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2%; min-height: 2em;" {{{#!folding [ 서울경부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ae1932><colcolor=#ffffff> 경기 | ↔ 안성 | ↔ 평택 | ↔ 포천, 운천 | ↔ 용인 |
↔ 이천 | ↔ 여주 | ↔ 여주프리미엄아울렛 | |||
강원 | ↔ 강릉, 경포해변 | ↔ 원주 | ↔ 원주기업도시, 원주혁신도시 | ↔ 동해, 삼척 | |
↔ 영월 | ↔ 양양, 속초 | ↔ 춘천 | ↔ 신철원, 철원(동송) | ||
↔ 정선 | |||||
대전/충남 | ↔ 공주/유구 | ↔ 금산 | ↔ 대전복합 | ↔ 대전청사 | |
↔ 세종 | ↔ 아산온양 | ↔ 천안 | ↔ 조치원 | ||
충북 | ↔ 제천 | ↔ 청주 | ↔ 황간 | ||
대구/경북 | ↔ 점촌 | ↔ 상주 | ↔ 구미 | ↔ 동대구 | |
↔ 포항 | ↔ 영천 | ↔ 경주 | ↔ 영주 | ||
↔ 예천, 경북도청 | ↔ 안동, 영덕 | ||||
부산/경남 | ↔ 부산 | ↔ 부산사상 | ↔ 울산 | ↔ 진주 | |
↔ 마산 | ↔ 창원 | ↔ 김해 | ↔ 통영 | ||
운행중단/폐선 | ↔ 김천 | ↔ 밀양 | ↔ 단양, 구인사 | ↔ 울진, 온정 | |
↔ 탕정삼성 |
- [ 서울호남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ae1932><colcolor=#ffffff><width=5000px><|3> 대전/충남 ||<width=22.5%> ↔논산 ||<width=22.5%> ↔ (신탄진역), 유성 ||<width=22.5%> ↔당진 ||<width=22.5%> ↔청양 ||
- [ 동서울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ae1932><-5><colcolor=#ffffff> 고속버스 및 전환시외 (코버스 전산을 사용하는 노선) ||
강원 ↔강릉고속 ↔동해, 삼척고속 ↔양양, 속초고속 충청 ↔청주고속 ↔대전복합 호남 ↔광주 ↔전주 영남 ↔동대구 ↔부산 ↔부산사상 ↔마산,진해 ↔창원 ↔진주 폐선 ↔동광양↔정읍시외버스 및 전환고속 (시외버스 전산을 사용하는 노선) 인천/경기 ↔가평 ↔포천
(신철원행) (동송행)↔의정부, 포천 ↔양평
(홍천행) (횡성행)↔일동
(와수리행) (사창리행)↔인천 ↔안산 ↔평택 ↔장호원 ↔오산 강원 ↔춘천, (화천) ↔홍천 ↔횡성 ↔원주 ↔(영월), 고한, 태백 ↔와수리, (산양리) ↔(홍천, 인제), (양양), 속초시외 ↔(장평, 진부), 강릉시외, (주문진) ↔사창리, (다목리) ↔신철원 ↔동송 ↔와수리 ↔평창, 정선 ↔(홍천), 인제, 간성, (대진) ↔동해, 삼척시외, (호산) ↔(홍천), 양구 ↔홍천, 인제, 해안 ↔(홍천), 현리 ↔(홍천), 인제, 원통 대전/충남 ↔대전청사, 유성 ↔세종, 자운대 ↔천안 ↔천안, 아산 ↔서산, 태안 ↔당진 ↔공주, 부여, 논산 충북 ↔청주북부, 청주대 ↔청주시외, (보은, 속리산) ↔제천 ↔충주 ↔음성 ↔증평, 괴산 ↔진천, 충북혁신도시 ↔감곡 ↔단양, 구인사 대구/경북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문경, 안계 ↔(문경), 점촌, (상주) ↔문경, 한방단지 ↔봉화 ↔의성, 군위 ↔영주, (울진, 온정) ↔용궁, 예천, 경북도청 ↔구미 ↔경주, 포항 ↔부구, 울진, (후포) ↔김천 부산/경남 ↔통영, 고현(거제) ↔현풍, 의령 ↔함양, 지리산 ↔거창 ↔울산 ↔양산, 해운대 광주/전남 ↔(광양, 순천), 여수 ↔목포, 해남 운행 중단/폐선 ↔성환, 남서울대↔대구북부(완행)↔경산, 청도↔이천↔여주
(여주대 경유)(부발 경유)↔안동(완행)↔영주(완행)↔충주(완행)↔부천↔화북↔수안보↔안성
- [ 상봉 ]
- [ 서울남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ae1932><width=5000px><colcolor=#ffffff> 고속버스 ||<-2> ↔고현(거제) ||<-2> ↔세종 ||
