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23:59:58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nopad> {{{#!wiki style="min-height: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369a3, #000 40% 60%, #e63a1a);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em"
냉전탈냉전
주요 사건 (발생 시점순, 세부 진행 사항은 각 문서 참조)
2008
~
2017
남오세티야 전쟁 · 북한의 2차 핵실험 · 대청해전 · 천안함 피격 사건 ·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 연평도 포격전 · 제1차 리비아 내전 · 시리아 내전 · 2012년 가자 전쟁 · 북한의 3차 핵실험 · 유로마이단 혁명 · 2014년 크림 위기 · 돈바스 전쟁 · 2014년 가자 전쟁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 북한의 4차 핵실험 · 북한의 5차 핵실험 · 북한의 6차 핵실험
2018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 · 미국-중국 무역 전쟁(화웨이 규제명령) ·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 전쟁 · 아르테미스 계획
2019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홍콩 보안법 논란 ·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 영국 정부의 대응)
2020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 라이언에어 4978편 벨라루스 강제착륙 사건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미수 사태 · 2020년 벨라루스 시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2021미얀마 내전 · 2021년 가자 전쟁 · 2021년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
2022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 USS 칼 빈슨함 F-35C 추락 사고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세르비아-코소보 분쟁 · 2022년 이란 시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2년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발각(국내 사례)
2023중국 정찰풍선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 ·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 워싱턴 선언 · 2023년 수단 내전 · 2023년 니제르 위기 · 2023년 북러정상회담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4년 예멘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헤즈볼라 전쟁)
2024알렉세이 나발니 사망 사건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다마스쿠스 함락)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2025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 2025년 세계 무역 전쟁(미국-중국 무역 전쟁 ·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 전쟁 · 대한민국의 대응) · 미국-우크라이나 광물 협정 ·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 2025년 태국-캄보디아 국경 분쟁 · 켄싱턴 협정 · 2025년 미국-베네수엘라 위기
국제 기구
NATO · OTAN
}}}]]
ОДКБ · CSTO
}}}]]
上合组织 · ШОС
}}}]]
제1세계EU · 유엔군사령부 · Quad · 파이브 아이즈 · AUKUS · CANZUK · CHIP4 · IPEF · MSMT · TIAR · GUAM
제2세계독립국가연합(СНГ|CIS) · 집단안보조약기구(ОДКБ|CSTO) · 유라시아경제연합(ЕАС|EAEU)
관련 틀
틀:2020년대 이스라엘-시아파 갈등 · 틀: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틀:2020년대 사헬 쿠데타 · 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2024년 4월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MSC 에리즈 나포 사건 · 2024년 4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 · 2024년 4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2024년 7월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 사건
2024년 10월 2024년 10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 · 2024년 10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2025년 6월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전개 ·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
이스라엘-이란 분쟁
Iran–Israel war, Twelve-Day War
이스라엘: 일어나는 사자 작전(עָם֙ כְּלָבִ֣יא)
이란: 제3차 진실의 약속 작전(عمليات وعده صادق ٣)
파일:테헤란폭격25.png
테헤란에 발생한 이스라엘의 폭격
파일:예루살렘폭격25.jpg
예루살렘에 착탄하는 이란의 탄도미사일
날짜
2025년 6월 13일 오전 4시경[현지시간] ~ 6월 25일
장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전역,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전역[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타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타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라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라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에 대한 공습 및 이란의 반격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의 이스라엘 지원
공격 수단
이스라엘: 전투기 200대 이상 및 드론[4]
미국: B-2 스피릿 폭격기, 잠수함발 토마호크 미사일
이란: 드론 1,000여기, 탄도 미사일 400여발
원인
고도화되는 이란 핵 개발력에 대한 이스라엘의 선제적 제거
이란-이스라엘 갈등 심화
이란의 하마스, 헤즈볼라반이스라엘 단체 지원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실각 위기
교전국 및 교전세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후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후티 상징.svg|width=24]]}}} {{{#!if 출력 == null
후티}}}{{{#!if 출력 != null
}}}}}}]]
수뇌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베냐민 네타냐후[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스라엘 카츠[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에얄 자미르[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토메르 바르[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도널드 트럼프[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JD 밴스[1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피트 헤그세스[1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댄 케인[1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데이비드 올빈[1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마이클 쿠릴라[1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알리 하메네이[1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마수드 페제시키안[1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지즈 나시르자데[1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압둘라힘 무사비[1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미르 하타미[19]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모하마드 팍푸르[20]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모하마드 바게리[2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호세인 살라미[2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골람 알리 라시드[2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알리 샤드마니[2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이드 이자디[2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란|{{{#!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란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골람호세인 게이파르바르[26]
병력
이스라엘군
모사드

미합중국 해군
미합중국 공군
이란군
이슬람 혁명 수비대
지지 의사 표명 세력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G7}}}}}}]]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G7}}}}}}]]
#!if 기 == null && 깃발 == null
[[주요 7개국 정상회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G7 국가(2).jpg|width=24]]}}} {{{#!if 출력 == null
주요 7개국 정상회담}}}{{{#!if 출력 != null
G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크라이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파라과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라과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라과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파푸아뉴기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푸아뉴기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북대서양 조약 기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NATO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대서양 조약 기구}}}{{{#!if 출력 != null
}}}}}}]]
[27]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하마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하마스 당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하마스}}}{{{#!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헤즈볼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헤즈볼라 당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헤즈볼라}}}{{{#!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쿠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쿠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베네수엘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베네수엘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사우디아라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파키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파키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깃발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기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문서 == null
[[틀:깃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깃발.svg|width=24]]}}} {{{#!if 출력 == null
깃발 명칭}}}{{{#!if 출력 != null
}}}}}}]]
#!if 기 == null && 깃발 == null
[[이슬람 협력기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슬람 협력기구}}}{{{#!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르키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튀르키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집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집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사상자
사망자: 30명 이상[28]
부상자: 2,517명 이상[29][30]
사망자: 1,060[31]명 이상[32]
부상자: 3,600명 이상[33]
피해
텔아비브, 하이파, 베르셰바 등 도심 일부 파괴
이스라엘 바잔 정유소 파괴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파괴
텔아비브 증권거래소 피격
벤 구리온 국제공항 피격
텔 아비브 군사시설 피격
카타르 미군기지 피격[34]
이란 군 수뇌부 궤멸
이란 핵 과학자 다수 사망
이란 전역의 군사 시설, 핵 시설 파괴 및 원전 피격
이란 법무부, 외무부, 경찰청,
국영방송국 등 주요 정부 시설 피격
방사성 물질 유출
결과
문서 하단 참조

1. 개요2. 배경3. 전개4. 피해
4.1. 이란4.2. 이스라엘4.3. 제3국
5. 국제사회의 반응
5.1. 대한민국5.2. 미국5.3. 중동5.4. 유럽5.5. 아시아5.6. 국제기구
6. 영향
6.1. 방사선 누출 우려
7. 결과8. 영향에 관한 전망
8.1. 이스라엘
8.1.1. 이란 정권 교체 시도 성공 가능성8.1.2. 미국의 참전 이후
8.2. 이란
8.2.1.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
8.2.1.1. 긍정론8.2.1.2. 부정론
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6월 13일 4시, 이스라엘테헤란이란 전역의 주요 도시와 핵·군사시설을 대대적으로 공격하고 이란이 반격함으로써 시작된 양국 간의 무력 분쟁.

1980년이란-이라크 전쟁 이후 이란에 가해진 최대 규모의 공격으로, 이스라엘 측의 작전명은 '일어나는 사자 (עָם֙ כְּלָבִ֣יא/Operation Rising Lion)[35]'로 성경민수기 23장의 발람의 예언에서 유래했다.[36]

2. 배경

이스라엘군 대변인의 이란 비난 성명문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분출되기 시작한 이스라엘-이란 간 갈등, 지지부진한 미국-이란 핵협상에 따른 이란의 핵무장 가능성과 그에 대한 이스라엘의 우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정국 전환 의지 등이 맞물려 발발하였다. #

이스라엘군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이란이 기존에 알려진 핵 농축 프로그램 외에 비밀 프로젝트로 근미래에 핵무기를 얻으려 했으며, 헤즈볼라, 하마스와 공조해 이스라엘에 동시다발적인 공격을 가하려 했다고 밝혔다. 특히 오만에서 열린 이란 핵 협상에서 이란과 미국 간의 협상이 결렬되자 군사 작전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었다.

게다가 지지율이 위태로운 네타냐후 입장에서[37] 마침 대외 영향력이 수십년 이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38] 이란을 때리는 것이 거의 유일하게 반 네타냐후 인사 대다수가 공유하는 가치인 만큼 확실하게 정국을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네타냐후의 의도대로 이스라엘 내부에서 공습 결정이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3. 전개

파일:Operation_Rising_Lion.jpg
이스라엘군의 일어나는 사자 작전 포스터[39]
실시간 전황 (영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전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전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전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미국의 참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피해

4.1. 이란

<nopad>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남쪽으로 250㎞ 정도 떨어진 나탄즈 지역에 위치한 원자력 시설
이번 이스라엘 공습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된 곳으로 이 나탄즈 핵시설은 이란 핵개발 수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원자력 시설이었다.
<nopad>
보도에 따르면, 이 건물은 이란 혁명수비대 고위 관계자의 거주지로 알려져 있다.

기존 공습과 비교해 유례가 없던 수준의 대대적인 공습으로, 참수작전으로 혁명수비대 총사령관[40]부사령관[41], 그리고 이례적으로 지금까지 이스라엘이 직접적으로 타격하지 않았던 이란군도 공격 대상이 되어 이란군 총참모장[42]까지 모두 사망했다. 이슬람 혁명 수비대 항공우주군 사령관이자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752편 격추 사건에 큰 책임이 있는 아미르알리 하지자데도 사망했다. 핵무기 개발과 관련된 핵시설을 포함하여 이란 전국의 주요 군사시설이 피격당했으며[43], 핵 기술 관계자 및 다수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양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파일:2025 이란 군수뇌부.jpg
이스라엘의 공격으로 사망한 이란 주요 인사들
혁명수비대 총사령관
호세인 살라미
혁명수비대 부사령관
골람 알리 라시드
핵물리학자
페레이둔 압바시
아자드 대학 총장
모하마드 메흐디 테흐란치
이란군 총참모장
모하마드 바게리
사실상 기존 이란 군·이란 혁명수비대 수뇌부, 특히 항공, 방공, 우주, 드론, 미사일 등의 전문가들이 전멸하고, 이란의 저명한 핵물리학자들이 사망했다. 이와 함께 민간인도 70명 이상이 희생되었으며, 나탄즈 핵 농축 시설이 상당 부분 파괴되며 우라늄이 유출되어 방사능 피폭이 일어났다. 이번 이스라엘의 이란 기습 공습 작전으로 인하여 이란의 군 고위직 관료, 이란 핵 기술 핵심 고위 인물들이 다수 사망한 것은 이스라엘의 스파이 양성, 정보 첩보 기관인 모사드의 첩보, 사보타주 덕분이라는 주장도 있는 상황이다.# ## 고위 인물들은 휴대폰이 없었으나, 경호원들이 휴대폰 있어서 죽일수 있었다.#

수뇌부 및 핵시설 타격 외에도 정찰 드론, 자폭 드론, 전투기의 공습을 혼합하여 레이더 기지, 미사일 기지 등 다양한 군사 시설에 대한 공습을 가하고 개별 점 표적에 대한 타격을 실시하였다. 이란의 소바쉬 레이더 기지, 타브리즈 미사일 기지는 완파당했으며 호라마바드 미사일기지, 하루니루즈공군기지등이 큰 피해를 입었고 방공미사일, 전자전 시스템, 이동식 탄도탄 미사일 발사대, 공격헬기, 전투기 등을 식별하여 여러 대를 파괴하였다.

