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주요 7개국 정상회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프랑스| 1975 랑부이예 | [[미국| 1976 산후안 | [[영국| 1977 런던 | [[서독| 1978 본 | [[일본| 1979 도쿄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이탈리아| 1980 베네치아 | [[캐나다| 1981 오타와 | [[프랑스| 1982 베르사유 | [[미국| 1983 윌리엄스버그 | [[영국| 1984 런던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서독| 1985 본 | [[일본| 1986 도쿄 | [[이탈리아| 1987 베네치아 | [[캐나다| 1988 토론토 | [[프랑스| 1989 파리 |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
[[미국| 1990 휴스턴 | [[영국| 1991 런던 | [[독일| 1992 뮌헨 | [[일본| 1993 도쿄 | [[이탈리아| 1994 나폴리 |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
[[캐나다| 1995 핼리팩스 | [[프랑스| 1996 리옹 | [[미국| 1997 덴버 | [[영국| 1998 버밍엄 | [[독일| 1999 쾰른 |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
[[일본| 2000 규슈-오키나와 | [[이탈리아| 2001 제노바 | [[캐나다| 2002 카나나스키스 | [[프랑스| 2003 에비앙 | [[미국| 2004 시 아일랜드 |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
[[영국| 2005 글레니글스 | [[러시아| 2006 상트페테르부르크 | [[독일| 2007 하일리겐담 | [[일본| 2009 토야코 | [[이탈리아| 2009 라퀼라 |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
[[캐나다| 2010 무스코카 | [[프랑스| 2011 도빌 | [[미국| 2012 캠프 데이비드 | [[영국| 2013 로크 에른 | [[유럽연합| 2014 브뤼셀(변경) |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
[[독일| 2015 슐로스 엘마우 | [[일본| 2016 이세-시마 | [[이탈리아| 2017 타오르미나 | [[캐나다| 2018 샤를부아 | [[프랑스| 2019 비아리츠 | |
46회 | 47회 | 48회 | 49회 | 50회 | |
[[영국| 2021 콘월 | [[독일| 2022 슐로스 엘마우 | [[일본| 2023 히로시마 | [[이탈리아| 2024 보르고 에냐치아 | ||
51회 | 52회 | 53회 | 54회 | 55회 | |
[[캐나다| 2025 카나나스키스 | [[프랑스| 2026 에비앙 | [[미국| 2027 미정 | [[영국| 2028 미정 | [[독일| 2029 미정 | |
■ G6 시기 ■ G8 시기 (변경)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인해 소치에서 브뤼셀로 변경 |
제51회 주요국 정상회의 | |
<colbgcolor=#7B9F41><colcolor=#fff,#fff><colkeepall> 2025년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 G7 2025 KANANASKIS | |
<nopad> | |
일시 | 2025년 6월 15일 ~ 6월 17일 (MST) |
장소 |
앨버타 카나나스키스 카나나스키스 빌리지 |
주최 |
|
회원국 정상 |
캐나다 총리 마크 카니 |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 | |
독일 총리 프리드리히 메르츠 | |
이탈리아 총리 조르자 멜로니 | |
일본 총리 이시바 시게루 | |
영국 총리 키어 스타머 | |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 |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안토니우 코스타 | |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 |
초청국 정상 |
호주 총리 앤서니 앨버니지[A] |
브라질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A] | |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A] | |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A] | |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시릴 라마포사[A] | |
대한민국 대통령 이재명[A] | |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A] | |
링크 |
1. 개요
제51회 G7 정상회의는 2025년 6월 15~17일에 캐나다 앨버타주 카나나스키스개선지구[8] 카나나스키스 빌리지에서 개최되는 G7 정상회의이다. 카나나스키스는 제28회 G8[9] 정상회의(2002)에 이어 다시 개최지가 되었다.G7 회원국 및 유럽연합에 더해, 초청 7개국(호주, 브라질, 인도, 멕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한민국(이상 G20 회원국), 우크라이나), 3개 국제기구(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유엔, 세계은행)가 참석한 회의다.[A]
당초 인도네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도 초청을 받았지만, 인도네시아는 대통령의 싱가포르 및 러시아 순방 일정과 겹쳐서, 사우디아라비아는 왕세자의 연례 이슬람 성지순례(하지) 감독 임무 때문에 불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a #1b #2a #2b
또한 아랍에미리트(UAE) 대통령도 초청받았으나,# 두바이에서 국가의 주요 우선순위와 경제 발전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가 개최되는 관계로 불참하였다. 이 회의에 대통령[11]과 부통령 겸 총리[12]가 모두 참석하였다.#
2. 로고
<nopad> |
<nopad> |
3. 의제
Priorities for Canada's G7 Presidency- 지역사회와 세계 보호: 평화와 안보를 증진하고 외국의 간섭과 국제 범죄에 대응하며 이주를 촉진하는 글로벌 압력에 대처하고 산불에 대한 글로벌 대응을 개선하기 위한 지도자들의 노력을 촉구한다.
