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9 13:48:56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colbgcolor=#bc002d,#bc002d><colcolor=#fff,#fff>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
<nopad> 파일: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jpg
<nopad> ▲ 화재가 발생한 전산실
위기경보 심각
발생일자 2025년 9월 26일 20시 15분경
(사고일로부터 [dday(2025-09-26)]일)
발생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대로 755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유형 화재
원인 배터리 발화(추정)[감식중][2]
인명
피해
<colbgcolor=#bc002d,#bc002d><colcolor=#fff,#fff> 사망 0명
부상 1명[3]
재산 피해 조사 중[4]
동원 인원 약 242명
장비 차량 약 67대
영향 정부 전자시스템 96개 마비[5],
정부 정보시스템 709개 가동 중단[6],
온나라 서비스[7] 마비,
119 긴급출동 신고 시스템 부분장애[8],
우체국 우편·금융·보험 업무 마비[9][10]

1. 개요2. 사건 정황3. 원인4. 복구 현황5. 경과6. 피해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소방 설비 및 방재 체계 미비 논란7.2. 업무자료 클라우드 전량 소실7.3. 이중화 미비 및 예산 논란7.4. 국가전산망 복구 담당 공무원 사망 사건7.5. 이재명 부부 예능 촬영 논란
8. 후속 대응9. 반응
9.1. 정부
9.1.1. 대통령실
9.2. 정치권
9.2.1. 더불어민주당9.2.2. 국민의힘9.2.3. 개혁신당
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1. 개요

2025년 9월 26일 오후 8시 15분경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11]의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 이 화재로 정부 전자시스템이 마비되었다.[12]

2. 사건 정황

<nopad>파일:국자원 화재 지도.jpg
9월 26일
20시 15분 5층 제7전산실[13]의 무정전 전원 장치(UPS) 리튬이온 배터리가 폭발해 화재 발생
(배터리 지하 이전을 앞두고 사전 작업으로 배터리 전원을 잠시 내리는 과정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발생)
20시 20분 119 신고 소방당국에 접수
9월 27일
6시 30분 초진 완료
6시 40분 재발화·옥내 소화전 이용해 화재 진압
18시 완전 진화
21시 36분 전소된 배터리팩 서버 분리·방출
9월 28일
5시 30분 항온·항습기 재가동
7시 대전 분원 네트워크 50%,
핵심 보안장비 99% 이상 재가동
주요 피해 상황
  • 시스템 관리 업체 직원 1명 부상
  •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인터넷망 서비스 436개 등 대전센터 내 전체 정부 업무시스템 709개 가동 중단
    (정부 부처 홈페이지, 정부 온라인 민원 서비스 정부 24 등 7전산실 내 시스템 장애 96개 포함)
  • 전산실 배터리 팩 총 384개 모두 소실
출처1 출처2

3. 원인

"배터리 부속 전원 안 끊어"…'인재' 윤곽 드러나 /TV조선 2025.10.10.'''
국정자원 화재 "배터리 부속 전원 차단 안 해" / MBC 2025.10.11.'''

정부 업무시스템 마비 사태를 일으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는 공교롭게도 이렇게 배터리 화재 등으로 인해 서버가 피해를 입는 상황을 막기 위해 배터리를 서버와 떨어진 곳으로 옮기는 작업을 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결과 화재 원인이 업무상 부주의였다는 점이 드러났다. 배터리 이설을 위해서는 모든 전원을 차단했어야 했는데, 작업자들이 일부 전원은 끄지 않고 배터리를 옮겼다고 밝혀졌다. 로그기록에서도 최초 발화한 배터리의 충전율이 90%였던 사실을 확인했는데, 이는 후술되었듯이 배터리를 옮길 때 충전율을 30% 밑으로 떨어뜨려야 한다는 업계의 안전 지침을 지키지 않은 것이었다. # #

당시 전산실의 무정전 전원 장치(UPS)의 배터리와 서버 사이의 간격은 약 60 cm, 서버간의 간격은 약 1.2 m에 불과하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2022년 SK C&C 데이터센터 화재 사건을 계기로[14] 예산을 받아 화재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배터리를 지하로 내리는 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에 전산실 내 배터리팩 384개를 6개 조로 나눠 옮기기로 하고 우선 1개 조를 지하로 이전 완료한 상태였다. 2번째 조의 사전작업으로 작업자가 배터리 전원을 끄고 케이블을 단자 내에서 풀고 있던 중, 전원 차단 후 약 40분 뒤인 오후 8시 20분에 알 수 없는 이유로 배터리에서 불꽃이 튀었다. #

9월 29일 동아일보 등은 소방청 화재 상황 보고서에 화재 신고가 접수된 후 2시간 40분 가까이 배터리에 전원이 공급되었다며 작업자 과실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보도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 30일 대전소방본부는 해당 시점은 5층 전산실 전체 구획에 대한 전원공급 차단 시점이지 배터리 전원 차단 시점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 경찰은 5층 전산실 전기를 작업 전 차단한 내부 기록과 화재 현장의 작업자 진술 등을 종합해 당시 작업이 통상적인 전기·배선 등 작업 매뉴얼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했다. 앞선 보도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전체 전원 차단 시점과 오해가 생긴 것 같다"고 설명했다. #

10월 1일 국회 질의에서 배터리 이전 당시 배터리 충전 용량을 충분히 낮추지 않았음이 지적되었다.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이 "국내 대표 배터리 제조기업 2곳의 작업 가이드라인에는 배터리를 분리할 때 충전 상태를 30% 이하로 낮추어 작업한다고 돼 있다"며 보고받은 적이 있는지 질의하자, 이재용 정보관리원장은 화재 발생 당시 충전 용량(SOC)은 80% 정도였다고 답변했다. ## 박용성 한국ESS산업진흥회 고문은 "리튬 배터리는 전원을 차단해도 내부에 전류가 남아 있어 충격을 받으면 언제든 폭발할 수 있다"며, "2~4시간 정도 방전 작업을 거쳐 배터리 충전율을 30%로 낮춰야 하는데, 정보자원관리원 작업자들은 전원을 내린 지 30분 만에 작업을 시작"하여 "충분히 방전을 하지 않아 불안정한 상태인 배터리에서 불이 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 또한 "배터리 충전율을 50% 이하로만 낮춰도 화재 위험이 거의 없다"고 밝혔다. #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제품은 2014년 프랑스의 슈나이더일렉트릭에서 UPS에 2012~2013년 생산된 LG에너지솔루션의 54V 리튬이온배터리와 LG CNS가 설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장착하여 정부에 납품한 것으로, 2024년 8월부로 배터리 사용 연한이 지났으나 교체 권고를 수용하지 않았음이 밝혀졌다. UPS 구축업체와 LG CNS는 2024년 6월 정기 시설 안전 점검 결과 기능은 정상이지만 배터리 시스템 교체 시기가 2024년 8월인 것을 확인하고 정부에 설비 교체를 권고했다. LG에너지솔루션도 무정전전원장치(UPS)용 배터리셀의 품질 보증 기간(10년)이 끝나기 전에 교체를 권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명이 다했다고 곧바로 결함이 생기는 건 아니지만,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 미래에너지융합학과 교수는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기한보다 더 쓰면 전해액 유출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했다. #

