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 U리그1 2024 시즌 참가 학교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1권역 | ||
[[인천대학교 축구부| 인천대 ]] | [[명지대학교| 명지대 ]] | [[배재대학교| 배재대 ]] | |
[[상지대학교| 상지대 ]] | [[가톨릭관동대학교 축구부| 가톨릭관동대 ]] | [[숭실대학교 축구부| 숭실대 ]] | |
[[중앙대학교 축구부| 중앙대 ]] | [[건국대학교 축구부| 건국대 ]] | [[한남대학교 축구부| 한남대 ]] | |
2권역 | |||
[[아주대학교 축구부| 아주대 ]] | [[광운대학교| 광운대 ]] | [[조선대학교| 조선대 ]] | |
[[선문대학교 축구부| 선문대 ]] | [[광주대학교| 광주대 ]] | | |
[[고려대학교 축구부| 고려대 ]] | [[용인대학교| 용인대 ]] | [[호남대학교| 호남대 ]] | |
3권역 | |||
[[홍익대학교| 홍익대 ]] | [[한양대학교| 한양대 ]] | [[강서대학교| 강서대 ]] | |
[[청주대학교| 청주대 ]] | [[경희대학교 축구부| 경희대 ]] | | |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 | [[연세대학교 축구부| 연세대 ]] | | |
4권역 | |||
[[전주대학교| 전주대 ]] | [[대구대학교| 대구대 ]] | | |
[[울산대학교 축구부| 울산대 ]] | | [[안동과학대학교| 안동과학대 ]] | |
| [[단국대학교| 단국대 ]] | [[김천대학교| 김천대 ]] | |
U리그2 ▶ | }}}}}}}}} |
고려대학교의 운동부 | ||||
축구부 | 럭비부 | 야구부 | 농구부 | 아이스하키부 |
고려대학교 축구부 | |
Korea University FC | |
<colbgcolor=#b5191a> 정식 명칭 | 고려대학교 축구부 (高麗大學校 蹴球部) |
별칭 | 안암 호랑이 |
창단 | 1922년 또는 1923년 11월 15일 |
소속 리그 | U리그1 1권역 |
연고지 | 서울특별시 안암동 |
홈구장 | 고려대학교 녹지운동장 |
키트 스폰서 | |
라이벌 | 연세대학교 - 고연전 |
감독 | 신연호 |
소셜 미디어 | | |
우승 기록 | |
U리그1 (1부) (2회) | 2016, 2017 |
전조선축구대회 [1] (1회) | 1929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2] (5회) | 1963, 1971, 1974, 1976, 1985 |
춘계대학축구연맹전 (9회) | 1967, 1968, 1969, 1970, 1977, 1983, 2011, 2014, 2024 |
추계대학축구연맹전 (7회) | 1967, 1976, 1977, 1983, 1987, 1988, 2015 |
전국대학축구연맹전[3] (12회) | 1948, 1954, 1965, 1967, 1971, 1973, 1976, 1988, 1989, 1997, 1998, 2009 |
전국축구선수권대회 (5회) | 1963, 1971, 1974, 1976, 1985 |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2회) | 1982, 2000 |
전국축구대회 (7회) | 2001, 2004, 2005, 2006, 2007, 2008, 2010 |
[clearfix]
1. 개요
고려대학교의 축구부.숙명의 라이벌 연세대학교 축구부와 더불어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가장 오래된 대학 축구부로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으며 수많은 축구 인재를 배출해 냈다.
2016년을 끝으로 2022년까지 연고전 축구 승리에 계속 실패했다. 2017년 연세대 승리, 2018년 연세대 승리, 2019년 태풍으로 인해 취소, 2020~21년 코로나19로 인한 미개최, 2022년 연세대 승리로 이어져 연세대와의 축구 전적이 20승 12무 17패로 축구를 연세대학교 축구부에게 효자 종목으로 내줄 판이었다. 그렇지만 2023년 고연전에서 연세대 축구부를 상대로 3:0 승리하며 2023년도 고연전 최종 우승에 기여했다.