시외버스 경기 ↔양지, 백암, 두원공대 ↔평택 강원 ↔장평, 진부, 횡계, 주문진 ↔고한, 태백 대전/충남 ↔서산, 태안 ↔계룡 ↔합덕 ↔천안 ↔송악신도시, 대산, 성연 ↔대전복합 ↔부여 ↔서천, 장항 충북 ↔청주북부, 청주공항, 청주대 ↔진천
(광혜원 경유) (충북혁신도시 경유)↔음성 ↔청주, (보은, 속리산) 대구/경북 ↔상주 ↔현풍 ↔성주, 고령 ↔김천 부산/경남 ↔안의, 거창, 함양 ↔서상, 함양, 인월, 백무동 ↔원지, 덕산, 중산리 ↔진교, 남해 ↔고성, 통영 ↔마산남부, 진해, 용원 ↔양산, 해운대 ↔남지, 부산사상 ↔통영, 고현, 장승포(거제) ↔사천, 삼천포 ↔하동 ↔합천 ↔산청, 진주 ↔창녕, 부곡 광주/전남 ↔구례 전북 ↔전주, 한일장신대/임실 ↔완주혁신도시, 전주대 ↔익산, 삼례 ↔우석대 ↔무주, 장수 거제(고현 직통) 노선과 세종 노선은 고속버스 노선으로 인가되어 별도로 서술하였다.
- [ 잠실역 ]
- [ 김포공항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ae1932><width=5000px><colcolor=#ffffff><|2> 강원 ||<width=22.5%> ↔원주 ||<width=22.5%> ↔춘천 ||<width=22.5%> ↔강릉, 동해, 삼척 ||<width=22.5%> ↔양양, 속초 ||
↔영월, 고한, 태백 대전/충남 ↔당진, 서산, 태안 ↔천안 충북 ↔증평, 충북혁신도시 ↔제천 운행중단 ↔광주↔연무대↔안성, 평택, 오산, 동탄, 고양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9%; min-height: 2em;" {{{#!folding [ 세종(시외,고속) ] {{{#!wiki style="margin: -5px 0;"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a0c6><colcolor=#fff> 수도권 | ↔서울경부 | ↔용인,기흥,신갈 | ↔인천 |
↔동서울 (자운대발) (공주발) | ↔수원 (전주발) (공주/부여발) | ↔성남 | ||
↔서울남부 | ↔인천공항 | ↔의왕,안양 | ||
↔부천 (유성발) (전주발) | ||||
충청 | ↔자운대 | ↔서천 | ↔천안 | |
↔서대전 | ↔계룡,논산 | ↔청주 | ||
↔공주 | ↔부여 ↔(인천발) | ↔당진,서산,태안 | ||
↔공주,당진,서산 | ||||
강원 | ↔춘천 | |||
영남 | ↔안동,경북도청 | ↔포항,경주 | ↔고현 | |
↔진주,삼천포 | ↔ 김해, 김해공항 | |||
호남 | ↔광주/목포 | ↔군산 | ↔전주 ↔(부천발) | |
운행중단 | | | | |
|
}}} ||
| |
금호고속 차량 | 충남고속 차량 |
1. 개요
서울남부와 세종을 잇는 전환고속 노선으로 금남고속, 금호고속, 삼흥고속, 중부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한다.2. 노선 정보
고속버스 서울남부 ↔ 세종 | |||||
기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서울남부터미널) | 종점 |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세종고속시외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6:20 | 기점행 | 첫차 | 06:25 |
막차 | 20:40 | 막차 | 20:40 | ||
배차간격 | 1일 13회 | ||||
운수사명 | 금남고속, 금호고속, 삼흥고속, 중부고속, 충남고속, 한양고속 | ||||
상세 노선 | 서울남부 ↔ 경부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 43번 국도 ↔ 세종청사 ↔ 세종 |
3. 특징
- 본래 시외버스 면허로 서비스 우등을 투입했으나, 2020년 2월 12일부터 전환고속 면허를 부여받았으며,[1] 우등 할증이 적용된다. 또한 뒷좌석 할인, 단체 할인, 사전 예매 시 10% 할인 등이 전혀 없었다. 중고생 할인도 없앴다가 2022년 11월 1일 요금 인상과 함께 다시 부활하였다.
