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9 18:35:42

제36회 주요국 정상회의


역대 주요 7개국 정상회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1975 랑부이예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1976 산후안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1977 런던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
1978 본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1979 도쿄
6회 7회 8회 9회 10회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80 베네치아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1981 오타와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1982 베르사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1983 윌리엄스버그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1984 런던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서독|
파일:독일 국기.svg
]]
1985 본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1986 도쿄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87 베네치아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1988 토론토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1989 파리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1990 휴스턴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1991 런던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1992 뮌헨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1993 도쿄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1994 나폴리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1995 핼리팩스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1996 리옹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1997 덴버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1998 버밍엄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1999 쾰른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2000 규슈-오키나와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01 제노바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02 카나나스키스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2003 에비앙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04 시 아일랜드
31회 32회 33회 34회 35회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2005 글레니글스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2006 상트페테르부르크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2007 하일리겐담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2009 토야코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09 라퀼라
36회 37회 38회 39회 40회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10 무스코카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2011 도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12 캠프 데이비드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2013 로크 에른
[[유럽연합|
파일:유럽연합 국기.svg
]]
2014 브뤼셀(변경)
41회 42회 43회 44회 45회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2015 슐로스 엘마우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2016 이세-시마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17 타오르미나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18 샤를부아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2019 비아리츠
46회 47회 48회 49회 50회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2021 콘월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2022 슐로스 엘마우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2023 히로시마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2024 보르고 에냐치아
51회 52회 53회 54회 55회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
2025 카나나스키스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2026 에비앙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2027 미정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2028 미정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2029 미정
G6 시기 G8 시기
(변경)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으로 인해 소치에서 브뤼셀로 변경
}}}}}}}}} ||
제36회 주요국 정상회의
<colbgcolor=#9BA75D><colcolor=#fff><colkeepall> 2010년 G8 캐나다 무스코카 정상회의
G8 CANADA MUSKOKA 2010
<nopad> 파일:G8 2010 logo 2.png
일시 2010년 6월 25~26일
장소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온타리오 무스코카 헌츠빌 디어허스트 리조트
주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회원국
정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캐나다 총리 스티븐 하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프랑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프랑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프랑스 대통령 니콜라 사르코지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독일|{{{#!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독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독일}}}{{{#!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독일 총리 앙겔라 메르켈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탈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탈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탈리아 총리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일본 총리 간 나오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러시아 대통령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영국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유럽연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유럽연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럽연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헤르만 반 롬푀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유럽연합|{{{#!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유럽연합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유럽연합}}}{{{#!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조제 마누엘 두랑 바호주
아프리카
초청국
정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알제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알제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알제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알제리 대통령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집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집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집트 대통령 호스니 무바라크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에티오피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에티오피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에티오피아 총리 멜레스 제나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말라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말라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말라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말라위 대통령 빙구 와 무타리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나이지리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나이지리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나이지리아 대통령 굿럭 조너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세네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세네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세네갈 대통령 압둘라예 와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남아프리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제이컵 주마
확대
초청국
정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콜롬비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콜롬비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콜롬비아 대통령 알바로 우리베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이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이티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이티}}}{{{#!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아이티 대통령 르네 프레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자메이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자메이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자메이카 총리 오레테 브루스 골딩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1. 개요2. 배경
2.1. G20, BRICS의 부상2.2. 유럽연합의 부상
3. 의제4. 참가자
4.1. 회원국 대표4.2. 아프리카 초청국 대표4.3. 확대 초청국 대표4.4. 초청 국제기구 대표
5. 공동 성명6. 반응7. 여담

1. 개요

제36회 주요국 정상회의는 2010년 6월 15~26일 캐나다 온타리오 무스코카 헌츠빌 디어허스트 리조트(Deerhurst Resort)에서 개최된 주요국 정상회의이다.

2. 배경

2.1. G20, BRICS의 부상

2005~2009년 기간 동안 지속되어 오던 G8+5 체제가 붕괴되었다. G8+5는 2005년 이후 G8 정상회의에 브라질, 중국, 인도, 멕시코,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5개 신흥국을 초청해 확대 협의체로 운영된 방식이었으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G20이 국제 경제협력의 핵심 포럼으로 부상하면서 G8+5의 실질적 역할이 약화되었다. G20이 선진국과 신흥국 모두가 정식 회원으로 참여하는 구조로 자리잡으면서, G8+5의 초청국 협의 방식은 점차 의미를 잃게 된다.[1] 참고로 G8+5 체제가 붕괴된 것과 별개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프리카 초청국의 일원으로 이번 회의에도 참석했다. 2002년 G8 카나나스키스 정상회의 때부터 9년 연속 참석하고 있다.

한편 2009년 러시아는 브라질, 중국, 인도와 함께 BRICs(브릭스)를 결성하였다. 동년 6월 러시아 예카테린부르크에서 제1회 브릭스 정상회의를 가졌고, 2010년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도 합류함으로써 BRICS(브릭스)[2]가 되어 현재까지 매년 정상회의를 갖고 있다. 2024년 이집트, 에티오피아, 이란, 아랍에미리트가 가입하고,[3] 2025년 인도네시아가 가입하여, 현재 회원국은 10개국으로 늘어난 상태이다.