4. 복구 현황

분류 영향받은 시스템 복구 중 복구 완료
1등급 40개 2개 38개 (95.0%)
[ 목록 펼치기 · 접기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금융기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계정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MCI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포털_메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공통·기초정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국제우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통합플랫폼(ESB·XMLEDI)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종적추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집배관리(집배이미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통합접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포털_계약EMS·택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포털_기업간연계·다량등기·전자우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ePOST_메인·택배·EMS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ePOST_쇼핑
  • 국가보훈부 - 통합보훈(통합보훈정보시스템)
  • 국무조정실 - 국정관리
  • 국민권익위원회 - 국민신문고 서비스
  • 국토교통부 -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
  • 기획재정부 - 대표홈페이지
  • 법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 보건복지부 -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
  • 조달청 - 조달 도메인(DNS) 관리
  • 조달청 - 조달 스토리지 관리
  • 조달청 - 차세대_종합쇼핑몰
  • 조달청 - 차세대_나라장터
  • 행정안전부 - 모바일신분증플랫폼[제한]
  • 행정안전부 - 모바일신분증 주민등록증
  • 행정안전부 - 공공데이터포털
  • 행정안전부 - 행정전자서명인증센터(GPKI)
  • 행정안전부 - 전자문서진본확인센터
  • 행정안전부 - 정부디렉터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전자문서유통시스템
  • 행정안전부 - 문서24
  • 행정안전부 - 정부24_대민
  • 행정안전부 - 주민등록시스템
  • 행정안전부 -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 행정안전부 - 국민비서
  • 행정안전부 - 국민비서_알서비스
2등급 68개 11개 57개 (83.8%)
[ 목록 펼치기 · 접기 ]
*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 홈페이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우본 통합홈페이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채널서비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자동화기기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마케팅허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결산·고객·운송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문자서비스(SMS)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우편번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배달관리·집배PDA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우편고객센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택배·EMS(PDA포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판매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ePOST_메일처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ePOST_우편서비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ePOST_B2B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행정포털 시스템
  • 교육부 - 교육부 대표홈페이지[제한]
  • 교육부 - 내부 업무포털[제한]
  • 교육부 - 학교급식정보마당
  • 국가데이터처 - 대표홈페이지
  • 국무조정실 - 대표홈페이지
  • 금융위원회 - 대표홈페이지
  • 기후에너지환경부 - 대표홈페이지
  • 문화체육관광부 - 대표홈페이지
  • 법제처 - 대표홈페이지[제한]
  • 법제처 - 법제교육시스템
  • 법제처 - 정부입법시스템
  • 보건복지부 - 연명의료정보처리시스템[제한]
  • 보건복지부 - 차세대(복지로)대국민복지포털
  • 보건복지부 - 사회서비스 정보시스템
  • 보건복지부 - 사회복지시설정보
  • 보건복지부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제한]
  • 소방청 - 119위치정보
  • 소방청 - 119다매체신고
  • 소방청 - 대표홈페이지
  • 조달청 - 목록정보
  • 조달청 - 하도급지킴이
  • 조달청 - 차세대_누리장터
  • 조달청 - 차세대_조달데이터허브
  • 조달청 - 대표홈페이지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부 홈페이지[제한]
  • 해양수산부 - GICOMS 상황관리
  • 행정안전부 - 간편인증
  • 행정안전부 - 모바일신분증 공무원증
  • 행정안전부 - 중앙영구기록관리(CAMS)
  • 행정안전부 - 국가기록포털
  • 행정안전부 - 온메일
  • 행정안전부 - 정부원격근무서비스
  • 행정안전부 -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주민연계)
  • 행정안전부 - 복합인증시스템
  • 행정안전부 - 모바일대민보안공통기반시스템
  • 행정안전부 - 상훈시스템
  • 행정안전부 - 영문국민재난안전포털[제한]
  • 행정안전부 - 정부업무관리시스템(클라우드온-나라)
  • 행정안전부 - 1365자원봉사포털[제한]
  • 행정안전부 - 주소정보관리시스템(KAIS)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홈페이지
3등급 261개 46개 215개 (82.4%)
[ 목록 펼치기 · 접기 ]
* 감사원 - OASYS
  • 감사원 - 감사원홈페이지[제한]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업무포털[제한]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털린내정보찾기
  • 고용노동부 - kmc(산하기관)시스템
  • 고용노동부 - 메일시스템
  • 고용노동부 - 다우리포털시스템
  • 고용노동부 - 배우리시스템
  • 고용노동부 - 과태료관리시스템
  • 고용노동부 - 컨텐츠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홈페이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원_주파수자원분석 (전파연구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원_홈페이지 (전파연구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원_방송통신통합 (전파연구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기정통부_홈페이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본부_업무포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새로e아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ERP 재정경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전자결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지식누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ERP 연계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고객센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정보분석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경영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업무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연계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서비스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정보보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배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포털_기업물류운송·창고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상황관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손해배상(사고우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우편DW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차량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ePOST_검색·우표포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ePOST_통합관리자·로그분석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행안부_공개API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주소분석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종합상황보고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메신저알리미
  • 관세청 - 관세청홈페이지
  • 관세청 - 내부정보통합
  • 관세청 - 빅데이터
  • 교육부 - DNS
  • 교육부 - 맞춤형업무정보
  • 교육부 - 한국사능력검정[제한]
  • 교육부 - 재외교육홈페이지
  • 국가데이터처 - 지표누리[제한]
  • 국가데이터처 - 행정자료통합
  • 국가데이터처 - 개별업무통합(UBIS,통계교육원,조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성과관리
  • 국가데이터처 - 외부자료수집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2020 e-Census 인구주택총조사
  • 국가데이터처 - 2020 e-Census 농림어업총조사
  • 국가데이터처 - 2020 e-Census 공통
  • 국가데이터처 - 2020 e-Census 업무관리
  • 국가데이터처 - 차세대Census
  • 국가데이터처 - 근로자인사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통계빅데이터센터
  • 국가데이터처 - 데이터융복합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자연재해통계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
  • 국가데이터처 - 나라통계
  • 국가데이터처 - SGIS 오픈플랫폼
  • 국가데이터처 - 국가통계포털
  • 국가데이터처 - 보건분류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빅데이터 통계작성 통합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통계DB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통합통계(사회통계, 업무통계, 지원통계)
  • 국가보훈부 - 임시정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홈페이지)[제한]
  • 국가보훈부 - 대표홈페이지 (국가보훈부 홈페이지, 국립서울현충원홈페이지)
  • 국가보훈부 - 보훈나라
  • 국가보훈부 - 국립묘지 (국립묘지안장신청시스템, 대전현충원홈페이지)
  • 국가보훈부 - 취업지원(취업정보시스)
  • 국가보훈부 - 보훈심사
  • 국가보훈부 - 제대군인(제대군인전직지원시스템(V-net))
  • 국무조정실 - 프라임넷
  • 국무조정실 - 내부정보화
  • 국무조정실 - 대테러센터홈페이지
  • 국무조정실 - 조세심판정보시스템
  • 국민권익위원회 - 국민신문고 업무지
  • 국토교통부 - 화물운송실적관리시스템(FPIS)
  • 국토교통부 - 국가물류통합정보시스템(NLIC)
  • 금융위원회 - 내부 업무포털
  • 금융위원회 - 국회업무관리
  • 금융위원회 - 심사분석
  • 금융위원회 - 인허가등록신고(외부)
  • 기획재정부 - 영문홈페이지
  • 기획재정부 - 국회업무지원
  • 기획재정부 - 국문홈페이지 연계서비스
  • 기후에너지환경부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배출권등록부시스템(ETRS)
  • 기후에너지환경부 -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NGMS)
  • 기후에너지환경부 - 화학물질안전원_종합정보시스템
  • 기후에너지환경부 - 국가물관리위원회 홈페이지
  • 문화체육관광부 - 다국어포털시스템 코리아넷
  • 문화체육관광부 - 재외한국문화원 행정지원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내부메일(나루메일)
  • 문화체육관광부 - 공직자통합메일 백업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공직자통합메일 수발신
  • 문화체육관광부 - 공직자통합메일 관리서비스
  • 문화체육관광부 - 공직자통합메일 스팸
  • 문화체육관광부 - 공직자통합메일 예비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소통나눔방
  • 문화체육관광부 - 정책메일서비스
  • 문화체육관광부 - 내부 업무포털(나루)[제한]
  • 문화체육관광부 - 지식관리시스템[제한]
  • 문화체육관광부 -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홈페이지
  • 문화체육관광부 - 시군구행정
  • 문화체육관광부 - 대표홈페이지 업무지원
  • 문화체육관광부 - 내부 업무포털 지원
  • 문화체육관광부 - 내부 업무 지원
  • 문화체육관광부 - 해킹메일방어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국제문화홍보정책실(Kocis)[제한]
  • 문화체육관광부 - 재외한국문화원
  • 문화체육관광부 - e브리핑
  • 문화체육관광부 - 정책브리핑[제한]
  • 문화체육관광부 - e브리핑 업무지원
  • 문화체육관광부 - 정책브리핑 업무 지원[제한]
  • 문화체육관광부 - 공직자통합메일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모바일 공직자통합메일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바로알림서비스
  • 문화체육관광부 - 불법온라인도박감시시스템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 민주평통홈페이지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 통합관리시스템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 메일시스템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 본부_통합재난관리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 방통위_통합메일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 방통위_업무포털[제한]
  • 법제처 - 법제업무포탈시스템[제한]
  • 법제처 - 생활법령정보시스템[제한]
  • 법제처 - 세계법제정보센터
  • 보건복지부 - 장기조직혈액통합관리시스템
  • 보건복지부 - 첨단재생의료포털
  • 보건복지부 - 정신건강사례관리
  • 보건복지부 - 기관홈페이지및행정지원시스템
  • 보건복지부 - 진료정보교류시스템
  • 보건복지부 - (차세대)내부_거버넌스
  • 보건복지부 - (차세대)내부_공통보안
  • 보건복지부 - (차세대)내부_사회보장_DW.빅데이터
  • 보건복지부 - (차세대)내부_사회보장_지원
  • 보건복지부 - (차세대)외부_거버넌스
  • 보건복지부 - (차세대)외부_업무지원
  • 보건복지부 - (차세대)외부_복지로_지원
  • 보건복지부 - (차세대)외부_사회서비스_DW.빅데이터
  • 보건복지부 - (차세대)외부_사회서비스_그룹웨어.ERP
  • 보건복지부 - (차세대)외부_사회서비스_바우처결제[제한]
  • 보건복지부 - 자활정보시스템
  • 보건복지부 -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 보건복지부 -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 산업통상부 - 광업정보시스템
  • 산업통상부 - 전략물자관리
  • 산업통상부 - 업무포털
  • 산업통상부 - 통합조직관리시스템
  • 산업통상부 - 국문대표홈페이지
  • 산업통상부 - FTA통합포탈
  • 산업통상부 - 광업등록사무소홈페이지
  • 소방청 - 국가화재정보[제한]
  • 소방청 - 안심콜
  • 소방청 - 구조생활안전활동정보시스템
  • 소방청 - 119안전신고
  • 소방청 - 업무포털
  • 원자력안전위원회 - 전자메일
  • 원자력안전위원회 - 홈페이지[제한]
  • 원자력안전위원회 - 내부포털[제한]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대표홈페이지)
  • 조달청 - 나라장터 문서출력
  • 조달청 - 홈페이지(해외조달, 글로벌코리아, 공공녹색구매)
  • 조달청 - 일자리지킴이
  • 조달청 - 차세대_벤처나라
  • 조달청 - 차세대_디지털서비스몰
  • 조달청 - 국유재산조사관리
  • 조달청 - 공사원가통합관리
  • 조달청 - 혁신조달플랫폼(혁신장터)
  • 중소벤처기업부 - 기업지원플러스
  • 질병관리청 - 질병관리청 대표누리집[제한]
  • 질병관리청 - 방역통합정보시스템
  • 질병관리청 - 코로나19 예방접종
  • 해양수산부 - 내부업무포털
  • 해양수산부 - LRIT 청해부대 연계
  • 해양수산부 - GICOMS 웹모바일
  • 해양수산부 - 해양환경정보 통합관리체계
  • 해양수산부 -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 해양수산부 - 스마트수산정보통합시스템
  • 행정안전부 - 국가재난안전교육원
  • 행정안전부 - 행정안전부 암호이용기반시스템
  • 행정안전부 - 재난안전의무보험종합정보시스템[제한]
  • 행정안전부 - 기록관리교육훈련
  • 행정안전부 - 강제동원자명부
  • 행정안전부 - 국가재난안전교육원 교육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nSIMS(빅데이터 로그분석 시스템)
  • 행정안전부 - 모바일메시지서비스
  • 행정안전부 - nTEMS(통합이벤트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재난관리업무포털[제한]
  • 행정안전부 - 재난관리업무포털통합GIS[제한]
  • 행정안전부 - 접근제어_비밀번호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전자관보시스템
  • 행정안전부 - 하모니시스템
  • 행정안전부 - 국가기준정보[제한]
  • 행정안전부 - 온나라 이음
  • 행정안전부 - 국민비서_상담서비스(챗봇)
  • 행정안전부 - 정부OTP발급시스템
  • 행정안전부 - 행정전자서명인증센터(GPKI)_교육부게이트웨이
  • 행정안전부 - 행정전자서명인증센터(GPKI)_지원
  • 행정안전부 - 디지털원패스
  • 행정안전부 - 현장인파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통합재난문자시스템
  • 행정안전부 - GIS기반통합상황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정부업무관리시스템(클라우드온-나라)_배치
  • 행정안전부 - 클라우드공통기반시스템
  • 행정안전부 - 전자문서유통지원센터(지원업무)
  • 행정안전부 - 정부24_관리
  • 행정안전부 - 비영리지원사업관리시스템(NPAS)
  • 행정안전부 - 온나라지식 (표준업무포털)
  • 행정안전부 - 디지털서비스플랫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인트라넷
4등급 340개 61개 279개 (82.1%)
[ 목록 펼치기 · 접기 ]
* 감사원 - 메신저 및 대량메일
  • 감사원 - OASYS 지원
  • 감사원 - 감사자료분석시스템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안건관리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소통플랫폼(온마당)[제한]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노출대응시스템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개인정보보호종합지원포털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가명정보활용종합지원플랫폼[제한]
  • 경제사회노동위원회 - 홈페이지[제한]
  • 고용노동부 - 데이터품질관리
  •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통계조사 정보시스템
  • 고용노동부 - 퇴직연금취급실적관리시스템
  • 고용노동부 - 도서관리
  • 고용노동부 - 메신저
  • 고용노동부 - 공공부문 비정규직 고용개선 시스템
  • 고용노동부 - 산업재해보상보험재심사위원회 홈페이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원_업무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원_TV유휴주파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연구원_정보공유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본부_고충민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본부_업무지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본부_자료공유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본부_감사정보공유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학사행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ERP 전략경영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표준기록관리(RMS)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ERP 원가·형상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IT종합상황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시스템관리(개발·백업·모니터링)[제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고객정보보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관제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시스템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빅데이터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백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교육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체국금융_개발테스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우편_개발·테스트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다량메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시스템공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우편정보_운영정보·형상관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본부_전자도서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중관소_홈페이지 (중앙전파관리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중관소_민원처리 (중앙전파관리소)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본부_회계분석[제한]
  • 과학시술정보통신부 - 사무경영_ERP부가세, 나라장터연계
  • 관세청 - 시스템관리
  • 관세청 - 개발테스트
  • 관세청 - 업무지원
  • 교육부 - 모바일오피스[제한]
  • 교육부 - 사학분쟁조정
  • 교육부 - 영문홈페이지[제한]
  • 교육부 - 교육부 디지털도서관
  • 교육부 - 사교육카르텔부조리
  • 교육부 - 교원소청[제한]
  • 교육부 - 행복한교육[제한]
  • 교육부 - 업무메일
  • 교육부 - 사회정책대표누리
  • 국가데이터처 - 원격탐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업무관리
  • 국가데이터처 - 백업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업무개발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EA/PMS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근평처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정보보호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도서관리
  • 국가데이터처 - 사망원인선정
  • 국가데이터처 - 2020 e-Census 경제총조사
  • 국가데이터처 - 대용량인공지능자료분석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연구종합관리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초중등실용통계교육시스템(통그라미)
  • 국가데이터처 - 통계인재개발원
  • 국가데이터처 - GIS기반 통계조사 업무지원시스템
  • 국가데이터처 - 개인정보접속기록관리시스템
  • 국민경제자문회의 - 홈페이지
  • 국가보훈부 - 보훈상담 (장관과의대화)
  • 국가보훈부 - 보훈배움 (나라사랑배움터)
  • 국가보훈부 - ITSM
  • 국가보훈부 - 병무연계
  • 국가보훈부 - 상이판정
  • 국가보훈부 - 현충시설 (현충시설정보시스템)
  • 국가보훈부 - AI보훈[제한]
  • 국가보훈부 - 보훈연계
  • 국가보훈부 - 개인맞춤(나만의예우웹사이트)
  • 국가보훈부 - 포상심사(포상심사관리시스)
  • 국가보훈부 - 문서관리('통합보훈'부속시스)
  • 국가보훈부 - 재가복지
  • 국무조정실 - 대테러인권보호관홈페이지
  • 국무조정실 - 시민사회소통
  • 국무조정실 - 공적개발원조(ODA)
  • 국무조정실 - ODA통합보고
  • 국무조정실 - 통합중계 및 모니터링
  • 국무조정실 - 정부업무평가포털
  • 국무조정실 -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홈페이지
  • 국무조정실 - 출입기자단 홈페이지
  • 국토교통부 - 지적재조사행정시스템(바른땅)[제한]
  • 국토교통부 - 용산공원홈페이지
  • 국토교통부 - 정보화사무지원시스템
  • 금융위원회 - 공적자금관리위원회
  • 금융위원회 - 금융규제민원포털
  • 금융위원회 - 내부 업무지원
  • 금융위원회 - FIU홈페이지
  • 금융위원회 - 인허가등록신고관리(내부)
  • 기획재정부 - 디브레인
  • 기획재정부 - 경제교육종합포털[제한]
  • 기획재정부 - FTA협정관세율표관리시스템
  • 기획재정부 - 국제금융기구
  • 기획재정부 - 경제디지털도서관
  • 기획재정부 - 어린이홈페이지
  • 기획재정부 - 국문 관리자시스템
  • 기획재정부 - e재정배움
  • 기획재정부 - 개인정보수집필터링 및 내부 업무관리
  • 기획재정부 - 복권위원회홈페이지
  • 기획재정부 - 협동조합홈페이지
  • 기획재정부 - 협동조합행정시스템
  • 기후에너지환경부 - 전기위원회 홈페이지
  • 기후에너지환경부 -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 시스템
  • 기후에너지환경부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대표홈페이지
  • 기후에너지환경부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_상쇄등록부시스템(ORS)
  • 기후에너지환경부 - 한국환경공단_화학물질정보처리시스템
  • 기후에너지환경부 - 한국환경공단_사고대응정보시스템
  • 대통령비서실 - 범용이관파일생성기
  • 문화체육관광부 - 외신지원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수사지원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미디어정기간행물 등록관리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코리아넷 집배신 시스템
  • 문화체육관광부 - 청와대국민개방 홈페이지
  • 문화체육관광부 - 출판사인쇄사검색 시스템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 사무처지원서비스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 방통위_업무지원[제한]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 방통위_자료관리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 방통위_조사심결[제한]
  •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 방통위_징수관리
  • 방송미이더통신위원회 - 방통위_전자회의[제한]
  • 법제처 - 디지털법제정보자료관
  • 법제처 - 창의지식광장
  • 법제처 - 국가법령업무지원[제한]
  • 법제처 - 법제지원시스템[제한]
  • 보건복지부 -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인증관리포털
  • 보건복지부 - 사회보장위원회
  • 보건복지부 - 도서관리
  • 보건복지부 - 디지털돌봄시스템
  • 보건복지부 - 면허관리정보시스템
  • 보건복지부 - 보건·복지 통합개방DB
  • 보건복지부 - 보건의료빅데이터플랫폼
  • 보건복지부 - (차세대)내부_공통지원
  • 보건복지부 - (차세대)내부_사회보장_기능검증.교육
  • 보건복지부 - (차세대)내부_사회보장_재해복구
  • 보건복지부 - (차세대)외부_공통지원
  • 보건복지부 - (차세대)외부_사회서비스_기능검증.교육
  • 보건복지부 - 취약노인지원시스템
  • 보건복지부 - 장애인건강보건관리포털
  • 보건복지부 - 사회복지공제회
  • 보건복지부 - 휴ㆍ 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보관시스템
  • 보건복지부 - 휴 ㆍ폐업 의료기관 진료기록보관시스템_업무지원
  • 산업통상부 - 경제자유구역홈페이지
  • 산업통상부 - 자유무역지역 통합홈페이지
  • 산업통상부 - 무역구제
  • 산업통상부 - 변화관리
  • 산업통상부 - 사이버도서관
  • 산업통상부 - 업무연락방
  • 산업통상부 - 인터넷포털
  • 산업통상부 - 국회업무관리
  • 산업통상부 - 영문홈페이지
  • 산업통상부 - 성과관리
  • 산업통상부 - 무역위원회홈페이지
  • 산업통상부 - 모바일업무
  • 소방청 - 화재안전기술기준정보시스템
  • 소방청 - 중앙119구조본부홈페이지
  • 소방청 - 시도긴급구조표준
  • 소방청 - 소방인사행정정보
  • 소방청 - 공공데이터 개방시스템
  • 소방청 - 위험물통합정보시스템
  • 소방청 - 국립소방연구원 홈페이지
  • 여순ㆍ순천10ㆍ19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 여순사건 홈페이지
  • 인사혁신처 - 노하우플러스
  • 인사혁신처 - 비위면직조회
  • 인사혁신처 - 음성자동동보
  • 인사혁신처 - 국외출장연수정보시스템
  • 조달청 - 공사비정보광장
  • 조달청 - 이음장터
  • 조달청 - 업무지원(전자메일,조달샘터,SMS,DRM,ITSM,딥러닝)
  • 조달청 - 백업/관리/모니터링
  • 조달청 - 차세대_나라장터 캐비닛
  • 조달청 - 차세대_업무지원(백업/관리/모니터링/개발/테스트/백신)
  • 조달청 - 성과마당
  • 조달청 - 개발/테스트
  • 조달청 - 조달교육학사
  • 조달청 - 공공조달계약이행확인
  • 지방시대위원회 - 홈페이지
  •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 진실화해위원회홈페이지
  •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 조사정보시스템
  • 질병관리청 - 임상연구정보서비스[제한]
  • 질병관리청 - 국립검역소 누리집
  • 질병관리청 - 전자연구노트시스템
  • 질병관리청 - 국립보건연구원 대표홈페이지
  • 질병관리청 - 감염병정보 분석시스템
  • 질병관리청 - 기관생명윤리위원회시스템
  • 질병관리청 - 국가병원체 자원관리누리집
  • 질병관리청 - 공통시스템
  • 해양수산부 - 무인도서정보관리시스템
  • 해양수산부 - 어촌어항관리시스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통계시스템[제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 정보화지원시스템[제한]
  • 해양수산부 - 도서관리시스템
  • 해양수산부 - 모바일단말기 관리시스템
  • 해양수산부 - 해양안전심판원 홈페이지[제한]
  • 해양수산부 - 지능형 해양수산재난정보[제한]
  • 해양수산부 - 선박전자증서발급시스템
  • 해양수산부 - 스마트어업관리시스템
  • 해양수산부 - 해상교통안전진단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 지식정보시스템[제한]
  • 해양수산부 - 연안관리정보시스템[제한]
  • 해양수산부 - 해양수산정보 공동활용체계[제한]
  • 해양수산부 - 해운항만물류 시스템관리[제한]
  • 해양수산부 - 항만건설사업 정보시스템
  • 행정안전부 - 비문서유통
  • 행정안전부 - 유도선정보시스템
  • 행정안전부 - Any-ID플랫폼
  • 행정안전부 - 자치단체청백e
  • 행정안전부 -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 대일위원회
  • 행정안전부 -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대표홈페이지
  • 행정안전부 - 영구보존포맷변환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기록물광학문자인식시스템
  • 행정안전부 - 웹기록물관리
  • 행정안전부 - 기록물 관리평가
  • 행정안전부 - 전자서명 장기검증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전자기록기술정보체계(DFR)
  • 행정안전부 - 행정정보데이터세트종합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방문자관리
  • 행정안전부 - 취약점 진단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인공지능 기반 차세대 보안시스템
  • 행정안전부 - 개인정보노출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홈페이지통합기반시스템
  • 행정안전부 - 통합개방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데이터품질관리체계시스템
  • 행정안전부 - 성과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행정표준코드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정부디렉터리시스템_홈페이지
  • 행정안전부 - 범정부 공통기반 영상회의
  • 행정안전부 - 경보방송TV자막
  • 행정안전부 - 모바일신분증 진위확인
  • 행정안전부 - 행정안전부도서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안전기준등록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재난안전산업정보공유통합포털
  • 행정안전부 - 주민등록시스템_행정지원
  • 행정안전부 - 재난관리업무포털_소하천
  • 행정안전부 - 재난관리업무포털_풍수해보험
  • 행정안전부 - 재난관리자원통합관리[제한]
  • 행정안전부 - 정부청사관리본부대표홈페이지
  • 행정안전부 - 정부청사관리시스템(GMS)
  • 행정안전부 - 민원서비스종합평가
  • 행정안전부 - 정부업무관리시스템(클라우드온-나라)_위원회
  • 행정안전부 - 공공자원개방공유관리시스템(공유누리)
  • 행정안전부 - 온국민소통[제한]
  • 행정안전부 - 정부업무관리(공동온-나라)
  • 행정안전부 - 혁신24
  • 행정안전부 - 정부조직관리정보시스템
  • 행정안전부 - 정부기능분류시스템
  • 행정안전부 - 정부24_지원
  • 행정안전부 - 주민등록번호변경위원회대표홈페이지
  • 행정안전부 - 기부통합관리시스템[제한]
  • 행정안전부 - 주민등록시스템_지원
  • 행정안전부 - 자전거행복나눔
  • 행정안전부 - 주소정보관리시스템(KAIS)_지원
  • 행정안전부 - 착한가격업소홈페이지
  • 행정안전부 - 위기관리 매뉴얼 관리시스템
  • 행정안전부 - 지역안전도진단지원
  • 행정안전부 - 공무원용 모바일앱
  • 행정안전부 - 재난관리업무포털_재난관리자원공동활용
  • 행정안전부 - 국민비서_지원
  • 행정안전부 - AI공문서서비스시스템
  • 행정안전부 - 재난관리업무포털_재해문자전광판
  • 행정안전부 - 온메일지원
  • 행정안전부 - 지자체합동평가시스템
  • 행정안전부 - 이북5도위원회 대표홈페이지
  • 행정안전부 - 디지털서비스플랫폼_검증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종합사업관리시스템
합계 709개 120개 589개 (83.1%)
10월 29일 12시 기준

