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16:50:04

이세영(배우)



파일:이세영(배우) 로고.svg


{{{#!folding [ 출연 작품 ]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f202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width=10000> 활동 ||<width=25%> 방송 ||<width=25%> 콘텐츠 ||<width=25%> 원님 ||
<colbgcolor=#d1e3ec><colcolor=#143e5d> 이세영
李世榮 | Lee Seyoung
파일:이세영 프로필 사진.webp
출생 1992년 12월 20일 ([age(1992-12-20)]세)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관 전주 이씨 (全州 李氏)
신체 160cm[1], O형
가족 부모님, 언니 이세은[2]
반려묘 아리
학력 서울방배초등학교 (졸업)
서문여자중학교 (졸업)
서문여자고등학교 (졸업)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영상연기학 / 학사)
소속사 판타지오
{{{#!folding [ 이전 소속사 펼치기 · 접기 ]
종교 개신교(예장통합)
데뷔 1997년 SBS 드라마 《형제의 강
(데뷔일로부터 [dday(1997-04-02)]일, [age(1997-04-02)]주년)[3]
팬덤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원님(이세영)|{{{#!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d1e3ec;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143e5d;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원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원님(이세영)#|{{{#!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d1e3ec;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143e5d; border: 0.1px solid transparent"
원님}}}]]
#!if 문단 != null
[[원님(이세영)#s-|{{{#!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2px; border-radius: 5px 15px; background: #d1e3ec;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5em; color: #143e5d; border: 0.3px solid transparent"
원님}}}]]
'''
MBTI ISTJ / ISFJ[4][5]
별명 사또[6], 조선어피치, 연기천재, 인간 수묵담채화, 확신의 중전상, 230, 영프로디테, 토끼대장, 축덕[7], 사극 여신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8]
서명
파일:이세영(배우) 서명.png

1. 개요2. 생애
2.1. 데뷔 일화2.2. 성격2.3. 별명
3. 활동4. 출연 작품
4.1. 영화4.2. 드라마4.3. 뮤직비디오
5. 그 외 활동
5.1. 광고 및 화보5.2. 홍보대사5.3. 음반5.4. 라디오5.5. 방송5.6. 콘텐츠5.7. 오디오 관련5.8. 공연
6. 수상 경력7. 팬덤8. 여담9.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아역 배우 출신 배우.

1996년 SBS 드라마 '형제의 강'으로 데뷔하였으며[9], 수많은 작품에서 아역으로 활약했다. 2004년에 들어선 활동 영역을 넓혀 누군가의 어렸을 적이 아닌 배역을 맡기 시작한다. 특히 '아홉살 인생'과 '여선생 VS 여제자' 등 영화에서도 주연을 꿰차는 등 큰 관심을 받았다. 성장하면서 어릴 때의 외모를 그대로 간직한 채 자란 정변한 배우이며, 아역 배우 출신답게 대사가 없어도 연기가 되는 탄탄한 연기 내공과 정확한 발성, 섬세한 감정 연기를 잘 살리는 배우다.

2. 생애

2.1. 데뷔 일화

데뷔 동기가 특이하다. 이세영이 어려서 부터 예쁜 외모를 가지고 있었는데 태어났을 당시 아동 실종이나 유괴와 같은 사건사고가 많아[10] 얼굴이 알려지면 일단 사건사고를 당하더라도 목격자 진술 확보에 유리할 것이라 생각해서 모친은 이세영이 연예계에서 활동하길 바라왔었고, 이로 인해 배우의 길을 들어서게 되었다고 한다. #

2.2. 성격

영화 '여선생 VS 여제자'와 '아홉살 인생'의 극 중의 역할이 재수 없거나 버릇없는 캐릭터라서 그런지 일부 대중들에게 이세영은 차갑거나 도도할 것이라는 편견이 있었다. 그러나 본래 성격은 엉뚱하고 명랑한 성격으로 몇몇 아역 배우 출신들의 고질적인 왕따 문제[11]를 자신 또한 겪을까봐 일부러 학우들에게 연예인이라는 이미지를 많이 없애려고 노력했다고 한다. 밥을 일부러 많이 먹는 다던지 자기에게 누가 장난을 치면 같이 장난을 친다든지 그러면서 자연스레 성격이 엉뚱하고 명랑하고 통통튀는 성격이 된 듯 하다. 그럼에도 완전히 왕따 문제를 떨칠 수는 없었음을 밝히기도 했다.

노력형 인간으로 진학을 위해 배우 활동을 휴식하는데 이게 말로만 진학을 목표로가 아니라 새벽부터 노량진 학원으로 가 아침 강의를 듣고 밤 10시 집에 갈 때까지 공부를 했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정말로 진학을 하기 위해 열심히 한 것 같다. 또한 엄청 열정적이다. 2017년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의 종영과 최고의 한방, 화유기까지 주조연을 넘나들며 1년에 3개의 작품을 소화했다. 2018년까지 이어진 화유기, 주말 사용설명서 등 학업을 준비할 때 이후 거의 한 해도 빠짐없이 작품을 해왔다. 2019년, 2020년 각각 왕이 된 남자 - 의사요한, 메모리스트 - 카이로스 1년 꽉 채워 쉴틈 없이 활동했다.