- 에너지 안보 구축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중요한 광물 공급망 강화와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인공지능 및 양자역학 사용과 관련된 협력이 포함된다.
- 미래의 파트너십 확보: 상호 존중을 기반으로 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인프라 구축과 고임금 일자리 창출을 위한 민간 투자 유치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4. 참가자
4.1. 회원국 대표
2025년 G7 정상회의 회원국 대표 | |||
<rowcolor=#fff> 국가 | 대표 | 비고 | |
캐나다 | | 마크 카니 | 주최국 정상 |
프랑스 | | 에마뉘엘 마크롱 | |
독일 | | 프리드리히 메르츠 | |
이탈리아 | | 조르자 멜로니 | |
일본 | | 이시바 시게루 | |
영국 | | 키어 스타머 | |
미국 | | 도널드 트럼프 | [13] |
유럽연합 (비공식) | | 상임의장 | |
| 집행위원장 |
4.2. 초청국 대표
2025년 G7 정상회의 초청국 대표 | |||
<rowcolor=#fff> 국가 | 대표 | 비고 | |
호주 | |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 | |
브라질 |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대통령 | |
인도 | | 나렌드라 모디 총리 | 2025년 인도-파키스탄 분쟁 당사국 |
멕시코 |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대통령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 | 2025 요하네스버그 G20 정상회의 의장국 |
대한민국 | | 이재명 대통령 | 2025년 APEC 대한민국 경주 정상회의 의장국 |
우크라이나 |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당사국 |
4.3. 초청 국제기구 대표
2025년 G7 정상회의 초청 국제기구 대표 | |||
<rowcolor=#fff> 국제기구 | 대표 | 국적 | |
북대서양조약기구 | | 마르크 뤼터 사무총장 | 네덜란드 |
유엔 | |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 | 포르투갈 |
세계은행 | | 아자이 방가 총재 | 미국 |
5. 회담 과정
※ 현지 시각은 산악표준시(MST)[14]를 사용하며 한국 시각보다 15시간 느리다.[15] 이하 날짜 및 시각은 현지 기준이다.이번 G7 정상회의는 2025년 6월 15~17일 캐나다 앨버타주 카나나스키스에서 개최되었다.
캐나다 정부 관계자의 사전 브리핑에 의하면, 정상들은 일요일(15일)에 도착하기 시작하며, 이후 헬리콥터로 정상회담 장소로 이동할 예정이다.[16] 월요일(16일) G7 정상회의는 경제와 '경제적 평화'에 폭넓게 초점을 맞출 것이며, 그 다음에는 안보 문제가 다뤄진다. 둘째 날(17일)에는 G7 이외의 정상들이 확대회의에 참여할 예정이며, 특히 우크라이나가 주요 논의 대상이 될 것이다.#
5.1. 14일
영국 스타머 총리는 캐나다 수도 오타와에 도착해 마크 카니 총리를 예방하고 양자회담을 가졌다. 스타머 총리는 다음 날(15일) 오후 UAE 알나얀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통화한 후#, 카나나스키스로 이동하였다.CPAC(The Cable Public Affair Channel)[17]의 웹사이트 및 유튜브채널에 회담 장소에 도착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호주, 독일, EU, 미국, 일본 정상들을 카니 총리가 영접하는 영상이 차례로 올라왔다.
5.2. 15일
카니 총리는 G7 정상회의에 참석한 다수의 각국 정상 및 국제기구 수장들과 양자회담을 가졌다. 해당 회담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없는 상황에서 이루어졌으며,[18] 각국과의 신규 협력 방안 조율 및 양자 간 현안 조정이 주요 의제로 다뤄진 것으로 알려졌다.#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19]에 도착하는 영상이 미국연합통신(AP)의 유튜브채널에 올라왔다.
5.3. 16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2025년/6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2025년/6월#17일|17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G7 회원국 및 EU 정상들이 회담 장소에 도착한 후 정상회의 참가를 상징하는 'G7 2025 카나나스키스' 문서에 연명으로 기념 서명하였다.#
공식 환영식에 앞서 9시쯤[B]부터 카니 총리는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가졌다.