5. 경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경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경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경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안전안내문자 #==
⚠️ 안전안내문자
국민권익위원회
2025-09-26 23:04
오늘 20:15부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국민신문고 시스템 접속 불가. 자세한 사항은 누리집 확인. [국민권익위원회]
⚠️ 안전안내문자
소방청
2025-09-27 00:47
현재 119신고는 전화로 가능, 문자·영상 등 신고는 전산 장애로 신고 불가, 조치 전까지 전화로 신고 바랍니다. [소방청]
⚠️ 안전안내문자
법제처
2025-09-27 03:11
현재 국가법령정보센터, 국민참여입법센터 등 접속 불가. 다음 사이트(tortal.scourt.go.kr)에서 법령정보 열람 가능. [법제처]
2025-09-27 03:38
법령정보 열람 가능 사이트 주소 정정 안내입니다. (portal.scourt.go.kr) [법제처]
⚠️ 안전안내문자
행정안전부
2025-09-27 08:02
9.26.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국민신문고 등 전산망 장애가 발생, 주요 행정서비스 이용이 제한됩니다. [행정안전부]
2025-09-27 08:07
관공서 방문 전 서비스 가능여부 확인, 대체사이트는 네이버 공지에서 확인가능합니다. [행정안전부]
⚠️ 안전안내문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5-09-27 08:42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우체국업무(우편, 예금, 보험) 이용이 불가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안전안내문자
행정안전부
2025-09-29 09:00
행정정보시스템 화재로 인한 민원신청방법 등은 ☎️110이나 지자체 콜센터(☎️지역번호, 120)로 문의바랍니다. [행정안전부]
2025-09-29 12:00
행정정보시스템 화재로 인한 민원신청방법 등은 ☎️110이나 지자체 콜센터(☎️지역번호, 120)로 문의바랍니다. [행정안전부]

