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연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기도 화성시 소재의 고등학교에 대한 내용은 서연고등학교 문서 참고하십시오.[주의!]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에 의거하여,
1. 학교를 몇 개씩 묶거나, 학교의 첫글자를 차례차례 나열하는 방법 등으로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 조장하는 서술은 금지됩니다. 또한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서 작성 또한 금지됩니다.
2. SKY(대학교) 문서와 대학 서열화라는 사회 현상에 대한 문서는 예외적으로 작성을 허용합니다. 이 경우에도 해당 문서의 내용은 위 1번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위의 지침을 위반한 서술을 추가할 경우 문서 훼손 및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1. 학교를 몇 개씩 묶거나, 학교의 첫글자를 차례차례 나열하는 방법 등으로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 조장하는 서술은 금지됩니다. 또한 그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서 작성 또한 금지됩니다.
2. SKY(대학교) 문서와 대학 서열화라는 사회 현상에 대한 문서는 예외적으로 작성을 허용합니다. 이 경우에도 해당 문서의 내용은 위 1번 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위의 지침을 위반한 서술을 추가할 경우 문서 훼손 및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를 받을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SKY 관련 틀 | |||||||||||||||||||||||||||||||||||||||||||||||||||||||||||||||||||||||||||||||||||||||||||||||||||||||||||||||||||||||||||||||||||||||||||||||||||||||||||||||||||||
|
[clearfix]
1. 개요
서울대학교(Seoul Nat'l Univ.), 고려대학교(Korea Univ.), 연세대학교(Yonsei Univ.) 로마자 표기명의 앞글자 'S', 'K', 'Y'를 따서 만들어진 속어다.대한민국 최고의 대학, 학벌의 대명사로 주로 쓰이는 대학 서열화 용어다. 최초로 쓰인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를 검색해보면 1982년 기사에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KY의 자국 내 영향력은 영국의 옥스브리지, 미국의 아이비 리그의 경우보다 훨씬 강하다. 2016년 기준 영국의 경우 국민들이 뽑는 국회의원(하원+상원) 중 옥스브리지 출신은 23.38%, 미국의 경우 2019년 기준 국회의원(상원+하원)에서 아이비 리그 출신이 8.59%인데 비해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2016년)의 경우 SKY 출신이 46.49%[1]으로 그 비율이 상당히 높은 편으로 '학벌사회' 대한민국의 일면을 보여주는 예시라고 할 수 있다.[2] 제21대 국회의원(2020년)기준으로는 SKY 합 131명(37.3%)[3]이다. 20대 국회에 비해서는 조금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타국보다 월등히 높은 수치를 보여준다.
위키백과에는 영어, 독어, 일어, 불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중국어, 민남어, 베트남어 등 9개 언어로 등재되어 있으며, 한국의 대학, 고등교육을 다루는 해외 각국의 언론사[4]에도 등장하는 말이다. 물론 한국의 대학서열화, 학력위주 사회를 안타깝게 보는 취지의 기사가 많다. 2015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한국의 교육현실에 관한 다큐멘터리 '공부의 나라'의 영어 제목도 Reach for the SKY이다. 현재는 위의 학력위주 비판 문제 뿐만 아니라 한국으로 교환학생이나 유학을 오려는 외국의 많은 대학생들에게도 SKY라는 약자가 많이 사용된다.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는 서로 엮일 경우 서로 자기네 대학이 먼저 오도록 순서를 바꿔 부르는데, 이 SKY만은 예외적이라 할 수 있다. 알다시피 SKY라는 단어는 고려대가 먼저 오는 단어인데, SKY(하늘)이라는 영어 단어가 있는 만큼 자연스럽게 SKY라는 표현으로 굳어졌기 때문.[5]
현재 SKY에 재학 중인 학생 중 80% 정도는 국가장학금 미신청자[6]이거나 9, 10분위라고 한다. 관련 기사 이는 소득+재산이 상위 20%인 집안 출신의 학생이 SKY 학생의 80%를 점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사회구조가 경제적으로 윤택하지 않으면 자녀 교육에 신경을 써주지 못하는 구조로 점점 바뀌어가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볼 수 있겠다. #[7] 실제로도 SKY 대학 신입생들의 고소득층 비율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
