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정재용(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정재용(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정재용(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정재용(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정재용(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정재용(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margin: -15px 0px -5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folding [ 전 멤버 ] }}} |
<colbgcolor=#000><colcolor=#fff> 정재용 鄭在容 | Jeong Jae Yong | |
| |
출생 | 1973년 7월 17일 ([age(1973-07-17)]세) |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A] | |
국적 |
|
신체 | 180cm, 78kg[2], 280mm, A형 |
가족 | 누나[3] |
배우자 이선아(2018년 12월 결혼 ~ 2022년 5월 이혼) 딸(2019년 5월 14일생)[4] | |
학력 | 서울등촌국민학교[5] (졸업) 양동중학교 (졸업) 남서울상업고등학교 (중퇴[6]) |
병역 | 병역면제(생계곤란) |
소속사 | 컴앤퍼니 |
소속 그룹 | DJ DOC |
데뷔 | 1995년 DJ DOC 2집 머피의 법칙 |
SNS |
1. 개요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남성 3인조 그룹인 DJ DOC의 메인 댄서.2. 데뷔 전
1973년 7월 17일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A]에서 1남 1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날 당시 아버지 나이가 47세, 어머니 나이가 38세로 늦둥이였다.[8] 8세 때 서울로 상경해서 등촌국민학교, 양동중학교를 각각 마쳤으나 남서울상업고등학교를 중퇴한 뒤, 당시 DJ 일을 하던 고교 선배의 권유로 전북 군산시의 나이트클럽 '보스'에서 DJ로 입문하여 강원도 원주, 대전, 부산 등지를 전전하며 커리어를 쌓았다.DJ 활동 당시 업소 쪽에서는 최상급으로 평가받던 DJ 겸 댄서였고[9] 전세대 댄서로 유명한 이주노, 박철우 등에게 미묘한 컴플렉스와 우월감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그 형들은 춤만 추지만, 우리는 노래도 한다." 라는 식으로 얘기했다.
3. 포지션
3.1. 메인댄서, 리드래퍼
DJ DOC내에서도 돋보적인 춤실력을 가진 댄서이자 리드래퍼였다. 특히 춤실력이 뛰어나기로 유명한데 데뷔 전부터 유명한 댄스DJ로 불릴 정도였다. 이하늘도 물론 주관적인 생각으로 말한거지만 “90년대 정재용은 춤으론 누가와도 밀리지 않는다” 라고 할 정도로 타고난 춤실력을 가지고 있다.위영상에서 정재용의 춤실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데 물론 김창열은 메인보컬이고 데뷔 전부터 춤보단 보컬을 더 많이 맡아 돋보이는게 있지만 춤의 그루브, 필링 자체가 수준이 다르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또한 90년대엔 채계적인 댄스레슨이 갖춰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고난도의 춤들을 저렇게 그루브있게 춘다는 것은 확실히 이하늘의 평가가 틀리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2021년도 라디오 스타에 출연하여 당시 춤을 다시 추었는데 50이 가까워지던 나이에도 불구하고 아직 죽지않은 춤실력을 보여주었다.
로우톤[10] 유형의 리드래퍼로서 랩실력도 수준급이고 또한 DJ DOC가 라이브를 잘하는 그룹으로 알려지는데 일조를 한 멤버이기도 하다. 다만 이하늘과 달리 가사를 본인이 직접 쓴 곡은 거의 대부분의 곡에 작사로 이름을 올렸던 DJ DOC 5집을 제외하고는 찾아보기 힘든데,[11] 이하늘이 인스타 라이브에서 밝힌 바로는 실제 정재용과 김창열 파트의 가사는 동생인 이현배가 전부 써준 것이며, 정재용과 김창열은 8마디 가사도 제대로 못 쓰지만 그룹 이미지 때문에 앨범 크레딧에 이름을 올려준 것이라고 한다. 물론 정재용 본인이 〈돌아보면 靑春〉[12]의 가사는 자신이 썼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것을 보면 본인이 작사에 참여하는 비중도 없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3.2. DJ DOC의 중재자?
결론부터 보면 본인이 직접 중재자 역할을 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고 밝혔다. 이런 이야기가 나올 만도 한게 가요계의 악동으로 불리는 두멤버에 비해 본인은 논란과 구설수가 거의 없는 편이라 자연스럽게 중재자설이 나온 듯하다. 또한 2021년 이하늘의 친동생 이현배의 죽음[13]으로 인해 이하늘과 김창열이 큰 불화를 겪고 있을때 두 멤버의 전화를 아예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이 일에 대해 일부 여론은 회피형 태도라고 말하고 있지만 대부분 여론은 정재용의 처세를 옹호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상황은 두 사람이 풀어야 할 일이고 정재용의 중재가 두 사람에게 큰 도움이 될 확률도 적기도 하다.