==# 대체 수단 안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대국민 공지 (2025.09.27)}}}
(행정안전부 최신 업데이트 : 2025.09.27 07:40)
9.26.(금)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화재로 인해 주요 정부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일부 행정서비스 이용이 제한되고 있어 국민 여러분께 안내드립니다.​

1. 대면 민원처리
행정기관을 방문하기 전 해당 서비스 가능 여부를 전화로 확인해 주시고, 현장에서도 지연이나 제한이 있을 수 있음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2. 대체 서비스 목록
일부 서비스는 대체 사이트를 통해 이용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인 대체 사이트 목록은 아래와 같습니다.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https://efamily.scourt.go.kr
교통민원24 https://www.efine.go.kr
세움터 https://www.eais.go.kr
홈택스 https://www.hometax.go.kr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
농업e지 https://nongupez.go.kr

3. 공식 안내 확인
TV, 라디오, 긴급재난문자, 행정기관 공지 등을 통해 최신 상황을 확인해 주십시오.

4. 업무연속성 확보
각 행정기관에서는 기관의 업무연속성 계획에 근거하여, 전산업무가 불가능한 경우에도 수기접수 및 처리, 대체절차 안내, 처리기한 연장, 소급적용 등을 통해 국민에게 불이익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있습니다.

정부는 신속한 복구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국민 여러분의 협조와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
  • 정부24 홈페이지는 접속 시 아래와 같은 안내문을 게시했다.
정부24 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하여 장애 복구 시까지 서비스를 일시 중단합니다. 이용에 불편을 드려 대단히 죄송합니다.
||

6. 피해

  • 전산실 설비작업을 하던 40대 외부업체 작업자[75]가 1도 화상을 입고 병원으로 이송됐다.
  • 이번 화재로 인해 배터리팩 384개가 소실되었으며 5층 2개 전산실 중 한 개가 전소되었고 다른 하나는 연기로 인한 그을음 피해를 입었다. #
  • 정부 전자시스템 서비스가 마비되었다. 정부24, 국가법령정보센터, 국민신문고, 안전신문고, 모바일 신분증, 인터넷 우체국 등 총 96개이며[76][77], 복구 상황은 공식 누리집을 통해 확인해 달라고 안내했다. 행정안전부는 전산 장비 안전 점검과 동시에 피해 규모를 조사하고 있다.
    • 정부 사이트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웹사이트도 등장했다. (웹사이트)
    • 119 영상신고시스템, 구급스마트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해 작동이 중단되었다. 이로 인해 문자, 영상, 웹 119신고가 전부 중단되고 음성전화를 통한 119 신고만 가능해졌다.
    • e하늘장사정보시스템 운영이 불가능해져 전국 화장장의 온라인 예약이 불가능해졌다.
    • 행정안전부 국민재난안전포털도 마비되어 이 누리집에서 정보를 끌어오는 네이버, 카카오(다음)의 '재난문자' 검색결과 패널이 9월 26일 오후 5시를 끝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고 있었다. 그래서 두 포털에서는 사고 관련 재난문자가 반영되어있지 않아 뉴스 탭이나 블로그, 카페 탭 등을 통해 상황을 알아볼 수밖에 없었다. 이후 네이버와 카카오는 화재 다음날인 9월 27일부터 임시로 재난문자 패널을 제외한 검색결과를 보여주었으나 10월 13일 정오부터 재난문자 API가 복구되어서 두 포털에 다시 최근 재난문자가 노출되고 있다.
    • 행정안전부가 관리하는 1365 자원봉사포털도 마비되었다. 이로 인해 자원봉사자가 필요한 기관에서 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데, 자원봉사를 원하는 개인 및 단체가 자원봉사를 신청하는데 큰 차질이 생겼으며, 자원봉사 시간 입력도 지연되고 있다.[78]
    •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도 마비되어 수기로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받고 있다.
    • 도로명주소 검색 API,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 API가 중단되어 이 API들에 의존하는 도서관리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일부 공공도서관에서는 회원가입 및 책이음 관련 업무를 도서관 내부망이나 수기로 대체하였다. 서울, 하남, 고양, 성남
      • 취업준비생들도 상당한 피해를 보고 있는데, 9월이 하반기 공채 공고가 많이 나오는 시즌이고 지원서 작성 시 본인의 도로명주소를 시스템에 검색해서 입력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넘어갈 수 없어 지원조차 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다만 회사에 따라 문제없이 입력되는 곳도 있다.
    • 국토종주 인증 서비스인 자전거행복나눔이 마비되어 앱 인증을 못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대체방법으로는 얼굴, 자전거 그리고 인증센터가 나오는 사진을 찍어 본 사고 복구 후 자전거행복나눔 게시판에 글을 남겨 관리자에게 인증요청을 하는 방법이 있다.
    • 주민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의 사용이 불가능해졌다. 이는 주민등록증의 노후화로 구조적으로 단독 진위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의 경우, 화재발생 8시간 만에 조폐공사 데이터센터로 서비스를 이전하긴 했지만[79] 9월 26일 오전 1시 이후로 신규 발급된 모바일 신분증은 서비스 정상화 전까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덧붙였다.
    • 무인민원발급기 또한 멈췄다. 이 또한 지문에 과도하게 의존해서 본인인증을 하는 구조적 문제 때문에 서버가 가동불능상태에 빠지면 해결책이 없다.
    •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운영하는 정부부처의 각종 입장과 보도자료를 게시하는 사이트인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사이트가 마비되었다. 다만 2025년 9월 29일 기준으로 복구가 완료되긴 했으나, 완전 복구가 아닌 임시 복구인 관계로 상당수의 게시글은 아직 열람이 불가능하며, 2025년 9월 22일 이후에 게시된 정부 보도자료 열람만 가능하다.
    • 공공데이터 포털 서비스가 마비되었다. #
  • 우체국 전산이 같이 마비되며 배송조회, 인터넷뱅킹 등 우체국 시스템 접속이 전부 중단되었다.[80] 우편물 중계, 발송을 담당하는 우편집중국, 단위우체국도 전부 전산 접속이 불가해져 금요일에 접수된 택배, 등기 등 우편물들의 전산 처리가 불가능했다. 금전과 우편 현물 마비는 피해가 직접 체감되는 영역이라는 점에서 정부에선 최우선 복구를 시도 중이다. # 이후 철거하지 않고 백업으로 남겨둔 우정정보자원관리원의 포스트넷을 가동하여 전환 운용에 성공해 임시로 대응중이다. #
    • 우편집중국은 임시로 국명표[81]를 미체결하고 발송물량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것은 아직 기록이 남아있는 우편이기에 가능한 것으로 만일 평일까지 전산이 살아나지 않는다면 월요일 아침부터 수기로 접수를 받게 되어 우편물류에 큰 혼란이 빚어질 수 있다.
    • 우체국 집배원이 사용하는 PDA 기기 역시 접속이 되지 않아 전화번호, 주소 등 일체의 정보 확인이 불가능하다. 집배구별 수입조회도 역시 불가하여 착불 택배는 전부 처리가 불가하다. 우정사업본부는 PDA를 유선 로그인으로 진행해서 일단 문제없는 오프라인 배달은 전산 없이 진행시키는 방안을 지시하여 9월 27일 배송을 진행시켰다.
    • 우체국 택배에서는 전산 연결 불가로 배달증 생성이 되지 않고 있다. 등기우편 배송을 위해 오프라인으로 전환하고 추후 우체국 귀국 후 싱크연결하는 방식으로 임시 이용 중이나 이 역시 배달증 생성이 되지 않으므로 일요일까지 전산이 복구되지 않는다면 월요일부터 등기우편 배달에 큰 지장이 발생할 수 있다.
    • 우체국카드, 우체국알뜰폰, 우체국보험, 우체국뱅킹 등 연계 서비스가 전부 멈춘 것으로 추정된다. 카드 결제, 알뜰폰 요금 관련, 보험 조회, 뱅킹 이체 등 금융업무에서 피해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게다가 추석이 얼마 안 남은 상황이라 복구가 안 될 경우 심대한 피해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상화 이후 피해보상이나 사과조치가 불충분하면 뱅크런이나 예금이탈도 벌어질 수 있다.
      • 보통 이러한 전산사고로 인하여 예금 금원에 직접적인 침해가 벌어진 경우 이는 예금자 보호의 대상이 아니다. 예금자 보호는 금융사고로 인해 예금 금원의 침해만을 보호하는 상품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체국예금은 예금자보호법예금보험공사가 아닌 '우체국예금보험에관한법률'에 의하여 보호받으므로 해당사항이 없다.
      • 9월 28일 오후 6시 기준으로 토스, 카카오페이 등을 이용한 오픈뱅킹 거래, 타행 ATM을 이용한 거래, 우체국 체크카드 및 신한카드 등 제휴 체크카드 결제는 정상화되었다. 다만 거래내역이 확인되지 않는 등 불안정한 상황이다.
    • 우체국카드를 통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결제 역시 마비되었다.
      • 다만 우체국 카드가 아닌 타 카드사에서 관리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당연하게도 정상 사용 가능하다. 우체국 금융 전산만 마비된 것이기 때문. 정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조회와 발급을 담당하는 서버는 대구센터에서 담당하여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마비된 것은 아니라고 부연 설명했다.
  • 중앙행정기관(부처) 공무원 업무용 자료 저장소인 'G드라이브'가 전소되었다. 아래 문단 참고.
  • 안전신문고의 장기간 사용불가 판정 및 복구에 4주 이상 소요된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평소 교통위반소방법 위반ㆍ불법광고물 위반 행위를 신고하는 공익신고자들이 신고 및 제보 활동을 못하게 되면서 관련 커뮤니티 등에선 불편을 넘어 극심한 스트레스 피해를 호소하고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이후 서비스 중지 기한~ + 2일을 신고 가능 기간으로 인정해주라는 행안부 지침이 공식적으로 전파되긴 했으나 역으로 26일 화재 이전에 신고해둔 진행중인 신고건들이 복구 불가능 판정시 제보 활동이 물거품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이번 화재사고의 여파를 전해듣고선 전국 곳곳에서 교통 위반 행위 및 불법주정차가 갑자기 치솟는 것 같다는 체감 후기도 곳곳에 보이는 것으로 보아 현재 상황을 악용하는 사람들이 없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7. 논란 및 사건 사고