4.2. 이스라엘

파일:이란 보복 2.webp파일:이란 보복 3.webp
텔아비브 도심에 착탄한 이란의 미사일로 인한 폭발과 피해
아이언 돔, 애로우, 다비즈 슬링 등 대공 방어수단이 여러 미사일을 격추했지만 최소 3발 이상이 착탄했다. 이스라엘 당국에 의하면 텔아비브 지역에서 1명이 사망, 34명이 부상을 입었고 건물이 통째로 무너진 경우도 있었다.#

AP통신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 중부 도시인 리숀 레지온의 주택가에서도 2명이 사망하고 19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파일:ap25164661044315.jpg
텔아비브 상공의 요격전

6월 14일 기준 텔아비브에서 다수의 건물들이 붕괴되어 잔해 속에서 인명 구조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텔아비브 동부 신축 아파트 단지가 큰 피해를 입었고, 미사일 공격 후 발생한 화재로 인해 연기가 도시 밖에서도 목격되고 있다. 텔아비브 외곽인 라마트간에서는 최소 3채의 주택이 파손되었고, 여러 대의 자동차에 불이 붙었다.# 추후 라마트간 당국은 9채의 건물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건불 수백여 채가 다양한 수준의 파손을 당했다고 보고했다. 또한 최소 100명의 주민이 자택을 떠나 대피했다.# 이스라엘군은 미사일 요격 중에 발생한 파편으로 '제한된 수의 건물'이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
파일:라마트간.jpg
라마트간에 착탄한 이란의 미사일로 인한 피해

6월 14일 밤 이란은 이스라엘 최대 항구인 하이파로 다량의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낙하 속도가 빨라[44] 이스라엘측 방공망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그 결과 바잔 정유시설이 파괴되어 화염에 휩싸였고, 최소 3명이 사망했다.#

14-15일 밤, 이스라엘 바트얌 중부의 한 건물에 미사일이 착탄해 4명이 사망하고 약 100명이 부상을 입었다. 그리고 레호보트에서 발생한 또 다른 미사일 착탄에서는 37명이 부상을 입었고 그중 6명은 중태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 15일에 파악된 바트얌에서의 피해는 사망 9명, 부상 200명 이상으로 늘었다. 레흐보트의 부상자 수도 42명으로 늘었다.#


16일에 이스라엘 총리실은 이스라엘 사망자가 24명, 부상자가 592명 이상이라고 발표했다.

이스라엘의 아이언 돔과 애로우 지대공미사일 일부가 요격 중 궤도를 이탈하였다. 이에 대해 이란은 사이버 부대의 해킹이라고 주장했다.#

17일 이스라엘 텔아비브 모사드 본부 인근에 총 4발의 미사일이 낙탄하였다. 1발은 쇼핑몰, 1발은 공동묘지에 착탄하였으며 2발은 모사드본부 인근 모사드소속으로 추정되는 창고 건물을 타격하였다.#

19일 오전, 이스라엘 남부 최대 의료 시설이자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이스라엘 군 부상자들이 대거 수용된 베르셰바의 소로카 병원에 미사일이 착탄하여 병원이 폐쇄되고 40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에 대해 이란은 병원이 아닌 인근의 정보부대본부 및 이스라엘군 C4I기지를 공격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텔아비브에서는 상업지역 도로에 미사일이 떨어져 주식거래소를 비롯한 몇몇 고층건물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주식 거래소의 운영은 중단되었다.[45]#
파일:2025 텔아비브.jpg 파일:israeli-skyscrapers-are-showing-the-destructive-damage-in-v0-czN6ZjZwNXlkdTdmMQhDrF15Tl4DovU9dP2CbjI-EkN-WG37bifbiAGRSuW4 (1).png
텔아비브 도심에 착탄한 이란의 미사일로 인한 피해

20일 오전 이란이 베르셰바 IT단지에 미사일공격을 감행하여 마이크로소프트와 이스라엘 방산회사 엘빗소프트 사무실 인근 주차장에 미사일이 착탄하였다.#

오후에는 이란이 하이파에 미사일 공격을 감행, 두발이 착탄했다. 한발은 하이파항구를 목표로했으나 인근 민간건물에 착탄하였다.## 두번째 미사일은 이스라엘 내무부 청사앞 광장을 타격했다.##

이스라엘 측의 피해 사실은 이스라엘 당국의 언론 보도 통제 지침으로 인해 정확한 정보가 공개되어 있지 않으며, 피해 규모가 실제보다 다소 축소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46]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if external != "o"
[[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uuid=fccdcd7c-bc74-4106-88ff-463be24e0589|r11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uuid=fccdcd7c-bc74-4106-88ff-463be24e0589#s-4|4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from=114|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if external != "o"
[[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uuid=fccdcd7c-bc74-4106-88ff-463be24e0589|r114]]}}}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uuid=fccdcd7c-bc74-4106-88ff-463be24e0589#s-4|4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2025년 6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from=114|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4.3. 제3국

시리아에 전투 드론이 오인 공격을 가하여 민간인 여성 1명이 사망했다.

팔레스타인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헤브론 (엘칼릴)에 미사일이 떨어져 팔레스타인인 5명이 부상을 입었다.

요르단에서 격추된 미사일 파편이 떨어져 3명이 부상을 입었다.

5. 국제사회의 반응

중동의 이슬람권 대다수 국가는 이스라엘을 규탄했고, 친미-친서방 성향 중동 국가 중 일부는 직접적 책임 소재를 거론하지 않으면서 우려를 표명하고 자제를 촉구하는 데 그쳤다. 미국은 이스라엘을 전적으로 지원하며 이란을 강력하게 비판하였고, 나토유럽 등 유럽에서는 이번 공격에 관해 우려를 표명하면서 자제를 촉구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다.#

5.1.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은 이스라엘이 이란을 공습한 것과 관련해 “현지 우리 교민들의 상황을 잘 파악해서 피해가 있는지, 또 피해 예방을 위해서 어떤 조치가 필요한지를 잘 챙겨봐달라”고 당부했다. # 또 외부 충격 때문에 한국 경제에 피해가 가지 않도록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대한민국 외교부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및 이란의 보복 공격 등 중동 지역 정세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점을 감안, 6월 14일 부로 이스라엘 및 이란 일부지역에 대해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 이 조치로 양국의 기존 2단계(여행자제) 여행경보 발령지역이 특별여행주의보(2.5단계)로 격상되며, 기존 발령된 이스라엘 일부 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3단계와 4단계 및 이란 일부지역에 대한 여행경보 3단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대한민국 해양수산부는 해운 관련 30여 개의 기업 및 단체와 긴급 안전 점검 회의를 열었으며 이 자리에는 한국해운협회를 비롯해 SK해운, 현대글로비스 등 주요 해운사들이 참석했다. 해수부와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중동 정세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호르무즈 해협 인근 해역을 운항하는 한국 선박의 안전확보에 신경써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안전관리 현황을 집중적으로 살폈다. 또한 선박 피격이나 피랍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의 대응 체계도 재점검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외교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상호 간 자제력을 발휘해 양측의 폭력사태를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입장을 발표했다.##[47]
1. 우리 정부는 6.13.(금) 이스라엘의 이란에 대한 공격 등으로 중동 지역의 긴장이 급격히 고조되는 있는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상황을 악화시키는 모든 행동을 규탄한다.

2. 우리 정부는 역내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모든 당사자들이 최대한의 자제력을 발휘할 것을 촉구한다. 끝.

6월 22일 브리핑에서 강유정 대변인은 오늘 회의에서는 현재의 정확한 상황을 파악하는 동시에, '이스라엘-이란 분쟁'에 이어 이번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이 우리 안보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고 밝혔다. #1, #2

대한민국 교민 56명이 인근국인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대피했으며 이란 현지에는 한국 교민 70~80여명이 남아있고 대사관은 이들과 연락을 취하면서 안전을 확인하고 있다. 외교부는 “중동에 체류하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지속해 강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이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관련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2025년 6월 22일 이재명 대통령은 중동정세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나토 정상회의에 불참하기로 결정했다.#

5.2. 미국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ABC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스라엘의 공격이 훌륭했다고 본다면서 "우리는 그들(이란)에게 기회를 줬지만 그들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라고 말했다. 또 "그들은 당할 수 있는 만큼 세게 맞았다" "그런데 아직 끝이 아니다. 훨씬 더 많은 게 남았다" 등, 이란을 압박했다. # 그는 악시오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이스라엘의 공습이 이란과의 핵협상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여겼다고 밝혔다.# 악시오스에 따르면 이스라엘은 벙커버스터 탄약 등 타격 수단을 가진 미국이 지원 내지 참전하기를 바라고 있지만, 미국은 현재 이란을 공격하거나 이스라엘의 작전에 동참할 생각이 없으며, 이스라엘의 공습을 핵협상 독촉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카타르 미군기지 공격 후에도 "이란은 우리의 핵 시설 파괴에 대해 매우 미약한 대응을 공식적으로 보였는데, 우리는 이를 예상했고 매우 효과적으로 대응했다" 라고 밝혔다.[48] #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미국의 관여는 없었다면서 이란은 미국의 이익을 침해해서는 안 된다고 발표했다. #[49]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관은 이스라엘 전역의 미 정부 관계자 및 가족 전체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 #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이스라엘에 자위권이 있다며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 #

주이스라엘 미국 대사가 이란은 이스라엘뿐만 아니라 미국도 공격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

동부시간 6월 21일 오후 7시 50분, 미국의 B-2 폭격기가 벙커버스터로 포르도, 나탄즈, 이스파한을 포함한 이란의 핵시설 3곳을 공격했다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했다. 트루스소셜관련기사
트럼프는 현지시간 21일 오후 10시(한국 시각 22일 오전 11시) 이번 폭격과 관련해 대국민 연설을 진행하였다.#