4. 활동
1995년에 DJ DOC의 새 멤버로 합류했다. 그가 합류하자마자 1995년 여름에 정규 2집을 발매했으며, 타이틀 곡인 '머피의 법칙'으로 그야말로 대박을 쳤다. 이후 1996년 3집 및 스페셜 앨범 들을 통해 '겨울 이야기', '미녀와 야수', '여름 이야기' 그리고 1997년 4집 DOC와 춤을... 등의 수많은 히트곡들을 배출해내며 인기 가도를 달렸다.그룹에서 이하늘과 함께 랩, 또한 메인댄서도 맡고 있으며, 5집 이후로는 세 멤버가 고루 돌아가면서 프로듀싱도 맡고 있다.
온갖 사건사고에 휘말려 경찰서를 제 집처럼 드나들던 이하늘과 김창열과 달리 그나마 조용하고 크게 사고를 안 치는 편이다.[14]
2006년부터 2008년경까지 재용이의 순결한 19를 엠넷에서 진행을 하여서 케이블에서 엄청난 인기를 샀다.[15] 또한 2008년 MBC 일일시트콤 <그분이 오신다>에서 배우로 열연하여 그 해 MBC 방송연예대상 시트콤 부문 신인상을 받았다.
30대 시절인 2000년대의 정재용의 모습, 우리가 "정재용" 하면 가장 많이 기억하며 떠올리는 대표적인 모습이자, 그를 지칭하는 대표 프로인 순결한 19진행시절 당시의 사진이다. 2000년대 이후의 정재용의 모습.[16] |
KBS 김승우의 승승장구에 어머니가 깜짝 출연했는데 늦둥이 외아들로 자라서 그런지 매번 용돈도 50만원씩 준다고 한다. 참고로 맨 위에 사진 오른쪽이 정재용 어머니, 밑에 사진 2개는 정재용 젊었을 때 시절 사진이라고 한다. 지금과 달리 말랐었다.
2018년, 걸그룹 아이시어의 前 멤버 선아와[17] 12월에 결혼할 것을 선언했다. 2016년부터 교제해 왔으며, 혼전임신이라고 한다. 둘은 19금 예능 프로그램 아재쇼에서 만나 알게 된 사이. 2018년 12월 1일에 선아와 결혼식을 올렸고, 결혼 5개월 뒤인 2019년 5월 14일에 득녀했다. 이로부터 2개월 전에 먼저 결혼한 이하늘에 이어 이 날 본인도 결혼하면서 DJ DOC 멤버들은 이제 전원 유부남이 되었다로 해피 엔딩이 될 줄 알았으나... 리더 이하늘은 2020년 2월 24일 이혼을 공식 발표하면서 돌싱이 되었다.[18] 2021년 4월, 쥬비스 다이어트를 통해 2개월 만에, 109kg에서 86kg까지 감량을 했다. 건강 문제와 가정생활을 위해 다이어트를 시작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2022년 3월, 정재용 본인도 아내와 이혼하면서 이하늘의 뒤를 이었으며... 슬하의 딸아이 하나는 전처가 양육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사1, 기사2
정재용은 2023년 인터뷰를 통해 이혼에 대해 언급했는데 큰 문제는 본인에게 있었다고 말했다. 어떠한 일자리도 얻을 수 없는 상황에서 스트레스를 본의 아니게 아내에게 전가했고, 말실수를 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자연히 점점 사이가 멀어지게 되었다고... #
이후 2023년 11월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채널명은 'DOC한 재용이'. 그러나 2024년 4월 모친상 이후로 몰아보기 외에는 신규 영상이 올라오지 않고 있다.