10시 50분쯤부터 회의장 인근 야외공간에서 G7 회원국 및 EU 정상들을 위한 공식 환영식이 열렸다. 주최국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 내외가 먼저 입장한 가운데, EU 집행위원장 내외, EU 상임의장, 독일 총리 내외, 일본 총리 내외, 영국 총리, 이탈리아 총리, 미국 대통령, 프랑스 대통령 순으로 입장하여 각각 캐나다 총리 내외와 기념 사진을 찍었다. 이후 회의실로 향하였다.#
|
<rowcolor=#fff> 2025년 G7 정상회의의 회원국 정상들 |
오후 트럼프 대통령과 일본 이시바 총리 간에 양자회담이 있었으나, 최근 몇 주간 무역 협상에서 진전이 있었다는 반복된 언급에도 불구하고 관세에 관한 합의나 어떠한 돌파구도 마련되지 못했다.#
16시 15분쯤[B] 카니 총리는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과 양자회담을 가졌다.# 16시 50분쯤[B]에는 이어서 이탈리아 멜로니 총리와 양자회담을 가졌다.#
|
<rowcolor=#fff> G7 회원국 정상들의 기념사진[23] |
저녁에는 3개국을 순방 중인 인도의 모디 총리가 캐나다에 도착했다. 모디 총리는 이번까지 G7 정상회의에 6연속으로 참석하고 있다.#
오전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 분쟁 현안[25]을 처리하기 위해 조기 귀국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영국, 일본, EU, 이탈리아 정상들과 잇따라 양자회담을 가졌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G7에서 좋은 하루를 보냈다"고 전하며, 영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했고 캐나다와는 30일 이내에 협정 체결을 시도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16일 저녁 정상 만찬 이후에는 떠나야 한다고 덧붙였다.#1 #2
18시쯤[B] G7 정상들은 '안전한 세계 만들기(making the world secure)'를 의제로 한 G7 실무 만찬에 참석했다.
워싱턴 D.C.로 복귀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조기 귀국 이유와 관련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과 전혀 관계가 없고[27] '그것보다 훨씬 큰 것' 때문이라고 말해 궁금증을 자아냈다. 이후 '이란의 무조건 항복 및 핵무기 포기'를 말했던 것임이 밝혀졌다.
5.4. 17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2025년/6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재명 정부/2025년/6월#18일|18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카니 총리는 NATO 사무총장,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엔 사무총장, 브라질 대통령, 인도 총리, 대한민국 대통령[28], 멕시코 대통령[29] 순으로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8시 15분쯤[C] 카니 총리는 마르크 뤼터 NATO 사무총장과 양자회담을 가졌다.
8시 55분쯤[C]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과 가진 양자회담에서 캐나다는 43억 달러[32]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번 회담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대한 러시아의 대규모 공격 이후 성사된 것이다.#1 #2
젤렌스키 대통령이 회의장에 모습을 드러내자 취재진의 취재 열기가 뜨거워졌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 EU 코스타 상임의장, 일본 이시바 총리 등과 가볍게 담소를 나눴다.
10시 20분쯤 시작된 G7 정상회의에는 젤렌스키 대통령도 참여했다. 조기 귀국한 트럼프 대통령의 좌석에 자리가 마련되었다. 회의는 1시간 정도 진행되었다.
12시 17분쯤부터 회의장 인근 야외공간에서 초청국 정상 및 초청 국제기구 수장을 위한 공식 환영식이 열렸다. 주최국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가 먼저 입장한 가운데, 유엔 사무총장, 호주 총리, 인도 총리, 대한민국 대통령, 멕시코 대통령, 브라질 대통령,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순으로 입장하여 각각 기념 촬영한 후 회의장으로 향했다.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전 중에 이미 G7 정상회의에 참석했기 때문에 이 환영식에는 불참했다.
|
<rowcolor=#fff> G7 회원국 및 초청국 정상들[33]의 기념사진 |
13시 58분쯤 카니 총리의 모두 발언과 함께 G7 확대회의가 개회되었다. G7 및 EU 정상들뿐 아니라 초청국 정상들 및 초청 국제기구 수장들까지 함께 하는 회의다. 회의실 긴 테이블의 좌석은 테이블 중심에서 봤을 때 캐나다 총리 쪽은 좌측부터 유엔 사무총장, 일본, 인도, 남아프리카 공화국, 캐나다, 멕시코, 이탈리아 정상들, EU 상임의장, NATO 사무총장 순으로 배치되었고, 반대편은 좌측부터 세계은행 총재, 독일, 호주, 브라질, 프랑스, 대한민국, 영국 정상들, EU 집행위원장 순으로 배치되었다. 이재명 대통령은 양옆의 프랑스 마크롱 대통령, 영국 스타머 총리와 짧은 담소를 나누기도 했다.
카니 총리는 16시 40분쯤[C] 인도 모디 총리, 15시 15분쯤[C] 대한민국 이재명 대통령, 15시 40분쯤[C] 멕시코 셰인바움 대통령과 잇따라 양자회담을 가졌다.#1 #2
블룸버그는 정상들 간의 만찬 회담에서 러시아에 대한 보다 강력한 제재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을 바꾸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결국 이번 G7 정상회의에서는 공동 성명문을 채택하지 못했고 의장 요약문으로 대신하기로 했다.