성실함 또한 배우로서의 이세영을 설명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요소이기도 하다. 소속사 사무실 한 쪽에 아예 본인 자리[12]를 마련해 놓고 마치 직원처럼 출근을 한다. 작품 촬영이 모두 끝나 다음 작품에 들어가기 전까지 일이 없을 때에도 사무실에 출근해서 본인 자리에 앉아 대본을 연구하거나, 심지어 직원들이 모두 외근을 나가거나 해서 아무도 없을 때에는 혼자서 사무실을 청소하거나 하는 모습이 예능 관찰 카메라에 담긴 적도 있다. 다만 아침형 인간은 아닌 듯 오전에는 집에서 늘어져 있는 편이다.

인형 같은 외모만큼이나 예쁜 마음씨의 소유자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배우가 되기 위해, '장애인 인식 개선' 캠페인을 비롯하여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특히 '교육'에 관심이 많아서, 먼 훗날 아이들을 위하여 교육 재단을 만들고 싶다는 멋진 꿈을 지니고 있다. 관련 인터뷰 SNS를 통해서도 자선 활동에 참여하는 따뜻한 마음씨를 보여주고 있다.

2.3. 별명

'사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뜻은 '사랑스러운 또라이'로 사랑스러운 외모와 털털한 성격을 잘 나타내는 별명이다. 팬들도 사또라는 별명을 좋아한다.

'조선어피치'와 '인간 수묵담채화'라는 별명도 있다.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입고 나온 복숭아색 궁녀복이 너무 잘 어울리고 사랑스러워 생긴 별명이다.

'확신의 중전상'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 열녀박씨 계약결혼뎐과 같이 사극에서 한복을 입은 모습이 매우 아름답고 두상과 이마, 헤어라인, 콧날 어떤 것 하나 부족함 없이 쪽머리가 잘 어울려서 생긴 별명이다. MBC 드라마, 예능에 자주 출연해 왔다. MBC의 딸 MBC 공무원

이세영을 숫자로 해석(?)한 '230'으로 표현하기도 한다.[13]

3. 활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세영(배우)/활동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영(배우)/활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영(배우)/활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출연 작품

4.1. 영화

{{{#!wiki style="margin: 0px -11px; color: #143e5d"
{{{#!folding Filmography
{{{#!wiki style="margin-bottom: -11px"
<tablewidth=100%> 파일:영화 고독이 몸부림칠 때 포스터.jpg 파일:아홉살 인생.webp 파일:영화 여선생 VS 여제자 포스터.jpg 파일: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포스터.jpg
[[고독이 몸부림 칠 때|
고독이 몸부림칠 때
]]
조연
2004. 3. 19
이수인 감독 / 영희 역
[[아홉살 인생(영화)|
아홉살 인생
]]
주연
2004. 3. 26
윤인호 감독 / 장우림 역
[[여선생 VS 여제자|
여선생 VS 여제자
]]
주연
2004. 11. 17
장규성 감독 / 고미남 역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
조연
2005. 10. 7
민규동 감독 / 자스민 역
파일:열세살수아_이세영_포스터.jpg 파일:external/d4a785c0d6f922e68fa88235dc200af4951a4d58b05b5ac2cdbadfcda9c32f8b.jpg 파일:external/128d486885e8250e02d404746b9ba80b2069bf6e9a6ae1f837b560b26e25e3b9.jpg 파일:수성못_영화.jpg
[[열세살, 수아|
열세살, 수아
]]
주연
2007. 6. 14
김희정 감독 / 수아 역
[[무서운 이야기 2|
무서운 이야기 2
]]
주연
2013. 6. 5
김성호, 김휘, 정범식, 민규동 감독 / 세영 역
[[피끓는 청춘|
피끓는 청춘
]]
주연
2014. 1. 22
이연우 감독 / 최소희 역
[[수성못(영화)|
수성못
]]
주연
2018. 4. 19
유지영 감독 / 오희정 역
파일:호텔 레이크 포스터.jpg
[[호텔 레이크|
호텔 레이크
]]
주연
2020. 4. 29
윤은경 감독 / 유미 역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d1e3ec><rowbgcolor=#d1e3ec><rowcolor=#143e5d> 개봉 연도 || 제목 || 배역 || 비고 ||
2004년 고독이 몸부림 칠 때 영희 <colcolor=#000> 조연
아홉살 인생 장우림 주연
여선생 VS 여제자 고미남
2005년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자스민 조연
2007년 열세살, 수아 수아 주연
2012년 내 아내의 모든 것 장성기의 스토커 특별출연
청포도 사탕: 17년 전의 약속 은행 고객
2013년 무서운 이야기 2 세영 주연
2014년 피끓는 청춘 최소희
2018년 수성못 오희정[14]
2020년 호텔 레이크 유미
2022년 서울대작전 극장 직원 특별출연

4.2. 드라마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1e3ec><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d1e3ec><rowcolor=#143e5d><width=14%> 방영 연도 ||<width=10%> 방송사 ||<width=30%> 제목 ||<width=18%> 배역 ||<width=15%> 비고 ||
1997년 파일:SBS 로고(1994-2000).svg파일:SBS 로고(1994-2000) 화이트.svg 형제의 강 <colcolor=#000> 단역
1998년 엄마의 딸 박유진 조연
[[MBC TV|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1986-2005) 화이트.svg
MBC
]]
대왕의 길 청선군주
1999년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강재영 이나영 아역
파일:SBS 로고(1994-2000).svg파일:SBS 로고(1994-2000) 화이트.svg 약속 진주 조연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일요베스트 - 위험한 자장가[15] 임자민 주연
2000년 [[MBC TV|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1986-2005) 화이트.svg
MBC
]]
베스트극장 - 송이야 놀자[16] 강송이
베스트극장 - 그, 그녀에게 버림받다[17] 혜진 조연
온달 왕자들 여샛별
2001년
보고싶은 얼굴 이소담
2002년
선물 김다희
[[EBS 1TV|
파일:EBS 로고(2000-2004).svg파일:E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EBS
]]