7.1. 소방 설비 및 방재 체계 미비 논란

  • 리튬 배터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없는 장비로만 소방시설을 구축한 사실이 밝혀졌다. 당시 전산실에는 할론가스를 살포해 급속으로 진압하는 장비만 갖춰져 있었던 걸로 알려졌다. # 리튬 배터리 전용 소화기가 따로 있고, 아직까지 인증받은 제품이 없어 할론가스를 사용했다지만 결국 열폭주를 막지 못해 이번 사태가 심각해진 원인이 되었다.
  • 국정자원 화재 당시 정부의 늦장 대응도 도마 위에 올랐다. 화재 발생 직후인 9월 26일 오후 8시 26분, 이미 내부적으로는 1·2등급 핵심 시스템 70개가 중단된 사실을 인지했음에도, 첫 공식 발표는 두 시간 뒤인 오후 10시 20분에야 이뤄졌다. 이 과정에서 “70개 시스템만 피해”라는 축소된 설명을 내놨다가, 실제로는 647개 전체 시스템이 마비된 사실을 하루가 지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이후에야 공개했다. 결과적으로 화재 발생 시점과 국민들에게 실질 피해 상황이 알려진 시점 사이에 11시간의 공백이 발생했다. 하지만 10월 9일 윤호중 행정안전부장관이 중대본 회의를 열고 마비된 시스템의 수를 647개에서 709개로 정정함으로써 62개의 시스템이 더 마비되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 위기 경보 역시 늦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행안부는 오후 11시 40분 위기경보를 ‘경계’ 단계로 올렸지만, 이미 전산실 배터리 수백 개가 전소하고 정부 핵심 시스템이 차례로 멈춰 선 뒤였다. 전산망 전체 전원 차단이 이뤄진 것은 9월 27일 오전 6시 30분인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과 위기경보 ‘심각’ 단계 격상은 그로부터 두 시간 뒤인 오전 8시 15분에서야 결정됐다. 화재 발생 후 무려 12시간이 지난 시점이었다.
  • 화재 당시 소방대가 내부 구조와 설비 정보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해 진입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화재가 발생한 대전 본원을 비롯해 대구·광주 등 국가정보자원관리원 3개 센터 모두 소방안전 특별관리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다. #
  • 2024년 5월 있었던 화재 안전 조사에서 2~5층 전산실과 보안 구역이 조사되지 않았던 것도 드러났다. 당시 대구/광주/공주 분원은 모두 받았으나, 대전 본원은 현장에서 보안 및 소방 점검 중 소화 가스가 터질 우려 등을 제기하여 조사에서 제외되었다. #

7.2. 업무자료 클라우드 전량 소실

국정자원관리원의 정보시스템은 특정 장비 오류에 대비해 동일 센터 내 다른 장비에 매일 백업하고, 별도의 물리적 공간에 전용 백업센터를 두고 있으나, 중앙행정기관 공무원 12만 5천 명의 업무용 자료 클라우드 저장소인 G드라이브에 저장된 데이터는 백업 데이터가 같은 시설에 위치하여 화재로 전량 소실되었다. #

8월 기준 74개 기관[82]국가공무원 중 19만 1,000여 명[83]이 가입하여 858TB가 사용되고 있었다. #

다만 공무원 개인 업무용 자료 이외의 공식 결재와 보고를 통해 생산된 공문서는 공무원 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에도 함께 저장되어 있어 추후 복구가 가능하다고 한다. #1 #2
이에 대해 행정안전부는 G드라이브의 경우 시스템 데이터와 달리 대용량/저성능 스토리지라, 타 센터로 백업하려면 작업에 한 달 이상이 걸리는 탓에 서비스 운영에 지장이 생길 수밖에 없어 동일한 전산실에 보관하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민간 클라우드 업체들이 대용량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하드디스크째로 복제 후 물리적으로 다른 센터로 이송해서라도 백업하도록 시스템을 운용중인 걸 감안한다면, 정부 소유 클라우드면서도 매우 무책임한 운영을 해왔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

7.3. 이중화 미비 및 예산 논란

예산 막았던 행안부…국정자원 '이중화' 미비 참사, 스스로 화 키웠나
국정자원 전산망 이중화 공언했지만…예산은 축소, 공주센터는 표류

2023년 11월 국가행정망 전산마비 사태 이후 2024년 정부는 '액티브-액티브' 형태의 이중화 조치[84]를 도입하기로 했으나#, 행안부가 전면 전환이 아닌 시범사업 추진을 먼저 시행하기로 결정하여 올해 예산은 24억원에 그쳤다. 이는 2024년 시스템 도입 검증 컨설팅, 2025년 일부 시스템 테스트를 거쳐 2026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관련 예산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이에 2024년 4월 행정안전부는 각 부처에 '1·2등급 재해복구시스템 구축 투자 금지' 지침을 내렸으며, 올해 추진되고 있던 시스템 테스트도 국정자원 내부 전산망으로 한정되었다. 2024년 말에는 정부에서 대전센터와 공주센터를 잇는 이원화 네트워크 구축비로 75억6200만원을 요구했지만, 기획재정부에서 61%를 삭감하여 29억5500만원만 반영했다. 때문에 2024년 편성된 2025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체 예산은 5184억원 → 5559억원으로 375억원(7.2%) 증가했으나, 신규 편성된 재해복구시스템(DR) 예산은 30억원에 그친 것이다.

이에 대해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브리핑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투자해 비용이 발생하는 것보다 시범 사업을 통해 모델을 확정한 이후 투자하는 것이 좋겠다는 결정이 있었다"고 밝혔다.

7.4. 국가전산망 복구 담당 공무원 사망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전산망 복구 담당 공무원 사망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전산망 복구 담당 공무원 사망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전산망 복구 담당 공무원 사망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5. 이재명 부부 예능 촬영 논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이재명 부부 예능 촬영 논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이재명 부부 예능 촬영 논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이재명 부부 예능 촬영 논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후속 대응

정부는 전소된 환경에서 시스템을 시일 내 무리하게 재구축하는 것보다 안정된 데이터베이스 기반 위에 시스템을 신규 구축하는 것이 더 낫다고 판단하고,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에 소재한 분원인 대구센터에 이원화 시스템을 마련하기로 했다. 대구센터는 이미 본원 데이터의 백업 역할과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센터로 활용되고 있었는데 이번에 행정서비스 시스템까지 갖추게 된다. # 그러나 시스템을 PPP 이전·구축하는 데만 약 4주가 걸릴 전망이다. #

향후 대책에 대해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액티브-액티브' 형태의 이중화 조치가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고 답변했다. 그는 "대전센터에 있는 30여개의 1등급 시스템을 액티브-액티브 방식으로 구축하는 걸 전제해서 말하면 700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 같다"며 "광주센터까지 포함하면 1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일각에선 비용이 많이 드는 '액티브-액티브'보다 기존의 '액티브-스탠바이' 방식[85]부터 우선 적용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

9. 반응

9.1. 정부

  • 9월 27일 오전, 김민석 국무총리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했다. #
  • 이날 오후, 행정안전부윤호중 장관 주재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행정전산망 장애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
  • 김민석 국무총리는 이날 화재가 완전 진화된 이후인 오후 9시 30분경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도착해 화재 현장을 둘러보고 “이번 화재로 인한 피해 상황이 어느 정도인지, 언제 시스템이 복구돼 정상화될 수 있을지 명확히 말씀드리기 어려운 점에 대해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
  • 9월 28일, 대전경찰청은 화재 원인 규명 수사를 위해 소방당국,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합동 감식에 나섰다. #

9.1.1. 대통령실

  • 9월 28일 오전, 이재명 대통령은 본 사건을 겪는 국민을 향해 "송구하다"면서, 이번 정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국정의 책임자로서 공식 사과하였다. # 또한 비상대책회의를 주재하고 관계부처에 "신속한 정부 시스템의 복구와 가동, 국민 불편의 최소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을 주문했다. #
  • 9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은 "행정전산망 장애가 재발하지 않도록 근본 대책을 만들어달라"고 지시했다. #