5.3. 중동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라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이라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이스라엘과 이란 사이에 위치한 이라크 또한 안전을 위해 영공을 폐쇄했다.#
  • 이라크 외무부는 이스라엘의 행동이 국제법과 유엔 헌장을 무시하고 자신들의 주권을 침해한다며 공식적으로 항의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제르바이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아제르바이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이슬람이 다수인 국가 중에선 이스라엘과 몇 안 되는 동맹국인 아제르바이잔은 정부 차원의 입장 표명은 아직 없으나, "하나는 우리의 동맹, 하나는 우리의 이웃이며, 그동안 아제르바이잔이 이란과 외교관계가 완전히 우호적이지 않은 이유는 이란이 아르메니아를 공개 지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제르바이잔은 이란과의 관계정상화 노력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았고, 아제르바이잔의 주권과 이익보장 원칙에 따라 행동하여 이스라엘과 이란과의 관계 유지를 위해 노력할 것." 이라는 아제르바이잔-이스라엘 국회간 연락실무 담당자의 발언이 아제르바이잔 프라우다지에 공개되었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요르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요르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요르단 민간항공규제위원회는 해당 지역에서 계속되는 분쟁으로 인해 잠재적인 위험이 있다며 요르단 영공을 일시적으로 폐쇄했다. #
  • 요르단군은 금요일 아침 요르단 영공에 진입한 여러 대의 미사일과 드론을 요격했다고 밝혔다.#
  • 요르단 정부는 중동 국가들 중 드물게도 이스라엘의 책임을 명시적으로 추궁하지 않았는데 요르단은 1994년 이스라엘과 평화협정을 맺었기 때문이다. 또한 관영 페트라 통신을 통해 배포된 요르단 정부의 대변인 성명에 따르면 요르단 정부는 "요르단 왕국은 어떠한 분쟁에서건 전쟁터가 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국가안보는 넘어서는 안 될 선이며, 국가 안보와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시도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스라엘, 이란 양국 간 분쟁시엔 양국의 항공병기가 요르단 영공을 지나기 때문에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입장을 밝히고 자국의 안전을 침해하지 말라고 강조한 것이다.
  • 요르단 민간항공청은 토요일 오전 7시 30분(현지 시간) 영공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요르단은 금요일 전투 시작 후 영공을 폐쇄했으며, 같은 날 요르단군은 인구 밀집 지역에 위협이 되는 드론과 미사일을 요격했다고 발표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사우디아라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사우디아라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사우디아라비아 외무부는 성명서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은 형제국인 이란 이슬람 공화국에 대한 노골적인 이스라엘의 침략행위를 규탄하고 비난한다”고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 사우디아라비아는 이스라엘의 공습이 명백히 국제법을 위반하는 것이라며 지적했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오만|{{{#!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오만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오만}}}{{{#!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이란과 미국 사이의 핵 협상을 중재해온 오만은 이스라엘의 공격에 대해 위험하고 분별없다며 외교적 해결에 위협이 된다고 발언했다. #
  • 오만 외무부 대변인은 “미국이 취한 행동들은 분쟁의 규모를 확장하는 위협”이라며 미국의 전쟁 개입에 대해 비난했다. 참고로 이러한 비난 성명은 아랍 국가들 중에서는 최초의 사례이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랍에미리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아랍에미리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이란을 향한 이스라엘의 군사 공격을 규탄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예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예멘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예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이란 지원 반군 후티와 맞서고 있는 예멘 정부는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을 규탄하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시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시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이스라엘의 침공을 받고 있음에도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에 대해서는 아랍 국가들 중 이례적으로 침묵하고 있으며, 오히려 어떠한 무장단체도 시리아 영토에서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는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을 지원했던 이란에 대한 시리아 신정부의 원한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집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이집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이스라엘군의 이란 공격을 비난하며 "노골적이고 극도로 위험한 지역적 갈등 격화"이자 "국제법을 노골적으로 위반하는 행위"라고 불렀다.#

5.4. 유럽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타스 통신에 따르면 크렘린궁 대변인 드미트리 페스코프은 이날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을 "우려하며 규탄한다"라고 밝혔다고 한다.#
  • 러시아 외무부는 13일 "국제원자력기구(IAEA) 직원과 이란 시민 또한 이스라엘의 공격을 받았다"라며 "정당한 이유 없는 공격은 용납할 수 없다"라고 했다. 또 "이스라엘의 이란 도발로 인한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이스라엘 지도부에 있다"며 "이스라엘과 이란 양측에 최대한 자제를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후 22일 성명을 통해 "주권 국가의 영토를 미사일과 폭탄으로 공격하는 것은 무책임한 결정"이라며 "국제법, 유엔 헌장,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 푸틴 대통령은 18일 이란에 무기를 제공할 것이냐는 질문에 협정[50]에는 군사 협력이 포함돼 있지 않으며, 이란이 지원을 요청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23일에는 크렘린궁에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을 만나 미국과 이스라엘이 정당한 이유 없이 침공했다고 비판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은 이스라엘은 스스로 방어할 권리를 가지며 이란은 핵무기를 가져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피력했고 양측 모두 자제하라는 입장을 밝혔다.# 만일 이란이 이스라엘을 공격하면 프랑스는 이스라엘을 보호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독일 메르츠 총리는 이스라엘은 스스로 방어할 권리를 가지며 이란의 핵무장은 평화를 위협한다고 성명에서 발표했으며, 양측 모두 자제를 촉구하였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영국 스타머 총리는 전투기를 포함한 자산을 중동에 배치하고 있다며 역내 전체의 비상지원을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우리의 계속된 메시지는 긴장 완화"라며 자제를 촉구했다.#

5.5. 아시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린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중국은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으며 관련 조치로 인해 초래될 심각한 결과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일본은 내각관방장관하야시 요시마사가 상황의 개선과 재외국민의 보호를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
  •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면서#, "이란 핵 문제 평화적 해결을 위한 외교 노력이 계속되는 가운데, 군사적 수단이 사용된 것은 극히 유감이다"라며 "사태를 심하게 만든 것에 대해 비판하고 양측 모두 자제를 하기 바란다"라고도 하였고 이란 핵발사 우려 또한 밝히면서 G7정상회담에서 이 의제에 대한 일본 입장을 밝히기로 하였다.##
  • 이시바 총리는 사태를 조기 진정시키고 이란 핵무기 개발은 저지 되어야 한다고 이야기 하였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인도 외무부는 대변인을 통해 양국의 "그 어떤 갈등 고조 행위라도 피할 것"을 당부하며 관계가 개선되길 희망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핵시설 공격을 포함한 상황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가능한 모든 상황을 대비할 것이라고 전했다.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4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북한 외무성은 대변인을 통해 "오늘 세계가 목격하고 있는 엄중한 사태는 미국과 서방의 지지후원을 받고 있는 이스라엘이 중동평화의 암적존재이며 세계평화와 안전파괴의 주범이라는 것"이라며 엄중한 우려를 표시하며 단호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

5.6. 국제기구

파일:국제원자력기구 깃발.svg 국제원자력기구(IAEA)
  • 국제원자력기구는 나탄즈 핵시설 내부에서 방사능, 화학 오염이 있다고 했으며 핵확산금지조약를 준수하지 않고 핵개발을 감행하는 이란을 비난하는 결의를 정식 채택하였다. 거기에 더해 이란이 제3의 핵농축 시설을 건설하고 가동시키고 있다고 IAEA가 발표하였으며 AP통신이 보도하였다.#
  • 13일 라파엘 그로시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총장은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으로 이란 나탄즈 핵 시설의 지상 시험용 농축 시설이 파괴됐다고 밝혔다. 그는 나탄즈 지하의 농축 시설이 공격받은 징후는 없지만 전력망 공격 여파로 원심분리기가 손상됐을 가능성이 있으며, 시설 내부에서 방사능 및 화학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내부 오염은 방사선 보호 조치로 관리 가능하다"고 말했지만, "핵 시설은 결코 공격 대상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IAEA는 핵 시설의 완전한 보호와 평화적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전문가들을 이란에 파견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다.#

파일:NATO 깃발.svg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 마르크 뤼터 사무총장은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격 감행에 대하여 국제법 위반이 아니라고 발언을 했으며, "이란의 핵 프로그램과 관련해 나토는 오랫동안 이란이 결단코 핵무기를 개발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유지했다"고 덧붙혔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연합(EU)
  • 유럽 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란은 절대로 핵무기를 가져서는 안된다는 점에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전적으로 의견을 같이한다며 연대의 뜻을 밝혔다.#

파일:G7 국가(2).jpg 주요 7개국 정상회의(G7)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이슬람 협력기구
  • 이슬람 협력기구(OIC)는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을 강력히 규탄하며, 이를 이란의 주권과 국제법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유엔과 국제사회에 이러한 공격을 저지하고 추가적인 불안정을 막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6. 영향

이 공습 때문에 지난 7일 간 상승세를 보이며 2,900을 뚫어낸 코스피 지수가 장이 열리자마자 1시간 만에 1.6% 하락하며 2,900선이 다시 붕괴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2,894.62에서 마감되었다. 다만 코스피 자체는 월요일인 16일 2,946.66에서 마감, 다시 2,900선을 회복했다. 이후 지속적인 중동 정세 불안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보합-상승세를 유지하며 6월 20일 종합주가지수 3,000선을 뚫어냈다. 국제유가 또한 10% 급등했다.

이란 역시 보복에 나서 미사일 공격을 단행했고, 이스라엘에서 최소 28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그럼에도 이스라엘 국내 반응은 의외로 나쁘지 않다.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을 선제 타격하고 이란의 보복 공습이 이어지자, 이스라엘 국민 사이에서 국가 안보를 위해 이란과의 전쟁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는 것. 이란의 미사일 공격으로 큰 피해를 본 텔아비브 인근 바트얌에서조차 주민들은 "(국가) 존망이 걸린 전투"라며 군사 대응을 강력히 지지했다. 피해 현장을 찾은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이란의 핵미사일로부터 국가를 지켜야 한다"고 역설했고, 군중은 그를 영웅으로 칭송했다. 이는 2023년 10월 하마스의 기습 공격 이후 이란을 직접적인 위협으로 인식하던 여론이 전쟁을 통해 구체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네타냐후 총리가 정치적 위기 탈출을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는 비판도 존재하지만, 전쟁 발발 후에는 야권마저 단결을 촉구하며 힘을 싣는 모양새다. 심지어 네타냐후 총리의 정적 나프탈리 베네트 전 총리 역시 "이스라엘이 핵무장 이란으로부터 세계를 구하고 있다"며 지지를 표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전쟁이 하마스 사태로 실추됐던 네타냐후 총리의 정치적 명운을 가를 중대한 분기점이라고 보고 있다. 다만, 군사 작전이 성공적이고 단기간에 끝나야만 현재의 지지 여론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스라엘 민주주의 연구소는 이번 사태를 "중동의 역사적 흐름을 바꿀 수 있는 획기적 순간"으로 평가했다.#

이란과 이스라엘 양국 모두 영공이 막히면서 출국하려는 이란인들과 이스라엘인들의 발이 묶였으며 테헤란에서는 테헤란을 탈출하려는 시민들의 행렬이 이어졌다.


미국의 개입 여부를 두고 미국 정계에서도 뜨거운 격론이 벌어지고 있으며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주지지층 간의 상반된 의견으로 MAGA세력 내부에서 다툼이 벌어지고 있다. 터커 칼슨[51], 캔디스 오웬스, 마조리 테일러 그린, 스티브 배넌, 알렉스 존스 등의 대안우파 인사들은 이란과의 전쟁을 공개적으로 반대했고, 린지 그레이엄, 테드 크루즈, 마크 레빈 등 공화당내 중진의원들은 이란과의 전쟁에 참여하는 것에 찬성했다. 자신의 지지층이 참전 여부를 두고 분열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 또한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파일:1000085629.jpg
트럼프 대통령이 2주간의 기간을 이란에게 더 주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적인 순간에 결정을 주저한다는 마법의 2주가 주목받고 있다. #,##

한편 이란에서는 각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이스라엘, 미국에게 죽음을!"이라는 반미, 반이스라엘 시위를 하는 중이다.

6.1. 방사선 누출 우려

이스라엘이 핵시설을 폭격하자 바로 옆 걸프만 국가 국민들이 방사선 피폭 가능성과 식량 우려를 하고 있다. 만약 핵반응으로 대폭발하거나 방사능 물질이 대거 유출되면 대기, 해양 등이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이란의 유일한 원자력 발전소인 부셰르 원전은 이란 수도 테헤란보다도 오만, 바레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등 친미 아랍 국가들과 지리적으로 더 가깝다. 실제로 부셰르 원전은 쿠웨이트의 수도 쿠웨이트 시티까지 직선거리로 288km, 바레인의 수도 마나마까지 290km 정도 떨어져 있다.