그러다가 2024년 8월 '아빠는 꽃중년' 출연하여 오랜만에 대중앞에 나타났다. 코로나에 감염되어 그 후유증으로 한쪽 폐가 많이 손상되어 호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한다. 이혼 이후 상술했던 다이어트로 감량했던 체중이 다시 늘어났다.[19] 2년전 이혼에 대해 언급했는데 코로나19 이후로 활동이 줄어 경제적으로 어려워지자[20] 신중하지 못한 채 표현을 잘못한 대화문제로 인한 자격지심 때문에 먼저 이혼을 강요한 자신의 잘못이 너무 컸다고 한다. 또한 멤버인 김창열이 눈물까지 흘리면서 그의 이혼을 극구 반대하였지만 괜한 자존심 때문에 기어이 이혼을 강행한걸 후회한다고 말했다.[21] 이혼 이후로 딸을 한번도 보지 못하고[22] 여전히 활동도 못해서 수입이 없음은 물론 신용불량자까지 되어 양육비 조차 한번도 보내지 않아서 출연진들도 충격을 받았다. 전 아내를 2년여만에 극적으로 다시 만나서[23][24] 마음을 풀기위해 대화를 나누기까지 했지만 서로의 상처 때문에 쉽지 않은 상황으로 보인다.[25] 이후 정신을 차리고 각종 아르바이트를 하여 못보냈던 양육비를 보내기 시작했다.[26] 하지만 9월 이후로 해당 프로그램에 하차한 것으로 보인다.[27]
이후 아무런 근황이 없었다가 2025년 7월에 인터뷰를 통해 근황을 알렸는데 여러 악재들이[28] 겹쳤지만 그래도 살아가야 한다고 자신의 각오를 밝혔다.#
5. 출연
5.1. 영화/드라마/시트콤
- 호텔킹 (MBC, 2014년) - 본인 역.
- 달콤한 거짓말 (2008년) - 양자강 역.
- 썬데이 서울 (2005년) - 서당일진회 역.
- 그 분이 오신다 (MBC, 2008년) - 이재용 역.
5.2. 예능
- 아빠는 꽃중년 (채널A, 2024년)
- 아재쇼 (VIKI, 2016년)
- 댄스 배틀 코리아 (MBC MUSIC, 2014년)
- 컬투의 어처구니 (MBC, 2014년)
- SNL 코리아 (tvN, 2014년)
- 1 대 100 (KBS 2TV, 2011년)
- 현장토크쇼 TAXI (tvN, 2010년)
- 김승우의 승승장구 (KBS2, 2010년)
- 공감토크쇼 놀러와 (MBC, 2009년)
- 절친노트 (SBS, 2009년)
- 동시상영 : 춤추는 용형동제 (엠넷, 2008년)
- 해피투게더 시즌 3 (KBS2, 2007년)
- 무릎팍도사 (MBC, 2007년)
- 재용이의 순결한 19 (엠넷, 2006~2008년)
- 위기탈출 넘버원 (KBS2, 2005년 7월 9일 1회, 7월 16일 2회)
- 비타민 (KBS2, 2005년)
- 스타 골든벨 (KBS2, 2005년)
- 대한민국 1교시 (KBS2, 2005년)
- 강호동의 천생연분 (MBC, 2002년)
6. 외부 링크
[A] 現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설악동[2] 쥬비스 다이어트 전, 109kg였고, 쥬비스 다이어트를 시작하면서 몸무게가 78kg로 바뀌었다.[3] 아버지는 14년간 중풍으로 인해 오랜 투병 생활을 해오다가 향년 86세인 2012년 10월 16일에 작고했고, 어머니는 12년 뒤인 2024년 4월 3일에 향년 8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4] 전 아내가 양육하고 있다.[5] 現 서울등촌초등학교[6] 네이버 인물정보에서는 정재용이 속초고등학교를 졸업했다고 등재되어 있긴 하나, 1995년 일간스포츠 <스타스토리>와 기사1의 김창열의 언급에 따르면 정재용이 상업고등학교 2학년을 중퇴했다고 했다. 또한 기사2에서는 본인이 직접 어렸을 때는 속초에 살았지만 집안 사정으로 인해 8살 때 수원시로 왔다고 밝힌 바 있으며, 조선닷컴 인물검색에서는 남서울상업고등학교라고 등재한 것으로 보아 남서울상업고등학교 2학년을 중퇴한 게 맞는 정보로 보인다.[A] [8] 지금도 이 정도면 몹시 늦은 편에 속하지만, 당시로서는 더 굉장히 늦은 나이다.[9] 이하늘이 무릎팍도사에서 말하길, 그 당시에는 정재용도 전국에서 춤을 굉장히 잘 추는 댄서 중의 한 명이었다고 한다.[10] 이하늘에 비해 상대적으로 로우톤이라는 거지 톤 자체는 미들톤이다. 물론 로우톤으로도 랩을 하긴 한다.[11] 7집인 《풍류》만 해도 정재용이 참여한 곡의 크레딧 작사란에 정재용의 이름이 없으며, 대신 이하늘, 싸이, J-Dogg, 이현배가 작사가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정황 상 저들이 정재용에게 대필을 해준 것으로 보인다.