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7 16:17:43

료멘스쿠나

양면수라에서 넘어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 황요 · 황포괴 · 해태 · · 흑풍괴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몽골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 알마스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 용생구자(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ruby(両面宿儺, ruby=りょうめんすくな)] (양면숙나)
파일:external/www.enku.jp/29.jpg

1. 개요2. 일본서기의 기술3. 현지의 전승4. 도시전설5. 대중문화 속의 스쿠나

1. 개요

몸 하나에 얼굴 둘, 팔다리 총 네 개가 달린 거구의 일본 요괴.[1] 일본의 상고 시대인 닌토쿠 덴노 65년(서기 377년)에 히다 지방[2]에 나타났다고 전해진다.

2. 일본서기의 기술

六十五年 飛騨國有一人。曰宿儺。其為人,壹體有兩面。面各相背。頂合無項。各有手足。其有膝而無膕踵。力多以輕捷。左右佩劒,四手並用弓矢。是以,不随皇命。掠略人民爲樂。於是,遣和珥臣祖難波根子武振熊而誅之。

(닌토쿠 천황 재위) 65년에 히다국()에 스쿠나(宿)라고 불리는 사람이 있었다. 그 사람은 몸이 하나인데 얼굴이 둘이었다. 얼굴은 각기 서로 등을 지고 있었으며, 정수리가 합쳐져 목덜미가 없었다. 그리고 각각 손발이 있었고, 무릎은 있는데 오금과 발뒤꿈치는 없었다. 또한 힘이 세고 민첩하여 좌우에 칼을 차고 네 손으로 화살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황명에 따르지 않으며 백성을 약탈하는 것을 낙으로 삼았다. 이에 와니노오미()의 선조 나니와노네코 타케후루쿠마()를 파견하여 죽였다.
일본서기 2권 닌토쿠 천황조[3]
일본서기》의 기술에 따르면 료멘스쿠나는 히다 지방에서 나타나 조정을 등지고 백성을 괴롭히다가, 조정의 명을 받은 무사 타케후루쿠마(武振熊)에게 퇴치되었다. 정사라 할 수 있는 《일본서기》에는 료멘스쿠나가 딱히 거구라는 묘사는 없지만, 야담이나 전설에서는 료멘스쿠나를 18장()에 달하는 거대한 오니()라고 묘사하기도 한다. 인도 신화아수라가 일본에 유입된 것이라는 설도 있다.

3. 현지의 전승

그러나 현지, 즉 현재의 기후현에 속하는 히다 지방과 미노 지방에서는 료멘스쿠나에 대해 상반되는 전승이 전한다. 현지의 전설에 따르면 료멘스쿠나는 확실히 모습이 기이하긴 하지만 백성을 괴롭히는 요괴나 악당이 아니라 못된 을 퇴치하고 불교를 전파하는 등, 영웅으로 전해진다. 센코지()를 비롯해 기후현의 오래된 사찰에서는 료멘스쿠나를 개산()[4]으로 모신다.

4. 도시전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료멘스쿠나(도시전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대중문화 속의 스쿠나

  • 괴이증후군 2에서 언급되었다. 일본멸절을 계기로 사람을 무자비하게 저주하고 죽일 수 있는 미라로 출현. 사람이라기보다는 인형같이 생겼다. 태워 죽이는 것으로 해당 시나리오가 끝난다.
  • 나루토에서 우치하 마다라의 2차 완성체 스사노오가 이 모습을 하였다.
  • 만화마법선생 네기마!》에서 '료멘스쿠나노카미'라는, 육체가 사라지더라도 죽지 않는 일종의 불사의 존재로 등장했다.
  • 신 하야리가미 3의 4번째 에피소드에서는 이야기의 중요한 소재로 등장한다. 작중 캐릭터의 입을 빌려 일본서기와 현지 전승, 현대 일본 괴담 속 료멘스쿠나의 차이점과 해석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이 나온다.
  • 울트라맨 티가에서는 이면귀 스쿠나오니라는 적 괴수로 등장해 티가와 승부를 벌였다.
  • 음양사의 식신 양면불이다.
  • 인왕 2에서 고난이도 보스로 등장한다.
  • 주술회전에서 저주의 왕으로 불리는데 주인공이 료멘스쿠나의 손가락을 삼킨 영향으로 그 인격이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작가 공인으로 전설이나 역사에 기록된 료멘스쿠나보다는 도시전설로서의 료멘스쿠나의 설정이 강한 인물이며, 작중 설정상으로도 그 당사자가 아니라 그저 눈과 팔이 4개인데 강함이 마치 료멘스쿠나와도 같다 하여 그런 이름이 붙여진 케이스. 료멘스쿠나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중 한국을 비롯한 일본 국외에서의 인지도가 가장 높다.
  • 만화지옥선생 누베》에서 한 차례 적으로 등장한다. 작중 나온 적들 중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들어갈 정도로 강력한 요괴다. 작중 부록인 요괴 백과사전에서도 언급되었다.
  • 카지리카무이카구라에 등장하는 천마 스쿠나의 모티브가 되었다.
  • 사이버체이스 (Cyberchase)에 등장하는 샘도 목이 두개다. 다만 이쪽은 머리만 두개고 팔다리는 각각 두개씩 있다. 게다가 머리가 두개라 대화도 나눈다.#

[1] 이 요괴의 종을 오니라고 보기도 하고 귀신이라고도 보기도 한다. 자세한 건 아래 항목 참조.[2] 현재의 기후현 북부에 해당한다.[3] 동북아역사재단 번역, <<역주 일본서기 2>>, 2013, p46에서 인용하되, 일본 지명과 인명을 일본어 음역으로 바꾸었다.[4] 절을 세운 창립자를 가리키는 불교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