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9:05:49

공부자극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입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항목
교육 현장 범위 공교육(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사교육(학원)
교육 수준 유아교육기관(유치원) · 초등교육기관(초등학교) · 중등교육기관(중학교 · 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대학교 · 대학원) · 영재학교 · 특수교육 · 평생교육
교육 관념 전인 교육(유토리 교육) · 학술 중심 교육 · 출세 목적 교육(해결 방안 · 해결이 어려운 이유) · 교육철학
입시 위주 교육(중등교육 내) · 취업 위주 교육 · 통합교육 · 선행학습
교육평가 정량평가(필기) 수능 · 내신(수행평가 · 문제점 및 비판) · 전국연합학력평가 · 학업성취도평가
고입선발고사 · 진단평가 · 경찰대학 1차 시험 · 사관학교 1차 시험
정성평가(실기) 논술 · 면접 · 입시미술 · 음악입시 · 입시체육
시험 문제 유형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수능 등급제 · 내신 9등급제
입시 전형 입시 · 대입 · 정시 · 수시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입학사정관제 · 학생부교과전형 · 대학별고사) · 특별전형
논쟁·의논 교육문화와 인식, 관념 교육/논쟁 (영어 교육/논쟁 · 학술중심교육 대 전인교육 · 대학/논쟁 · 탈학교론) · 인성교육 · 경쟁 · 한국 사회 문제 · 생활지도(체벌) · 성교육 · 학생 · 학생 인권 · 교권 · 수포자 · 대한민국 교육열 · 보상심리 · 고3병 · 시험만능주의 · 공부 쓴소리
교육 범위 간 갈등 공교육 대 사교육(입시 위주 교육) · 교육과정/의논 (/국어과 · /수학과 · /과학과)
평가·시험 유형 시험 · 시험/논쟁 · 정량평가 대 정성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성적 · 상대평가 대 절대평가
대입 방식과 전형 정시 대 수시(우수성 논쟁) · 편입학 · 유학 · 어학연수 · 반수 · 재수 · 1+3 유학 특별 전형
학벌 학벌 · 학력 · 학위 · 대학 서열화(연공서열) · 대학군 (SKY · 서성한 · 중경외시 · 건동홍 · 국숭세단 · 광명상가 · 한서삼 · 인가경 · 부경전충 · 충전 강경제 · 3여대 · 수안강한 을평성대 · 강총성 · 설카포 · 지디유 · 지방4대사학) · 명문대 (SKY · 의치한약수) · 인서울 대학교 (사대문안 · 인수도권 대학교) · 지잡대 (낙후된 지방 · 입지 약화 · 취업 · 외국 사례) · 대학 평준화
★ 현재 교육 관련 문서 간에 혼용과 중복 현상이 심합니다.
이에 편집 예정자는 아웃링크(문단 또는 앵커 리다이렉트)를 적절히 활용해 문제를 해소해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관련 행정기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립국제교육원 · 국외 한국교육원 · 교육감 · 교육청 · EBS
교육 관련 단체 주요 교원단체(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노동조합연맹)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법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의무교육법) · 교원의 학생생활지도에 관한 고시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2007 개정 · 2009 개정(/각론) · 2015 개정(/부분 개정) · 2022 개정)
교육자 양성 정책 교사 · 교수 · (교육대학 · 사범대학 - 교육전문대학원) · 교사 임용시험 · 교직이수과정 · 교육대학원
초중등교육기관 및 정책 자사고 · 특목고 · 영재학교 · 대안학교 · 0교시 · 야간자율학습 · 창의적 체험활동 · 보충학습 · 방과 후 학교 · 국제반 · 고교학점제 · 자유학기제 ·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 K-에듀파인 · 학교생활기록부 · 늘봄학교
고등교육기관 및 정책 등록금 · 대학원 · 전문대학원 · 과학기술원 · 평점 · 졸업정원제 · 원격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기관 및 정책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원격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 일학습병행
기타 교육 정책 고교 평준화 정책 · 학생인권조례 · 디벗 · 무상급식 · 고교 상피제 · 교과교실제(수준별 수업) · 문·이과 통합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국가거점국립대학교 통합 · 교원능력개발평가
논란·사건사고 학사 비리(숙명여고 사태 · 고려고 사태 · 김포외고 사태 · 문태고 사태) · 촌지 · 무상급식 전면확대 논란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 · 사회 교과서 무단수정 의혹 ·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논란 포함) · 대통령실 수능 출제 방침 지시 논란
교과용도서 (국정도서 · 검정도서 · 인정도서) · 디지털교과서(AIDT) · 대학 교재 · 문제집 · 학습지 · 개론서 · 수험서 · 전과
학문, 연구 교육학 · 교육심리학 · 교수법 · 교육공학 · 교육사회학 · 교육평가
학습 방법 주입식 교육 · 자기주도학습 · 자습 · 온라인 교육 · 인터넷 강의 · 입시3대포탈 · 홈스쿨링 · 독서실 · 스터디카페 · 열람실 · 도서관 · 과외
세계 평가 지표 OECD 교육지표
둘러보기: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영미권의 교육 관련 문서 }}}}}}}}}