2. 형성 배경
명문대학 모임으로 불리는 미국의 아이비 리그나 영국의 옥스브리지, 일본의 구 제국대학의 형성과정과 비슷하게 SKY는 기본적으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근대 고등교육기관이기 때문에 현재의 위치를 차지할 수 있었다.우선 연세대학교의 경우 언더우드가 세운 경신학당과 1885년에 설립된 국내 최초의 의사 양성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제중원 의학당을 모태로 하여 설립되었고 1908년 세브란스병원의학교에서 7명의 최초의 근대적 면허의사[8]를 배출하기도 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1915년 경신학교 대학부[9]가 설립되었고 경신학교 대학부와 세브란스병원의학교는 각각 1917년, 1922년에 연희전문학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로 인가되어 근대 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이후 광복이 되면서 각각 연희대학교, 세브란스의과대학이었다가 1956년 양교가 통합되면서 연세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서울대학교의 경우 근대 교육이 최초로 들어온 조선 말기~대한제국 시절에 국립으로 설치된 법관양성소(1895년)[10], 한국상공학교, 관립의학교, 농상공학교 등에 기초를 두었다. 이후 근대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에 이 교육기관들이 관립전문학교가 되고, 1924년 경성제국대학이 개교하면서 당시 조선 유일이자 최초의 근대적 대학으로서 최고 교육기관이 되었다. 광복 이후 미군정기에 수도권 대부분의 전문학교와 경성대학[11]이 국립서울대학교안(이른바 국대안)으로 인해 하나로 합쳐지면서 현재의 서울대학교가 되었다.
고려대학교의 경우 민족 최초의 근대적 고등교육기관으로 1905년 이용익에 의해 보성전문학교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고 이후 일제강점기에 천도교 계열 학교가 되었다가 1921년 전문학교로서 인가되고 1932년 김성수가 이를 인수하였다. 광복 이후 고려대학교로 전환되면서 현재의 고려대학교가 되었다.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12], 서울대학교를 구성하는 각 전문학교[13], 보성전문학교[14], 그리고 연희전문학교[15]는 인가 이전의 역사로보나 인가 연도로 보나 가장 오래된 근대 고등교육기관이었고 그 역사가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와서 현재와 같은 SKY 대학의 위상이 구축되게 되었다.
3. 교류 현황
각 대학은 같이 묶이는 만큼 서로간의 교류도 무척 잦은 편이다. 고려대학교와 연세대학교 간 정기전은 가장 유명한 사례고 그 외에도 크고 작은 행사가 많다. 대학 학부에서는 이른바 네트워킹이 중요한 경영계열 학회로 많이 엮이는데 SKY연합학회인 SBA, S&D[16], C.STAGE, C-ESI 같은 경우는 물론 물론 학회간 교류인 KUMS[17], LEAD 연합[18], INSIDERS[19] 등이 있다. 그 외에도 SKY 연합 교육봉사동아리 Probono Publico, SKY 연합 프레젠테이션 학회 Insight Graphy 등이 있고 연합동아리가 아니더라도 동아리간 교류가 매우 잦은 편이다.그 외 SKY간 행사(MT 등)을 하고 있는 동아리는 UNSA(유엔학생연합) 등이 있다.
4. 관련 유머들
이 문서의 유머들은 단순히 재미를 위한 이야기들이다. 또한 SKY대학 대부분의 학생들은 이 이야기들로 모욕감을 느끼지 않으며, 술자리에서의 단순한 농담용이지 진지한 조롱의 의도가 들어있지 않다. 세 대학 간의 학풍 차이를 유머스럽게 푼 농담이기도 하다. 물론 대부분 1970년대 이전의 과거형[20]이므로 재학생들도 '이런 게 있었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4.1. 만원이 생기면
20세기 말 1970년대 ~ 1980년대에 만들어진 유우머이다. 참고로 당시 만원은 현 시가로 따지면 10만 원이 조금 넘는다.만원이 생기면 서울대생은 책을 사 보고, 고려대생은 막걸리를 사 먹고[21], 연세대생은 새 구두를 산다.[22]
사실 이 유우머는 196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2003년 당시 서울대 총동창회 사무총장이었던 서울대 법대 68학번 이세진씨가 말한 바에 따르면 '100원[23]이 생기면 서울대생은 책을 사 보고 고려대생은 막걸리를 사 먹고 연세대생은 구두를 닦는다'라는 농담이 그때도 있었다고 한다.[24]
4.2. 술 회식 자리에서
모 대기업의 입사동기 술 회식 자리. 서울대 출신 A씨, 연세대 출신 B씨, 고려대 출신 C씨가 회사 주변 한 식당에서 저녁회식에 참석하여 건배를 하는데...A씨: 우리 회사의 부흥을 위해서!
