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CC21> | 고대왕자 공룡킹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시리즈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작 | ||||
아케이드 게임 무인편 | 7개의 조각 | }}} {{{#!wiki style="margin: -16px -1px 0px" | <colbgcolor=#FFCC21> 미디어 | 만화 · TVA 애니메이션 · 북미 오프라인 TCG | }}} }}}}}} |
등장인물 | 고생물 | OST |
고대왕자 공룡킹 古代王者恐竜キング | Dinosaur King | |||||
{{{#whit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해외 로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colbgcolor=#FFCC21> 대만판, 북미판 아케이드 로고 | <colbgcolor=#FFCC21> 북미판 DS 로고 |
<colbgcolor=#FFCC21><colcolor=#ffffff> 시스템 | System SP |
유통 | 세가 |
가동일 | 2005년~2010년 |
공식 사이트 | (일본) | (대만)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세가에서 제작한 공룡 트레이딩 카드 게임 배틀물 시리즈.이전 작 갑충왕자 무시킹에 비하면 높은 퀄리티, 다양한 속성 등 여러 가지 신규 요소들이 추가되었다.
게임은 물론 만화나 TCG판 애니메이션으로도 여러 미디어 믹스들이 존재한다.
2. 설정
우선 공룡킹의 스토리상 주요 핵심적인 요소 석판이 있다. 이 석판은 고다이 류타와 렉스 오웬이 발견한 것이며[1]이 석판에는 주요 6가지 속성이 담겨져 있다. "불꽃, 물, 천둥번개, 흙, 풀, 바람."이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공룡 카드로 배틀을 하는 것이다.또 다른 설정은 공룡 사냥꾼 아쿠토단과 대결하여 상대의 공룡들과 대전하는 것이다.
그 이후 우주해적 쟌쟈크의 적이라는 새로운 적이 등장하였다.
3. 언어별 명칭
대부분 국가에서는 영어와 같이 '다이노소어 킹(Dinosaur king)'으로 불리고 있다.<colbgcolor=#f5f5f5,#191919>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고대왕자 공룡킹, 공룡킹 어드벤처[2] | |||
일본어 | 古代王者恐竜キング[3], 恐竜キング[4] | |||
네덜란드어 | Dinosaur King | |||
노르웨이어 | Dinosaur king | |||
독일어 | Dinosaur King | |||
루마니아어 | Dinosaur King | |||
스페인어 | Dino Rey | |||
아랍어 | ملك الديناصورات | |||
영어 | Dinosaur King | |||
이탈리아어 | Dinosaur King | |||
중국어 | 古代王者 恐龍王 | |||
태국어 | ไดโนคิง ราชันย์พันธุ์ไดโนเสาร์ | |||
포르투갈어 | Dinossauro Rei | |||
프랑스어 | Dinosaur King | |||
핀란드어 | Dinosaur King | |||
헝가리어 | A dinoszauruszok királya | |||
히브리어 | מלך הדינוזאורים |
4. 원작
4.1. 아케이드판 무인편
자세한 내용은 고대왕자 공룡킹(2006) 문서 참고하십시오.
4.2. 7개의 조각
자세한 내용은 고대왕자 공룡킹: 7개의 조각 문서 참고하십시오.
5. 미디어 믹스
5.1. 만화
자세한 내용은 고대왕자 공룡킹/만화 문서 참고하십시오.
5.2. 애니메이션
자세한 내용은 고대왕자 공룡킹/애니메이션 문서 참고하십시오.
