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20:28:28

블랙스톤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기업
시가총액 상위 50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25년 9월 19일 기준 트레이딩뷰 집계
순위 기업 시가총액 (USD)
1 파일:NVIDIA 로고 가로형.svg파일:NVIDIA 로고 가로형 화이트.svg 4.83조
2 파일:Apple 로고.svg파일:Apple 로고 화이트.svg 3.99조
3 파일:Microsoft 로고.svg파일:Microsoft 로고 화이트.svg 3.82조
4 파일:알파벳 로고.svg 3.35조
5 파일:아마존닷컴 로고.svg파일:아마존닷컴 로고_다크.svg 2.63조
6 파일:브로드컴 로고.svg파일:브로드컴 로고 화이트.svg 1.66조
7 파일:Meta 로고.svg파일:Meta 로고 컬러 화이트.svg 1.58조
8 파일:테슬라 로고타입.svg파일:테슬라 로고타입 화이트.svg 1.39조
9 파일:버크셔 해서웨이 로고.svg 1.05조
10 파일:JP모건 체이스 로고.svg파일:JP모건 체이스 로고 화이트.svg 8503.6억
11 파일:월마트 로고 (2025~).svg 8153.8억
12 파일:일라이 릴리 앤드 컴퍼니 로고.svg 7,117.3억
13 파일:오라클 로고.svg 7074.8억
14 파일:비자카드 로고.svg파일:비자카드 로고 화이트.svg 6,581.5억
15 파일:마스터카드 로고.svg 5,280.9억
16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5,213.7억
17 파일:엑슨모빌 로고.svg 4,809.8억
18 파일: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로고.svg파일: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 로고_화이트.svg 4,326.9억
19 파일:존슨앤드존슨 로고.svg 4,243.3억
20 파일:코스트코 로고.svg 4,218.2억
21 파일:홈디포 로고.svg 4,137.7억
22 파일:애브비 로고.svg파일:애브비 로고 화이트.svg 3,930.1억
23 파일:뱅크 오브 아메리카 로고.svg파일:뱅크 오브 아메리카 로고 화이트.svg 3,870.1억
24 파일:P&G 로고.svg 3,652.1억
25 파일:쉐브론 로고.svg 3,198.2억
26 파일:GE 에어로스페이스 로고.svg파일:GE 에어로스페이스 로고 화이트.svg 3,193.4억
27 파일:유나이티드헬스 그룹 CI (2).svg파일:유나이티드헬스 그룹 CI.svg 3,049.3억
28 파일:코카콜라 컴퍼니 로고.svg파일:코카콜라 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2,858.9억
29 파일:웰스 파고 로고.svg 2,711.4억
30 파일:Cisco 로고.svg 2,696.5억
31 파일:T-모바일 로고.svg 2,680.4억
32 파일:AMD 로고.svg파일:AMD 로고 화이트.svg 2,554.2억
33 파일:모건 스탠리 로고.svg파일:모건 스탠리 로고 화이트.svg 2,552.7억
34 파일:필립 모리스 로고.svg 2,536.5억
35 파일:IBM 로고.svg 2,481.6억
36 파일:골드만삭스 로고.svg파일:골드만삭스 로고 화이트.svg 2,436.9억
37 파일: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로고.svg 2,373.8억
38 파일:애보트 레버러토리스 로고.svg파일:애보트 레버러토리스 로고 화이트.svg 2,367.7억
39 파일:세일즈포스 로고.svg 2,352.3억
40 파일:블랙스톤 로고.svg 2,304.3억
41 파일:린데 로고.png 2,246.1억
42 파일:앱러빈 로고.svg 2,197.2억
43 파일:캐터필러(기업) 로고.svg파일:캐터필러(기업) 로고 화이트.svg 2,185.6억
44 파일:맥도날드 로고.svg 2,157.8억
45 파일:RTX 로고.svg 2,118.1억
46 파일:AT&T 로고.svg파일:AT&T 로고 화이트.svg 2,074.3억
47 파일:우버 로고.svg 파일:우버 로고 화이트.svg 2,054.3억
48 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svg파일:월트 디즈니 컴퍼니 로고 화이트.svg 2,045.3억
49 파일:MSD 로고.svg 2,035.9억
50 파일:서비스나우 로고.svg파일:서비스나우 로고 다크.svg 1,999.2억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상위 50위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상위 15위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 상위 25위 · [[유럽연합|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유럽연합 상위 30위 ·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 스위스 상위 10위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상위 25위 ·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 대만 상위 10위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코스피 상위 50위 · 코스닥 상위 50위
}}}}}}}}}
<colbgcolor=#000><colcolor=#fff> 블랙스톤
Blackstone Inc.
파일:blackstone logo.png
설립 1985년 ([age(1985-07-01)]주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뉴욕 맨해튼
창업자 피터 피터슨, 스티븐 슈워츠먼
경영진
CEO
스티븐 슈워츠먼
COO
조나단 그레이
이사회
의장
스티븐 슈워즈먼
산업 금융
분야 PEF, 대안투자
편입 지수 S&P 500
상장 거래소 뉴욕증권거래소[1] (2007년 6월~ / BX)
시가 총액 1,308억 달러(2023년 10월)
운용 자산 1조 14억 달러(2023년 2분기)
매출 85억 2,000만 달러(2022년)
영업 이익 29억 9,000만 달러(2022년)
고용 인원 4,695명(2022년)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역사4. 관련 문서

1. 개요

미국사모펀드 운용 기업.