TV로 보는 원작동화 - 교실 속의 로빈슨 크루소[18] 이해정 주연
[[MBC TV|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1986-2005) 화이트.svg
MBC
]]
내사랑 팥쥐 양송이 장나라 아역
부엌데기[19] 순실 조연
2003년 위풍당당 그녀 이은희 배두나 아역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술의 나라 이선희 김민정 아역
[[EBS 1TV|
파일:EBS 로고(2000-2004).svg파일:E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EBS
]]

춤추는 소녀 와와 2기 : 네오, 블랙과의 싸움[20] 별이 주연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드라마시티 - 디스코의 여왕[21] 강수지 조연
[[MBC TV|
파일:MBC 로고(1986-2005).svg파일:MBC 로고(1986-2005) 화이트.svg
MBC
]]
회전목마 성은교 장서희 아역
대장금 최금영 홍리나 아역
2004년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북경 내 사랑 장나라 조연
2005년 KBS HDTV 문학관 - 소나기[22] 소녀 주연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돌아온 싱글 이수진 조연
[[MBC TV|
파일:MBC 로고(2005-2011).svg파일:MBC 로고(2005-2011) 화이트.svg
MBC
]]
자매바다 송춘희 이윤지 아역
2007년 거침없이 하이킥[23] 이세영 특별출연[24]
2008년 코끼리 국세영 주연
2011년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드라마 스페셜 - 영덕 우먼스 씨름단[25] 차봉희
[[채널A|
파일:채널A 로고(2011-2024).svg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2011-2024).svg
채널A
]]
총각네 야채가게 한태인 조연
2012년
[[KBS 1TV|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1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1TV
]]
대왕의 꿈 천관녀
[[MBC TV|
파일:MBC 로고(2012-2023).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MBC
]]
보고싶다 한아름
2013년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결혼의 여신 노민정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드라마 스페셜 연작 시리즈 - 사춘기 메들리[26] 양아영 단막극 • 주연
[[MBC TV|
파일:MBC 로고(2012-2023).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MBC
]]
드라마 페스티벌 - 하늘재 살인사건[27] 김미수 조연
2014년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트로트의 연인 박수인 주연
2016년 [[OCN|
파일:OCN 로고(2001-2020).svg파일:OCN 로고(2001-2020) 화이트.svg
OCN
]]
뱀파이어 탐정 한겨울
2016년​~​2017년 [[KBS 2TV|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파일:KBS 2TV 로고(1984-2018) 화이트.svg
KBS 2TV
]]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민효원 조연
2017년
최고의 한방 최우승 주연
2018년
[[tvN|
파일:tvN 로고(2012-2021).svg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tvN
]]
화유기 정세라 조연
2019년 왕이 된 남자 유소운 주연

[[SBS TV|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SBS
]]
의사요한 강시영
2020년 [[Seezn|
파일:Seezn 로고.svg파일:Seezn 로고 화이트.svg
Seezn
]]
하와유브레드[28] 노미래[A]

[[tvN|
파일:tvN 로고(2012-2021).svg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tvN
]]
메모리스트 한선미
[[MBC TV|
파일:MBC 로고(2012-2023).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MBC
]]
카이로스 한애리
2021년​~​2022년 옷소매 붉은 끝동 성덕임
2022년 [[KBS 2TV|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KBS 2TV
]]
법대로 사랑하라 김유리
2023년​~​2024년 [[MBC TV|
파일:MBC 로고(2012-2023).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MBC
]]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박연우
2024년 [[쿠팡플레이|
파일:쿠팡플레이 로고 라이트.png파일:쿠팡플레이 로고 다크.png
쿠팡플레이
]]
사랑 후에 오는 것들 최홍
2025년 [[MBC TV|
파일:MBC 로고.svg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MBC
]]
모텔 캘리포니아 지강희
2026년 [[디즈니+|
파일:디즈니+ 로고.svg파일:디즈니+ 로고 화이트.svg
디즈니+
]]
재혼 황후 라스타

4.3. 뮤직비디오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1e3ec><rowbgcolor=#d1e3ec><tablebgcolor=#fff,#1c1d1f><rowcolor=#143e5d> 발표 연도 || 아티스트 || 곡명 ||
2002년 S.E.S. S.Ⅱ.S (Soul to Soul)
2008년 블랙 가슴아 그만
2011년 보이프렌드 내 여자 손대지 마
2014년 이승환 너에게만 반응해
정동하 If I