[12] 정작 제목을 '청춘'으로 잘못 기억하고 있었다.[13] 자세한 내용은 김창열/논란 및 사건 사고 2.7문단 참고.[14] 물론 정재용도 2010년 1월에 폭행 사건에 연루된 적이 있기는 했다. 기사. 다만 저 당시 이혁재의 폭행 사건이 더 임팩트가 강했고, 더불어서 이 때는 DJ DOC의 인기와 위상도 옛날 같지 않았고, 또 정재용이 아무래도 팀 내에서 상대적으로 존재감이 약한 멤버여서 정재용이 사고친 사실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 이후 당시 소속사였던 부다사운드에서 해명하길, 술에 취해 있던 유흥업소 여종업원이 정재용 여자친구의 립밤을 허락없이 사용했는데, 정재용의 여자친구가 조심스럽게 립밤이 자기 것임을 밝히자 여종업원이 자기 것이라면서 주변 물건들을 던지고 정재용 여자친구의 머리를 잡는 등 난동을 부리자 정재용이 말리는 과정에서 정재용이 얼굴을 밀친 일이 따귀로 오해받은 것이며, 이후 정재용이 고소 여부에 상관 없이 여종업원의 집에 사과하러 찾아갔지만 2시간이 지나도록 나오지 않고 연락도 닿지 않았다고 하였다. 기사.[15] 다만 방송 수위가 쎄다보니 동료 연예인들에게 비판을 많이 받았다. 특히 김건모는 한국연예제작자협회를 통해 대국민 사과까지 요구해서 같은 멤버 이하늘이 분을 못참고 손까지 보려 했다 한다.[16] 왼쪽사진은 과거 이 문서의 프로필사진이기도 하였다.[17] 참고로 선아가 19세 더 연하이다.[18] 한편 이하늘은 결혼 생활 동안 자녀를 생산하지 못했다.[19] 잦은 음주에 식사는 주로 배달음식으로 끼니를 채우고 믹스커피도 한번에 다섯봉이나 타서 마신다고 한다.[20] 집에 있는 물건도 팔아야할 정도로 어려웠었고 심지어는 결혼반지 마저 팔았다고 한다.[21] 정재용이 회고하길 이혼 이전에 평소 아내와 크게 싸운적 한번 없었는데 막상 이혼을 결정하고 서로 법원에 갔을 때 순간 '아차!' 하였지만 그 자리에서 무를 수 없는 상황이였기에 결국 이혼절차를 밟았다고 한다.[22] 사실 이혼 직후에는 정재용이 딸의 양육권을 가졌지만 딸이 엄마가 없는 분리불안증세로 힘들어하여 얼마 지나지 않아 아내에게 양육권을 넘겨줬다고 한다.[23] 사실 전 아내가 이혼 이후 2년만에 정재용의 시모상 소식을 뒤늦게 알게되어 연락이 온것이 대면의 만남으로 이어진 것이였다. 물론 만나는 장면은 촬영하지 않았다.[24] 전 아내 입장에서는 아무리 이혼한 사이여도 한때 시모와 며느리 관계였었기에 시모상 소식을 연락하지 않은걸 서운했던걸로 보였다. 반면 정재용 입장에서는 모친상으로 정신이 분주했던데다가, 이혼 이후 단절된 관계 및 양육비를 한번도 지급하지 못함으로 인해 면목없어서 연락을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25] 대면 당시 전 아내는 시모상 연락 이후 정재용이 자신에게 계속 연락하는 것과 딸을 보려는 것 조차 불편하다고 표했고, 딸이 찾기 전 까지는 안봤으면 좋겠다는 말까지 했었다고 한다. 그리고 첫 대면 이후로 카톡까지 탈퇴하여 아예 연락 마저 차단하였다. 참고로 카톡을 탈퇴하면 상대방 입장에서 프로필이 '알수없음'으로 변경되고 전송기능 조차 삭제되어 메세지 자체를 발신할 수 없다.[26] 그러나 정재용의 말로는 전 아내는 만남 이후 계속 연락이 되지 않았고 그의 장모를 통해서 양육비 입금확인겸 안부전화를 대신 하였다.[27] 일부 네티즌들은 정재용이 프로그램 출연을 한게 오히려 마이너스 역효과를 가져왔다고 평을 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 특정상 중년나이의 기혼 남자연예인이 처자식과 함께하는 내용인데, 정재용은 이미 이혼한 상황이고 또한 슬하의 딸도 전 아내가 양육하고 있는 상황이기에 함께할 수도 없는 상황으로 프로그램 취지에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하차한 것으로 보인다. 본래는 전 아내와 갈등을 풀고 딸 양육에 함께 하기를 기대하며 출연했지만 뜻대로 안된 것으로 추정된다.[28] 생활고, 이혼, 건강악화, 모친상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