2. 상세

운용 자금 액수만 약 9,300억 달러(한화 약 1,300조 원)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사모펀드(Private Equity Fund) 운용사다. # 1985년 투자은행 리먼 브라더스(Lehman Brothers) 출신인 금융인들이 공동창업한 이래 지속적으로 사세를 확장해왔다.

레버리지 전략을 활용한 인수합병 및 차익 매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모펀드(PEF)[2]부동산 투자, CLO[3], 메자닌, 보험펀드 등 여러 상품에 분산투자하며 변동성을 최소화시키는 대안투자[4]를 주업으로 삼는다. 대안 투자 영역에서는 대침체로 인해 리스크 관리에 실패해 붕괴한 헤지펀드 등의 액티브 펀드 영향력이 줄어들기 시작한 시점인 2010년대부터 사업 영역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자산 관리 부문은 기관 투자자, 공공 기관, 대학 기금, 부유한 개인 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운용되며, 전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자산을 관리하고 있다. 전략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성공을 이뤄왔으며, 운영 방식은 금융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높은 수준의 전문성과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보유하며, 글로벌 경제의 주요 플레이어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기업의 가치 창출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 전략을 추구한다.

3. 역사

  • 1985년 피터 지. 피터슨과 스티븐 A. 슈워츠먼에 의해 설립됨. 초기에는 합병 및 인수 자문 회사로 시작.
  • 1990년대 초반부터 부동산 투자 사업 확장.
  • 2000년대 초반, 글로벌 금융 위기 동안 활발한 투자 활동.
  • 2007년 기업 공개(IPO)를 통해 공개 회사로 전환. 이후 글로벌 대체 투자 회사로 성장,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 2010년, 공동창업자인 피터 피터슨은 더 기빙 플레지에 서명하며 재산의 절반 이상을 사회에 환원할 것을 약속했다.
  • 2021년 10월, 블랙스톤은 뉴욕증권거래소블랙스톤 시큐어드 렌딩 펀드 (Blackstone Secured Lending Fund; BXSL)라는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Business Development Company; BDC)를 상장했다. 다른 BDC와는 달리 위험성을 최소화한 보수적인 운용을 목표로 하는데도 불구하고 블랙스톤의 차주 선별 (Overwritie) 역량이 뛰어나서 BDC 섹터에서는 상위권의 총주주수익률 (Total Shareholder Returns; TSR)과 배당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미국 증시의 채권 대체투자 영역에서는 파머 맥 (Farmer Mac)과 더불어서 탑픽으로 손꼽히는 종목이다. 또한 같은 달 보정속옷 브랜드인 Spanx의 지분 대부분을 12억 달러의 기업가치로 인수했다.
  • 코로나 버블 여파로 2022년부터 시작된 각국 중앙은행들의 긴축 기조로 인한 부동산 가격 급락과 더불어 2023년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사태로 촉발된 은행 위기가 부동산 금융시장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며 펀드 인출 요구액이 한달새 15%가 늘자 5개월 연속 환매 제한 조치를 하며 화제가 되었다. 하지만 바로 다음달인 2023년 4월 ‘BREP X’ 펀드 조성을 통해 304억 달러(약 40조 원)의 자금을 모금했다고 발표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의 부동산 펀드이다.
  • 2022년 한국 오피스를 재설립하며 한국에서 사업 확대를 선언했다.[5] 한미은행 은행장을 거쳐 한국씨티은행장을 10년간 역임한 이력이 있는 하영구 전 전국은행연합회 회장을 한국법인 회장으로 선임했다. 그는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과정에서도 막후 조력하는 등 금융계에 이름을 새긴 거물이다. #
  • 2024년 6월 피너툰의 모회사인 인포컴을 인수하였고 이후 2025년 2월 28일 피너툰이 서비스 종료되었다.

4. 관련 문서


[1] 41억 달러를 조달했는데, 2002년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상장이었으며 사모펀드 업계에서는 처음 상장하는 기업이었다고 한다.[2] 2007년 힐튼 인수건이 가장 대표적이다.[3] 대출채권담보부증권[4] 수익률 자체보다 샤프 지수에 적합한 리스크 대비 수익률을 중요시한다.[5] 이전에도 지오영 등의 기업에 투자했으나, 이를 홍콩 지사에서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