이날 저녁 2025 G7 정상회의가 폐회한 후 카니 총리가 기자 회견을 했다.#
내년 G7 정상회의 개최국인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개최지가 에비앙레뱅(Évian-les-Bains)[37]이라고 밝혔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6년 G7 에비앙레뱅 정상회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26년 G7 에비앙레뱅 정상회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공동 성명
공동 성명문(Communiqué)(무산)
당초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전쟁 중인 러시아에 대한 강한 비판을 담은 공동 성명을 마련할 예정이었지만, 미국의 반대로 채택되지 못했다. 러시아를 강하게 비판하는 표현은 공동 성명문 대신 의장 요약문에 담기로 했다.#- 의장 요약문(Chair's Summary)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he Leaders of the Group of Seven (G7) gathered in Kananaskis, Alberta, from June 15-17[38], 2025, with the objective of building stronger economies by making communities safer and the world more secure, promoting energy security and accelerating the digital transition, as well as fostering partnerships of the future.
Five decades after its founding in 1975, the G7 continues to demonstrate its value as a platform for advanced economies to coordinate financial and economic policy, address issues of peace and security, and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partners in response to global challenges.
G7 Leaders focused on economic developments. In a context of rising market volatility and shocks to international trade, as well as longer-term trends toward fragmentation and global imbalances, they discussed the need for greater economic and financial st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n open and predictable trading regime to drive investment and growth. They considered ways to collaborate on global trade to boost productivity and grow their economies, emphasizing energy security and the digital transition. They acknowledged that both are underpinned by secure and responsible critical mineral supply chains and that more collaboration is required, within and beyond the G7. Leaders undertook to safeguard their economies from unfair non-market policies and practices that distort markets and drive overcapacity in ways that are harmful to workers and businesses. This includes de-risking through diversification and reduction of critical dependencies. Leaders welcomed the new Canada-led G7 initiative — the Critical Minerals Production Alliance — working with trusted international partners to guarantee supply for advanced manufacturing and defence.
G7 Leaders expressed support for President Trump’s efforts to achieve a just and lasting peace in Ukraine. They recognized that Ukraine has committed to an unconditional ceasefire, and they agreed that Russia must do the same. G7 Leaders are resolute in exploring all options to maximize pressure on Russia, including financial sanctions. The G7 met with President of Ukraine, Volodymyr Zelenskyy, and Secretary General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Mark Rutte to discuss their support for a strong and sovereign Ukraine, including budgetary defence and recovery and reconstruction support.
G7 Leaders reiterated their commitment to peace and stability in the Middle East. They exchanged on the evolving situation, following Hamas’s terrorist attacks against Israel on October 7, 2023, and the active conflict between Israel and Iran. Leade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unhindered humanitarian aid to Gaza, the release of all hostages and an immediate and permanent ceasefire. Leaders also talked about the need for a negotiated political solution to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that achieves lasting peace. Leaders affirmed Israel’s right to defend itself, and were clear that Iran can never have a nuclear weapon. They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civilians. They expressed their readiness to coordinate to safeguard the stability of international energy markets. They urged that the resolution of this crisis leads to a broader de-escalation of hostilities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a ceasefire in Gaza. G7 Leaders released a statement on recent developments between Israel and Iran.
Leader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 free, open, prosperous and secure Indo-Pacific, based on the rule of law, and discussed grow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region. They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nstructive and stable relations with China, while calling on China to refrain from market distortions and harmful overcapacity, tackle global challenges and promot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Leaders discussed their ongoing serious concerns about China’s destabilizing activities in the East and South China Seas an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peace and stability across the Taiwan Strait. They expressed concern about DPRK’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and the need to jointly address DPRK cryptocurrency thefts fueling these programs. The need to resolve the abductions issue was also raised. Leaders acknowledged the links between crisis theatres in Ukraine, the Middle East and Indo-Pacific. Leaders discussed other instances of crisis and conflict, including in Africa and Haiti.
The G7 Leaders underscored their resolve to ensure the safety and security of communities. They condemned foreign interference, underlining the unacceptable threat of transnational repression to rights and freedoms, national security and state sovereignty. Leader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ongoing collaboration to promote border security and counter migrant smuggling and illicit synthetic drug trafficking, noting recent successes. They stressed the need to work with countries of origin and transit countries. Leaders discussed the impacts of increasingly extreme weather events around the world. They highlighted the need for mor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to prevent, fight and respond to wildfires, which are destroying homes and ecosystems, and driving pollution and emissions.
The G7 welcomed participation in the Summit by the President of South Africa, Matamela Cyril Ramaphosa, President of Brazil, Luiz Inácio Lula da Silva, President of Mexico, Claudia Sheinbaum, President of the Republic Korea, Lee Jae-myung, Prime Minister of India, Narendra Modi, and Prime Minister of Australia, Anthony Albanese, as well as UN Secretary General, António Guterres, and President of the World Bank, Ajaypal Singh Banga. Together, they identified ways to collaborate on energy security in a changing world, with a focus on advanc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diversifying and strengthening critical mineral supply chains, building infrastructure, and mobilizing investment. They discussed just energy transitions as well as sustainable and innovative solutions to boost energy access and affordability, while mitigating the impact on climate and the environment. They talked about the consequences of growing conflicts for shared prosperity, including energy security, and the need to work towards a shared peace.
