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4:35:02

다비즈 슬링

세계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77,#33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천궁 / 천궁-Ⅱ / L-SAM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나이키 / 호크 / 로워 / 패트리어트 / THAAD / GBI / 이지스 어쇼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S-25 / S-75 / 2K12 쿠프 / S-125 / 9K37 부크 / S-200 / S-300 / S-350 / S-400 / S-500 / A-135 / A-235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HQ-9 / HQ-12 / HQ-16 / HQ-22 / HQ-19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블러드하운드
SAMP/T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MEADS / IRIS-T (SLM/SLX)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03식 中SAM / N-SAM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애로우 / 다비즈 슬링 / SPYDER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톈궁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탈라스 대공방어시스템 / 바바르-373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아카시 / 바락 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시페르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번개 미사일(번개-5(KN-06) ) / 별찌 미사일(별찌-1-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움콘토-LR }}}}}}}}}

קלע דוד
David's Sling
파일:David-Sling-0001.jpg
제원[1]
<colbgcolor=#c1c1c1><colcolor=black> 분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제조사 Rafael Advanced Defense Systems
Raytheon
운용
[[이스라엘|]][[틀:국기|]][[틀:국기|]]

[[핀란드|]][[틀:국기|]][[틀:국기|]]
전장
직경
중량
속력 마하 7.5
탄두
추진체 2단 고체 로켓
지상 레이더 Elta EL/M-2084 AESA
주파수 S-band
유도 Ka-band AESA 레이더 + CCD/IIR 센서
사거리 40 ~ 300 km
최대 상승 고도
요격방식 HTK[2]
탄도탄 대응거리
탄도탄 요격고도 15 km

1. 개요2. 상세3. 파생형
3.1. 공대공
4. 실전5. 운용국
5.1. 이스라엘5.2. 핀란드
6. 수출 시도
6.1. 미국
7. 수출 무산8. 기타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스라엘의 중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명칭의 뜻은 '다윗의 돌팔매'로, 구약 성서에 나오는 다윗과 골리앗의 일화에서 따왔다. 미국명은 스터너(Stunner)이다.

2009년부터 이스라엘 방산 기업인 라파엘과 미국의 레이시온이 공동개발을 시작, 2012년 첫 시험발사에 성공한 후 2017년 개발이 완료되어 이스라엘 공군에 배치되고 있다.

2. 상세

파일:davids-sling-3.jpg
다비즈 슬링 미사일
다비즈 슬링은 아이언돔-애로우-2/3로 이루어진 이스라엘의 다층 방공 체계에서 단거리-장거리 사이의 간극을 메꾸기 위해 개발되었다. 미사일은 단분리 부스터를 탑재하여 최대 300km의 사정거리를 가지며, 단거리 탄도탄 요격도 가능하다. 시커로는 밀리미터파(Ka 밴드) AESA 레이더 + CCD/IIR 이중 전자 광학 복합 센서가 미사일 끝단에 통합되어 끝부분이 돌고래 코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다. 또한 3방향 데이터 링크가 탑재되어 실시간으로 자동 혹은 수동으로 목표를 재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사대는 1개당 12연장으로 상당히 많은 미사일을 탑재, 발사할 수 있다.
파일:1385090807_p1346695.jpg
다비즈 슬링 포대 구성
사격 통제 레이더는 아이언돔에도 쓰이는 EL/M 2084 다기능 S밴드 AESA 레이더로 이 레이더와 함께 아이언돔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운영될 수 있다.

3. 파생형

3.1. 공대공

부스터가 생략된 미사일이 이스라엘 공군의 F-16I SUFA에 탑재, 시험되는 장면이 2017년경에 포착되었으나 오늘날 실제로 배치되었는지 여부는 미지수이다.#

4. 실전

2018년 7월, 다비즈 슬링은 시리아에서 발사된 OTR-21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성공적으로 요격하면서 처음으로 실전에 데뷔했다.

2023년 5월, 가자에서 발사된 단거리 로켓 Badr-3를 요격했다.

10월,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하마스 측이 예루살렘을 노리고 발사한 Ayyash-250 장거리 로켓을 요격했다.

1년 후, 하마스 수장 이스마일 하니예, 헤즈볼라 수장 하산 나스랄라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이스라엘 전역을 노리고 실행된 2024년 10월 이란의 이스라엘 미사일 공격에서 이란의 탄도탄 여러 발을 격추시켰다.#

5. 운용국

5.1. 이스라엘

파일:1-216.jpg
이스라엘 공군 소속 다비즈 슬링
개발국. 기존 노후화된 패트리어트 미사일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스라엘 공군의 다층 방공망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5.2. 핀란드

첫 해외 수출국. 핀란드의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 도입 사업에서 선정되었다. 이후 2023년 4월, 핀란드가 1개 포대를 구매했다.

6. 수출 시도

6.1. 미국

이스라엘은 레이시온과 함께 미국에게 차세대 패트리어트 미사일로 다비즈 슬링을 PAAC-4에 통합할 것을 강력하게 제안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도입 움직임은 아직 없다. 일단 이스라엘 업체들은 레이시온과 함께 스카이셉터(SkyCeptor)라는 명칭으로 2026년에 첫 테스트를 목표로 미국형 다비즈 슬링을 제작하고 있다.

