)와 마찬가지로 히토츠바시 그룹 소속이다.

본사는 히토츠바시에 있다. 1967년 완공한 건물은 노후화로 인해 2013년 철거 후 2016년에 그 자리에 신축했다.

2. 상세

파일:external/img.kai-you.net/sho6_0905_newlogo4.png파일:external/design.lemon-s.com/220.png
소학관이란 이름의 유래는 소학생을 위한 교육 도서를 주로 출판하는 걸 주 분야로 삼았기 때문. 그러다가 점점 범위가 넓어져서 지금의 종합적 출판사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다. 그래서 회사 마크도 책상을 맞대고 공부하는 실루엣이다. 창립 초기에는 병아리를 썼다고 한다.

이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잡지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주간 소년 선데이, 클럽 선데이가 있으며, 타카하시 루미코, 아오야마 고쇼, 후지타 카즈히로, 미나가와 료지, 안자이 노부유키, 니시모리 히로유키, 아다치 미츠루 등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작가들이 소년 선데이에 만화를 연재했으며 몇몇 작가는 소년 선데이를 통해 데뷔하기도 했다.

쇼가쿠칸 만화상을 개최한다. 코단샤에서 매해마다 수여하는 코단샤 만화상처럼 여기도 자사 작품 수상 비중이 높은 건 매한가지.

산하에 슈에이샤와 함께 애니메이션 제작사도 소유하고있다. 쇼가쿠칸 슈에이샤 프로덕션(약칭 ShoPro)가 바로 그것이다.

3. 비판

후술할 비판점들 때문에 소학관 잔혹사로 요약될 만큼 이미지가 나쁘다. 오죽하면 팬들 사이에서 소학관이 어시를 모집했는데 아무도 안 왔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3.1. 고압적 자세

블랙 기업 중 하나로 악명이 높다. 만화 출판사계의 바닝프로덕션. 주간 소년 선데이의 판매부수 급감과[1] 라이쿠 마코토와의 불화 및 소학관 편집부의 금색의 갓슈 원고 분실 사건, 신조 마유의 소학관 내 부정 폭로 등으로 이미지는 나빠진 지 오래이다. 작가를 대등한 계약관계로 보지 않고 '우리가 잡지에 연재시켜 준다'는 고압적인 태도 및 일방적인 고료 동결 및 강제휴재, 자신들에게 반하는 작가에 대한 유언비어 살포, 단행본을 절판시키겠다며 작가에 대한 협박 등 출판사가 야쿠자가 아닌가 싶은 행동을 해왔던 것으로 드러났다. 진상을 아는 사람들 중에는 차라리 소년 선데이가 폐간되고 소학관이 망해버리길 바라는 부류도 있을 정도.

이런 고압적인 자세는 한국 정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학산문화사 측에서 일부 작품의 한국 정발 출판이 지지부진한 이유가 일본 소학관 측에서 원고를 늦게 주기 때문이라고 밝혔고, 심지어 간판 밥줄인 명탐정 코난도 근 100여권이 발매될 동안 한국 발매일이 들쑥날쑥한데다 심지어 기약 없이 연기되는 일까지 생기곤 한다.

극장판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관련해서도 더빙에 관련하여 갑작스런 로컬라이징 금지로 논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이후 극장판들은 일괄적으로 비 로컬라이징으로 상영되고 있으며, TVA와 연관이 깊은 극장판 역시 비 로컬라이징으로 처리되었다. 흑철의 어영부터는 이러한 부조리성이 더욱 노골적으로 두드러지기 시작했는데 극장판은 비 로컬라이징으로, TVA 총집편은 로컬라이징 더빙판이 따로 나오는 혼란스러움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후 100만 달러의 펜타그램 역시 극장판은 비 로컬라이징으로[2], TVA 총집편은 로컬라이징으로 방영되었다. 이후 추가적인 개입이 있지 않는 한 앞으로도 이러한 부조리한 분리주의 체제가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이나 지자체를 홍보하기 위해 금지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지만, 사실 가능성이 그리 높진 않다. 당장 도쿄 올림픽 홍보라는 루머가 있었던 비색의 탄환은 아예 올림픽 라이센스를 따오지도 않아서 WSG라는 가상의 명칭을 사용하며 미국에서 일어난 사건과 연결짓는 용도로 등장할 뿐 WSG 도쿄는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는다. 애초에 WSG 스폰서 회장들을 대상으로 발생한 연쇄 납치극 및 살인 사건이 주 스토리라인인데, 이게 올림픽 홍보용 영화일 리는 없을 것이다.

게다가 하치조지마 홍보 아니냐는 말을 들었던 흑철의 어영도 감독이 인터뷰에서 가공의 섬을 무대로 할 예정이었다가 퍼시픽 부이 설정을 추가하며 무대를 하치조지마로 정했다고 밝혔다. 만약 정말 홍보용이었다면 처음부터 무대가 하치조지마로 정해져 있었어야 할 것이다.

코난 극장판 시리즈는 원래부터 실제 배경을 무대로 하거나 모티브로 삼아왔는데, 이유도 밝혀지지 않고 갑자기 로컬라이징이 금지되자 팬들 사이에서 이러한 추측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도 기존에 로컬라이징이 적용되고 있던 이누야샤의 정식 후속작, 반요 야샤히메까지 로컬라이징을 금지[3]시켰고, 명탐정 코난의 TV판에까지 로컬라이징에 관해 이의제기를 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반감을 샀다.

3.2. 극우 성향

코단샤처럼 2차대전 전간기에는 '소국민의 친구'(少國民[4]の友)라는 군국주의 교육용 아동잡지를 여럿 낸 적도 있었고[5], 현재도 극우 성향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기사를 써대는 잡지인 '사피오(SAPIO)'를 발행하는 출판사이기도 해서 사정을 아는 한국인들에게도 까인다. 사피오 이외에 '주간 포스트'와 '여성 세븐'이란 잡지도 한국에 적대적인 기사를 여럿 쓴다.