6.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고대왕자 공룡킹/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
7. 등장 고생물
자세한 내용은 고대왕자 공룡킹/등장 고생물 문서 참고하십시오.8. OST
자세한 내용은 고대왕자 공룡킹/OST 문서 참고하십시오.9. 여담
주소비층인 아동들이 공룡의 이름을 잘 외우라고 한 좋은 의도에서 제작된 시리즈이고 공룡을 비롯한 각종 고생물들이 주력 콘텐츠지만, 고생물 관련 팬덤에서는 호불호가 갈리는 편. 일각에서는 배틀물 소재 때문에 동물서열 드립이 나오기도 하지만 '동물이 싸운다'는 소재만 일치할 뿐 흔히 말하는 '애니멀 파이트' 류 매체와는 방향성이 많이 다른 편이다.전반적으로 공룡의 형태가 당시 기준 해부학적으로 꽤 유사하게 잘 복원되어 있으며, 테리지노사우루스처럼 지금 봐도 준수한 모델도 꽤 많다. 하지만 연구가 많이 진행된 지금 기준으로는 현실 공룡과 꽤 다른 점도 많다. 데이노니쿠스, 유타랍토르는 머리에만 깃털이 나 있는 데다가,[5] 유타랍토르의 모습은 데이노니쿠스와 비슷하지만 몸 구조가 크게 달랐다는 것이 중론이다. 메가랍토르는 뒷발이 아닌 앞발에 큰 갈고리발톱이 달려 있었다.[6]
현재는 디플로도쿠스의 한 종으로 통합되어 없어진 학명인 세이스모사우루스가 그대로 나오고, 본 작품에 나오는 프테라노돈은 현재는 게오스테른베르기아라는 다른 익룡으로 재명명되었다. 사우로파가낙스는 사실 육식 공룡도 아닌 용각류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7] 아나토티탄은 에드몬토사우루스 안넥텐스로 재분류되었다. 공룡들은 포효도 하기도 하는데 실제로는 성대가 없어 포효할 수 없었다.
의외로 미디어 믹스에 들어갈 경우 캐릭터와 배경의 설정이 완전히 바뀌어 버리는 경우들도 있다.
애니메이션의 성우진들은 대부분 인지도가 낮은 성우진들로 구성되어있다. 반면 유명한 성우도 꽤 나온다 (예): 우치다 나오야, 히라카와 다이스케
이 문서의 대부분 이미지는 여기서 가져왔다.
10. 2차 창작
10.1. 팬 리메이크(다이노소어 킹덤)
스마트폰용으로 원작 게임을 리메이크하는 팬 프로젝트가 현재 진행중이다. 2022년 하반기에 공개 예정이었으나, '게임 출시와 동시에 판매 종료되는' Backerkit 후원이 아직 판매중인 것을 보면 아직도 개발 중인 모양. 현재는 모바일로만 작업 중이지만, 차후 PC와 같은 타 기종으로도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까지 공개된 모드로는 온라인 멀티플레이(PVP[8], 토너먼트, 보스 배틀[9] 등)와 공룡 커스터마이징, 트레이닝 등이 있다.
배틀에서 승리하면 얻는 다이노몬드(Dinomond)라는 화폐를 사용해 캐릭터의 스킨과 기술 카드를 구입할 수 있으며, 공룡 화석 발굴을 통해 공룡을 해금하거나 공룡의 레벨을 올릴 수 있다.
런칭 직후에는 원작에서 D 키즈와 알파단 삼총사의 파트너였던 여섯 마리 공룡들[10]이 주어진다.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카드는 총 22가지.
11. 관련 문서
12. 외부 링크
[1] 정작 애니메이션판에선 엔시트 박사와 크라시아 박사가 발견했다고 설정되었다.[2] 애니메이션이 더 인지도가 높은지라 주로 공룡킹 어드벤처라 불린다.[3] 고대왕자 공룡킹[4] 공룡킹[5] 데이노니쿠스 설정상 수컷에게만 깃이 있고, 암컷에게는 없다는 점이 쥬라기 공원 3에 나오는 밸로시랩터의 특징과 비슷하다.[6] 2007년 아케이드에서 메가랍토르 카드 출시 당시 이미 2년 전에 앞발톱이라는게 밝혀졌음에도 큰 뒷발톱의 모습으로 등장했다.[7] 화석이 알로사우루스와 디플로도쿠스과 용각류의 화석이 뒤섞인 것으로 밝혀졌고, 알로사우루스에 해당하는 화석들은 알로사우루스의 신종인 아약스종(A. ajax)으로 재분류되었다.[8] 공룡을 한 마리씩 보내서 싸우는 일대일 대전, 두 마리씩 보내서 싸우는 더블배틀이 존재한다.[9]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보스급 공룡 캐릭터들이 등장.[10] 트리케라톱스(번개), 카르노타우루스(바람), 파라사우롤로푸스(풀), 티라노사우루스(화염), 스피노사우루스(물), 사이카니아(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