5. 그 외 활동

5.1. 광고 및 화보

5.1.1. 광고

<rowcolor=#143e5d> 연도 기업 브랜드 품목 비고
2001년 CJ제일제당 해찬들 - 태양초 고추장 식품
교원 빨간펜 학습지
2002년 윌로펌프 코리아 윌로펌프 의류 with 유승호
이솝 이솝 아동 의류
2003년~2006년 예신퍼슨스 마루
2007년 JCB주니어 기업 PR
농심그룹 새우깡 식품
2008년~2009년 LG생활건강 나나스비 화장품 with 샤이니
메이킹
영상
2011년 ㈜엔프라니 엔프라니 - 페이스 디자이너 오토
LG유플러스 LTE 통신사
2012년 롯데제과 빼빼로 - '패밀리' 편 식품 영상
삼천리자전거(주) 삼천리자전거 자전거 with 유아인
2013년 이베이코리아 옥션 쇼핑몰 전편
존슨앤존슨 클린 앤 클리어 화장품 with 설현
영상
영상
2017년~2019년 ㈜토니모리 토니모리 - 립캐시미어 메이킹
토니모리 - 퍼펙트 쇼킹립 1편
2편
3편
토니모리 - 더 블랙티 런던 클래식 세럼 with 서강준
1편
2편
빙그레 요플레 유제품 영상
영상
영상
영상
2018년 SG세계물산 에이비 플러스 의류
2020년 LG생활건강 예화담 화장품 영상
2022년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스포츠 웨더 코트 패션
갈더마 세타필 페이셜라인, 바디라인 화장품 영상
쿠팡 쿠팡플레이 OTT 서비스 영상
영상
빙그레 요플레 유제품 영상
베르사체 베르사체 향수 딜런터쿠아즈 향수
조셉앤스테이시 조셉앤스테이시 가방
2023년 베디베로 베디베로 안경 영상
빙그레 요플레 유제품 영상
2024년 닥터캡슐 영상
바나브 바나브 뷰티디바이스 영상
2025년 동광인터내셔날 SOUP 의류 영상
시세이도 시세이도 화장품 영상
영상
영상
르네휘테르 르네휘테르 헤어케어 영상
영상
메이킹

5.1.2. 화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세영(배우)/화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영(배우)/화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영(배우)/화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홍보대사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1e3ec><rowbgcolor=#d1e3ec><tablebgcolor=#fff,#1c1d1f><rowcolor=#143e5d> 역임 연도 || 기업/기관 || 직함 ||
2005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학기술부) 명예 우주홍보대사
2008년 서울특별시 제1회 서울시 10대 여성축제 홍보대사
2011년 에너지시민연대[30] 에너지시민연대 홍보대사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대 학생홍보대사
2017년~2018년 토니모리 전속모델
2018년 서울 강동경찰서 범죄예방 홍보대사
2022년 세타필 뮤즈
조셉앤스테이시
2024년~ 바나브
2025년~ SOUP
르네휘테르 앰버서더
메르시앤에스 뮤즈

5.3. 음반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1e3ec><rowbgcolor=#d1e3ec><tablebgcolor=#fff,#1c1d1f><rowcolor=#143e5d> 발매일 || 표지 || 앨범명 || 곡명 || 비고 ||
2004년 3월 19일 파일:26465.jpg 아홉살 인생 OST 우림이의 마지막 인사... 우림이의 목소리
2017년 6월 8일 파일:노래로 하는 고백.jpg 노래로 하는 고백 노래로 하는 고백
2017년 8월 4일 파일:최고의 한방 OST.jpg 최고의 한방 OST Propose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6월 28일 파일:이찬혁비디오 우산 앨범커버.jpg 우산 공항 가는 길[3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4. 라디오

<rowcolor=#143e5d> 출연 날짜 방송사 프로그램 역할 비고
2004년
3월 27일 MBC FM4U 정은임의 FM영화음악 게스트 with 김석
11월 30일 MBC 표준FM 옥주현의 별이 빛나는 밤에 with 이기찬
2013년
6월 23일 [[MBC FM4U|
파일:mbc-fm4u.png파일:mbc-4u-gray.png
MBC FM4U
]]
로이킴, 정준영의 친한친구 5부작 감성 드라마 출연
2015년
4월 14일 파일:EBS FM 로고.svg 책으로 행복한 12시, 문지애입니다 '사자가 있는 라이언 주점' 낭독
2016년
5월 20일 [[MBC FM4U|
파일:mbc-fm4u.png파일:mbc-4u-gray.png
MBC FM4U
]]
테이의 꿈꾸는 라디오 '레드카펫'의 열일곱번째 주인공
2018년
4월 18일 [[SBS 파워FM|
파일:SBS 파워FM 로고.svg파일:SBS 파워FM 로고 화이트.png
SBS 파워FM
]]
박선영의 씨네타운 게스트 with 김현준
2019년
9월 25일 파일:팟빵 아이콘.svg 송은이 김숙의 비밀보장 게스트 #
2020년
4월 28일 [[SBS 파워FM|
파일:SBS 파워FM 로고.svg파일:SBS 파워FM 로고 화이트.png
SBS 파워FM
]]
김영철의 파워FM 게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11월 4일 [[MBC FM4U|
파일:mbc-fm4u.png파일:mbc-4u-gray.png
MBC FM4U
]]
정오의 희망곡 게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월 28일 일일 DJ[3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2년
2월 2일 파일:팟빵 아이콘.svg 송은이 김숙의 비밀보장 게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월 5일 [[KBS 2FM|
파일:KBS CoolFM 로고.svg파일:KBS CoolFM 로고 화이트.svg
KBS CoolFM
]]
이기광의 가요광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3년
11월 22일 [[MBC FM4U|
파일:MBCFM4U_신로고.svg파일:MBCFM4U_White.svg
MBC FM4U
]]
두시의 데이트 재재입니다 게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5년
1월 9일 [[MBC FM4U|
파일:MBCFM4U_신로고.svg파일:MBCFM4U_White.svg
MBC FM4U
]]
정오의 희망곡 게스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5. 방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세영(배우)/방송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영(배우)/방송#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영(배우)/방송#|]]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6. 콘텐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세영(배우)/콘텐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영(배우)/콘텐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세영(배우)/콘텐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7. 오디오 관련