Leaders and guests had a productive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building coalitions with reliable partners — existing and new — that include the private sector,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s and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to drive inclusive economic growth and advanc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upcoming United Nations’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nancing for Development was raised as an opportunity to continue these discussions, including on private capital mobilization.
G7 Leaders agreed to collaborate with partners on concrete outcomes that deliver for everyone. To this end, they agreed to six joint statements. Their commitments included:
→ Securing high-standard critical mineral supply chains that power the economies of the future.
→ Driving secure, responsible and trustworthy AI adoption across public and private sectors, powering AI now and into the future, and closing digital divides.
→ Boosting cooperation to unlock the full potential of quantum technology to grow economies, solve global challenges and keep communities secure.
→ Mounting a multilateral effort to better prevent, fight and recover from wildfires, which are on the rise around the world.
→ Protecting the rights of everyone in society,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state sovereignty, by continuing to combat foreign interference, with a focus on transnational repression.
→ Countering migrant smuggling by dismantling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groups.
G7 Leaders welcomed the endorsement by many outreach partners of the Critical Minerals Action Plan and the Kananaskis Wildfire Charter.
Discussions at the Kananaskis Summit were informed by the recommendations of the G7 Gender Equality Advisory Council (GEAC), which stressed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gender equality, and of all G7 engagement groups.
The G7 remains committed to worki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keholders and partner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Indigenous Peoples, civil society, industr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advance shared priorities.
The G7 will continue its work under Canada’s presidency throughout 2025, and looks forward to France’s leadership in 2026.#}}}
Five decades after its founding in 1975, the G7 continues to demonstrate its value as a platform for advanced economies to coordinate financial and economic policy, address issues of peace and security, and cooperate with international partners in response to global challenges.
G7 Leaders focused on economic developments. In a context of rising market volatility and shocks to international trade, as well as longer-term trends toward fragmentation and global imbalances, they discussed the need for greater economic and financial stabilit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an open and predictable trading regime to drive investment and growth. They considered ways to collaborate on global trade to boost productivity and grow their economies, emphasizing energy security and the digital transition. They acknowledged that both are underpinned by secure and responsible critical mineral supply chains and that more collaboration is required, within and beyond the G7. Leaders undertook to safeguard their economies from unfair non-market policies and practices that distort markets and drive overcapacity in ways that are harmful to workers and businesses. This includes de-risking through diversification and reduction of critical dependencies. Leaders welcomed the new Canada-led G7 initiative — the Critical Minerals Production Alliance — working with trusted international partners to guarantee supply for advanced manufacturing and defence.
G7 Leaders expressed support for President Trump’s efforts to achieve a just and lasting peace in Ukraine. They recognized that Ukraine has committed to an unconditional ceasefire, and they agreed that Russia must do the same. G7 Leaders are resolute in exploring all options to maximize pressure on Russia, including financial sanctions. The G7 met with President of Ukraine, Volodymyr Zelenskyy, and Secretary General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Mark Rutte to discuss their support for a strong and sovereign Ukraine, including budgetary defence and recovery and reconstruction support.
G7 Leaders reiterated their commitment to peace and stability in the Middle East. They exchanged on the evolving situation, following Hamas’s terrorist attacks against Israel on October 7, 2023, and the active conflict between Israel and Iran. Leade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unhindered humanitarian aid to Gaza, the release of all hostages and an immediate and permanent ceasefire. Leaders also talked about the need for a negotiated political solution to the Israeli-Palestinian conflict that achieves lasting peace. Leaders affirmed Israel’s right to defend itself, and were clear that Iran can never have a nuclear weapon. They underlined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civilians. They expressed their readiness to coordinate to safeguard the stability of international energy markets. They urged that the resolution of this crisis leads to a broader de-escalation of hostilities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a ceasefire in Gaza. G7 Leaders released a statement on recent developments between Israel and Iran.
Leader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a free, open, prosperous and secure Indo-Pacific, based on the rule of law, and discussed grow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region. They stressed the importance of constructive and stable relations with China, while calling on China to refrain from market distortions and harmful overcapacity, tackle global challenges and promote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Leaders discussed their ongoing serious concerns about China’s destabilizing activities in the East and South China Seas an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peace and stability across the Taiwan Strait. They expressed concern about DPRK’s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and the need to jointly address DPRK cryptocurrency thefts fueling these programs. The need to resolve the abductions issue was also raised. Leaders acknowledged the links between crisis theatres in Ukraine, the Middle East and Indo-Pacific. Leaders discussed other instances of crisis and conflict, including in Africa and Haiti.