이에 무함마드 알사니 카타르 총리는 지난 3월 부셰르 원전 폭발 시 피해를 자체 분석했을 때 카타르 국민들은 3일 안에 식수가 고갈될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때문에 주민들이 유사시 대책을 공유하는 등 상당히 분위기가 뒤숭숭한 상황이다.#

7. 결과

다중 관점이 적용되는 문서입니다.

이 토론에서
#!if 대상 == null
본 문서에는
#!if 대상 != null
결과에 대해서는
다수 의견을 병기하기로 합의가 이루어졌습니다.
#!if 상세1 != null
또한 아래의 사항이 적용됩니다.{{{#!if 상세2 == null
 * 서술 시 근거 신뢰성 순위 7순위 이상의 근거 자료를 기재하여야 한다.}}}{{{#!if 상세2 != null
{{{#!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1. 서술 시 근거 신뢰성 순위 7순위 이상의 근거 자료를 기재하여야 한다.
2. {{{#!if 상세3 != null
[br]3. }}}{{{#!if 상세4 != null
[br]4. }}}{{{#!if 상세5 != null
[br]5. {{{#!if 상세6 != null
[br]6. }}}{{{#!if 상세7 != null
[br]7. 
}}}}}}}}}}}}}}}}}}

12일간의 전쟁이 휴전으로 끝난 후 이란과 이스라엘 양측은 서로 자신들이 승리했다고 주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란의 경우 1,060명이 사망했다고 발표했으며, 여러 핵 과학자들과 군 수뇌부의 고위 요인들이 궤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었으며, 수도 테헤란이 여러 차례 공습당하고 핵 시설, 군 시설과 인프라 시설들이 다수 폭격당했다. 전문가들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고, 동네북처럼 얻어맞았다고 평가했다. #1 #2 #3 #4

거기다가 전쟁 후에 강수량과 댐 저장량이 절반이 줄어들고, 라르, 아미르 카비르, 라티안 저수지등이 손실을 겪으면서 테헤란의 극심한 물 부족 현상이 겹쳐 이란은 전례없는 대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다만 핵 시설에 대한 피해는 완전 무력화에 실패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 실제로 전문가들도 이란의 핵개발 능력과 의지를 완전히 꺾지 못했을 것이며, 농축 우라늄을 빼돌렸을 가능성이 높아 핵개발 시기를 뒤로 미루는 정도가 끝이었을거라고 평가했다. #

또한 전쟁이 끝난 후, 이란은 IAEA의 핵사찰을 거부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IAEA의 출입을 사실상 거부하고 있다. #

이스라엘의 경우에는 전쟁이 끝나고 1주일 후, 후티를 상대로 전쟁을 재개했다. 이에 후티는 무장병력과 미사일, 드론을 사용해 다시 상선들을 무차별로 공격하기 시작했다. #

그리고 하마스와의 휴전 협정에 대해서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가운데, 그 와중에도 공격을 시작했다. 수많은 민간인 사상자가 나오고 있는 상황. #

8. 영향에 관한 전망

8.1. 이스라엘

이스라엘 국방부 대변인이 보도한 작전 결과

이스라엘의 표면적 공습 이유는 이란의 핵 개발, 탄도 미사일 개발이라는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적 위협의 제거이다. 하지만 실제 이스라엘이 노리는 것은 이를 넘어 이란의 현 정권을 붕괴시키는 체제 교체(Regime Change)로, 이것이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의 진짜 목적으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있다. 이슬람 혁명 수비대의 고위 간부 사망 등 실질적 타격을 입힌 네타냐후는 13일 저녁 성명을 통해 "이란 국민들이 자유를 위해 일어서야 할 때"라며 "악하고 억압적인 정권으로부터의 자유를 위해 단결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즉 이스라엘은 이란의 체제 불안정화와 대중 봉기 유발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란 내 실권 세력(혁명수비대 등)은 오히려 이스라엘과의 대립을 격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현 이란 정권의 붕괴 시 9,200만 명의 인구를 가진 국가의 혼란이 중동 전역에 끼칠 파급효과가 불가피하다.

물론 이란 국민들의 현 체제에 대한 불만은 매우 높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현재의 이슬람 정권을 대체할 수 있는 세력의 부재이다. 현 이란의 반체제 세력은 심각히 분열된 상태인데 2022년 이란 전역을 휩쓴 '여성, 생명, 자유' 시위 이후, 일부 야권 그룹이 반이슬람 공화국 진영의 연합을 시도했지만, 리더십과 체제 구성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오래가지 못했다. 팔라비 왕조의 현 수장인 레자 팔라비가 외국 정부의 지지를 얻기 위해 외국 활동을 하면서 왕정복고를 노리고 있지만, 이 역시 일부 이란인들에게만 지지받을 뿐, 왕정복고의 가능성은 미지수이다. 이란의 현 정권 대안 세력은 각각 한계점이 분명하며 낮은 국내 지지도과 적은 노출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에 이스라엘의 노림수가 먹힐지는 의문이라는 것이다.이상 출처는 BBC 뉴스 코리아 2025년 6월 14일 기사

결정적으로 교체된 정권이 친이스라엘 성향을 가질 리가 없다. 민심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어제까지 공습을 실행하며 공격한 이스라엘과 화해하는 지도자가 곱게 보일 리가 없으며, 이미 이집트제4차 중동전쟁 이후 이스라엘과 화해했다가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이 암살당하는 꼴을 봤으니 만약에라도 정권이 교체된다고 한들 이스라엘에 강경하게 나올 가능성이 매우 높다. 다만 이스라엘이 배후에서 막대한 지원을 통해 왕정을 복고시키거나 친이스라엘 정권을 수립하는 시나리오도 있을 수 있지만, 그렇게 된다면 이란 국내의 정치상은 대단한 혼란 속으로 빠질 가능성이 높다.

그나마 가능성이 있다면 레자 팔라비를 지원하여 왕정복고 시나리오를 노리는 경우의 수가 있을 것이며, 현재 이스라엘이 쓸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정권교체 카드이기도 하다. 현실적으로 이슬람 정권을 대체할 세력들 중 그나마 친미-친이스라엘 노선을 탈 수 있을 세력인 데다 구심점도 명확해 레자 팔라비 본인이 세력 규합을 잘 하고, 과거의 독재를 청산하는 등 이란 국민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다면 국내 안정화도 빠를 수 있기 때문. 실제로 레자 팔라비 본인도 2023년에 이스라엘을 순방하는 등 이번 공습 이전부터 친이스라엘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다만, 팔라비 왕조 자체가 국민들의 지지를 잃어 몰락한 것인 만큼[52], 단기간 내에 정권을 잡을 가능성도 희박하고, 애초에 이스라엘의 지원으로 팔라비 왕조가 복권한다고 한들 자국을 공습한 국가를 등에 업은 왕을 국민들이 고운 시선으로 볼 가능성도 낮다. 결국 이래저래 이슬람 정권 몰락 후 한동안은 시끄러울 가능성이 매우 크다.[53]



다만 그것과는 별개로 교환비 자체는 아이언돔이 뚫렸다고 해도[54] 이스라엘이 이란을 위기로 몰고 갈 정도로 압도적으로 우위라는 것이 전문가들 대다수의 소견이다. 상술하듯 이스라엘 내부에서의 지지도 크게 받는 상황이라, 이스라엘이 공습을 도중에 그만둘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현재 이스라엘도 점점 이란 미사일 요격에 실패하는 빈도가 늘고 있고[55] 내부공작과 요인 암살로 이란 내 혼란을 유도하던 모사드 요원들과 이에 협력한 반체제 인사들도 대거 발각되어 검거 및 사살되고 있으며 현재 미국 내부에서도 이스라엘 지원과 이란 공격에 참여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트럼프의 지지 세력 내에서조차 반감이 높기 때문에[56] 장기전으로 갈 경우 이스라엘도 중동전쟁 이후 벌어진 분쟁들과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57]

이 일련의 교전을 통해 이스라엘 방어체계의 구조적 한계가 노출되었다. 특히 아이언돔 시스템과 이란제 미사일 간의 비용 효율성 격차가 현저히 드러났으며, 이란측 무기체계의 일부가 이스라엘 탐지망을 우회했는지 혹은 탐지체계 자체의 오작동인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결론이 도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태는 이스라엘을 적대시하는 중동 제국가들에게 새로운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스라엘의 지정학적 취약성 - 협소한 국토면적과 제한된 인구규모 - 은 장기적 소모전에서 치명적 약점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스라엘 사회의 전쟁 지속 의지 또한 의문시되고 있다. 군사전문가들은 중동 지역 행위자들이 재래식 미사일을 이용한 지속적 공격 전략을 채택할 경우,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민간시설 피해가 이스라엘의 전략적 보복 타격보다 더 큰 심리적·사회적 파급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8.1.1. 이란 정권 교체 시도 성공 가능성

현재 이스라엘은 네타냐후가 이란의 이슬람 정권을 무너트리고 정권 교체 (Regime change)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서구권 일각에서도 이란의 정권 교체를 시도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란 이슬람 신정의 폭정과는 별개로 현재까지는 이란의 체제 교체는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

우선 이스라엘이 대안으로 밀고 있는 팔라비 왕조 복권의 경우 실현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낮다. 아무리 2022년 히잡 시위를 기점으로 현재 팔라비 왕조에 대한 재조명이 나오고 있다고는 해도 팔라비 왕조에 대해 해당국인 이란인들의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기 때문이다. 현 이란 신정정부 이후 태어난 이란인이 현재 이란 전체 인구의 과반이 넘는데 현 이란 신정정부로부터 팔라비 왕조가 쓰레기였다고 세뇌교육을 받은 것도 있지만 팔라비 왕조도 말이 입헌군주제지 사실상 전제군주제였던 데다 각종 개혁과는 별개로 모사데크 축출 이후 서구에게 정권 유지에 의존하면서 이런저런 이권을 내주고 있었고 반정부세력 탄압은 만만치 않게 이뤄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란 일부에서 나오는 팔라비 왕조 복권은 여전히 주류는커녕 소수에 불과하며 이란 내 이슬람 신정 반대자들에겐 이슬람 신정과 팔라비 왕조의 폭정은 다를 바가 없다 수준의 레토릭 정도로나 쓰일 뿐이다.[58]

게다가 거리가 너무 멀고 두 나라 사이에 여러 나라들이 있어서 상호 지상군 파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폭격전 위주로 전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정권 교체는 불가능에 가깝다. 물론 현대전에서 공군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으나, 공군만으로 상대방의 항복을 받아내거나 축출한 적은 없고 반드시 지상군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걸프 전쟁도 이라크군의 항복을 받아내기 위해서 다국적군 지상군이 이라크군과 교전했고 코소보 전쟁도 세르비아의 항전 의지를 꺾기 위해서 러시아군이 세르비아에 진주하고서야 협상을 할 수 있었다.

