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20:57:39

EC-121 격추 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북미관계 관련 문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북미 제네바 합의 · 북미 코뮤니케 · 북미회담(2018년 북미정상회담 · 2019년 북미정상회담 · 2019년 남북미정상회동)
사건사고 대북제재· 6.25 전쟁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 EC-121 격추 사건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오남철 사건 · 2000년 프랑크푸르트 공항 사건 · 헨더슨 소령 사건 · 오토 웜비어
외교 북미관계
기타 한미연합군 vs 북중연합군 · 미군 vs 북한군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2024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파일:attachment/Lockheed_EC-121M_with_F-4B.jpg
[1]
Lockheed EC-121M 'Warning Star'의 모습.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발생일 1969년 4월 15일
유형 공중 격추
발생 위치 동해
기종 록히드 EC-121M
탑승인원 승무원: 31명
사망자 탑승객 31명 전원 사망

1. 개요2. 사건 전개3. 격추 이후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1969년 4월 15일 오후 3시 55분, 일본 아츠기 주일미군미 해군항공기지에서 이륙한 해군 전자정찰기 EC-121가 조선인민군 공군 근위 제 1항공사단 소속의 MiG-21 전투기에 의해 동해상에서 격추되었다. 위치는 청진시 남동쪽 150km 해상이었다. 이로 인해 승무원 31명 전원이 사망했다. EC-121은 록히드 컨스텔레이션 시리즈 여객기에 레이더를 장착한 정찰기이다. 관련 기사 미국에서는 MIG-17에 의한 격추로 보고 있다.

Warning Star라는 닉네임을 가진 EC-121은 사고 당일 오전 7시에 소련(블라디보스토크의 극동군) 및 북한 정찰 임무를 띠고 아츠기 미 해군기지에서 이륙한 지 7시간 뒤 사고 해역에서 사라진다.

2. 사건 전개

1968년 푸에블로 함 피랍사건 이후 자신감을 가진 북한은 정기적으로 북한 영공에 접근해 정보를 수집해 가는 미 해군 정찰기 EC-121을 격추하는 대담한 작전을 계획했다. EC-121은 프로펠러 비행기로 속도는 느리지만 당시로서는 최고 성능의 레이더전자 장비를 갖추었기 때문에 이를 활용해서 북한 전투기가 뜨면 먼저 발견하고 멀리 달아나곤 했다.

일본 아츠기 해군기지에서 발진한 EC-121기는 동해를 통해 소련 해군 태평양 함대소련 공군극동 공군이 포진한 블라디보스토크를 정찰하고 이어 북한 쪽을 훑으며 남쪽으로 내려오곤 했다. 이 비행기를 노린 것은 북한 공군의 김책공군대학 학장 김기옥 소장이었다.[2]

어랑비행장은 김책공군대학이 관할하는 공항으로, 이곳에는 속도가 느린 MiG-15기밖에 없었다. 그래서 김기옥은 평남 북창비행장에 주둔한 22연대의 MiG-21기 두 대를 어랑비행장으로 옮기게 했다. 하지만 MiG-21기가 자력으로 어랑비행장으로 날아오면 미 해군 정찰장비가 그 사실을 포착하고 경계하게 되므로, MiG-21기를 분해해 야간 열차에 싣고 비밀리에 어랑비행장으로 옮겼다. 그리고 어랑비행장에 대형 텐트를 쳐 미군 정찰장비의 첩보를 차단한 후, MiG-21기를 재조립했다. 그리고는 김일성의 생일인 4월 15일을 기약하며 1주일 남짓 EC-121이 날아오기를 기다렸다.
1969년 4월 15일 북한 공군 레이더는 EC-121이 예상한 항로로 날아온 것을 포착했다. 김기옥은 즉시 두 대의 MiG-21기를 이륙시켜 바다에 바짝 붙어 날아가는 초저공 비행으로 EC-121의 예상 진행 항로 쪽으로 날아가게 했다. 이때 단거리 로켓추진장치로 이륙을 더 빠르게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물론 EC-121의 레이더는 어랑비행장을 이륙한 두 대의 비행기를 발견했을 테지만, 이 당시에는 아무리 우수한 레이더일지라도 이 항공기가 MiG-21인지 MiG-15인지 구분할 수 없었고, EC-121 승무원들은 평소와 마찬가지로 아음속 전투기인 MiG-15라 생각하여 별 대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MiG-21의 경우에는 마하 2까지 가속된다.) 다만 이 안이한 대처는 소련 영공에서 벗어났다는 방심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 전까지는 블라디보스토크 공군 기지 쪽에서 뭔가 날아올랐다 싶으면 뭐가 됐든 그 즉시 정찰을 포기하고 기수를 돌렸었는데, 북한 쪽의 기체 발진에 대해서는 별다른 회피기동을 하지 않았다.