The G7 Leaders underscored their resolve to ensure the safety and security of communities. They condemned foreign interference, underlining the unacceptable threat of transnational repression to rights and freedoms, national security and state sovereignty. Leader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ongoing collaboration to promote border security and counter migrant smuggling and illicit synthetic drug trafficking, noting recent successes. They stressed the need to work with countries of origin and transit countries. Leaders discussed the impacts of increasingly extreme weather events around the world. They highlighted the need for mor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to prevent, fight and respond to wildfires, which are destroying homes and ecosystems, and driving pollution and emissions.
The G7 welcomed participation in the Summit by the President of South Africa, Matamela Cyril Ramaphosa, President of Brazil, Luiz Inácio Lula da Silva, President of Mexico, Claudia Sheinbaum, President of the Republic Korea, Lee Jae-myung, Prime Minister of India, Narendra Modi, and Prime Minister of Australia, Anthony Albanese, as well as UN Secretary General, António Guterres, and President of the World Bank, Ajaypal Singh Banga. Together, they identified ways to collaborate on energy security in a changing world, with a focus on advanc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diversifying and strengthening critical mineral supply chains, building infrastructure, and mobilizing investment. They discussed just energy transitions as well as sustainable and innovative solutions to boost energy access and affordability, while mitigating the impact on climate and the environment. They talked about the consequences of growing conflicts for shared prosperity, including energy security, and the need to work towards a shared peace.
Leaders and guests had a productive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building coalitions with reliable partners — existing and new — that include the private sector, development finance institutions and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to drive inclusive economic growth and advance sustainable development. The upcoming United Nations’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inancing for Development was raised as an opportunity to continue these discussions, including on private capital mobilization.
G7 Leaders agreed to collaborate with partners on concrete outcomes that deliver for everyone. To this end, they agreed to six joint statements. Their commitments included:
→ Securing high-standard critical mineral supply chains that power the economies of the future.
→ Driving secure, responsible and trustworthy AI adoption across public and private sectors, powering AI now and into the future, and closing digital divides.
→ Boosting cooperation to unlock the full potential of quantum technology to grow economies, solve global challenges and keep communities secure.
→ Mounting a multilateral effort to better prevent, fight and recover from wildfires, which are on the rise around the world.
→ Protecting the rights of everyone in society,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state sovereignty, by continuing to combat foreign interference, with a focus on transnational repression.
→ Countering migrant smuggling by dismantling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groups.
G7 Leaders welcomed the endorsement by many outreach partners of the Critical Minerals Action Plan and the Kananaskis Wildfire Charter.
Discussions at the Kananaskis Summit were informed by the recommendations of the G7 Gender Equality Advisory Council (GEAC), which stressed the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gender equality, and of all G7 engagement groups.
The G7 remains committed to working wi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keholders and partner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Indigenous Peoples, civil society, industry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o advance shared priorities.
The G7 will continue its work under Canada’s presidency throughout 2025, and looks forward to France’s leadership in 2026.#}}}
- 개별 성명문(Statement)
-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 간 사태에 관한 G7 정상 성명(G7 Leaders’ Statement on Recent Developments Between Israel And Iran){{{#!folding [ 펼치기 · 접기 ]
We, the leaders of the G7, reiterate our commitment to peace and stability in the Middle East.
우리, G7 정상들은 중동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우리의 책무를 재확인한다.
In this context, we affirm that Israel has a right to defend itself. We reiterate our support for the security of Israel.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이스라엘이 스스로를 방어할 권리가 있음을 확인한다. 우리는 이스라엘의 안보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한다.
We also affirm the importance of the protection of civilians.
또한 우리는 민간인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Iran is the principal source of regional instability and terror.
이란은 역내 불안정과 테러의 주요 원천이다.
We have been consistently clear that Iran can never have a nuclear weapon.
우리는 이란이 결코 핵무기를 보유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일관되게 분명히 해왔다.
We urge that the resolution of the Iranian crisis leads to a broader de-escalation of hostilities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a ceasefire in Gaza.
우리는 이란 위기의 해결이, 가자지구에서의 휴전을 포함하여, 중동 내 적대행위의 보다 폭넓은 단계적 축소로 이어지기를 촉구한다.
We will remain vigilant to the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energy markets and stand ready to coordinate, including with like-minded partners, to safeguard market stability.
우리는 국제 에너지 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할 것이며, 시장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뜻을 같이하는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포함하여, 조율할 준비가 되어 있다.#}}}
우리, G7 정상들은 중동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우리의 책무를 재확인한다.
In this context, we affirm that Israel has a right to defend itself. We reiterate our support for the security of Israel.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이스라엘이 스스로를 방어할 권리가 있음을 확인한다. 우리는 이스라엘의 안보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한다.
We also affirm the importance of the protection of civilians.
또한 우리는 민간인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Iran is the principal source of regional instability and terror.
이란은 역내 불안정과 테러의 주요 원천이다.
We have been consistently clear that Iran can never have a nuclear weapon.