결국 어떤 식으로든 체제 교체를 해야 한다면 지상군을 이란에 투입해야 하는데 현 상황에서 이란에 대규모 지상 병력을 투입할 나라가 존재하지 않는다.[59] 이란도 아프간 정도는 아니어도 만만치 않게 산악지대가 많은 데다 탈레반과 달리 이란은 주요 인사들이 속속 참수작전을 당하면서도 계속 지휘 체계를 유지하며 저항 중인 거에서 보듯 조직력 차이가 크고 이란 국민들도 이슬람 정권에 대한 반감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서방에 대한 반감이 크기 때문에 현지 협력을 받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도 이스라엘이 이란의 체제 교체를 고집할 경우 이스라엘도 점점 수렁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60]

따라서 미국과 이스라엘이 진정으로 이란의 체제 전복을 기도한다면 상술한 것처럼 지상군을 투입하거나, 아예 이란을 파탄국가로 전락시킬 정도의 강력한 공격을 퍼부어야 가능성이 있지 제한된 수준의 공습으로 핵 시설과 하메네이를 제거하는 정도로는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낮다. 23일, 나토 정상회담 출국 직전의 인터뷰에서 트럼프는 이란에 대해서는 정권 교체를 원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8.1.2. 미국의 참전 이후

2025년 6월 22일, 미국이 직접 이란의 핵 시설을 B-2 폭격기와 토마호크 미사일을 동원하여 타격하면서 완전히 상황이 바뀌게 되었다. 이란의 핵시설을 확실하게 파괴할 수 있는 벙커 버스터를 비롯한 다수의 강력한 무기들을 가진 미국이 참전하면 판세가 급변할 수밖에 없다. 특히 미국은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한 국가를 무력으로 완전히 꺾은 경력이 있는 나라라 이란에겐 더욱 확실한 위협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란 정부 교체는 상당히 힘들 것으로 추정되는데 불과 몇년전에 아프간에서 실패를 맛봤던 만큼 이란에서의 정부 교체는 미국으로서도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이라크 전쟁아프간 전쟁 초기처럼 빠르게 정부만 없애는 형식을 취할 수 있다면 시도해볼만 하지만 문제는 이란 내에서 마땅한 대안 세력이 없다는 점이다. 이란의 신정은 폭압적이기는 하나 안정적이며, 이란 민주화 시위가 흐지부지된 이유도 대안 세력이 없으며 내부에 강력한 종교적 분열의 기반이 없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갑자기 이란 정부가 무너지면 중동 지역에 엄청난 혼란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61]

이러한 이유로 지상작전이나 이란의 경제 기반을 완전히 무너뜨릴 정도의 대대적인 공습 없이는 이란의 정권 교체는 현실화되기 어렵다.[62] 그런데 전자는 미국에게 있어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시즌 2가 될 가능성이 있고, 후자는 궁지에 내몰린 이란이 다른 이웃 중동국가들의 석유시설을 공격한다거나,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시도한다거나 하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만들 여지가 존재한다. 이 때문에 많은 중동 전문가들이 미국의 참전에 대해 우려스러운 반응을 보였으나, 결국 현실화되고 말았다.

게다가 현재 미국이 처한 내부적 문제도 변수인데, ICE의 이민자, 영주권자 추방 문제 등으로 인해 2025년 미국 불법체류자 단속 반대 시위를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반 트럼프 시위가 벌어지고 있으며 트럼프의 지지세력인 MAGA 내에서도 상당한 세력을 차지하는 고립주의, 반유태주의 성향의 지지자들은 이란과의 전쟁 자체를 격렬하게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사안에서 의회의 견제를 피하기 위해 트럼프 행정부는 공습 개시 전 공화당에게만 공습을 통지했고 민주당은 이에 반발하여 트럼프가 더 이상 이란과 전쟁하는 것을 막는 법안을 공화당 내 전쟁 반대론자들과 협상하여 통과시킬 것을 예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문에서 이란을 "중동의 불량배(bully)"라 칭하고, "아직 표적이 많이 남았다. 이란에는 평화가 아니면 비극이 있을 것이며 그 비극은 우리가 지난 8일간 목격한 것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말하며 추가 공격 가능성을 시사했다. #

현재 도널드 트럼프, 피트 해그세스 등 미국 수뇌부는 미국의 공격이 이란 핵시설에 대해 막대한 타격을 입히고 파괴하는 데 성공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핵시설 자체가 이런 류의 공격에도 대응하도록 설계된 데다 땅 속의 워낙 깊은 곳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항공사진이나 위성사진으로 관측하는 정도로는 실제로 어느 정도의 피해를 입었는지 알 수가 없다. IAEA는 폭격을 받은 핵시설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으며 핵물질 누출은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 이란은 미국의 핵시설 공격은 실패했다고 주장하고 있고, 미국 내 일부 관료들은 파괴는 확실하지 않으나 심각한 피해를 줬을 것이라 추정한다고 밝혔다.# 허나 미공군이 투하한 6곳 중 2곳은 원래 환기구일 수 있는 구조물이 있었던 곳이라 지하시설 공격에 훨씬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63] 이후 미국과 이스라엘이 먼저 휴전을 제안한 것을 보면 아무래도 피해가 컸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트럼프는 이란의 핵시설을 완벽하게 무력화했다고 주장했으나, CNN은 반대로 이란의 핵개발능력이 아직 건재하다는 반대되는 보도를 내놓았다. 이에 트럼프는 분노하여 거짓된 뉴스를 만들어내지 말라고 반박했다.

8.2. 이란

이스라엘의 대대적인 기습 공격에 허를 찔린 이란은 핵 프로그램을 포기할 수도, 그렇다고 강력한 보복을 계속 감행하기도 어려워 마땅히 취할 만한 선택지가 없는 사면초가 상태에 놓여 있다.

이란은 그동안 반미, 반이스라엘 노선을 통해 중동 내 '저항의 축' 맹주를 자처해왔고 이스라엘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을 감행해왔다. 그러나 현 시점에선 당장 이란이 이스라엘에게 재래식 군사력으로 대대적으로 보복하기도 힘든 상태다. 월스트리트 저널(WSJ)의 분석에 따르면, 이란의 군사력은 이미 한계에 다다른 상태다. 이란의 군사적 역량은 그동안, 특히 2020년대부터 이스라엘과의 치열한 충돌로 인해 지속적으로 약해져왔다. 2023년 10월 하마스의 기습 이후 시작된 가자지구 전쟁 와중에 이스라엘은 이란군 지도부를 12명 가까이 살해했고, 이번 공습으로 군 참모총장 등 군 수뇌부를 추가로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64]

이스라엘이 하마스 전쟁, 헤즈볼라 전쟁으로 하마스헤즈볼라 등 친이란 무장 정파에 지속적으로 타격과 전투를 가해 그 세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2024년 말 이란의 주요 동맹이었던 바트주의 시리아마저 반군의 공세로 패망하면서 저항의 축이 약화되어 중동 내 이란의 영향력이 크게 축소되었다.

실제로 공습이 4일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세력들은 거의 잠잠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외신들도 친 이란 성향이었던 대리세력들이 이란을 도와줄 여력이 지금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보았다. #

결국 이 시점에선 이란이 이스라엘에 대한 강력한 보복을 개시하는 것이 매우 힘들고 위험해졌다. 군사력과 대외적 영향력이 축소된 이란의 대규모 반격은 이란이 막기 힘든 이스라엘의 더 강력한 재보복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미국이 직접 무력 개입에 나서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이란 정권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도박이다. 그래선지 공습 4일째에 이란이 먼저 "이스라엘이 공습을 중단한다면 이쪽도 공격을 중지하겠다."라는 제안을 했다. 이는 사실상 백기투항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이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이를 거부해 이란이 핵을 포기하든 신정이 붕괴하든 계속해서 밀어붙일 것임을 시사했다. #

따라서 이번 공격으로 재래식 군사력의 한계를 절감한 지도부가 되레 핵무기 개발만이 유일한 생존 수단이라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뉴욕 타임스(NYT)는 이번 사태가 "이스라엘에 대한 최선의 억제책으로 핵무기를 개발해야 하는가"에 대한 이란 내부의 논쟁을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즉 핵 포기 및 서방과의 타협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내부 강경파의 극심한 반발을 맞이할 가능성이 다분하고 핵 포기는 그 동안의 반서방, 반이스라엘 명분을 스스로 내던지는 행위이므로 지도부가 선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란의 최고지도자(라흐바르)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의 후계 구도마저 불안정한 상황에서, 미국과 서방에 굴복하는 모양새로 핵 프로그램을 포기하거나 제한하는 합의를 맺는 것은 '외세에 대한 항복'으로 비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는 정권의 지지 기반을 뿌리부터 흔드는 자충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란이 전면전의 위험을 피하면서도 실리를 챙기는 외교적 해법을 모색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이란 지도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사우디아라비아나 다른 걸프 국가들과 접촉해 상황 관리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다. 유럽외교협의회(ECFR)의 전문가는 이란이 이스라엘에 대한 상징적인 응징 조치로 구겨진 체면을 세운 뒤, 확전을 피하는 선에서 사태를 마무리하려 할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물론 미국과의 핵 협상을 하면 강경파로부터 외세에 굴복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겠지만, 최소한 이쪽이 이스라엘에게 계속 공격당해 신정의 존속 자체가 위태로워지는 것보다는 낫다.[65]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를 두고 "하메네이에게 좋은 옵션이 없다"라고 직접적으로 지적했다. 이스라엘의 공세와 약화된 내부 역량, 그리고 국제적 고립 속에서 이란이 과연 어떤 선택을 내릴지, 그 결과가 중동 전체의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고려할 수 있는 모든 옵션이 정권을 더 큰 위험에 빠뜨릴 수 있다'는 브루킹스연구소의 지적처럼, 이란 지도부는 그야말로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이상 출처는 연합뉴스 2025년 6월 14일 기사

그나마 이란 지도부 입장에서 다행이라면 현재 이란 내부엔 이슬람 정권을 대체할만한 집단이 없다는 것이다. 기득권에 해당하는 세력은 모두 이슬람 정권의 측근이기 때문에 구태여 친위 쿠데타를 일으키거나 할 필요가 없으며, 그나마 대안이 될 팔라비 왕조는 이슬람 정권처럼 독재를 위한 탄압을 자행한 이력 때문에 지지를 받기가 힘들고, 애당초 이란 국내가 아닌 국외에 있기 때문에 이란 내부의 친 왕정파 세력이 정권을 잡은 후 복권하는 게 아니라면 외세의 손을 빌려야 하는 탓에 직접적인 대안이 되기 힘들다. 실제로 통칭 '히잡 시위'로 불리는 2022년 이란 시위에서도 결국 시위 세력을 규합할 지도 세력이 없어서 시위가 격화됐을지언정 정권 교체까지 가지는 못했으며, 현재도 이란 정권의 교체에 대해선 국내외를 막론하고 부정적인 시선이 꽤 있다. 제대로 된 후임자 없이 현 이란 정권이 붕괴되는 것은 이라크나 시리아는 저리가라 할 정도의 붕괴 후 혼란기를 촉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당장 현재 이스라엘레자 팔라비를 앞세워 자유를 위해 봉기하라고 내분을 부추기고 있지만 이스라엘의 폭격 때문에 이에 대한 반감이 더 강해 피난을 갈지언정 신정에 반대하는 시위나 소요사태는 아직 일어나지 않고 있다.[66]

실제로 이스라엘이 공격을 개시한 첫 날 하메네이를 제거하는 방안을 미국과 논의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반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명확하게 교차검증되지 않은 소식이지만 현재까지 해당 작전에서 이스라엘이 보여준 정보전 역량으로 미루어보아, 이스라엘이 원했다면 하메네이를 바로 암살할 수 있었음에도 의도를 가지고 살려두었다는 것은 어느 정도 사실로 보인다. 결국 하메네이는 공습 시작 이후 거의 일주일 동안 테헤란 북부의 지하벙커에서 나오지 못하고 아무런 성명도 발표하지 못하고 있어 이스라엘은 정권을 사실상 식물정권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알리 하메네이가 다시 모습을 드러내 항복이나 굴복이 없다는 발표를 하면서 식물정권 신세는 벗어났다.