9.2. 정치권

9.2.1. 더불어민주당

  • 9월 27일 정청래 대표는 정부가 만전의 대책을 세우도록 당 차원의 지원대책을 긴밀히 협의할 것을 사무총장과 행정안전위원회 간사에게 지시했다고 밝혔다. #
  • 같은 날 백승아 원내대변인 논평을 통해 "정부는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리며, 범정부 차원의 신속한 복구와 투명한 소통을 약속하고 총력을 다해 대응하고 있다"며 "화재 사고 수습과 정상화를 위해 정부와 함께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민의힘을 비롯한 야당의 초당적 협력"을 요구했다. #
  • 같은 날 김병기 원내대표는 국회 본회의에서 기자들과 만나 "재난에는 여야가 초당적으로 협력해야 한다. 국민의힘에 필리버스터 중단을 제안한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상황이 보기보다 심각한 것 같다. 재난을 정치 공세 수단으로 제발 활용하지 않길 바라본다. 여야가 차분하게 정부의 사태 수습을 지원하고 개선책 마련에 머리를 맞댈 것을 제안한다"라고 말했다.
  • 같은 날 조승래 사무총장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석열 정부 때인) 2023년 행정망 먹통 사태가 벌어졌음에도 행정망에 대한 이중화 조치가 완벽하고 실효성 있게 구축되지 못했던 (데에) 근본 원인이 있는 것이다. 가장 근본적으로는 정부 당국의 안일함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황정아 의원은 "제 눈의 들보는 못 보고 기업의 티만 잡아내겠다는 행정편의주의적인 발상은 이재명 정부에서 용납되어서는 안 된다"며 "윤석열 정권을 겪으며 정부 내부의 재난 대응 시스템이 망가져 버려 다시 기틀을 잡겠다는 각오로 임해야 한다"고 말했다. #

9.2.2. 국민의힘

  • 9월 27일 조용술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번 사태는 단순한 화재가 아니라 정부의 전산망에 대한 관리 부실이 불러온 명백한 인재"라며 사고 원인 규명, 시설 안전 관리 강화, 전산망 이중화 시스템 구축, 재난 대비 매뉴얼 전면 개선 추진, 관련자 엄중 문책을 약속했다.
  • 같은 날 나경원, 주진우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2023년 국가행정망 전산마비 사태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행정 전산망 마비의 책임을 물어 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을 경질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을 언급하며 행안부장관 경질 및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사태 수습을 요구했다.
  • 9월 28일 최보윤 수석대변인 논평을 통해 "허술한 재난복구 체계를 여실히 드러낸 '참사'"라 규명하며 "정부가 외치던 '디지털플랫폼정부'가 허상에 불과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말했다. 또 "지금 즉시 국민 앞에 나와 사과하고, 행안부장관을 경질하는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일 것"을 주문했다. # #
  • 송언석 원내대표는 전 정부 탓으로 돌리는 민주당을 비판하며 이재명 당시 대표가 2023년 행정망 먹통 사건 때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경질을 요구한 발언#을 언급하며 윤호중 장관의 사퇴와 이재명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했다. #