하지만 소년 선데이에서는 한국 출신 양경일을 고용하고 빅 코믹 연재작인 맛의 달인이 좌익인 것을 보면, 아무래도 우익·좌익 양쪽 독자를 노리는 거 같다. 그러나 2020년 전후로 한일 사이에서 진행중인 무역 분쟁지소미아 종료 등과 관련된 이슈에 대해 'NEWS 포스트 세븐'[6]에서 "혐한이 아닌 단한이다.", "화를 억제하지 못하는 '한국인'이란 병" 등의 혐한 발언을 연일 쏟아내며 논란을 빚었다. 일본의 대표 잡지인 만큼 파장이 컸는데, 본사 앞에서 시위가 벌어졌을 정도였으며 이후에 나온 어쩡쩡한 사과문 역시 비난받았다.

3.3. 2차 창작 관련

2018년 9월 갑작스럽게 유튜브에 올려진 도라에몽 2차 창작 게임인 도라에몽: 노비타의 바이오 하자드의 저작권 신고를 넣은 사건이 있다. 그런데 이것은 원작 왜곡 및 저작인격권 침해로 인한 것이며, 오히려 원작 도라에몽의 팬들 사이에서는 아동 만화인 도라에몽 원작의 내용을 잔혹하게 왜곡/훼손한 해당 게임에 대한 쇼가쿠간의 엄정 대응을 옹호하는 의견이 더 많다. 자세한 것은 도라에몽: 노비타의 바이오 하자드 문서 참고.

4. 출간물 목록

4.1. 정기간행물

4.1.1. 만화잡지

  • 아동 대상
    • 월간 코로코로 코믹(コロコロコミック) - 매월 15일 발간
      • 별책 코로코로 코믹 스페셜 - 짝수월 30일 발간
      • 코로코로 이치방! - 매월 21일 발간
      • 테레비군(てれびくん)
    • 풋치구미(ぷっちぐみ) - 여아층 대상 잡지
  • 청년 대상
    • 빅 코믹 스피리츠 - 매주 월요일 발간
      • 월간 스피리츠 - 매월 27일 발간
    • 월간 선데이 제넥스(GX) - 매월 19일 발간
    • 월간 IKKI - 2003년 2월에 창간된 이래로 매월 27일 발간했으나, 2014년 9월에 휴간했다.
    • 코로코로 코믹 아니키 - 연 4회 15일 발간, 2021년 휴간. 현재는 주간 코로코로 코믹으로 통합 및 리뉴얼 되었다.
  • 남성 대상
  • 소녀 대상
    • 챠오 - 매월 3일 발간
    • Sho-Comi - 매월 5일, 20일 발간
    • 베츠코미 - 매월 13일 발간
    • Cheese! - 매월 24일 발간
  • 여성 대상
    • 쁘띠 코믹 - 매월 8일 발간
    • 월간 Flowers - 매월 28일 발간
  • 학습잡지
    • 소학n학년 - 쇼가쿠칸의 학습잡지 시리즈. 매월 1일에 발행되며 원래는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전부 있었지만 2010년에 5, 6학년이, 2012년에 3, 4학년이, 2017년에 2학년이 휴간되어 현재는 1학년만 남은 상태. 기본적으로 학습잡지이지만 만화로도 유명한데, 대표작으로 도라에몽, 포켓몬스터 SPECIAL 등이 있다.

4.2. 시사잡지

  • 주간 포스트 세븐
  • 월간 SAPIO

4.3. 라이트 노벨

4.4. 웹코믹 사이트

  • 선데이 웨브리
  • 우라 선데이
  • 주간 코로코로 코믹
    2022년 3월 15일 창간. 코로코로 온라인에서 서비스 중이며 본래 아동 만화 위주로 연재했던 만화 코너가 2021년 휴간된 코로코로 아니키와 통합 및 리뉴얼된 것으로 현재는 과거 코로코로 코믹에서 연재된 작품들과 고연령층 대상 신작도 게재하고 있다.

4.5. 사전


[1] 2010년 기준으로 70만 부, 일본 3대 소년지 중 최하로, 2위인 주간 소년 매거진과는 2배 넘는 차이가 난다. 전성기인 1980년대 초에는 2백만 부를 넘겼고, 1990년대에도 150만 부대 정도는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처참하게 몰락한 셈.[2] 그런데 이쪽은 작품 자체가 로컬라이징 불가 수준으로 왜색이 지나치게 강하다.[3] 단, 1기에서부터 신규 캐릭터들은 일본어 원어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설정 관련 번역에서도 어정쩡한 로컬라이징이 벌어진 것 때문에 번역 면에서의 평가가 매우 좋지 않았다. 이후 2기에서는 현지화를 포기하면서 추억 장사에서도 완전히 실패하였고, 애니메이션 자체의 퀄리티도 저열한 탓에 결국 그대로 묻혔다.[4] 군국주의 시절 일본에서 예비 소년병이 될 아이들을 이렇게 불렀었다. 국민학교라는 명칭과도 관계가 있다.[5] 이런 흑역사는 일본의 오래된 출판사들이 공통으로 지닌다. 코단샤도 쇼가쿠칸보다는 덜하지만 시사잡지인 '슈칸겐다이'(週刊現代)는 반한 성향의 보도를 자주 하며, 자회사인 코분샤는 그 악명높은 '추한 한국인'을 출판한 기업이다.[6] '주간 포스트'와 '여성 세븐'의 편집 기자들이 참여하는 뉴스 사이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