<rowcolor=#143e5d> 오디오 북
<rowcolor=#143e5d> 연도 플랫폼 제목 저자 링크
2021년 [[유튜브|
파일:유튜브 로고.svg파일:유튜브 로고.svg
유튜브
]]
어린 왕자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로고.svg 나만 몰랐던 이야기 2 밀알복지재단 오디오클립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rowcolor=#143e5d> 오디오 시네마
<rowcolor=#143e5d> 연도 플랫폼 제목 배역 링크
2020년 파일:네이버 로고.svg 두근두근두근거려 김지유 오디오클립

5.8. 공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식 팬미팅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bgcolor=#fff,#1c1d1f> 파일:영, 원: 순간의 교차점.jpg
영, 원: 순간의 교차점
일시

2023.04.02
}}}}}}}}} ||
<rowcolor=#143e5d> 날짜 국가 도시 제목 장소 비고
2023년
4월 2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서울 영, 원: 순간의 교차점 신한Play 스퀘어 라이브홀 [33]
12월 16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도쿄 DAY-YOUNG 도쿄 휴릭홀 [34]

6. 수상 경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1e3ec><rowbgcolor=#d1e3ec><tablebgcolor=#fff,#1c1d1f><rowcolor=#143e5d> 수상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비고 ||
2004년 제12회 춘사 나운규 영화예술제 아역상 아홉살 인생
2005년 KBS 연기대상 여자 청소년연기상 소나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6년 여자 신인상 월계수 양복점 신사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베스트 커플상 (with 현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7년 제5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2019년 제12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여자 우수연기상 왕이 된 남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SBS 연기대상 미니시리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의사요한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1년 MBC 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이준호) 옷소매 붉은 끝동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니시리즈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2년 KBS 연기대상 베스트 커플상 (with 이승기) 법대로 사랑하라
2023년 제50회 한국방송대상 최우수 연기자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MBC 연기대상 미니시리즈 부문 여자 최우수 연기상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4년 2024 브랜드고객충성도대상 여자배우(드라마)
2025년 2025 아시아 스타 엔터테이너 어워즈 팬초이스 커플 (with 사카구치 켄타로) 사랑 후에 오는 것들

7. 팬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원님(이세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님(이세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원님(이세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여담

외모
  • 아역 시절부터 코가 매우 날카롭고 높다.
  • 여배우 중에서도 상당히 이국적인 외모를 지녔으며, 그 덕에 서양권 국가의 여배우 몇몇과 닮았다는 소리가 나오곤 한다.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확신의 중전상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만큼 한복이 굉장히 잘 어울린다.

취향 및 관심사
친분
  • 배우 공승연과도 친분이 있어 우리결혼했어요(시즌4) 공승연, 이종현 가상 부부의 결혼식에도 참석했다.
  • 같은 소속사였던 배우인 류승룡과 친분이 있다. 류승룡을 보고 삼촌이라 말하며, 류승룡은 이세영을 조카처럼 여기는 듯 하다.[36]
취미

* 운동을 즐겨한다. 2017년 즈음 스쿼트를 800-1000회 했다고 밝혔다. 현재는 하지 않는다고 한다.[37]
* 평소 집에서 지내며 온갖 스포츠 종목들의 규칙들을 섭렵한 것으로 전해졌다. 프리미어리그를 즐겨본다고 하며 농구에도 관심이 많아 영상들을 많이 찾아봤다고 한다. 그리고 아는 형님에서 서장훈에게 레이업 슛과 그의 현역 시절 주력 기술이었던 페이드 어웨이를 직접 전수받기도 했다.
고양이 집사

* 고양이 집사다. 반려묘의 이름은 알이. 반려동물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공감하는 듯하다. 당근마켓에 쥐가 나와 도움을 요청하는 글을 올린 이웃을 돕기 위해 알이를 데려간 적이 있다.
성격
  • 상대방이 베푼 배려를 익숙해하거나 당연시 여기지 않고 항상 기억하고 감사해한다. 1998년 SBS 드라마 '엄마의 딸'에서 모녀 관계로 인연을 맺은 배우 임예진이 최고의 한방화유기에서 재회한 후 이세영이 보낸 편지를 인증하기도 했다.[38]
  • 예의가 바르며 주연으로서 현장 분위기를 편안하게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고 알려졌다. 내향적인 성격임에도 현장에서는 스태프들의 일을 돕거나 장난으로 분위기를 이끈다. 또한 모든 스태프들의 사진을 찍고 이름을 모두 적어서 외우는 것으로 유명하다. 왕이 된 남자에 함께 출연한 여진구는 "그런 건 처음 봤다"며 감탄했으며[39]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상선 역을 맡은 배우 윤효식은 설날 특집 방송에서 이세영을 향해 "온갖 칭찬을 다 하고 싶은 배우"라며 팬클럽에 가입했음을 진지하게 밝혔다.[40]
  • 매우 겸손하다. 정식 드라마 데뷔는 1997년이지만 단역 및 아역 활동 시작 자체는 1996년경으로 2024년 기준 만 28년의 경력이다. 옷소매 붉은 끝동에 함께 주연으로 출연한 준호는 이세영에 대해 "국장님 경력임에도 본인은 주연을 맡은 지 얼마 되지 않았다며 겸손해했다"고 언급했다.[41]
  • 공감능력이 뛰어나며 마음이 매우 여리다. 다른 사람들이 우는 모습을 보면 같이 따라 우는 경향이 있다. 드라마 마지막 촬영 때마다 헤어짐이 아쉬워 눈물을 보이곤 했다.
작품 관련