9.2.3. 개혁신당

  • 9월 28일 이준석 대표는 개인 SNS 계정 글을 통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진정한 의미의 지리적 이중화, 아니 3중화입니다. 우리 조상들이 조선왕조실록한양, 춘추관, 충주, 전주, 성주 사고에 분산 보관했던 지혜를 떠올려야 합니다. 임진왜란 때 전주 사고본만이 살아남아 역사가 이어질 수 있었듯이, 국가 기관 서비스는 단순한 장비 이중화를 넘어 지리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데이터센터에 분산되어야 합니다."라고 주장하며 국회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대정부 질의 및 요청, 제안을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
    • 9월 29일, 대통령 이재명에게 현금살포 정책 대신 그 돈으로 대한민국 디지털 인프라를 재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준석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광주 및 대구 분원은 이중화에 적합하게 설계되지 않았고, 잘못 설계된 시스템의 완전한 복구는 공무원들의 밤샘 복구 등의 노력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여러 전자정부 시스템들 중 상당수는 문서화, 코드 관리 등이 빈약한 레거시 시스템이기 때문에 젊은 개발자들이 관련 업무에 참여하는데 차질을 빚고 있고 복구에는 수주, 수개월이 걸릴 것이며 위협이 완전히 제거되지도 않을 것이라 짚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다음을 나열하며 초당적 협력을 제안하였다. #
      • 모든 정부 시스템의 99.99% 가용성과 지리적 이중화를 의무화
      • IT 인프라 현대화 특별 예산을 편성하여 매년 IT 예산의 30%를 시스템 현대화에 의무 배정.
      • 정부 시스템 전면 재구축 10개년 계획을 통해 대전-광주-대구가 각각 독립적으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진정한 이중화 시스템 구축
      •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전면 현대화
      • 디지털 인재 특별 채용으로 정부 시스템의 정부 직접 개발 역량 확보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rowcolor=#fff> 한국의 화재 사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colcolor=#bc002d> 1426년 <colcolor=#373a3c,#ddd>한양 대화재V
1922년 행촌동 화재 사고?
1950년대 부산역전 대화재 (1953년)A, 부산 용두산 대화재 (1954년)H, 태신호 화재 (1956년)H
1960년 1960년 서문시장 화재A, 부산 국제고무공장 화재A
1970년대 대연각호텔 화재 사고 (1971년)A, 서울시민회관 화재 사고 (1972년)A, 뉴남산관광호텔 화재 (1974년)A, 대왕코너 화재사고 (1972~1975년)A, 1975년 서문시장 화재 (1975년)H
1980년대 광주 지하살롱 화재 사고 (1980)A, 대구 초원의집 화재 사고 (1983)A, 청량리 가스 폭발 사고 (1983년)A, 부산 대아호텔 화재 사건 (1984년)H,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1987년)A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bc002d> 1990년 <colcolor=#373a3c,#ddd>혜영 용철 사건H, 1990년 연쇄 방화사건V
1991년 거성관 방화 사건V
1992년 용봉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H 원주 왕국회관 화재 사고V
1994년 봉대산 불다람쥐 17년 연쇄 방화사건(~2011년)V,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 1994년 서울 내쇼날프라스틱 화재 참사?
1995년 경기여자기술학원 화재 사건V, 남포동 노래방 화재사고H,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H
1996년 1996년 고성 산불H, 후암동 방화 살인사건V
1997년 부천 다세대주택 가스 폭발 사고V A
1998년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 사고H
1999년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 사고A,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H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bc002d> 2000년 <colcolor=#373a3c,#ddd>2000년 4월 동해안 산불H, 군산 화재 참사(~2002년)?
2001년 홍제동 방화 사건V, 예지학원 화재 사고H, 2001년 서울 녹번동 연쇄방화사건V
2002년 2002년 청양-예산 산불H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V, 천안초등학교 축구부 합숙소 화재 사고A
2004년 대구·경산 연쇄 방화 사건V, 하얀성 화재 사건H 2004년 4월 안산 유사휘발유 공장화재 H
2005년 서울 지하철 7호선 방화 사건V, 2005년 양양 산불?, 2005년 수성구 목욕탕 화재 사고?, 2005년 서문시장 화재A, 대구 달성터널 폭발사고A
2006년 잠실 고시원 화재 사고V 2006년 효성주얼리 시티 화재사고H
2007년 여수외국인보호소 화재 참사H, 2007년 이천 CJ물류센터 화재 사고?
2008년 이천 냉동창고 화재 사고H, 서천 슈퍼 화재사건V, 숭례문 방화 사건V
2009년 화왕산 억새 태우기 사고H, 용산4구역 철거현장 화재 사건H,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 사고?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bc002d> 2010년 <colcolor=#373a3c,#ddd>우신골든스위트 화재A
2011년 호남고속 차고지 화재사건V, 설봉호 화재 사고A , 2011년 충북 청주시 낭성면 산불?
2013년 인사동 식당밀집지역 화재V, 외발산동 버스 차고지 방화사건V, 포항 산불사고V, 2013년 울주 산불?, 제주국제공항 해군부대 쓰레기 수집장 화재 사건?
2014년 고양종합터미널 화재 사고H, 2014년 서문시장 화재?, 장성 효사랑요양병원 화재 사고V, 도곡역 열차 방화 사건V, 2014년 대전 한국타이어 공장 화재?
2015년 의정부 아파트 화재 사고H, 강화도 캠핑장 화재 사건A, 제주 D자동차 공업사 화재 사건H, 제주 주유소 앞 1톤 트럭 화재 사고?
2016년 춘천중앙교회 화재 사고?, 경부고속도로 언양분기점 관광버스 화재 사고A, 김포 상가건물 공사현장 화재 사고H, 2016년 서문시장 화재A, 제주 도남입구 그랜드 체로키 화재 사고?
2017년 여수 수산시장 화재A, 화성 동탄 메타폴리스 상가 화재 사고H, 2017년 5월 강릉-삼척-상주 산불H, 강릉 석란정 화재 사건?,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사고?, 수원 광교 오피스텔 공사현장 화재사고?
2018년 종로 여관 방화 사건V,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A, 세브란스병원 화재 사고H, 인천 이레화학 화재, 60대 가평군청 방화사건V, 군산 유흥주점 방화 사건V, 세종시 아파트 공사장 화재 사고A, 인천 세일전자 화재 사고, BMW 차량 연쇄 화재 사고A, 진관동 편의점 화재 사고H, 대한송유관공사 고양저유소 화재 사고H, 종로 고시원 화재 사고H,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 수원 골든플라자 화재 사고?
2019년 양양 산불H, 진주 아파트 방화·흉기난동 살인 사건V, 원주 중앙시장 화재A, 경북 구미 모텔 화재사고?, 천안 라마다호텔 화재사고?, 고양 성석동 폐기물 처리시설 화재 사고?, 대구 사우나 화재 사고A, 불광동 모델하우스 화재?, 부산 해운대구 산불H, 포항 산불?, 고성-속초 산불A, 강릉-동해 산불A, 인제 산불H, 은명초등학교 화재 사건H, 김포 요양병원 화재 사고A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bc002d> 2020년 <colcolor=#373a3c,#ddd>2020년 1월 춘천 산불H, 삼성전자 화성 반도체 공장 화재A, 울산 웅촌면 산불?, 울산 두서면 산불?, 제석산 산불A, 2020년 4월 경기도 수원 광교산 산불?, 군포 물류창고 화재 사건H, 2020년 안동 산불H, 한익스프레스 이천 물류센터 화재 사고A, 2020년 5월 고성 산불A, 2020년 6월 양산 산불A, 파주 드라마 스튜디오 화재 사건?, 고흥 윤호21병원 화재 사고A, 죽굴도 화재 사건H, 용인 SLC 물류센터 화재 사건A, 인천 초등학생 형제 방임 및 화재 사건H, 울산 남구 삼환아르누보아파트 화재 사고?, 남양주 수진사 방화 사건V, 인천 남동공단 화장품 공장 화재?, 군포 아파트 화재사건A, 서울 마포 모텔 방화 사건V, 대구 죽전동 경공업사 화재 사고H
2021년 2021년 2월 양양 산불?, 2021년 정선 산불?, 2021년 하동 산불?, 2021년 안동 산불H, 2021년 영동 산불A, 2021년 예천·영주 산불?, 2021년 논산 산불?, 이천 쿠팡 덕평 물류센터 화재 사고A, 천안 주상복합 지하주차장 화재사고A, 고양 화정동 달빛마을 4단지 화재사고?, 2021년 11월 양양 산불H, 2021년 순천 산불?, 한마음마트 봉담점 화재사고H
2022년 창원 반도체 금형부품 공장 화재?, 아산 귀뚜라미 보일러 공장 화재 사고?, 강원도 인제 남면 산불H, 평택 냉동창고 신축공사현장 화재 사고A, 2022년 경북 영덕 산불A, 2022년 구례 간전면 산불H, 2022년 대구 달성군 주암산 산불V, 제주드림타워 화재 사고(2022년)A, 옥수역 화재 사건A, 2022년 3월 울진-삼척 산불H, 2022년 3월 영월 산불?, 2022년 합천-고령 산불?, 2022년 강릉-동해 산불V ?, 2022년 남한산성 산불V?/H?, 2022년 경북 봉화 산불H, 2022년 4월 양구 산불H, 2022년 경북 군위 산불?, 2022년 대구 달서구 학산 산불?, 울산 에쓰오일 화재사고?, 2022년 5월 울진 산불H, 2022년 5월 밀양 산불?, 전북 남원 식품 공장 화재?, 대구 변호사 사무실 방화 사건V, 이천 관고동 병원 화재?, 대전 현대프리미엄아울렛 화재 사고, 대구 동구 율암동 섬유공장 화재?, 강릉시 현무-IIC 미사일 낙탄 사고A,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인터넷 서비스 장애 사건A,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화재 사건?, 순천 폐기물처리시설 화재 사건?, 원주 폐기물사업장 화재?, 대구 가스충전소 폭발 사고A, 2022년 대구 달서구 종이공장 화재 사고?, 2022년 서울 남대문시장 화재?, 제2경인고속도로 갈현고가교 화재사고A, 제주항 13T급 지게차 화재 사고?
2023년 부산 부전동 오피스텔 주차타워 화재?, 구룡마을 화재?, 고양 존속살인 사건V, 예천 산불H, 김천 산불?, 영양 산불H, 순천 월등면 산불H, 대구 산불?, 인천 현대시장 방화 사건V, 합천 산불H, 부여-보령 산불H, 하동 산불?, 광주 산불H, 대전 한국타이어 화재?, 상주 산불H, 양동시장 방화 사건V, 평창 산불H, 순천 별량면 산불H, 서천 산불H, 안동 산불?, 화천 하남면 산불H, 강화 산불?, 안산 선부동 빌라 화재사고A, 아산 둔포면 폐기물 야적장 화재?, 화천 화천읍 산불?, 포천 산불H, 제천 산불H, 홍성 산불H, 옥천 산불H, 군위 산불H, 당진 산불?, 서울 산불?, 대전-금산 산불H, 보령 산불H, 고창 산불?, 인천 부평구 상가건물 화재 사고?, 함평 산불A, 순천 송광면 산불?, 영주 산불A, 서울 방이동 오피스텔 화재 사고?, 강릉 산불A, 화순 백재활요양병원 화재 사고?, 밀양 한국카본 2공장 화재?, 김포 통진읍 열풍기 제조 공장 화재 사고?, 화성 팔탄면 플라스틱 제조 공장 화재?, 안동 북후면 식품 가공 공장 화재 사고A, 완주 알루미늄 가공품 생산공장 화재?, 인천 귤현동 비닐하우스 화재 사고?, 대구 중리동 재활용 공장 화재?, 부산 해운대 씨클라우드호텔 화재?, 화성 향남읍 자원순환시설 화재A, 부산 좌천동 목욕탕 폭발사고?, 2023년 부산 개금동 아파트 화재 사고?, 자승 분신 사건V, 인천 논현동 호텔 화재 사고A, 서울 도봉구 아파트 화재 사고H, 부산 토레스 EVX 강변도로 화재 사고?
2024년 평창 LPG 충전소 연쇄 폭발 사고A, 경북 울진군 다세대주택 화재 사고?, 서천 청소년 방화 사건V, 서천특화시장 화재A, 문경 육가공공장 화재 사고?, 파주 오락기 공장 화재?, 김포시 월곶면 산불 사건?, 제주드림타워 화재 사고(2024년)A, 화성 일차전지 제조공장 화재 사고?,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화재 사고?, 인천 청라동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사고?, 진주 봉곡동 화재 사고?, 부천 호텔 화재 사고A, 영암 게임장 방화 사건V, 청주 여관 화재 사건V, 인천 왕길동 공장 화재?, 주한미군 55보급창 화재?, 2024년 포항제철소 화재사고?, 2024년 대구 성서산단(장동) 공장 화재?, 2024년 정읍 노인복지센터 화재 사고?, 제주 전세버스 화재 사고?, 서울 동대문구 아파트 화재 사고?, 제주 우도 전기 오토바이 연쇄 화재 사건?, 대구 수성구 아파트 부탄가스 폭발 사고H, 수원초등학교 급식실 화재A, 포항 아파트 방화 사건V, 서해안선 유조차 화재사건?, 평택 상가건물 폭발 사고A, 2024년 군위 산불?, 함안 그랑 콜레오스 화재 사고A ?
2025년 분당 야탑 복합건물 화재 사고H, 대구 솜 제조공장 화재?, 에어부산 391편 화재 사고A, 국립한글박물관 화재 사고H,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공사장 화재 사고?, 무학여자고등학교 화재 사고?, 울산대학교 연쇄 방화사건V, 정선 산불H, 인천 서구 빌라 화재 사건?, 김포국제공항 외곽 화재?, 청도 산불?, 사천 산불?, 3월 산청-하동 산불H, 대구 중리동 자동차부품 공장 화재?, 의성발 경북 산불H, 울주 온양 산불H, 김해 산불H, 옥천-영동 산불?, 함양 산불?, 울주 언양 산불H, 고창-정읍 산불?, 봉화 산불?, 달성 산불?, 무주 산불?, 기흥구 지식산업센터 지하주차장 화재 사고?, 당진 산불?, 동두천 산불?, 대구 서변동 산불?, 대전 대덕산업단지 폐기물처리장 화재 사고?, 4월 하동 산불?, 김천 산불?, 동대문역 지하상가 화재 사건?, 봉천동 아파트 방화 사건V, 영광군 한돈시대 화재사고H, COEX 화재 사건?, 천안시 화장품 원료 공장 화재 사고?, 인제 산불?, 대구 함지산 산불H , 대구 동구 목재 가공창고 화재?, 고령 운수면 산불?, 이천 물류창고 화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을지로 상가 화재 사고?, 서산 동문동 모텔 화재 사고?,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 사건V, 수락산 화재?, 서울 신당동 봉제공장 방화 사건V, 포항 동국제강 포항공장 화재 사고?, 부산진구 아파트 화재 사고A, 기장군 아파트 화재 사고?, 부산 북구 아파트 화재사건?, 광명 아파트 주차장 화재 사고A, 진천 단독주택 화재 사고?, 삼척 산불H, 대구 비산동 중형마트 화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A , 양주 찜질방 LPG 가스 폭발 사고?, 가평 횟집 화재 사건?, 청명역 화재 사고?
}}}}}}}}} ||
A: 누전, 장비 고장 | H: 사람에 의한 실화 | V: 고의적 방화 | ?: 원인 불명/조사 중
}}}}}}}}} ||
대한민국의 전산 관련 사건 사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20년대 이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 2000년대 <colbgcolor=#fff,#1c1d1f>1.25 인터넷 대란(2003)
2011년 농협 전산 사고 · SK컴즈 개인정보 유출 사건 · 2011년 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 공격 사건 · 메이플스토리 개인정보 유출사건
2012년 KT 홈페이지 개인정보 유출 사건(2012·2014·2016)
2013년 3.20 전산망 마비사태 · KT 위성 매각 논란 · 화웨이의 한국 내 통신장비 납품 관련 논란(2013·2019·2022)
2014년 2014년 신용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건 · KT 홈페이지 개인정보 유출 사건(2012·2014·2016)
2015년 뽐뿌 개인정보 해킹 사건
2016년 KT 홈페이지 개인정보 유출 사건(2012·2014·2016)
2017년 인터넷나야나 랜섬웨어 감염 사태
2018년 KT 아현지사 화재 사고
2019년 KT IDC 장애 사태 · 대도서관 트위치 채널 해킹 사건 · 북한 업비트 해킹 사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2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21년 <colbgcolor=#fff,#1c1d1f>KT 10기가 인터넷 속도 저하 사건 · 2021년 10월 KT 인터넷 장애 사건 · 법원 전산망 해킹 사건
2022년 현역 대위 군사기밀 유출 사건 · 삼성 갤럭시 소스코드 해킹 사건 · 2022년 알약 랜섬웨어 오진 사태 · 2022년 복지시스템 전산 오류 마비사건 ·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인한 인터넷 서비스 장애 사건 · 북한 해커조직 대한민국 방산업체 해킹 사건
2023년 2022학년도 11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성적정보 유출 사건 · 카카오 오픈채팅방 개인정보 유출 논란 · 더쿠 회원 개인정보 유출사건 · 2023년 국가행정망 전산마비 사태 · 누누스터디 사건 · 인터넷 게임 방송 연쇄 디도스 공격 사건
2024년 2024 LCK 스프링 사이버테러 사건 · 겟앰프드 해킹 사태 · 워페어 국가기관 해킹 사건 · 전북대학교 개인정보 유출 사건 · 2024년 국가기관 디도스 공격 사건 · 온나라 개발업체 해킹 사건 · 정보사령부 군무원 군사기밀 유출 사건
2025년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 사고 · 2025년 YES24 서비스 마비 사태 · 2025년 6월 디시인사이드 사이버 테러 사건 · 2025년 한국파파존스 고객정보 유출 사고 · 2025년 SGI보증보험 랜섬웨어 사태 · 왁물원 내부 개인정보 탈취 사건 · 2025년 웰컴금융그룹 랜섬웨어 공격 · 2025년 블루 아카이브 서버 해킹 사건 · KT 고객 무단 소액결제 침해 사고 · 롯데카드 개인신용정보 유출 사고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 · 온나라시스템 해킹 사건 · SK쉴더스 허니팟 보안사고
}}}}}}}}} ||
개: 개인정보 유출사고 | 디: 디도스 공격 | 랜: 랜섬웨어 사고 | 화: 화재 사고 }}}}}}}}}

