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6 01:37:30

2024년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2020년대 이스라엘-시아파갈등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발단: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colbgcolor=#009000><colcolor=#FFF> 對이란 이스라엘의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 2024년 10월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
對헤즈볼라 2023년 10월 헤즈볼라 포격 · 2024년 레바논 및 시리아 무선호출기 테러 · 북쪽 화살 작전 · 2024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對후티 홍해 위기 · 머스크 항저우호 공격 사건 · 번영의 수호자 작전 (2024년 예멘 공습) · 아스피데스 작전 · 2024년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 ||

{{{#!wiki style="color: #0038b8;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0038b8> 제1차 중동전쟁
1948 ~ 1949

제2차 중동전쟁
1956
제3차 중동전쟁
1967
소모전
1967 ~ 1970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O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968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68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73년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습
1973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O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제4차 중동전쟁
1973
엔테베 작전
1976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공군
파일: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jpg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독일 혁명분파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
1981
레바논 내전
1975 ~ 1990
러시아-이스라엘 공중전
1996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름비 작전
2006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06
과수원 작전
2007
2008-2009년 가자 전쟁
2008 ~ 2009
시리아 내전
2011 ~ 현재
2012년 가자 전쟁
2012
2014년 가자 전쟁
2014
2021년 가자 전쟁
2021
2023 - 2025년 중동 위기 <colbgcolor=#0038b8>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3 ~
이스라엘-이란 분쟁
2024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2024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2024 ~
}}}}}}}}}
2024년 이스라엘의 예멘 공습‎
파일:GS8MyHOW8AEPV4n.jpg
날짜
2024년 7월 20일 오후 5시경[현지시각], 9월 29일[현지시각]
장소

[[예멘|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호데이다, 라스이사
공격 주체 공격 대상
이스라엘군 후티 반군
공격 수단
F-35 최소 12기, F-16 최소 7기
원인
19일 발생한 후티텔아비브 드론 공격에 대한 보복
교전국 및 교전세력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파일:후티 상징.svg 후티반군
지휘관

[[이스라엘|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베냐민 네타냐후
파일:후티 상징.svg 압둘 말리크 알후티

1. 개요2. 1차 공습
2.1. 반응
3. 2차 공습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이스라엘2024년 7월 20일9월 29일 두 차례에 걸쳐 예멘에 위치한 후티 반군 주둔 도시인 호데이다공습한 사건.

2. 1차 공습

2024년 7월 20일 오후 5시경[3], 이스라엘예멘후티 반군이 장악하고 있는 도시 호데이다를 공습했다.# 이로 인해 후티 측에서는 3명이 죽고 87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에 앞서 7월 19일, 후티텔아비브를 향한 드론 공격으로 1명이 죽고 4명이 다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보복으로 이스라엘 측은 F-35 편대와 F-16 편대를 동원하여 호데이다의 항구, 유류저장소, 공항, 발전소 등을 공격하였다. #

공습 당일 호데이다 항구에는 유조선 3척 정도가 정박하고 있었다. 이번 공습으로 인해 해당 유조선도 피해를 입었으며, 대형 폭발로 인해 홍해로 다량의 기름이 유출되었다고 한다. 또한 호데이다의 발전소도 함께 타격을 입어 호데이다와 근처 지역이 모두 정전되었다고 한다.

2.1. 반응

2.1.1. 후티

이 공습으로 인해 80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2.1.2. 이스라엘

이스라엘군 측은 예멘 호데이다의 원유시설은 합법적인 목표물이며, 다시 한번 이스라엘을 공격할 시 합당한 대응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2.1.3. 미국

미군의 고위 관계자는 이스라엘의 공격을 확인했다.

2.1.4.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 측에서는 인근 국가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해 당연히 부정하지만 이스라엘에게 영공을 개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5]

3. 2차 공습

2024년 9월 29일, 이스라엘은 전투기 및 공중급유기 수십 대를 이용해 후티 반군이 장악한 예멘 항구 도시 라스이사와 호데이다를 공습했다. 이로 인해 후티 측에서는 4명이 죽고 4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

후티 반군이 장악한 지역을 이스라엘이 직접 때린 것은 7월 이후 두 번째다. 후티 반군은 9월 들어 이스라엘 본토를 세 번 탄도미사일로 타격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1959a6> 파일:1000005709.svg 베냐민 네타냐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959a6><colcolor=#fff>생애<colbgcolor=#fff,#1f2023>생애 · 네타냐후 내각(27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37대)
평가 평가
가족 요나탄 네타냐후
이념 시오니즘
소속 리쿠드
사건사고 가자 전쟁,2012년 · 2014년 · 2021년, · 시리아 공습 · 2021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위기 · 이스라엘 사법개혁 반대 시위 · 2023년 알아크사 분쟁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2024년 이스라엘-이란 분쟁 (주시리아 이란영사관 공습 · 이란 공습,4월 · 10월,) ·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 사건 · 예멘 공습 · 레바논 무전호출기 테러 · 레바논 공습 · 3차 레바논 전쟁 · 시리아 침공
역대 선거 제24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 제25대 이스라엘 크네세트 선거
관련 정치인 나프탈리 베네트 · 야이르 라피드 · 마흐무드 압바스 · 이스마일 하니예 · 야히야 신와르 · 하산 나스랄라 · 알리 하메네이 · 조 바이든 · 도널드 트럼프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현지시각] [현지시각] [3] 한국 시간으로는 20일 오후 23시경[4]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사우디 영공을 거치지 않으면 절대로 예멘까지 못 간다는 걸 알 수 있다.[5] 사우디는 이스라엘과의 외교관계 개선 당시 이스라엘 항공사의 이스라엘-인도간의 직항이란 명목으로 이스라엘 항공기의 자국 영공을 개방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