7. 수출 무산

폴란드의 차세대 지대공 미사일 도입 사업에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PAC-3 MSE에 밀려 무산되었다.

8. 기타

2018년 7월 경, 러시아시리아 영토에 멀쩡하게 낙하한 다비즈 슬링 미사일 1발을 노획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시리아에서 발사된 미사일 요격에 2발이 쏘아올려졌는데, 첫 발이 요격에 성공한 이후 2번째 탄에 자폭 시그널을 보냈으나 고장인지 그냥 그대로 추락했다는 것.# 하지만 첫 보도원이 중국 관영언론인 신화통신이고 이외에 추가적인 레퍼런스나 확인처가 없기 때문에 가짜 뉴스일 가능성이 높다.

파일:북한 판치르.jpg

북한이 2021년 9월 30일 시험발사한 번개-7의 형상이 다비즈 슬링을 빼닮아 서구권 언론에서는 큰 놀라움을 표시하고 있다. #

파일:번개7호.jpg

10월 11일 열린 북한 무기전시회에서 미사일이 공개되었는데 형상이 시커부위를 제외하면 거의 동일하였고, 이스라엘 스파이크 대전차 미사일과 거의 똑같은 신형 대전차미사일도 공개되는 등 이스라엘 무기기술 정보가 북한으로 대량 흘러들어간 것이 거의 확실해졌다는 일부 밀덕들의 뇌피셜이 있으나 현실과 거리가 먼 얘기며 이스라엘과 미국 대전차 미사일을 추종하는 중국 기술이 일부 북한으로 유입된 열화판일 가능성이 훨씬 높다. 실제로 이란의 경우 중국제 센서와 이란 자체적으로 모방 제조한 러시아와 서방 무기 부품을 결합한 미사일을 다수 제조한다.

북한과 적대관계인 이스라엘이 직접 기술을 건네줬을 가능성은 거의 없고 정황상 이스라엘과 거래한 중국을 통해 흘러갔을 가능성, 혹은 시리아가 습득한 이스라엘제 무기가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는 썰이 있으나 # 이는 형상 때문에 일어난 흔한 한국 인터넷식 논란이며 공부 안하는 국방TV 고인물 패널의 인터넷 카더라를 팩트처럼 거론한 무지한 발언이 이런 인식에 한몫했다. 중국은 과거 냉전시대 소련처럼 형상으로 부터 유추한 수렴개발에 익숙하고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에 두터운 부스터를 붙이는 방식은 냉전기 미해군 시절부터 있어왔고 현대적인 미사일 중 이미 유로샘 아스터가 다비즈슬링보다 먼저 전력화 했다.

중국은 이스라엘과 미국의 대전차 미사일 포트폴리오를 흉내낸 자체 개발 미사일들이 많아 이러한 중국 자체 개발 기술 일부의 제공 가능성이 있는 정도다. 실제로 미검증 보도에서 추락한 다비즈 슬링 체계의 스터너 미사일을 습득해간 지목된 국가조차 중국이 아닌 러시아다.

9. 둘러보기

파일:핀란드 국기.svg 현대 핀란드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핀란드 방위군 (1945~현재)
Puolustusvoimat | Försvarsmakten
<colbgcolor=#FFF><colcolor=#002F6C><colbgcolor=#FFF><colcolor=#002F6C>102 RsLPstOhj NLAW | PstOhj 2000(M) | PstOhj 83(MR/MA/MB) | PstOhj 82MR | PstOhj 82R
탑재형
기갑차량
빅커스 비질런트R
공대지
고정익기
AS.11R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BONUS 155 (155mm, K-9 FIN)
공대지 (ALCM)
AGM-158A JASSM
함대함
{가브리엘 V} | RBS 15 Mk.(2/3) | P-15UR
지대함
RO 06 | MTO 85(M) | MTO 66R | RO 63R
'''[[어뢰|
어뢰
]]'''
경어뢰
{Tp 47 SLWT} | Tp 45
보병
ItO 15 | ItO 05M | ItO 86(M)R | ItO 78R
차량
ItO 05 (유니목 ASRAD)
단거리
XA-181 ItO 90M
중거리
ItO 12 NASAMS 2 | ItO 96R | ItO 79R
장거리
{다비즈 슬링}
'''
개함방공
'''
{RIM-162C ESSM 블록 2} | 움콘토-IR Mk.2
단거리
AIM-9(M/X) 사이드와인더 | AIM-9(B/P-2)R | AIM-4(F/G) 팰콘R | R-60R | R-13MR | R-3SR
'''
중장거리
'''
AIM-120(B/C-7) AMRAAM
유도폭탄 AGM-154C JSOW | GBU-(32/38) JDAM
※ 윗첨자R: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및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이스라엘은 David's Sling의 제원을 공식적으로 공개한 바 없다. 그러므로 미국의 국방, 외교 부문 씽크탱크인 국제 전략 연구 센터가 공개한 비공식 제원을 출처로 한다.#[2] Hit-to Kill, 직격 파괴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