* 교과서에 얼굴이 많이 실린 연예인 중 한 명이다. 교과서에 '소나기', '아홉살 인생', '열세살, 수아'가 실려있다고 한다. 특히 TV문학관 소나기의 소녀 역은 여러 번 영상화된 것 중 가장 유명하며, 누군가의 아역이 아니고 주인공이었기에 아역 시절의 대표작이라고 할 만하다. 이후 영화 피끓는 청춘에서 그 캐릭터로 배우개그를 쳤다.
* 본격적으로 주연으로 자리매김한 2019년 이후에는 장르 드라마를 주로 했다. 본인도 무거운 정극을 선호하는 듯. 팬들은 예쁜 미모 죽이지 말고 가슴 절절한 멜로 작품 찍어달라고 아우성이다.
* '한태인 - 한아름 - 한겨울 - 한선미 - 한유미 - 한애리' 유독 한 씨 캐릭터를 많이 연기했다. 몇몇 팬들은 한겨울, 한선미, 한유미로 '한씨 3자매'로 부르기도 했다. 2020년 5월 카이로스의 캐스팅 확정이 나면서 '한씨 4자매로 불러야 하는 것 아니냐'며 즐거워했다. '한겨울, 한선미 제대로 붙으면 피 튀길 거 같다'는 일부 팬들의 말도 있다.
기타
  • 17살 때 무한도전에 출연한 적이 있다. 이때 노홍철이 간이사진관의 고객센터인 것처럼 속여서 그녀의 전화번호를 따려고 했다가, 무한도전 멤버들에게 끌어내어졌다.[42]
  • 성신여대 재학 시절 성적 장학금에 해당하는 학점을 받은 적이 있다.[43][44] 2018년 개봉한 수성못 관련 인터뷰에서 촬영 당시인 2015년에 배우로서 느낀 고민을 치열하게 사는 것으로 해소했다고 밝혔다.[45]
  • MBC 공무원이라고 불릴 정도로 특정 방송사의 드라마, 예능에 자주 출연해 왔다.[46]
  • 여중, 여고, 여대 테크를 탄 연예인들 중 하나이다.
  • 치마를 자주 입고 즐겨입는다고 한다.
  • {{{#!folding [ 주변인들 말 ]
6년 전에 만났을 때는 아역에서 성인 연기자로서의 자리를 잡아가던 과정이였기 때문에 두렵기도 하고 겁도 나는 시기였을 거다. 그러나 이번에 만났을 때는 주연 배우로서 완벽히 성장해 어떤 도움 없이도 극을 이끌고 심지어 저 또한 기댈 수 있는 부분을 많이 보여줘서 프로페셔널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신성록(배우) 카이로스
장난스러운 모습과는 다르게 세영 씨는 절대 대본을 손에서 놓지 않는다. 언제나 들고 다니며 뭔가를 잔뜩 적어놓고 리허설 중에도 계속 메모를 하더라. 스스로 연기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제가 오케이를 해도 다시 찍고 싶다고 꼭 얘기를 한다. 이유가 명확하고 새로운 걸 보여주고 싶은 배우의 요구를 거절할 감독은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다른 배우들과 다르게 모니터링은 따로 하지 않는다. 이유를 물어보면 '감독님이 알아서 할 테니 본인은 안 봐도 된다'고 한다. 최선을 다해 표현하고 감독에게 최대한 많은 선택지를 안겨주는 연기자이다.
정지인(감독) 옷소매 붉은 끝동
세영 누나는 너무 대선배님이다. 생각보다 편하게 다가와줬다. 대화도 많이 했고, 저한테 의견을 내주기도 했다. '여기서 이렇게 하면 어때?'라는 힌트를 주기도 해서 누나한테 많이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
유선호(배우) 열녀박씨 계약결혼뎐
이세영이 맡은 배역 자체가 우리 드라마에서 힘든 역할이었다. 일단 일본어 대사가 굉장히 많았다. 예를 들어 애정신에서 텐션을 올려 대사를 해야 하는데 그게 일본어였다. 아마 저보다도 이 시리즈에서 난이도가 높았을 거다. 일본어뿐만 아니라 현장에 들어오기 전까지 우리 눈엔 보여지지 않지만 쏟은 노력들이 무척 많았을 텐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렵다는 표현을 하지 않고 늘 현장 분위기를 즐겁게 만들어줬다.
사카구치 켄타로(배우) 사랑 후에 오는 것들
}}}