학습·수험 관련 조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4682b4><colcolor=white> 서론 공부 조언* · 수험 생활 조언** · 수험 생활 조언/대학수학능력시험
일반 공무원 시험(과목별) · 대학교 · 영어(TOEIC · TEPS)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입시 공통(수능 · 내신) · 인문계 논술 · 자연계 논술 · 올림피아드(수학 · 화학 · 천문 · 지리 · 언어학) · SAT
기타 공부법(마음가짐) · 벼락치기 · 독학 · 쓴소리 · 인강 · 고시 낭인 · 자기주도학습 · 공부 · 성적 · 독학재수 · 예습 · 복습
* 포괄적인 공부에 대한 공부 관련 조언을 담은 문서
** 수험용 공부에 최적화된 공부 및 생활 관련 조언을 담은 문서
중등부 혹은 동일 기관 주최 중학생 대상 경시대회 존재
}}}}}}}}} ||


1. 개요2. 대표적인 공부자극3. 발생 원인4. 비판
4.1. 활용의 문제4.2. 내용의 문제

1. 개요

주로 인강이나 학원 강사들이 수험생들을 대상으로 공부 의욕을 자극하기 위해 하는 말.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특히 공부와 관련된 사이트)에서도 종종 볼 수 있다. 부모님, 선생님, 형제자매, 친구 등이 하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 잔소리에 가깝다.

2. 대표적인 공부자극

3. 발생 원인

입시 경쟁이 빚어낸 부산물이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모든 사람이 열심히 노력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그것도 성숙하지 못한 청소년의 경우 자기 스스로를 통제하는데 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입시 경쟁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선생 혹은 부모들에게서 통제 역할 또는 동기부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4. 비판

4.1. 활용의 문제

공부자극을 듣는 것으로 공부를 하지 못했다는 불안감을 해소하는 케이스도 존재한다. 즉 공부자극을 듣고 각성을 해서 다시 손에 책을 잡는다면 그나마 좋겠지만, 공부자극을 기껏 열심히 찾아모으고 나서 "아, 나는 긴 시간을 유용하고 생산적으로 보냈어!" 라고 생각하고 정작 실행에는 옮기지 않고 휴식하는 학생들도 있다. 자기합리화의 악순환이 만들어지는 셈. 비슷한 바리에이션으로, 공부 어록[1]을 책상 앞에 포스트잇으로 빼곡히 붙여놓고는 정작 공부를 안 한다거나 서점에 가서 공부에 관련된 책들을 잔뜩 사 놓고는 정작 그 책을 펴기는커녕 책장에 꽂혀있다는 사실에 만족하는 사람들도 있다. 심하게는 공부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책상을 정리해 놓고, 막상 정리가 끝나면 자신이 공부를 했다고 착각하는 케이스도 있다. 이런 심리는 불안한 청춘들이 자기개발서를 사 읽고 실천하지 않으면서 자신이 뭔가 생산적인 활동을 한다고 착각하는 것과도 다르지 않다..

공부 효율을 높이려면 공부자극을 맹종하기 전에 자신의 성향을 잘 알아야 한다. 세상 모든 사람이 클론마냥 다 똑같진 않으니 남들에게 좋은 방법이라고 자신에게도 좋은 방법이란 보장은 없다. 오히려 이런 자극적인 말에 학습 의욕이 꺾이거나, 모욕감만 느낀다거나, 현실이나 현재 상황에 대해 좌절하는 경우도 많고, 계속 듣는다고 좋은 효과만 나는게 아니라 많이 듣다보면 내성이 생겨져서 자극도 안 된다.

더군다나 진짜 공부를 할 사람은 이따위 자극은 필요하지도 않다.

4.2. 내용의 문제

공부자극을 자주 하는 강사 중 정말 실력이 없는 경우에는 가르치는 방법을 몰라서 독설로 때우거나, 독설하는 것을 즐기기도 한다. 이런 성향을 보이는 강사들은 학생이 학대를 통해야만 공부를 할 수 있는 존재인지, 자신이 언어 폭력 외의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능동적인 공부를 위한 동기를 만들 능력이 있는지 성찰해봐야 한다.
자극들 중에 직간접적으로 황금만능주의나 직업 차별 등의 부정적인 관념을 드러내는 것[2] 역시 문제다.

자존감을 깎기 위한 인신공격성 발언이나 욕설이 섞여 있고 의지드립이나 출세지향적인 내용도 비판받는다.

[1] "지금 잠을 자면 꿈을 꾸지만 지금 공부하면 꿈을 이룬다", "지금 눈꺼풀이 감기는 순간에도 적들의 책장은 넘어가고 있다" 같은 것들을 말한다.[2] 주예지 강사가 용접공 비하 막말로 물의를 빚은 게 대표적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