한국의 경제 관련 사건 사고
C: 기업 관련, F: 금융 관련, R: 부동산 관련, I: 외국 및 국제조직 연루, Na: 국가행정조직 연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대한민국 이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font-size: .9em"
조선당백전 사태(1866~1867)F Na
일제강점기토지 조사 사업(1910~1918)R Na 박가분 사건(1930년대)C}}}}}}}}}{{{#!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1990년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font-size: .9em"
광복 ~ 1950년대정판사 위조지폐 사건(1946)F 1.16 국채 파동 사건(1958)F Na
1960년대삼분폭리사건(1964)C Na 사카린 밀수 사건(1966)C Na
1970년대8.3 사채 동결 조치(1972.8.3.)F Na 한독맥주 사건(1976)C F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특혜분양 사건(1977)C Na R
1980년대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1982)F 국제그룹 해체 사건(1985)C Na 노스롭 스캔들(1988)C I Na 우지 파동(1989)C Na
1990년대낙동강 페놀 유출사건(1991)C 수서지구 택지 특혜 분양 사건(1991)C Na R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1995)C Na 노태우 비자금 사건(1995)C F Na 한보 사태(1997)C Na IMF 외환 위기(1997)C F I Na 옷로비 사건(1999)C Na}}}}}}}}}{{{#!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2000년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font-size: .9em"
02년신용카드 대란C F 여대생 청부 살인 사건C 한나라당 불법 대선자금 사건F
03년한국농어촌공사 당진지사 횡령사건C 국민의 정부 불법 대북송금 사건I Na
04년쓰레기 만두 파동C
05년엄 여인 보험 살인사건F 삼성 X파일 사건C Na 77246 위조지폐 유통사건(~2013.06.)F
06년루보 사태C F 빈센트 앤 코 사기 사건C 바다이야기 사태C Na 박연차 게이트C Na
07년BBK 주가조작 사건C F I Na 한명숙 불법정치자금 수수 사건C Na 노드시스템 사기사건C F I
08년김포 투자금 사기사건F R 멜라민 분유 파동C I 상계동 곗돈 사기사건F R 서드플레이스 공금 횡령 사건C
09년쌍용자동차 사태C Na}}}}}}}}}{{{#!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2010년대 ]
{{{#!wiki style="margin: -5px 0 -5px; font-size: .9em"
10년DY 엔터테인먼트 사건C F 도이치방크 옵션 부당거래 쇼크 사태C F I 뚜레쥬르 점주 경쟁사 조작 비방 사건C 함바 게이트F Na
11년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 사태C F R I NH농협은행 전산 마비 사건C F 삼성전자-Apple 간 특허 소송(~2018)C Na I 다이아몬드 게이트C F Na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C I Na
12년파이시티 인허가 비리 사건C R Na 갤럭시 S III 보조금 대란C F 론스타 게이트C I 거성 모바일 사태C F
13년남양유업 대리점 상품 강매 사건C 금융사·방송사 대규모 전산 마비 사건C F I Na 도나도나 사건C F 홈플러스 경품 추첨 조작 및 고객 개인정보 판매 사건C KT의 무궁화 위성 매각 논란C I Na
14년KB·NH·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사태C I F 엘키소프트 제룩스 사건C 휴대폰 보조금 대란C F 모뉴엘 사태C 땅콩 회항 사건C I 삼성 AMOLED 리퍼 내부고발 조작사건C
15년정운호 게이트C Na 성완종 리스트 사건C F Na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논란C F I 테스코 홈플러스 매각 논란C I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의혹C F
16년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 사건C F 파나마 페이퍼스C F I 어버이연합 어용시위 논란C Na 울산 고래고기 사건Na NH농협은행 전산조작 사태(~2018)C F 롯데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 사건C F 갤럭시 노트7 폭발 사고C I 엘시티 사업 관련 특혜 및 비자금 조성 논란C F Na R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 사건C F I Na
17년BBQ발 치킨값 파동C 검찰 돈봉투 만찬 파문F Na 가상화폐 규제 논란 C F Na 다스 실소유주 논란C Na 파라다이스 페이퍼스C F I 비트코인 플래티넘 사건C F I
18년금융감독원 직원 암호화폐 거래 의혹C Na 삼성 다스 소송비 대납사건C F Na 삼성증권 유령주식 사태C F 금일그룹 전기차 사기 사건C F I 아시아나항공 기내식 공급부족 사태C I 돈스코이호 사기 사건C F I 미미쿠키 재포장 판매 사건C 산체스&마이크로닷 부모 사기 사건F I R
19년손혜원 부동산 투기 의혹R 익산 원룸 전세금 사기사건F R 라임자산운용 환매중단 사태F K리그 올스타 VS 유벤투스 사기 사건(/크리스티아누 호날두 결장 논란)C F I 대전 부부 전세사기 사건(~2023)F R}}}}}}}}}{{{#!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2020년대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font-size: .9em"
20년강릉 마블테마파크 사기투자 사건I Na R 한화손해보험 고아 초등학생 상대 구상권 청구 소송 사건C F 삼성자산운용 KODEX WTI 구성 무단 변경 논란C F 옵티머스 사태F 이스타항공 임금체불 사건C 덮죽 표절 논란C MBN 종편 설립 자본금 불법 충당 및 회계 조작 적발 사건C F Na
21년신한카드 The More 체리피킹 대란C F 박수홍 횡령 피해 의혹 논란C 한국토지주택공사 직원 부동산 투기 사건C R KT 인터넷 속도 조작 논란C 포항 가짜 수산업자 사기 사건F Na 대구광역시 코로나19 허위 백신 도입 추진 사건I Na 아프리카TV 코인 게이트C F 여자친구 팬클럽 멤버십 환불 논란C I 위버스샵 굿즈 제조국 허위 표기 논란C I 머지포인트 사태C F 왕릉뷰 아파트 논란C Na R 대장동 개발 사업 논란Na R 판도라 페이퍼스C F I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사건C
22년삼성 갤럭시 GOS 성능 조작 사건C I 트위치 스트리머-ALTI NFT 프로젝트 논란C F I 에이클라 KBO 로비 논란C 계육 가격 담합 적발 사건C 테라USD·LUNA코인 사기 사건F I 에디슨모터스 주가 조작 사건C F 철도차량 입찰 담합 적발 사건C Na 레고랜드 사태C F Na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및 전산망 마비 사건C 흥국생명 채권사태C F Na 빌라왕 전세사기 사건F R
23년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C F 다크앤다커 애셋 도용 의혹 사건C 스캠 사기 사건F SG증권 사태F 신한카드 분할결제 제한 사건C F 새마을금고 연쇄 뱅크런 사건C F 검찰 특활비 부정 사용 논란F Na FIFTY FIFTY 전속 계약 분쟁C BNK경남은행 횡령 사건C F 수원 일가족 전세사기 사건R 영풍제지 주가조작 사건F 태영건설 워크아웃 사태C F R 김남국 가상화폐 보유 논란F
24년홍콩 ELS 사태F I 김은혜 모임통장 금융사기 대란F 위너즈 코인 게이트C F 민희진-HYBE 간 ADOR 경영권 분쟁C F 일본 정부의 네이버 LINE 지분 매각 압박C F I Na 해외직구 규제 논란I Na 스테이지엑스의 제4이동통신사 선정 박탈 사건C F Na 대전역 성심당 임대료 갈등C R Na 두산밥캣-두산로보틱스 합병C 큐텐 정산 지연 사태C F 롯데그룹 유동성 위기설C 방시혁 4000억 비밀 계약 논란C F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2025)C
25년홈플러스 법인회생 절차 신청 사건C 최강야구 경영권 분쟁C 2025년 전기자동차 보조금 대란C Na 동백아트갤러리 사기 사태F 미국의 태평염전 천일염 수입 차단 사태I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F Na}}}}}}}}}
}}}

[감식중] 경찰·소방 합동감식[2] 무정전 전원 장치 배터리를 지하로 이전하기 위한 작업 중, 전원이 차단된 배터리 1개에서 화재 발생[3] 관리원 직원(40대 남성) 1명이 연기를 흡입하고, 1도 화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4] 520.84㎡ 전산실 내 장비 및 배터리 등 전소[5]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통합보훈, 안전디딤돌 등 (상세 목록 보기)[6] 김민재 행정안전부차관은 9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연 브리핑에서 "화재의 영향으로 항온·항습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서버의 급격한 가열이 우려됐고, 정보시스템을 안전하게 보전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가동을 중단시켰다"고 설명했다. 또한 윤호중 행정안전부장관은 10월 9일 마비된 서비스를 647개가 아닌 709개라고 정정했다. #[7] 공무원들이 작성하는 공문을 만드는 국가규격 프로그램. 공문의 작성, 결재 등에 사용되는 중요한 서비스.[8] 문자, 영상 신고 불가, 신고자 위치파악 불가[9] 우편업무 제한적 가능[10] 이체, 카드 결제, 잔고 조회,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등 전체 마비[11] 대구광역시광주광역시에는 분원이 있다.[12] 국방부병무청 등 자체 전산망을 사용하거나 다른 분원에 서버가 있는 일부 시스템은 정상 가동되었다.[13] 발화 위치인 전산실 좌측에 리튬이온 배터리 총 192개 확인[14] 당시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서버 서비스 전원이 차단되면서 카카오·다음과 네이버 등의 서비스와 관련해 크고 작은 장애가 발생하면서 혼란을 빚었다.[제한] 일부 기능 제한됨.[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제한] [75] 자격 보유 전문기술자, 한때 무자격자로 소문이 퍼지다가 정정됨.[76] 당초 70개로 알려졌으나, 행정안전부는 "70개로 알려진 시스템 개수는 화재로 인한 인력 투입이 어려운 상황에서 파악한 것으로 착오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77] 내부 업무 전산망인 '온나라 시스템'도 마비되었다.[78] VMS와 e-청소년은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79] 운전면허증외국인등록증은 정상작동[80] 2025년 6월에 인트라넷 '포스트넷'(IBM 메인프레임 만 사용해서 바닥부터 프론트엔드까지 구현하다가 2006년 즈음 해서 유닉스 시스템으로 프론트엔드를 변경해 성능과 유연성을 끌어올린 우체국의 자체 전산시스템)을 온 프레미스 기반(우정정보자원관리원 이라는 별도의 DC를 굴렸다. 이전 이름은 우체국 전산관리소)에서 G클라우드 기반으로 마이그레이션한 바 있다. 그 후 3개월 만에 전산사고가 터진 것. 그것도 비상근무 기간에.[81] 우편물을 운송하는 자루나 용기에 부착하여 수취인 정보를 표시하거나 우편물의 종류 및 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다. 쉽게 말하면 우체국 간 사용되는 운송장이라 보면 된다.[82] 중앙행정기관 48개, 위원회 26개[83] 최초보도의 75만 명은 국가공무원 전체의 숫자로, 기관 특성에 따라 G드라이브 사용정도가 달랐다. 일례로 인사혁신처는 모든 개인 업무자료를 G드라이브에만 저장토록 한 반면, 국무조정실은 G드라이브 사용비중이 낮았다.[84] 액티브-액티브 DR(Disaster Recovery) 시스템은 두 전산 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백업하는 시스템으로, 한쪽에서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쪽에서 이어받아 중단 없이 운영할 수 있다.[85] 액티브-스탠바이는 평소에는 하나의 센터만 가동하다가 사고 시 대기 중인 다른 센터를 가동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