우리는 이란이 결코 핵무기를 보유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일관되게 분명히 해왔다.
We urge that the resolution of the Iranian crisis leads to a broader de-escalation of hostilities in the Middle East, including a ceasefire in Gaza.
우리는 이란 위기의 해결이, 가자지구에서의 휴전을 포함하여, 중동 내 적대행위의 보다 폭넓은 단계적 축소로 이어지기를 촉구한다.
We will remain vigilant to the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energy markets and stand ready to coordinate, including with like-minded partners, to safeguard market stability.
우리는 국제 에너지 시장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할 것이며, 시장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뜻을 같이하는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포함하여, 조율할 준비가 되어 있다.#}}}
- 번영을 위한 AI에 관한 G7 정상 성명(G7 Leaders’ Statement on AI for Prosperity)
- 양자 기술의 미래를 위한 카나나스키스 공동 비전(Kananaskis Common Vision for the Future of Quantum Technologies)
- 이주민 밀입국 대응에 관한 G7 정상 성명(G7 Leaders’ Statement on Countering Migrant Smuggling)
- 초국경적 억압에 대한 G7 공동 성명(G7 Leaders’ Statement on Transnational Repression)
- G7 핵심 광물 행동 계획(G7 Critical Minerals Action Plan)
- 카나나스키스 산불 헌장(Kananaskis Wildfire Charter)
7. 여담
- 본 정상회의의 의장국인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는 회담 이전에 G7 정상회의에 대해 설명하던 중 "같은 가치와 인식을 공유하는 국가들을 G7 플러스[39]에 포함시킨다면 한국이나 호주가 대표적인 예"라고 하였고,# 양국은 이번 회담에 초청되었다.
- 카니 총리가 속한 캐나다 자유당의 일부 의원들은 총리가 G7의 우선 과제로 제시한 '외국 간섭 및 국제 범죄 대응'을 인도[40]와 사우디아라비아[41]가 위반하고 있다며 이들 국가를 초청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결국 사우디아라비아는 불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달리 인도에 대한 초청은 강행되었다.
- 2026년에 개최되는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42]과 2026 FIFA 월드컵[43]의 개최국 정상들이 모두 참여한다.
- 다른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들은 해외 방문을 하기까지 최소 49일은 걸렸으나, 이재명 대통령은 임기를 시작한 지 불과 12일 만에 G7 회의 참석을 통해 해외 방문을 하게 되었으므로 매우 이례적인 경우라 할 수 있다.# 게다가 성남시장 시절부터 업무를 꼼꼼히 챙기는 이재명 특유의 성격 때문에 참모진들이 코피까지 흘리는 등 고생했다는 이야기까지 나왔다.#
- 한일, 한영 양자회담에서 상석 및 자리 배치를 두고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정면을 바라본 정상의 기준에서 오른쪽이 상석이다.#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G8에서 러시아를 제외한 것은 매우 큰 실수이며, 중국의 G7 참여[44]를 반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8. 둘러보기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정상회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회담 명칭 | 개최 지역 | 비고 |
2025년 미국-이스라엘 정상회담 |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의 방미 | |
2025년 미일정상회담 | |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방미 | |
2025년 미국-인도 정상회담 | |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방미 | |
2025년 미국-프랑스 정상회담 |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방미 | |
2025년 미영정상회담 | |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의 방미 | |
2025년 2월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방미 | |
2025년 G7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 | | G7 회원국 정상 자격으로 참여 | |
2025년 미러정상회담 |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미 | |
2025년 8월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 |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방미 | |
2025년 한미정상회담 | | 이재명 대한민국 대통령의 방미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0.7px; word-break:keep-all" | 2025년 | ||
<rowcolor=#fff> 회담 명칭 | 개최 지역 | 비고 | |
2025 G7 카나나스키스 | [[캐나다| | 초청국 정상 | |