한편 미국에서 망명생활을 하고 있는 전 팔라비 왕조의 레자 팔라비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이란 국민들에게 '신정과 결별해라. 이란은 국민의 것이고 본인도 그걸 지지한다'는 이야기와 함께 서방 정부에게 신정 체제에 또다른 생명줄을 던져주지 말 것을 강하게 요청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현재 이란의 상황은 매우 좋지 않다. 트럼프의 입에서조차 이란 신정일치 체제의 정점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를 '적어도 현시점에는 제거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언제든지 하메네이를 죽일 수 있었고 사실상 일부러 살려두고 있다는 얘기를 공표하는 상황이다. 트럼프는 이제 이란의 '무조건적인 항복(UNCONDITIONAL SURRENDER!)'을 촉구하는 상황이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전투기 등 영국의 군사 자산을 중동에 추가 배치하고 있으며#, 트럼프는 G7 회의를 조기에 끝내고 니미츠함을 중동에 파견하고 있어 조만간 미국의 군사적 개입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독일의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는 '이스라엘이 우리 대신 더러운 일을 해주고 있다.' 라고 발언했고 심지어 독일도 공습에 함께 참여하는 걸 검토중이라는 소식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이스라엘군은 공습으로 사망한 골람 알리 라시드 비상사령부 사령관의 후임 알리 샤드마니 이란 전시 참모총장도 살해했다. 군부 투톱에 이어 그 후임인 비상사령관마저 숨지면서 이란 군 수뇌부는 사실상 전멸했다. 이제는 설령 다른 장성이 사령관이 된다고 해도 전혀 안위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수도 테헤란 병원은 사상자로 마비된 상황이고 이스라엘의 공습이 이어지는 가운데 테헤란 시민들은 수도를 탈출하고 있다.# 이란 혁명이란-이라크 전쟁 이후 이렇게 이란이 궁지에 몰린 적이 여태껏 없었다.#[67]

궁지에 몰린 하메네이는 엑스(구 트위터)에 '시온주의 정권(이스라엘)은 무너질 것'이라고 외치고 있지만 이란 국영 TV는 전파 하이재킹을 당해 머리카락을 자르며 이란의 신정에 저항하는 여성들의 모습과 거리 시위를 촉구하는 영상이 자국 위성망을 통해 이란 국내에 방영되는 굴욕을 당했다.# 이란 신정이 얼마나 궁지에 몰려 있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셈.

다만 현재까지 전과에서 이스라엘의 여러 차례 공습 이유였던 핵시설의 피해는 현재까지 미미해 보이기 때문에[68] 이슬람 정권이 무너진다고 해서 이란이 핵개발 능력을 단기간에 상실하거나 할 가능성 또한 낮으며, 오히려 위에서 언급되었듯 이란이 핵개발 말고는 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확신이 나올 경우 정권이 무너진다 해도 핵합의를 포기하고 핵개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게다가 현재까지 이스라엘의 참수작전은 분명 이란의 신정 정권에는 분명 위협적이기는 하나, 이란이라는 국가 전체를 굴복시킬 정도의 위력 또한 아니기 때문에 장기전으로 갈 경우 이스라엘도 점점 불리해지기 때문이다.

이른바 “정권 교체”에 대해서, 대한민국에서 이란 관련 전문가로 활동하는 박현도SBS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하여 논평하였다. 주요 내용은 (1) 신정체제가 인기가 적다 하더라도 이란인들의 외부 세력에 대한 반감으로 정권 붕괴는 쉽지 않을 것, (2) 설령 현 정부가 붕되된다 하더라도 이란 내 아제르바이잔계나 쿠르드계가 할거하여 시리아 내전 시즌2가 벌어지게 될 것, (3) 너죽고 나죽자 식으로 친미 중동국가 내 미군기지 타격과 호르무즈 해협 봉쇄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었다. #

결국 이스라엘과 미국측에서 먼저 휴전을 제안했고, 이란이 그걸 받아들임으로서 휴전이 이루어졌다. 끝까지 결사항전하겠다고 말했으면서 적당히 미군기지만 때리고 휴전을 받아들였다는 것은 이란도 이미 한계상황이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애초에 미국이 이란 핵 시설을, 이란은 카타르의 미군 기지를 타격하며 서로 사전에 고지하는 등 이른바 마지막 자존심을 챙기기 위한 '약속 대련'을 벌인 것에서 이란은 더이상 싸울 의지가 없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여하간 전쟁이 끝난 후, 많은 사람들의 예상대로 이란은 핵무기 개발만이 유일한 생존 수단이라는 결론에 도달한 것인지, 핵무기를 반드시 만들어내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전문가들은 이스라엘이 그걸 방관하지 않을 것이며, 이란의 핵무기 개발이 무르익어가면 다시 공격해올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8.2.1.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

중동 쪽 정세가 격화될 때마다 매번 그랬듯이, 이번에도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란 국방국가안보위원회 위원장 에스마일 코사리(Esmaeil Kowsari)는 국영 방송 이란 이슬람 공화국 뉴스 네트워크를 통해 "해협을 봉쇄하는 것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한 가지 짚고 넘어갈 점은 이란의 득실과는 별개로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된다면,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은 그야말로 엄청나다. 현재 전 세계 원유 생산량의 20% 및 LNG 생산량의 20~30%가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서 수송되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해협이 봉쇄되면 국제 유가는 말 그대로 폭등하고 에너지 위기가 닥치면서 전 세계 경제가 흔들리게 된다. 심하면, 제1, 2차 오일쇼크에 버금가는 경제 위기가 닥칠 가능성도 농후하다.

JP모건에 의하면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시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130달러까지도 치솟을 수 있다고 한다. 참고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유가가 배럴당 147달러[69]였고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조금 넘겼음을 감안했을 때, 봉쇄가 실제로 일어난다면 그야말로 세계 경제가 다시 한번 뒤집힐 만한 사건이 될 것이다.#

6월 22일, 이란 의회가 미국의 참전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의결하였다. 이후 최종 결정권은 이란의 최고국가안보회의(SNSC)에 있다.#
8.2.1.1. 긍정론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여 국제 유가 상승과 경제적 부담을 유도하고, 전 세계 국가들로 하여금 이스라엘을 압박하게 하여 이란 공습을 중단하게 만든다는 주장이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에게는 봉쇄가 치명적인데,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들[70]이 모두 물가를 높이는 방향임에도 2025년 인플레이션이 높아지지 않는 것에는 저유가가 큰 부분을 차지하는데, 유가가 100~120달러를 넘어가기 시작하면 트럼프 행정부는 경제 정책 모두를 포기하거나 인플레를 감수하거나, 전쟁을 벌이거나, 결국 미국에 유리하지만은 않은 협상을 이란과 해야 하기 때문. 정책 포기와 인플레는 당연히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 뻔하며, 이란과 적절한 협상 또는 전쟁을 하는 것 또한 비용 문제와 더불어 트럼프주의의 불개입주의에 반대되는 정치적 행동이기 때문에 지지층의 분열을 일으킬 수 있다.[71]

가능성을 보자면, 이란은 현재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능력이 있다. 아무리 이란 해군의 규모가 작다고는 하지만, 비무장 상선들을 나포하거나 정선시키는 데는 무장 고속정만으로도 충분하다. 또한, 이란은 오래전부터 해협 봉쇄를 상정하고 기뢰 부설이 가능한 함정들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72] 여기에 각종 미사일, 자폭 드론, 자폭 보트, 잠수함 전력, GPS 교란까지 가세할 경우 해협을 확실하게 봉쇄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설령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물리적으로 완전히 봉쇄할 능력은 없을 지라도 봉쇄를 선언하고 몇번의 위협적인 군사행동만 취해도 실질적인 봉쇄가 가능하다. 전세계 해운사들이 한 척에 1억 달러가 넘는 초대형 유조선이 침몰할 수 있는 막대한 리스크를 우려하여 호르무즈 해협 진입을 주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당장 이란보다 역량이 훨씬 모자라는 후티가 2023년 10월부터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려는 선박들을 무차별 공격하여 촉발한 홍해 위기가 2025년 현재까지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한, 6월 22일 기준 부정론의 가장 큰 전제였던 미국의 참전이 이루어졌다. 미국이 이란 주요 핵시설에 대한 폭격을 진쟁하고 더 큰 공격을 예고한 현재 상황에서 해협 봉쇄에 무게가 점차 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중동 전문 기자로 활동하는 알파고 시나씨는 이란이 발사하는 미사일 수량과 재고에 비추어 봤을 때 현 상황을 엎을 카드가 해협 봉쇄밖에 없다면서 그 가능성을 높게 보았다. 연합뉴스tv
8.2.1.2. 부정론
만약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면 엄청난 외교적 후폭풍을 감수해야 한다. 일각에서는 이 사건 이전부터 핵개발 건으로 이란이 이미 전 세계적으로 고립된 와중에 외교를 고려할 필요가 있냐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역으로 지금 사태가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것이 바로 외교이다.

먼저, 호르무즈 해협은 미국의 참전을 촉발시킬 가능성이 높다. 현재 미국은 동맹답게 공습 방어를 돕거나 이스라엘의 자위권을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하는 등의 간접적 방식으로 이스라엘을 돕고 있지만, 이란 핵시설에 대한 직접 공습 및 참전에 대해서는 단호히 선을 그은 바 있는데, 이는 현재 미국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목표가 "이란 파괴"가 아닌, "이란 압박 및 핵협상 타결"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스라엘은 미국으로 하여금 이란을 공습해 이란의 핵개발 역량을 완전히 없애버림은 물론, 나아가 이란의 체제 교체까지 기대하며 추가 타격을 제안하였지만 미국은 거부했다. 미국 국민들 또한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것과는 별개로 미국이 새로운 전쟁에 개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대단히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73]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느닷없이 이란이 호르무즈를 봉쇄하고 유가가 올라 미국의 이익이 침해되면, 미국의 이익에 민감한 트럼프가 아예 팔을 걷어붙이고 대이란 공습에 동참하는, 이란으로서는 상상하고 싶지 않은 사태가 벌어지게 된다. 실제로 미국은 국무장관 마르코 루비오가 직접 나서서 미국의 이익이 침해되어서는 안 된다고 이미 명시했기 때문에 해협 봉쇄 시 미국의 참전은 기정사실이다.# 게다가 미국 국민들 역시 아무리 새로운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지만, 유가 폭등으로 인해 물가마저 폭등한다면 언제든지 입장을 바꿀 수 있다.

한편, 미국보다는 덜 부각되지만 중국의 영향력도 무시할 수 없다. 현재 중국은 경제제재로 인해 제대로 판매되지 않는 이란산 석유의 3/4를 수입하고 있으며 이란의 최대 수출국 역시 중국이다.# 그런데, 이와는 별개로 중국은 자국이 이용하는 석유의 약 16% 가량을 사우디아라비아로부터 수입하고 있고, 당연히 호르무즈가 해협이 봉쇄되면 이걸 제대로 가져올 수 없으니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다. 그리고, 예나 지금이나 미국 못지않게 중국은 자국의 이익 침해에 관해 대단히 민감하며 이를 좌시할 리가 없다. 즉, 이란이 해협을 봉쇄했다가는 미국은 물론이요 몇 안 되는 우호국가인 중국마저 등을 돌리는 결과를 맞이하게 된다.