B씨: 우리 회사의 부흥을 위하세(또는 위하여[25])!
C씨: 우리 회사의 부흥을 위하고!
4.3. 서울대학교
옛날 얘기지만, 서울농대가 수원에 있을 적, 서울대 '수\'원캠퍼스, '관\'악캠퍼스, '연\'건캠퍼스를 SKY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서울대학교의 시흥캠퍼스 떡밥이 투척되자 '시\'흥, '관\'악, '연\'건으로 SKY를 다시 만들고 있다.4.4. 지역별 SKY
이 문단은
우스갯소리로 '지역별 SKY'라는 것도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 S로 시작하는 대학교, K로 시작하는 대학교, Y로 시작하는 대학교를 한 데 묶어서 그 지역 SKY로 통칭하는 식. 사실 이렇게 묶이는 대학들은 소위 말하는 '지잡대'인 경우가 많고, 이러한 경우에는 자조적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5. 관련 문서
[1] 서울대 82명, 고려대 36명, 연세대 22명.[2] 기사[3] 서울대 63명, 고려대 27명, 연세대 22명.[4] #1 #2 #3 #4 #5[5] 연세대 쪽 입장에서는 SKY는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연세대학교 또는 서울대, 그리고 연세대라는 변화형도 존재하긴 한다. 고려대는 서울대, 고려대, 예일대(...) 또는 서울대 고려대 입니다 라고 하기도 한다. 물론 다 우스갯소리.[6] 국가장학금을 받을 가능성이 굉장히 적거나 없어서 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경제적으로 9분위 이상인 계층으로 보고 있다.[7] 고려대 염재호 총장의 학교 개혁 중 성적장학금 폐지 및 저소득층 장학금 도입에는 이러한 이면이 있다. 금수저 비율이 압도적이다보니 역으로 학교가 저소득층 학생에 대해 지원할 여력이 생긴 것. 연세대학교도 7~8분위 학생이 국가장학금+연세장학금(국장2유형 포함)으로 전액장학금이 나오는 경우도 상당히 흔하다.[8] 의술개업인허 1번부터 7번[9] Chosen Christian College[10] 이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으로, 그리고 로스쿨 제도 도입 및 법과대학 폐지 이후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으로 계승되었다.[11] 미군정 당시 경성제대의 명칭이 경성대학으로 바뀌고 일본인 교원이 추방되는 등 변화가 있었다.[12] 1886년[13] 경성의전, 경성고공, 수원고농, 경성법전, 경성고상, 경성광전, 경성치의전, 경성약전. 경성사범은 전문학교가 아니라 중등학교(현재의 고등학교)급이었지만 훗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에 흡수된다. 이중 인가년도 기준 보성전문 이전에 설치된 건 수원고농 뿐이고, 연희전문 이전으로 범위를 넓혀도 수원고농, 경성의전, 경성고공뿐이다. 경성고상, 경성법전보다 보성전문, 연희전문이 오래된 셈.[14] 1905년[15] 1915년[16] SKY+KAIST[17] 각 대학 경영학회인 고려대 MCC, 서울대 MCSA, 연세대 GMT, KAIST MSK의 연합모임[18] 고려대 FES, 서울대 N-CEO, 연세대 MARP[19] 고려대 & 연세대 연합 실전창업학회. 서울대 창업동아리 SNUSV와 협력중[20] 이 이야기 자체가 인구에 회자되던 것을 70년대 초반 모 시사잡지에서 처음 기사화(활자화)한 것이다.[21] 옛날 고려대학교 정문 앞 막걸리골목에서는(현재 풍년집, 고모집 등이 위치한 그 골목) 막걸리를 잔으로 몇십~몇백 원 받고 팔기도 했다.[22] 제비족 문서 참조,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 외모 꾸미기에 정신 판다는 말.[23] CPI 기준 현 시가로 대략 4,000원[24] 월간중앙 2003년 1월자[25] '연'의 변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