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03 11:28:20

판문점 총격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대내외 전쟁 · 전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독도대첩
,1954,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라오스 내전
,1965 ~ 1973,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테트라오
캄보디아 내전
,1965 ~ 1973,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크메르 루주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
파일:시리아 임시정부 깃발.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판문점 총격사건
Soviet Defector incident
Инцидент с пробегом Василия Матузка
날짜 <colbgcolor=#fff,#191919>1984년 11월 23일
장소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원인 한 소련인의 월남 시도
교전국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병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
파일:JSA Insignia.png JSA 경비대대
5분대기조 35명
파일:유엔군사령부 휘장.svg 유엔군사령부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 17명
피해 규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
1명 전사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1명 부상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
3명 전사
5명 부상
결과
소련인 망명 성공

1. 개요2. 전개3. 결과

[clearfix]

1. 개요

1984년 11월 2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벌어진 소련의 관광 유학생인 바실리 마투조크(Василий Яковлевич Матузок / Vasily Yakovlevich Matuzok[1])가 갑작스럽게 군사분계선을 넘고 월남을 시도하자 북한군한국군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진 사건.

2. 전개

1984년 11월 23일 11시 30분경 당시 소련의 유학생인 바실리 마투조크가 갑자기 월남을 시도하자 북한군은 월남을 제지하기 위해 총격을 하면서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으로 침입했다.

이에 한국군은 망명인을 대피시키고 북한군과 총격전을 벌였다. 갑작스러운 총격전에 합류한 미군5분대기조가 출동했다. 이때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의 주범인 박철 중위도 총격전 현장에 참여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사건 이후로 보이지 않아 미군에게 사살당한 것으로 추측된다.[2] 이미 남쪽으로 내려온 북한군들은 다시 북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에서 나무에 몸을 숨겨 한국군과 교전을 벌였다.

20여 분간 총격전이 계속됐고 5분대기조까지 출동한 상황에서 총격전이 심화되자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장교가 급히 사격 중지! 사격 중지!를 외치며 총격전이 잠시 멈추자 북한군은 부상자와 사망자를 수습해 돌아가겠다며 교전 중단을 청했고 유엔 측이 받아들이자 북한군들은 사상자들을 끌고 다시 돌아갔다.

3. 결과

바실리 마투조크는 미국으로의 망명이 결정되면서 성공했다는 생각에 안도하였지만, 이후에 그는 자신의 망명으로 인해 한국군 1명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죄책감에 씁쓸한 표정을 지으면서 자신의 선택에 후회한다고 했다. 총격사건 이후 판문점

총격전 과정에서 북한군은 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하지만 우리군 장명기 일병이 언덕에서 엄호 사격 도중 북한군 초소에서 날아온 총알을 맞고 전사했다. 또 북한군과 총격전을 벌이던 미군 중 한명인 버고인 일병(Michael A. Burgoyne)이 부상을 입었다. 퍼플하트를 수여받는 버고인 일병

북한군의 전사자 3명 중에는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의 원흉 중 하나인 박철[3]이 포함된 것으로 훗날 밝혀졌다.
[1] 누군가 실수로 잘못써서 'Matusak'라고 나온 적이 있다.[2] 박철 중위는 미군 장교 2명을 죽인 경험이 있어 그동안 분노를 품고있던 미군이 박철 중위에게 집중 사격을 가했다고 한다.[3] 본명은 홍성문.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후 처벌 대신 오히려 공화국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이후에도 판문점에서 복무하며 기행을 일삼다가 결국 총격사건에서 전사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