호르무즈 해협은 수심이 얕아 대형 유조선이 지나갈 수 있는 항로가 제한적이어서 봉쇄 자체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74] 물론 노후화된 함선 위주로 연안해군에 불과한 전력을 가진 이란 해군이 세계 최강인 미 해군을 상대로 해협을 제대로 봉쇄하는 것은 현실성이 낮으므로, 유일하게 실현 가능한 방법은 다수의 기뢰를 살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75] 허나 문제는 이렇게 기뢰를 살포할 경우 기뢰가 아군과 적군을 가려서 터지는 것이 아니므로, 이란 역시 사실상 해상봉쇄를 당해 말라죽는 것이나 다름없는 자살행위가 된다는 점이다.

즉, 정리하자면 이란이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하면 미국의 참전을 촉발시키는 데다가, 중국의 지지마저 철회시키는 최악의 자충수가 된다. 사실 이 두 국가가 아니더라도 정말로 해협을 봉쇄하게 되면 이란은 사실상 중동으로부터 석유를 수입하는 모든 국가, 여기에 지금은 형식적으로 이란을 지지하는 수니파 걸프 왕정 국가들로부터까지[76] 고립당하게 된다.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발단: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colbgcolor=#000><colcolor=#FFF> 對이란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2024년 4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 · 2024년 4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 2024년 10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對헤즈볼라 2023년 10월 헤즈볼라 포격 · 2024년 레바논 및 시리아 무선호출기 테러 · 북쪽 화살 작전 · 2024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對후티 홍해 위기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4년 예멘 공습) · 아스피데스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0038b8>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제2차 중동전쟁
1956
제3차 중동전쟁
1967
소모전
1967 ~ 1970
1968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6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73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73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O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제4차 중동전쟁
1973
엔테베 작전
1976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공군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독일 혁명분파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
1981
레바논 내전
1975 ~ 1990
러시아-이스라엘 공중전
199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름비 작전
2006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06
과수원 작전
2007
2008-2009년 가자 전쟁
2008 ~ 2009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습
2011 ~ 현재
2012년 가자 전쟁
2012
2014년 가자 전쟁
2014
2021년 가자 전쟁
2021
2023 - 2025년 중동 위기 <colbgcolor=#0038b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 ~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4 ~
홍해 위기
2024 ~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24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2024 ~
이스라엘의 카타르 공습
2025 ~
}}}}}}}}}

{{{#!wiki style="color: #DA0000;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239F40> 1979년 아라비스탄 반란
,1979,
<colbgcolor=#f5f5f5,#191919> 파일:아라비스탄 해방 민주혁명전선 깃발.png DRFLA
이란-이라크 전쟁
,1980 ~ 1988,
파일:이라크 국기(1963-1991).svg 이라크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2,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로자바 기.svg 로자바
제2차 이라크 내전
,2013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2023년 이란-아프가니스탄 분쟁
,2023,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2024년 이란-파키스탄 분쟁
,2024,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 ~ 현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4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5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

파일:미국 국장.svg 미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건국 ~ 20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독립전쟁
,1775 ~ 1783,
<colbgcolor=#fff,#191919>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파일: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국 국기.svg 하노버 선제후령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ge_Herzogtum_Braunschweig.svg.png 브라운슈바이크 파일:이로쿼이 연맹기.png 이로쿼이
유사전쟁
,1798 ~ 180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1차 바르바리 전쟁
,1801 ~ 180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영전쟁
,1812 ~ 1815,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2차 바르바리 전쟁
,1815,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
미국-멕시코 전쟁
,1846 ~ 1848,
파일:멕시코 국기(1823-1835, 1846-1857).svg.png 멕시코
태평천국의 난
,1850 ~ 1864,
파일:태평천국 국기.svg 태평천국
제2차 아편전쟁
,1856,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남북전쟁
,1861 ~ 1865,
파일:아메리카 연합국 국기(1861-1863).svg 아메리카 연합국
시모노세키 전쟁
,1863 ~ 1864,
파일:모우리 가몬.svg 조슈 번
포르모사 원정
,1867,
파이완족
신미양요
,1871,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하와이 침공
,1893,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왕국
미국-스페인 전쟁
,1898,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스페인
미국-필리핀 전쟁
,1899 ~ 1902,
파일:필리핀 국기(1898-1901).svg 필리핀 제1공화국
의화단의 난
,1900 ~ 1901,
파일:의화단 기.svg 의화단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멕시코 국경 전쟁
,1910 ~ 1919,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니그로 반란
,1912,
파일:쿠바 국기(1902-1906).svg 쿠바 PIC
니카라과 점령
,1912 ~ 1933,
파일:니카라과 국기(1908-1971).svg 니카라과 자유주의자
아이티 점령
,1915 ~ 1934,
파일:아이티 국기(1859-1964).svg 아이티 반군
도미니카 점령
,1916 ~ 1924,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제1차 세계 대전
,1917 ~ 1918,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러시아 내전
,1918 ~ 1920,
파일: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1918–1937).svg 소비에트 러시아 파일:극동 공화국 국기.svg 극동 공화국
제2차 온두라스 내전
,1924,
파일:온두라스 국기(1898-1949).svg 온두라스군
제2차 세계 대전
,1941 ~ 1945,
태평양 전쟁
,1941 ~ 194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제2공화국
북아프리카 전역
,1940 ~ 1943,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서부전선
,1941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
추축국 석유 차단 작전
,1940 ~ 1945,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왕국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왕국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왕국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공산당기.png 그리스 공산당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1958년 레바논 위기
,195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국가 운동
피그만 침공
,1961,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베트남 전쟁
,1964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라오스 내전
,1964 ~ 1973,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도미니카 내전
,1965 ~ 1966,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헌법론자 파벌
캄보디아 내전
,1970 ~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마야게즈호 피랍사건
,1975,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민주 캄푸치아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엘살바도르 내전
,1979 ~ 1992,
파일: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기(1980-1992).svg FMLN
시드라 만 사건
,1981~1989,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그레나다 침공
,1983,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인민혁명정부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레바논 내전
,1982~1984,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헤즈볼라 당기.svg 헤즈볼라
리비아 공습
,1986,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사마귀 작전
,1988,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나마 침공
,1989,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
1989년 필리핀 쿠데타 시도
,1989,
파일:필리핀 국기.svg 반민주 필리핀 군부 세력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모가디슈 전투
,1993,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통일소말리아회의
민주주의 유지 작전
,1994 ~ 1995,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보스니아 내전
,1995,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스릅스카 공화국 국기.svg 스릅스카 공화국
무한 도달 작전
,1998,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사막의 여우 작전
,1998,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이라크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21세기 이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21,
<colbgcolor=#fff,#191919>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호라산 이슬람 국가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후세인 정권 및 저항 세력)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파일:아라르 나즈란 깃발.png 시아파 무장 세력
파키스탄 드론 공습
,2004 ~ 2018,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탈레반 정권 파일: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깃발.svg 파키스탄 탈레반
소말리아 군사 개입
,2007 ~ 현재,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알샤바브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2006년 3월 18일 조치
,2006,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제1차 이라크 내전
,2006 ~ 2008,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머스크 앨라배마호 피랍 사건
,2009,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아프간 주둔 미군-파키스탄군 교전
,2009 ~ 2012,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SY 퀘스트 피랍 사건
,2011,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니제르 군사 개입
,2013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파일:보코 하람 엠블럼.png 보코 하람
대IS 군사 개입
,2014 ~ 현재,
제2차 이라크 내전
,2014 ~ 2017,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시리아 내전
,2014 ~ 현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제2차 리비아 내전
,2015 ~ 2019,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샤리아트 공군기지 공습
,2017,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하샴 전투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2023).svg 바그너 그룹
2018년 4월 시리아 공습
,201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이브 헤즈볼라 깃발.svg 카타이브 헤즈볼라
순교자 솔레이마니 작전
,202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3년 이라크·시리아 주둔 미군기지 공격
,2023,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홍해 위기
,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3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2023,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2024년 예멘 공습
,2024 ~ 현재,
파일:최고정치위원회 엠블럼.png 최고정치위원회
친이란 민병대의 주요르단 미군기지 공격
,2024,
미상 친이란 민병대
2024년 미국의 이라크·시리아 공습
,2024 ~ 현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인민동원군기.svg 인민동원군
2025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5 ~ 현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25년 미국-베네수엘라 위기
,2025,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