- 금호고속을 제외한 업체들은 모두 충남 쪽에 연고가 있는 업체들이다.
- 금호고속의 경우 2팀(직행부)에서 운행하며, 대개 E-Pass 단말기 장착 차량이 들어오기는 하지만 시외버스 전산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승무사원이 검표앱으로 검표한다.[2] 금호고속의 경우 운행 코스 상 세종 ↔ 광주 노선과 한 세트이다. 즉 서울남부 ↔ 세종을 운행하고 그 다음 세종 ↔ 광주를 운행하는 방식이다. 물론 한 번에 서울남부 ↔ 광주 구간을 이용할 수는 없으며 세종을 기점으로 분리 발권을 해야한다. 차라리 서울호남으로 가서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게 낫다.[3]
- 운이 정말 좋으면 특별 랩핑을 한 금호고속 차량도 볼 수 있다.
- 고속버스로 전환된 이후 3회 증편되었다가 코로나 감차로 원상 복구되었다. 다만 서울발 18:50, 세종발 16:00 금호고속 차량이 2021년 5월 28일 기준 감차가 해제되었다.[4]
- 주말에 논산천안고속도로의 정체가 심한 경우 천안에서 빠지지 않고 청주[5]까지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하거나 논산천안고속도로를 경유하긴 하되 남천안IC에서 고속도로를 나와 일반 국도로 우회하기도 한다.
- 경유지 증가로 인해서 서울경부에서 운행하는 서울경부 ↔ 세종 노선은 일부 노선에 한해 전환시외로 운행됨에 따라 이 서초동 남부터미널에서는 전환시외가 아닌 전환고속으로 운행하는 이상한 노선이 되었다.[6][7]
- 운행 시간 이외에는 강남으로 가야 한다.
4. 시간표
회차 | 서울남부 | 세종 |
1 | 06:20 | 06:25 |
2 | 06:40 | 07:10 |
3 | 06:55 | 09:05 |
4 | 09:10 | 10:50 |
5 | 10:30 | 11:40 |
6 | 11:40 | 13:00 |
7 | 13:50 | 14:10 |
8 | 15:10 | 15:15 |
9 | 16:30 | 16:00 |
10 | 17:50 | 17:10 |
11 | 18:50 | 18:10 |
12 | 19:50 | |
13 | 20:40 |
5. 운임표
- 성인 13,000원
- 아동 6,500원
6. 연계 철도역
[1] 이 노선의 고속 면허 전환 이전에 서울남부발 고속버스 노선은 경원여객의 고현행 밖에 없었다.[2] 당연히 고속버스 프리패스도 사용할 수 없다.[3] 서울 ↔ 광주 노선 배차는 아무때나 가서 표 달라고 하면 바로 탈 수 있을 정도로 차가 많다. 일단 인가 대수만 166대니...[4] 충남 5개사는 윤번제 배차이지만 금호고속만 유일하게 고정 배차로 운행한다.[5] 충남고속이나 한양고속일 경우 옥산IC로 진출하는 경우도 있다.[6] 서울남부발 세종행 전환고속 시외 노선이 동탄역 혹은 또는 조치원 구간만 추가로 중간에 경유했더라면 전환고속이 아닌 시외버스였을지도 모른다. 고속버스는 같은 행정 구역 및 기초자치단체에서 2개 이하의 정류장에서만 승차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고, 중간에 타 지역을 경유할 시 고속 면허 조건이 성립되지 않는다. 하지만 고속버스 규정이 개정되면 같은 행정 구역 및 기초자치단체에서도 2개 정류소 초과시 고속 면허 거리만 충족한다면 시외로 전환되지 않고 고속 면허로 유지되기 때문에 시외 면허로 전환하려면 경기도 화성시의 동탄역을 경유해 고속 면허 조건이 깨져야 한다. 하지만 서울-아산(탕정)노선이 중간에 용인시 죽전정류장을 경유하는 것과 달리 현재 그럴 일은 전혀 없는 것으로 보인다.[7] 사실 조치원역에서는 철도(ITX, 무궁화호)로 서울을 오가는 승객이 많은지라 좀 그렇고 동탄역을 경유하게 되면 시외 면허로 전환될 수도 있다. 현재는 용인에서 유성, 세종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중간에 동탄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조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