MiG-21 2기는 초저공으로 바다에 붙어 EC-121 진행 항로로 접근하다가 갑자기 치솟아 올라 EC-121 쪽으로 돌진했다. 먼저 MiG-21 제1번기가 열추적 미사일 K-13을 발사했다. 열추적 미사일은 열이 많이 나오는 제트기를 쫓는 데는 탁월하지만 EC-121 같이 열이 적게 나오는 프로펠러기는 놓칠 수도 있다. 하지만 거리가 가깝다면 사정이 달라진다.

당시 북한의 조종사들은 안 되면 몸으로도 때우겠다는 심정으로 미사일이 맞지 않으면 공중 충돌을 해서라도 EC-121을 격추할 것을 결의했다고 한다. 1번기가 최근거리에서 미사일을 발사하자, 이어 2번기 조종사인 현기수 대위가 K13을 발사하였고, EC-121은 시커먼 연기를 뿜으며 동해로 추락했다. 이로 인해 EC-121 승무원 31명은 전원 사망했다.

3. 격추 이후

미국은 강경하게 대응하여,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USS 엔터프라이즈를 비롯하여 4척의 항모와 USS 뉴저지, 순양함 3척과 구축함 15척, 호위함 1척으로 구성된 71기동전대를 동해에 배치하여 원산항 앞바다에서 무력시위에 나섰다. 판문점에서는 공산측의 요청으로 290차 군사정전위가 긴박하고 살벌한 분위기 속에서 열렸다. 이 당시 닉슨 행정부는 필요시, 북한 본토에 전술 핵무기 투하를 검토하기도 했다. 당시만 해도 주일, 주한미군 부대에는 전술핵이 배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핵보복을 비롯한 미국의 응징조치는 실행에 옮겨지지는 않았다.

격추 작전에 동원된 북한 공군 제1항공사단은 이 사건으로 '근위' 칭호를 수여받아 근위대로 승격되었으며, 1항공사단 소속 MiG-21 2대는 이 공로로 '415 전투기' 라는 이름을 부여받게 되었다. 이를 조종했던 32세의 비행사 현기수는 공화국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나중에 현기수영웅 편대가 편제된다.

미군은 추락 장소로 추정되는 해역을 수색하였고 격추 다음날인 16일 기체의 잔해를 발견하였으며, 17일에는 승무원 2명의 시신을 수습했다. 나머지 29명은 찾지 못하고 수색을 종료했다.

4. 관련 문서



[1] 옆에서 호위 하는 전투기는 F-4B다.[2] 김기옥은 6.25 전쟁 당시 북한 공군 56전투기연대중대장연대장을 역임하며 2차대전 때 에이스로 명성을 떨쳤던 미 공군 에이스 토마스 젤레스F-86 세이버 전투기를 격추한 조종사로 북한에서 명성이 높았다. 북한측의 주장에 따르면 6.25 당시 토마스 젤레스는 평남 개천비행장 상공에 매복해, 개천비행장에서 어떠한 항공기도 이륙하지 못하게 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그런데도 김기옥은 MiG-15를 몰고 과감히 이륙해 토마스 젤레스의 F-86을 격추해버렸다는 것이다. 다만 이는 북한측의 주장이고 미국측 기록에서는 이를 확인할 수 없다. 그 외에도 북한은 김기옥이 11대 이상의 격추기록이 있다고 주장하나 확인된 전과는 L-4 연락기 1대를 포함하여 3대 이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