9. 둘러보기

파일:판타지오 로고 가로.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배우
백윤식 김미화 김현 김도연
최유정 옹성우 김선호 차은우
윤산하 문빈† 강예원 공민정
김누림 김시현 김준형 문유빈
박예린 박하은 박해인 배지완
백서빈 서준 송호준 안세민
이세영 이성경 이제연 이종욱
임지섭 전여진 정민규 정의제
조예림 진수현 최예진 최윤라
최준영 한기찬 현재연
가수
ASTRO 이창섭 LUN8 김은섭
방송인
서경석 이정수
연습생 관련 문서: i-Teen }}}}}}}}}
이세영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 한국방송대상
최우수 연기자상
박은빈
(2022년)
이세영
(2023년)
김태리
(2024년)
}}} ||
이세영의 주요 선정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포브스(기업)|
파일:포브스코리아 로고 화이트.png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위 - 20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포브스 코리아는 2009년부터 매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명인의 직업적 성취, 미디어 노출, 소셜 미디어 인기도, TV 출연 및 지난해 수입에 따라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를 선정하고 있다.
202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09년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BIGBANG 원더걸스 이효리 소녀시대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지성 이승엽 유재석 김태희
2010년
1위 2위 3위 4위 5위
김연아 소녀시대 박지성 이병헌 BIGBANG
6위 7위 8위 9위 10위
고현정 이승기 이효리 유재석 강호동
2011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박지성 김연아 이승기 2PM
6위 7위 8위 9위 10위
유재석 이청용 2AM 추신수 강호동
2012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아이유 카라 김연아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박지성 김태희 비스트 박태환
2013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싸이 소녀시대 손연재 김수현 BIGBANG
6위 7위 8위 9위 10위
박태환 송중기 아이유 김연아 SUPER JUNIOR
2014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소녀시대 BIGBANG 수지 류현진 EXO
6위 7위 8위 9위 10위
추신수 동방신기 SHINee 김연아 아이유
2015년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김수현 김연아 전지현 손연재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류현진 손흥민 소녀시대 씨스타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박지성 이종석 걸스데이 아이유 추신수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정우성 2NE1 에이핑크 현빈 비스트
2016년
1위 2위 3위 4위 5위
EXO 유아인 혜리 소녀시대 김수현
6위 7위 8위 9위 10위
BIGBANG 박인비 전지현 아이유 강정호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차승원 샤이니 김연아 황정민 유재석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손흥민 추신수 류현진 손연재 AOA
2017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박보검 송중기 TWICE EXO 방탄소년단
6위 7위 8위 9위 10위
수지 송혜교 김유정 조정석 오승환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이오아이 박신혜 유재석 류준열 이세돌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손흥민 지코 AOA 라미란 이대호
2018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Wanna One TWICE EXO 아이유
6위 7위 8위 9위 10위
송혜교 송중기 박보검 김연아 류현진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Red Velvet 수지 손흥민 정현 AOA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태연 정우성 전현무 김희선 이효리
2019년
1위 2위 3위 4위 5위
BLACKPINK 방탄소년단 Wanna One 강다니엘 Red Velvet
5위 7위 8위 9위 10위
박나래 홍진영 한지민 손흥민 EXO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류준열 유재석 배정남 아이유 유병재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설현 전현무 박보검 이병헌 정해인
}}}}}}}}} ||
2020년대 이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류현진 BLACKPINK 손흥민 봉준호
6위 7위 8위 9위 10위
전현무 박나래 이수근 TWICE 김희철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송가인 고진영 서장훈 유재석 장윤정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백종원 김남길 정해인 아이유 이강인
2021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류현진 손흥민 임영웅
6위 7위 8위 9위 10위
김광현 유재석 영탁 정동원 장윤정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이찬원 TWICE 아이유 박서준 장민호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이민호 차은우 백종원 나태주 김수현
2022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BLACKPINK 손흥민 류현진 이찬원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승기 임영웅 윤여정 유재석 장민호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아이유 박서준 장윤정 안정환 김연경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정동원 TWICE 이정재 이지아 이민호
2023년
1위 2위 3위 4위 5위
방탄소년단 손흥민 BLACKPINK 송중기 유재석
6위 7위 8위 9위 10위
임영웅 손석구 장민호 장윤정 영탁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박은빈 이준호 김지은 김희재 이승기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이찬원 조규성 아이유 윤아 이세영
2024년
1위 2위 3위 4위 5위
BLACKPINK 손흥민 NewJeans 김민재 임영웅
6위 7위 8위 9위 10위
이정후 지민 이강인 정국 IVE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차은우 장민호 이상민 덱스 안은진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이찬원 김호중 기안84 김하성 이준호
2025년
1위 2위 3위 4위 5위
아이유 손흥민 aespa 전현무 임영웅
6위 7위 8위 9위 10위
페이커 이정후 세븐틴 이강인 유재석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지수 차은우 이병헌 박보검 공유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이찬원 한강 변우석 이제훈 제니
}}}}}}}}} ||
}}}}}}}}} ||
[[포브스(기업)|
파일:포브스코리아 로고 화이트.png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1위 - 40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포브스 코리아는 2009년부터 매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명인의 직업적 성취, 미디어 노출, 소셜 미디어 인기도, TV 출연 및 지난해 수입에 따라 '포브스 코리아 파워 셀러브리티 40인'를 선정하고 있다.
202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15년
2016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백종원 유해진 하정우 이정재 김구라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걸스데이 신동엽 씨스타 기성용 이광수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이민호 태연 설현 지코 자이언티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전현무 하니 오달수 수지 이병헌
2017년
2018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G-DRAGON 박서준 정유미 공유 박성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이하늬 강호동 추신수 선미 윤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오승환 신동엽 이승기 하정우 보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류준열 강소라 백종원 볼빨간사춘기 홍진영
2019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TWICE 유연석 김태리 선미 이승기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화사 소녀시대 마마무 조보아 박서준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손예진 손나은 이영자 한혜진 박준형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백종원 GOT7 하정우 류현진 주지훈
}}}}}}}}} ||
2020년대 이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020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이승기 장도연 강하늘 손예진 홍진영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공효진 장성규 홍자 현빈 조여정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주지훈 도경완 권나라 김혜수 이청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한혜진 박보검 박항서 정미애 정찬성
2021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현빈 김호중 수지 김소연 주지훈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김수찬 손예진 박진영 성시경 이승기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김선호 박세리 이효리 김희애 김연경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조정석 나훈아 한소희 박신혜
2022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김수현 수지 김소연 박은석 영탁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강다니엘 전미도 한소희 송혜교 손예진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송가인 박신혜 이승윤 이무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아이린 안효섭 김혜수 김희재 박보검
2023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김준호 이종석 김지민 배다빈 송혜교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김세정 NewJeans 김태리 이승윤 정동원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박지현 김호중 안효섭 김민재 이정후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남주혁 김혜수 IVE 송가인 강태오
2024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유재석 손태진 엄정화 LE SSERAFIM 윤아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손석구 이승기 남궁민 영탁 아이유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박은빈 류현진 임지연 이세영 성시경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고윤정 박지현 정동원 박서진 신혜선
2025년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IVE 비비 김지원 로제 고민시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마동석 송혜교 정해인 김혜윤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장민호 리사 박서진 영탁 박서준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김도영 DAY6 수지 안세영 이세영
}}}}}}}}} ||
}}}}}}}}} ||