2. 역사
2.1. 보성 전문 시절
1922년 창단되어 일제 치하에서 대한민국 체육 활동이 시작되던 1923년 11월부터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시작했다.[4] 초기에는 운동장을 갖추지 못해 다른 팀의 연습장을 전전해야 했으나 1929년 10월 제10회 전조선축구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강팀으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이후 1931년까지 전조선 축구대회 4연패를 달성해 대회 우승기를 영구 보관하는 팀이 됐고 해당 우승기는 현재까지도 내려온다. # 보성전문 축구부의 활약은 조선을 넘어 일본까지도 미쳤는데 1936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할 정도였다. 1937년에는 일제의 권유를 받아 보성전문학교 올스타가 전일본 축구 선수권에 다시 참가해 4강에 올랐다.[5]한국 축구 1세대 중에서도 최고 원로이자 조선 축구의 영웅 김용식(30학번)이 이 시기 보성전문의 에이스로 수많은 무용담을 남겼다고 한다. 현재까지도 내려오는 고려대의 빨간색 흰색 줄무늬 유니폼도 김용식이 영국에서 선덜랜드 AFC의 유니폼에서 영감을 받아 도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역시 현재까지 이어지는 고려대와 연세대 축구부의 라이벌 관계도 이 당시 막상막하의 라이벌이던 보성전문 축구부와 연희전문 축구부에서부터 시작됐다. 단순히 축구부끼리만의 라이벌 관계뿐 아니라 고연전의 기원 자체가 1920, 1930년대 전조선 축구대회에서 양교 축구부의 맞대결로부터 비롯됐으며 이때부터 '보연전', '연보전'이라는 명칭이 쓰였다고 보기도 한다.
3. 유니폼
유니폼 | 홈 | 어웨이 |
상의 | ||
하의 | ,,'''KOREA {{{#!wiki style="margin: -10px -1px" | |
양말 |
4. 출신 선수
- 김용식 (1930학번)
- 김정남 (1963학번)
- 조중연 (1965학번)
- 남대식 (1969학번)
- 고재욱 (1970학번)
- 차범근 (1972학번)
- 박성화 (1974학번)
- 정해성 (1978학번)
- 이강조 (1979학번)
- 노수진 (1983학번)
- 김현태 (1980학번)
- 정용환 (1980학번)
- 조민국 (1982학번)
- 김종부 (1983학번)
- 김판근 (1983학번)
- 신연호 (1983학번)[6]
- 홍명보 (1987학번)
- 서정원 (1988학번)
- 김병수 (1988학번)
- 김봉수 (1988학번)
- 정정수 (1988학번)
- 노정윤 (1989학번)
- 이임생 (1990학번)
- 곽경근 (1991학번)
- 서동원 (1992학번)
- 이기형 (1992학번)
- 김대의 (1993학번)
- 최성용 (1993학번)
- 박진섭 (1996학번)
- 권정혁 (1997학번)
- 박동혁 (1998학번)
- 차두리 (1999학번)
- 이천수 (2000학번)
- 김영삼 (2001학번)
- 김정우 (2001학번)
- 조용형 (2002학번)
- 박주영 (2004학번)
- 이용래 (2005학번)
- 안재준 (2005학번)
- 전원근 (2005학번)
- 권순형 (2005학번)
- 김근배 (2005학번)
- 김창훈 (2006학번)
- 한일구 (2006학번)
- 이경렬 (2006학번)
- 이재권 (2006학번)
- 오주현 (2006학번)
- 이용 (2007학번)
- 유준수 (2007학번)
- 정재용 (2009학번)
- 박형진 (2009학번)
- 가솔현 (2009학번)
- 박희성 (2009학번)
- 김기용 (2009학번)
- 김경중 (2010학번)
- 노동건 (2010학번)
- 최성근 (2010학번)
- 정석화 (2010학번)
- 김원균 (2011학번)
- 안진범 (2011학번)
- 이재성 (2011학번)
- 김영찬 (2012학번)