[현지시간]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 13일 오전 9시경[2] 테헤란, 포르도, 이스파한, 아라크, 케르만샤, 타브리즈, 나탄즈 핵 농축시설 등.[3] 카타르 미군기지에 대한 이란의 미사일 공격, 카타르 정부는 정보를 먼저 받았으나 주권 침해라고 입장을 밝혔다.#[4] #[5] 이스라엘 총리, 군 통수권자[6] 이스라엘 국방장관[7] 이스라엘 총참모장[8] 이스라엘 공군사령관[9] 미국 대통령. 군 통수권자[10] 미국 부통령[11] 미국 국방장관[12] 미군 합동참모의장[13] 미군 공군참모총장[14] 미군 중부사령관[15] 이란 라흐바르(국가원수)이자 군 통수권자[16] 이란 대통령(정부수반)[17] 이란 국방장관[18] 이란군 총참모장[19] 이란군 총사령관[20] 혁명수비대 총사령관[21]이란군 총참모장.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으로 사망.[22]혁명수비대 총사령관.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으로 사망.[23]혁명수비대 부사령관.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으로 사망.[24] 前 이란군 전시참모총장. 골람 알리 라시드의 사망으로 취임했지만 불과 3일만에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으로 사망.[25]혁명수비대 쿠드스군 팔레스타인 군단 사령관[26]혁명수비대 바시즈 사령관[27] 헝가리 포함, 튀르키예 제외[28] #[29] 이스라엘 정부는 19일 밤새 이란의 공격으로 275명이 추가로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30] #[31] 7월 8일 이란 보건부 추산 #[32] #,#[33] #[34] # 현재 양 측간 주장이 다르기에 확실한 정보는 없다.[35] 다만 이 작전명은 히브리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과정에서 생긴 오역으로, 실제로는 '사자처럼 용맹한 민족'이 더욱 정확하다.[36] 민수기 23:24 - 보아라, 사자처럼 일어나는 백성을! 사자처럼 한번 몸을 일으키면 잡아먹지 않고는 눕지 않는구나. 잡은 짐승의 피를 다 핥지 않고는 눕지 않는구나. (공동번역 성서)[37] 하마스 인질 문제, 가자 전쟁 장기화, 하레디 문제 등등으로 국민들이 네타냐후에 대한 신임을 많이 거둔 상황이다. 문제는 네타냐후는 수많은 범죄와 비리를 저질러 이미 기소된 상황이라 권좌에서 내려오는 순간 확실하게 징역 살이를 각오해야 하는 상황이다. 그래서 어떻게든 총리직을 놓지 않으려고 하고 있으며, 심지어 2023년에는 헌법이 없는 이스라엘 법 체계의 맹점을 파고들어 대법원의 판결을 의회의 의결로 무시할 수 있도록 기본법을 개정하려는 사법 개악을 시도했을 정도이다. 이는 반발한 국민들이 일으킨 사법 개혁 반대 시위에 부딛혀 실패했다.[3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2024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홍해 위기-2025년 3월 미국의 예멘 공격으로 하마스, 헤즈볼라, 팔레스타인 이슬람 투쟁 운동,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아린 알우수드, 후티 등 친이란 반이스라엘 성향 무장 단체들 대부분이 궤멸 수준의 타격을 입었으며, 시리아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은 아예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로 축출되어 저항의 축이 사실상 붕괴되었다. 이들 중 특히 2024년 시리아아사드 정권무너진 것이 가장 결정적이었다. 스텔스 전투기가 이란까지 장거리 공습을 하기 위해서는 공중급유기가 필수인데, 시리아에 배치한 대공무기가 적대 세력에게 파괴되었기 때문에 시리아 영공을 경유한 공중 급유가 손쉽게 가능해졌다.#[39] 페르시아어로 '떠오르는 사자'라고 적혀있다.[40] 호세인 살라미.[41] 골람 알리 라시드.[42] 모하마드 바게리. 총참모장은 이란 정규군과 혁명수비대를 통합 지휘하는 직책이다.[43] #[44] 목격자들이 촬영한 영상을 보면 파타흐-1이 사용된 걸로 추정된다.[45] 증권시장이 폐쇄된 것은 아니며 정상 운영 중이다.#[46] 이 같은 검열의 이유는 이스라엘 방공망의 취약점이 대내외적으로 알려지는 것을 막기 위함으로 보인다.[47] 2024년 4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당시의 논평에서는 공격 주체를 명시하지 않고 '이란에서 발생한 폭발 사건'이라고 에둘러서 말했지만,# 이번에는 '이스라엘의 공격'이라고 언급했다. 나머지 부분은 이전의 논평과 대동소이하다.[48] 실제로 미사일 14발중 13발을 요격했고 남은 1발 마저 인명피해가 거의 없었다.[49] 이란 공습전 펜타곤의 피자 주문이 급증한 것 보면 공습 사실 자체는 알고 있었던 걸로 추정된다.#[50] 러시아와 이란은 2025년 1월 포괄적 전략 파트너십 협정을 체결했던 바 있다. 다만 러시아는 협정에 군사 협력과 관련한 조항은 없다고 주장해왔다.[51] 트럼프 대통령은 터커 칼슨의 이란침공반대 발언을 듣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누군가가 이란은 결코 핵무기를 가질 수 없다는 점을 괴짜 터커 칼슨에게 설명해 달라"고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터커 칼슨이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다"며 불쾌한 감정을 드러내기도 했다.#[52] 팔라비 왕조 역시 '사바크'와 같은 비밀 경찰들을 이용해 대대적인 탄압을 벌였던 적이 있다. 그 과정에서 여러 복합적인 이유가 더해져 이슬람 혁명으로 명명된 대규모 혁명이 터졌고, 혁명 이후 권력 공백기에 가장 세력 규합이 잘 되고 구심점이 컸던 이슬람 세력이 타 세력들을 누르고 정권을 차지했다. 문제는 이들이 이슬람 율법을 근거로 더 무자비한 탄압을 가했단 것이지만.[53] 모하마드 자히르 샤의 사례를 들어 왕정복고의 가능성이 낮다는 말도 있으나, 자히르 샤가 공적이 높았을지언정 아프가니스탄엔 이미 북부동맹이라는 대체 세력이 존재했던데다 애초에 이들을 지원해주던 미국부터가 왕정복고에 회의적인 상태였고, 자히르 샤 본인도 당시 만 87세로 지나치게 고령이었던 탓에 왕정복고의 가능성이 상당히 낮았다. 반면 레자 팔라비의 경우 이란 내에 신정 정권을 대체할 이렇다할 세력이 없고, 현재 신정 정권의 몰락을 바랄, 새 정권을 지원할 이스라엘은 팔라비 왕조의 복권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은 데다, 레자 팔라비 본인도 64세로 젊은 나이에 속하기 때문에 정말로 이슬람 신정 정권이 몰락하고 레짐 체인지가 일어난다면 뜬금없이 제 3세력이 이란 내부에서 나타나는 게 아닌 한, 팔라비 왕조 복권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54] 가면갈수록 이란의 미사일 공격의 강도가 약해지고 있는데, 이는 미사일 재고 고갈과, 아이언돔을 아예 쓰지 않기 위해 이스라엘이 부지런히 이란의 미사일 발사대를 박살내고 다녔기 때문이다.[55] 이란이 속도가 빠르고 정확도가 높은 극초음속 미사일을 동원하자 아이언 돔의 요격률이 크게 떨어졌다. 게다가 아이언 돔이 이란 측에 해킹을 당했는지 오작동을 일으켜 오히려 도심이나 관공서, 미사일 포대를 향해 떨어지는 일까지 생기고 있다.[56] 당장 친트럼프 언론인으로 분류되는 터거 칼슨이 개입을 반대하며 테드 크루즈와 논쟁한 거만 봐도 고립주의 성향이 강한 미국 보수세력에게 이스라엘-이란 분쟁에 개입하자는 이야기가 환영을 받기 힘들다.[57] 당장 이스라엘은 적은 인구와 좁은 국토 때문에 6일 전쟁처럼 단기간에 속전속결로 상대에 큰 타격을 입히는 전략을 써야 승리가 가능한데 이란은 많은 인구와 풍부한 물자를 가지고 있고 무엇보다 방공망이 완전 궤멸이 아니라 약하게나마 작동하고 있고 무엇보다 이란 최고지도자인 하메네이가 굴복하지 않겠다는 성명을 발표하며 장기전이 예약되어 있어서 더욱 그렇다.[58] 물론 팔라비 왕조가 다시 들어서서 친서방 기조를 펼친다면 경제제재도 모두 해제될 것이고 많은 서방국가들의 투자가 이루어져 이란의 전체 부는 분명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하지만 팔라비 왕조가 부패한 전제정치를 또다시 펼친다면 그 부의 대부분이 왕조와 소수 특권층에게만 돌아갈 것이고 평범한 이란 서민들에게 돌아갈 이익은 그다지 없을것이다. 나라가 아무리 부강해져도 국민들에게 그만큼의 부를 돌리지 않으면 국민들이 이득보는건 거의 없다. 이런 생각은 이란인들도 마찬가지로 하는 부분이기에 팔라비 왕조에 대한 이란인들의 지지가 신통치 않은것이다.[59] 있다고 한들 투입할 수 있는지도 의문이다. 이란 군사력의 대부분은 재래식 지상군으로 연약한 미사일 전력이나 공군 전력과 비교도 되지 않게 강력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서로가 지상군으로 충돌이 가능한 상황이었다면 지금보다 이스라엘에게 더 불리하지 유리하지는 않다. (이란 인구는 9,200만 명이고 이스라엘은 1,000만여 명 정도이다. 그리고 지하자원이 거의 없다시피한 이스라엘과는 달리 이란은 석유부터 해서 전쟁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들이 묻혀 있고 식량자급률도 사막화 때문에 이란이 문제가 많기는 하지만 이스라엘보다 높다.)[60] 이스라엘도 현재 하이파나 텔아비브 폭격 후 피해 상황에 대해 보도지침을 걸은 점에서 보듯 현재 이란의 전략폭격으로 인한 피해가 적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전쟁이 장기화될수록 이스라엘도 외부 지원이 없을 경우 전투지속력이 급감할 수 있다.[61] 그나마 이란이라는 한 종교로 통합된 거대 국가마저 무너지거나 극단적인 정부가 세워진다면 중동은 지금보다 더욱 헬게이트가 열리는 것이다.[62] 사실 이마저도 전세계 최악 수준의 파탄국가임에도 핵무장에 성공한 북한의 사례에서 보듯 상당히 희망적인 추측이며 오히려 이란이 파탄국가가 될 수록 핵무장에 더욱 집착하게 만들 가능성이 더 크다.[63] 포르도 지하 핵시설까지 이미 구멍이 뚫려있었다는 얘기이고 2011년까진 뚫려있었던 곳이다. 사실이라면 수월하게 관통됐을 여지가 높다.[64] 이후로도 제공권을 이용한 정밀한 공습은 물론이고 이란 내에서 테러를 이용한 암살을 통해서 계속해서 핵이나 군사 관련 인물이 꾸준히 제거되고 있다.[65] 역으로 이렇게 되면 미국과 이스라엘간의 갈등이 촉발될 가능성이 있다. 이란이라는 적이 필요한 네탸나후와 이스라엘은 어떤 식으로던간에 신정 붕괴시까지 공격을 이어나가고 싶어하지만, 협상가가 되고 싶어하는 트럼프와 미국은 핵 협상을 맺는 순간 이스라엘이 공격을 중단하기를 원할 것이기 때문이다.[66] 이스라엘이 이번 전쟁과 관련해 대동단결했듯 이란도 반이스라엘 정서가 확산되어 두 나라 모두 국가 구성원들이 일단 서로간의 갈등은 묻어두고 국가 대 국가 간의 대립으로 갈등이 일원화되고 있다.[67] 외교적으로 이란이 철저하게 고립되었던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에도 사담 후세인에 의해 수뇌부가 몰살당한 적은 없었다.[68] 이는 원래 핵시설이 최악의 경우 상대 핵 공격에도 버텨낼 정도로 견고하게 지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69] 국제 유가 사상 최고 기록.[70] 고관세, 관세 외에는 감세, 정부 지출 증가(BBB), 금리 하락 유도 등.[71] 이스라엘-이란 문제에 개입하는 것에 불만을 품는 MAGA 계열의 사람들(마조리 테일러 그린 등)이 벌써부터 생기고 있으며, 이들은 네오콘 뿐만 아니라 불개입주의보다 친이스라엘주의적 성향이 강한 트럼프주의자와도 갈등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72] 사실 기뢰 부설 같은 경우는 크레인을 단 상선만으로도 충분하다.[73] 애초에 트럼프가 집권할 수 있었던 것,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로 한물 간 고립주의가 다시 고개를 든 것 또한 미국인들이 이제 전쟁에는 제대로 이골이 났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이익이 침해당하지도 않았는데 무작정 새로운 전쟁에 개입하는 것은 트럼프로서도, 미국으로서도 사실상 고려 가능한 선택지가 아니다.[74] 호르무즈 해협 문서를 읽어보면 알 수 있겠지만, 대형 유조선들이 통행하는 항로는 오만 영해가 아닌 이란 영해이다. 그래서 이란이 툭하면 호르무즈 해협 봉쇄를 위협하는 것.[75] 이란은 해협 봉쇄에 충분한 양의 기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6] 사실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걸프 왕정 국가들은 이슬람이지만, 친서방적 성향도 띄고 있고 무엇보다 시아파 이슬람 우세인 이란과는 이를 가는 수니파 이슬람 국가이다. 다수의 중동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싫어하지만, 그렇다고 이란과도 결코 원만한 관계라고 하기는 어렵다. 거기다 이란은 신정국가고 수니파 국가들은 왕정국가라는 점도 이란과 결코 친밀해질 수 없는 상황이다.[77] 원래부터 정보기관 중에서도 유능하기로 유명했고 특히 중동에 한해서는 미국 CIA를 능가하는 정보력, 비밀 작전 능력을 자랑한다. 이스라엘 주변의 이란, 시리아, 여타 중동 국가들 등 적대국가 고위 관료직에도 이스라엘 모사드 비밀 요원을 몰래 심어놓는 등 스파이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당장 작년에 발생한 헤즈볼라 수장인 하산 나스랄라의 사망 사건에도 모사드가 크게 관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