[1] 2023년 1월 16일 자신의 인스타 스토리를 통해 인증했다. 프로필상은 163cm이다.[2] 언니도 마찬가지로 아역 배우 출신이다. 계속 배우의 길을 걸은 동생과는 달리 배우를 그만두고 지금은 페르시아어 통·번역가로 활동 중이다.[3] 처음으로 출연한 드라마 '형제의 강' 첫 출연일(1997년 4월 2일)로 계산.[4] 인스타그램 라이브에서 밝혔다. 6분 45초, 36분 45초, 38분 7초[5]MBTI 항목에서 볼 수 있듯 정확한 MBTI는 아니니 주의.[6] 사랑스러운 또라이의 약자.[7] 축구팀에 소속되어 있을 정도로 좋아하며 토트넘 경기를 보는 스토리가 자주 올라온다.[8] 소속사 운영 공식 팬카페.[9] 1997년 이전에 이미 단역 및 아역 생활을 시작했으나, 정식 연기 데뷔는 형제의 강으로 이야기한다. #[10] 실제로 이세영이 태어나기 1~2년 전 개구리소년 실종 사건, 곽재은 유괴 살인 사건, 이형호 유괴 살인 사건이 발생했으며, 이세영이 배우로 데뷔하게 된 1997년에도 박초롱초롱빛나리 유괴 살인 사건이 발생했다.[11] 배우로서의 촬영 때문에 결석과 조퇴가 빈번할 테고 그런 이세영에게 학우들은 이질감을 느낄 수 있으며 시험 기간에만 등교하는 이세영의 모습을 불편한 시선으로 볼 수도 있다. 또는 동급생들이 아역 배우 출신 동급생의 인기를 질투해서 괴롭히는 경우도 상당수 있다.[12] 파티션에 책상, 사무용 의자까지 아주 본격적이다.[13] 본 문서 상단에 삽입된 틀에 있는 토끼 모양이 230으로 만든 것이다.[14] 2015년 촬영[15] 12월 5일 방영[16] 1월 7일 방영[17] 4월 28일 방영[18] 7월 26일 방영[19] 9월 21일 방영[20] 제9화 봄노래 / 4월 25일 방영[21] 6월 1일 방영[22] 5월 8일 방영[23] 143회, 6월 6일 방영[24] 극중 이민호에게 대시하는 여학생 중 한명으로 등장했다.[25] 6월 5일 방영[26] 7월 10일~7월 31일 방영[27] 12월 5일 방영[28] 제작 자체는 2016년에 했지만 여러사정으로 미뤄졌다가 2020년이 돼서야 간신히 공개되었다.[A] 웹드라마[30] 전국 254개 환경ㆍ소비자ㆍ여성 단체로 구성된 에너지 전문 비정부기구(NGO) 연대기구[31] 마이 앤트 메리의 곡을 리메이크한 노래다.[32] 드라마 옷소매 붉은 끝동 시청률 10% 달성 공약 이행[33] 첫 팬미팅[34] 일본 첫 팬미팅[35] 2022년 2월 27일 리즈 유나이티드 FC와의 경기 시청을 인증하면서 "가슴이 웅장해진다"라고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남긴 적이 있다.[36] 배우로서는 이세영이 훨씬 선배이다. 류승룡은 2004년 데뷔.[37] https://www.mk.co.kr/star/hot-issues/view/2022/08/690228/[38] 링크[39] https://www.cosmopolitan.co.kr/article/33435[40] https://m.newsen.com/news_view.php?uid=202201312258118010[41]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20105000603[42] 이 와중에 게스트로 출연한 이민우노홍철의 핸드폰을 압수하는 척하면서, 은근슬쩍 통화기록에 있는 이세영의 전화번호를 자기 핸드폰에 저장하려다가 멤버들에게 발각됐다(...).[43] http://www.iworld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85930[44] https://www.instiz.net/pt/3567083[45]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4/2018040402461.html[46] 찐친인 남규리도 MBC 공무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