2025.8 한일정상회담 | [[일본| |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미국보다 먼저 방문 | |
2025 한미정상회담 | [[미국| | 이재명-트럼프 첫 회담 | |
2025 유엔 총회 | [[유엔|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 정상 | |
2025.9 한일정상회담 | [[일본| | 이시바 시게루 총리 퇴임 직전 마지막 정상회담 | |
2025 경주 APEC | [[대한민국| | 의장국 정상 | |
2025 G20 요하네스버그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 자세한 외교 일정은 이재명 정부/외교 문서 참조 | |||
◀ 윤석열 정부 차기 정부 ▶ | }}}}}}}}} |
[A] 공식 홈페이지에 명시된 참석(Participation) 명단에 의거함.(International outreach→View more)[A] [A] [A] [A] [A] [A] [8] 캐나다 앨버타주 남서쪽 경계 부근에 위치한 개선지구(Improvement District; 주 정부의 직할 지역)로, 주 최대 도시인 캘거리 서쪽 근교에 위치해 있다. 회담 장소는 카나나스키스개선지구의 행정중심지이자 휴양지인 '카나나스키스 빌리지'이다. 토론토 대학교 G7 연구 그룹은 이곳이 역대 G7 회담 장소 중 가장 경관이 뛰어난 곳이고, 육지와 공중에서만 보안을 유지하면 되기 때문에 보안이 용이하다고 평가했다. 2002년 G7 정상회담 장소이기도 했던 이곳은 당시 5,000명의 군인과 1,500명의 RCMP(캐나다연방경찰)가 경비에 투입된 바 있다. 회색곰의 움직임까지 모니터링했다고 한다.#[9] 당시 러시아가 G8 회원국으로 참석했다.[A] [11] 현 대통령은 아부다비 통치자이다.[12] 현 부통령 겸 총리는 두바이 통치자이다.[13] 중동문제로 인한 조기 귀국. 나머지 일정은 재무부 장관 스콧 베센트가 대리 일정 소화.[14] 캐나다 노스웨스트준주, 앨버타주(에드먼턴, 캘거리, 카나나스키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동쪽 일부, 서스캐처원주 서쪽 일부, 미국 몬태나주, 와이오밍주, 아이다호주 남쪽 일부, 유타주(솔트레이크시티), 콜로라도주(덴버), 애리조나주(피닉스, 투손), 뉴멕시코주 등에서 사용한다.[15] 6월 기준 서머타임 적용 중이다. 서머타임 미적용 시에는 16시간 느리다.[16] 정상들은 전용기로 앨버타주 캘거리 국제공항에 도착한 후 서쪽으로 약 80km 떨어진 카나나스키스 빌리지까지 헬기로 이동하게 된다. 대략 20~25분 소요된다.[17] 캐나다의 정치 및 공공 사안 전문 방송 채널로, 국민에게 정치 과정을 투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공공 서비스 방송이다. 우리나라의 국회방송(NATV)과 비슷한 성격을 갖고 있다.[18]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양자회담 일정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당초 계획대로 다음 날(16일) 오전 캐나다 총리와의 양자회담을 별도로 진행하였다. ※ 16일 회담은 아래 문단에서 언급함.[19] 앨버타주의 최대 도시. 회담 장소인 카나나스키스는 캘거리 서쪽 근교에 위치해 있다.[B] 캐나다 총리실의 일정표에 의한 것이므로 실제 시각과 오차가 있을 수 있음.#[B] [B] [23] G7 회원국 정상 7명과 유럽연합 상임의장 및 집행위원장 2명까지 총 9명의 기념사진.[B] [25]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타격, 이란의 이스라엘 보복 공격 등과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B] [27] 트럼프 대통령의 조기 귀국 이유가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휴전'을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는 마크롱 대통령의 발언을 정면으로 부정한 것이다. 또한 마크롱 대통령은 항상 틀린다고 조롱했다.[28] 17일(화) 17시 15분에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다.[29] 17일(화) EU 상임의장 및 집행위원장, 인도 총리, 미국 대통령취소, 독일 총리, 캐나다 총리와 순서대로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다.#[C] 캐나다 총리실의 일정표에 의한 것이므로 실제 시각과 오차가 있을 수 있음.#[C] [32] 20억 달러는 군사지원이고, 23억 달러는 공공 인프라 복구를 위한 대출이다.[33] G7 회원국 정상 및 초청된 국가/국제기구의 정상.[C] [C] [C] [37] 에비앙 생수로 유명한 그 지역이다.[38] 공식 홈페이지에는 1517로 오기하였으므로 임의로 수정함.[39] 기존 G7 회원국에 더해, 같은 가치와 인식을 공유하는 비회원국을 정상회의 등에 초청해 참여시키는 확장 개념이다. G7 회원국 자체를 늘리는 G7 확대는 이러한 개념의 연장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g7+와는 구별해야 한다. g7+는 2010년에 설립된 정부간 자발적 조직으로, 현재 분쟁을 겪고 있거나 최근에 분쟁과 취약성을 경험한 국가들을 한데 모으고 있으며, 아프리카, 아시아-태평양, 중동, 카리브해 지역의 20개 회원국이 있다.[40] 2023년 인도 정보기관에 의해 인도계 캐나다인 하디프 싱 니자르가 사망한 시크교 지도자 암살 사건을 거론하는 것이다.[41] 2018년에 발생했던 사우디아라비아 정보기관에 의한 사우디아라비아 언론인 암살 사건, 그리고 예멘 내전 당시 사우디군의 무차별 민간인 폭격 등 전쟁범죄 논란과 2034 FIFA 월드컵을 앞두고 발생 중인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인권 유린적 착취를 문제시하는 것이다.[42] 조르자 멜로니(이탈리아)[43] 마크 카니(캐나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멕시코)[44] 중국의 G7 회원국 가입을 말하는 것인지, 초청국 참석을 말하는 것인지는 확실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