2.2. 유럽연합의 부상

2009년 12월 1일 리스본 조약이 발효되면서 유럽연합(EU)은 단일한 법인격을 획득하였다. 또한 유럽공동체(EC)가 폐지되고, EU가 모든 대외적 권리와 의무의 주체가 되었다. 기존 EU 정상회의 의장도 6개월 임기의 순번제에서 2년 6개월 임기의 선출제로 개편되었다. 기존 의장 직함(President of the European Coucil)[4]이 변한 것은 아니지만, 외교부에서는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으로 고쳐 부르고 있다.
<colbgcolor=#DE1C23><colcolor=#fff> 파일:G8 2010 정상.png
2010 G8 정상회의 회원국 정상들
※ 좌측 끝이 EU 집행위원장, 우측 끝이 EU 상임의장. 그 사이에 좌측부터 일본, 이탈리아, 미국, 프랑스, 캐나다, 러시아, 독일, 영국 정상이다.
이번 정상회의에는 헤르만 반 롬푀이가 초대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으로서 참석하였다. 외교부 자료에는 바호주 EU 집행위원장을 EU 의장으로 기록하고,[5] 반 롬푀이 상임의장의 참석 사실을 누락했다.#

3. 의제

4. 참가자

4.1. 회원국 대표

2010년 G8 정상회의 회원국 대표
<rowcolor=#fff> 국가 대표 비고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Rt Hon. Stephan Joseph Harper.jpg 스티븐 하퍼
주최국 정상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jpg 니콜라 사르코지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Angela_Dorothea_Merkel.jpg 앙겔라 메르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Silvio_Berlusconi_2018.jpg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Kan Naoto.jpg 간 나오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Dmitry_Medvedev_official_portrait_(05).jpg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데이비드 캐머런 총리.jpg 데이비드 캐머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버락 오바마.png 버락 오바마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비공식)
파일:Herman_Van_Rompuy_6751.jpg 파일:벨기에 국기.svg 헤르만 반 롬푀이
상임의장
파일:바호주.jp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조제 마누엘 두랑 바호주
집행위원장

4.2. 아프리카 초청국 대표

2010년 G8 정상회의 아프리카 초청국 대표
<rowcolor=#fff> 국가 대표 비고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Abdelaziz_Bouteflika.jpg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Yousuf-Karsh-Hosni-Mubarak-1983.jpg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40px-Meles_Zenawi_-_World_Economic_Forum_Annual_Meeting_2012.jpg 멜레스 제나위
총리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1000000305.jpg 빙구 와 무타리카
대통령
아프리카 연합 의장 겸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Goodluck_Jonathan_World_Economic_Forum_2013.jpg 굿럭 조너선
대통령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압둘라예 와데.jpg 압둘라예 와데
대통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제이콥주마.jpg 제이컵 주마
대통령

4.3. 확대 초청국 대표

2010년 G8 정상회의 확대 초청국 대표
<rowcolor=#fff> 국가 대표 비고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파일:1000026865.jpg 알바로 우리베
대통령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르네 프레발.jpg 르네 프레발
대통령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오레테 브루스 골딩.png 오레테 브루스 골딩
총리

4.4. 초청 국제기구 대표

2010년 G8 정상회의 초청 국제기구 대표
<rowcolor=#fff> 국제기구 대표 국적
파일:아프리카 연합 기.svg
아프리카연합
파일:1000000305.jpg 빙구 와 무타리카
의장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독립국가연합 로고.svg
독립국가연합
파일:세르게이 레베데프.png 세르게이 레베데프
집행서기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국제원자력기구 로고.svg
국제원자력기구
파일:아마노 유키야.png 아마노 유키야
사무총장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IEA logo.png
국제에너지기구
파일:타나카 노부오(IEA).png 타나카 노부오
사무총장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UN기.svg
유엔
파일:반기문(2008년)의 모습.jpg 반기문
사무총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유네스코 로고.svg
유네스코
파일:이리나 보코바.png 이리나 보코바
사무총장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계은행 로고.svg
세계은행
파일:로버트 졸릭.png 로버트 졸릭
총재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세계보건기구기.svg
세계보건기구
파일:마가렛찬.jpg 마가렛 찬
사무총장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세계무역기구 로고.svg
세계무역기구
파일:파스칼 라미.png 파스칼 라미
사무총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5. 공동 성명

6. 반응

7. 여담


[1] 4년 후인 2014년이 되면 러시아가 크림반도 합병으로 회원 자격이 박탈되어 다시 G7 체체로 복귀하게 된다.[2] 당초 BRICs는 Brazil, Russia, India, China 국가들을 의미했는데, South Afirica가 합류함으로써 복수의 의미의 소문자 s에서 대문자 S로 바꿔 BRICS가 되었다.[3] 본래 2023년 이들 4개국 외에 아르헨티나, 사우디아라비아도 가입하기로 하였으나 무산되었다.[4] 직역하면 '유럽 이사회 의장'이다. 외교부에서는 'EU 정상회의 (상임)의장'으로 부르고 있으며, 'EU 의장'으로 약칭하기도 한다.[5] EU의장국을 스페인이라고 기록했으나 벨기에가 맞다. 바호주 집행위원장이 스페인 국적이고, 반 롬푀이 상임의장이 벨기에 국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