- 허용준 (2012학번)
- 명준재 (2013학번)
- 김건희 (2014학번)
- 이상민 (2014학번)
- 임민혁 (2014학번)
- 장성재 (2014학번)
- 유영재 (2015학번)
- 안은산 (2015학번)
- 송범근 (2016학번)
- 조영욱 (2017학번)
- 신재원 (2017학번)
- 박대원 (2017학번)
- 박상혁 (2017학번)
- 민성준 (2018학번)
- 김강연 (2019학번)
- 이태섭 (2019학번)
- 이호재 (2019학번)
- 도재경 (2020학번)
- 박세준 (2020학번)
- 서동한 (2020학번)
- 김지호 (2022학번)
- 성진영 (2022학번)
- 황도윤 (2022학번)
- 황재윤 (2022학번)
- 안혁주 (2023학번)
5. 역대 감독
고려대학교 축구부 역대 감독 | |||
대 | 이름 | 기간 | |
1대 | 1923년 ~ | ||
정남식 | 1960년 ~ 1964년 | ||
박영환 | ? ~ 1982년 | ||
남대식 | 1983년 ~ 1996년 | ||
김성남 | 1997년 ~ 1999년 | ||
조민국 | 1999년 ~ 2008년 | ||
김상훈 | 2008년 ~ 2009년 | ||
서동원 | 2010년 ~ 2020년 | ||
신연호 | 2021년 ~ |
6. 사건 사고
2010년 3월 전 감독 김상훈(1967년생)이 상습적으로 심판을 매수하고 공금을 횡령한 혐의가 적발되었다. 2009년 9월에 열린 고연전을 이기기 위해 대한축구협회 경기분과위원 김 모에게 평소 친분이 있는 이 모와 윤 모를 심판으로 배정해 달라고 부탁하면서 90만 원을 건넸다. 주심 이 모와 부심 윤 모에게는 승부조작을 부탁해 주심과 부심의 편파판정으로 이 경기에서 2-1로 승리하자 둘에게 각각 1000만 원과 500만 원을 건넸다. 이 경기뿐만 아니라 2008년 6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전국대학축구선수권대회와 전국대학리그 등 9개 경기의 심판 10명과 경기위원에게 17차례에 걸쳐 20만~1000만 원씩 모두 2300여만 원을 건넨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렇게 매수한 9경기에서 전부 승리를 거뒀다. 김상훈은 뇌물을 준 사실을 숨기기 위해 심판을 직접 만나 금품을 주거나 평소 친분이 있던 학부모 2명이 운영하는 회사 종업원 명의로 만든 차명 계좌를 이용해 심판에게 돈을 전달했다.거기에 2008년 11월 베트남에서 열린 국제축구대회에 참가할 때 선수 학부모 35명으로부터 체류비 명목으로 2900여만 원을 받아 1200만 원을 유흥비 등으로 탕진했으며, 학부모들로부터 다른 대학보다 10배 정도 많은 매달 1인당 50만~100만 원씩의 운영비를 걷었다. 2007년부터 2009년 12월까지 이렇게 마련된 5억 8000여만 원 중 1억 700여만 원을 가로챘다. #
김상훈을 비롯한 경기분과위원, 심판 등 총 4명은 대한축구협회로부터 제명 당했다. #
7. 여담
- 2023년 12월에 창단 100주년 기념식을 가졌다.관련기사
[1] 전국축구선수권대회의 전신[2] FA컵의 전신[3] U리그의 전신이다.[4] 고려대학교 체육위원회는 1923년 11월 창단을 적시하나 동아일보에는 1922년 봄에 창단되었다는 기사가 남아있어 정확한 창단 시기는 불분명하다.[5] 당시 일제는 조선 축구팀의 계속된 선전(1935년 경성축구단의 우승과 1936년 보성전문의 준우승)으로 자존심이 상한 상태였고 일제의 억압으로 김용식을 비롯한 주축 멤버 대부분이 축구를 그만둔 상태의 보성전문이 일본 팀에게 박살나기를 바랐다. 하지만 일제의 바람과 달리 보성 올스타는 4강에 올라 당시 실질적인 일본 국가대표나 다름 없던 와세대 대학과 연장까지 2-2로 팽팽하게 맞섰고 보성전문을 떨어뜨리기 위해 추첨에서 야바위를 쓸 수밖에 없었다. #[6] 現 본교 축구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