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6 19:26:54

기예르모 에레디아

에레디아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에레디아의 2025 시즌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기예르모 에레디아/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기예르모 에레디아/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기예르모 에레디아/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에레디아의 2025 시즌 활약상: }}}[[기예르모 에레디아/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기예르모 에레디아/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기예르모 에레디아/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026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9 이승민 · 13 하재훈 · 15 채현우 · 27 에레디아
· 31 이정범 · 35 한유섬 · 37 오태곤 · 45 류효승
· 47 김성욱 · 54 최지훈 · 58 박정빈 · 64 김창평
· 68 임근우 · 93 이원준 · 04 김정민 · # 장재율
· # 이승빈 · # 오시후
최종 편집: 2025년 10월 14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응원단
다른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SSG 랜더스 등번호 27번
라가레스
(2022.7.19.~2022)
에레디아
(2023~)
현역
파일:에레디아 다음스포츠 24.jpg
<colbgcolor=#ce0e2d><colcolor=#fff> SSG 랜더스 No.27
기예르모 에레디아
Guillermo Heredia
[1]
본명 기예르모 에레디아[2]
Guillermo Heredia
출생 1991년 1월 31일 ([age(1991-01-31)]세)
마탄사스 주 마탄사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쿠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쿠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쿠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복수국적)[3]
신체 177cm | 88kg | 왼손잡이[4]
포지션 좌익수[5]
투타 좌투우타
프로 입단 2016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SEA)
소속팀 시애틀 매리너스 (2016~2018)
탬파베이 레이스 (2019)
피츠버그 파이리츠 (2020)
뉴욕 메츠 (2020)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1~2022)
SSG 랜더스 (2023~)
아길라스 시바에냐스 (2018/19)
에스트레야스 오리엔탈레스 (2022/23)
계약 1yr / $1,800,000[6]
연봉 2025 / $1,600,000
등장곡 JA RULAY - 〈MI MOMENTO (Prod. by Dave Produce)〉 (2025~)
{{{-2 {{{#!folding [ 이전 등장곡 보기 ]
응원가 구단 자작곡[가사]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e0e2d><colcolor=#fff> 가족 <colbgcolor=#ce0e2d><colcolor=#fff> 배우자 아내
자녀 장남 로에니 에레디아[8]
장녀 리아 에레디아[9]
차남(2025년 9월 10일생)[10]
}}}}}}}}} ||
파일:SSG 랜더스 심볼.svg파일:SSG 랜더스 심볼(적색배경).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3.2. 수비3.3. 그 외3.4. 총평
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좌투우타 외야수.

2. 선수 경력

기예르모 에레디아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기예르모 에레디아/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SEA 시절 TB 시절 PIT 시절 NYM 시절 ATL 시절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wiki style="margin: -16px -11px" 2023년 2024년 2025년 }}}


2.1. 통산 홈런 일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기예르모 에레디아/통산 홈런 일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예르모 에레디아/통산 홈런 일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기예르모 에레디아/통산 홈런 일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수상 경력

파일:MLB 로고.svg
기예르모 에레디아의 MLB 수상 경력
2021 월드 시리즈 우승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svg

기예르모 에레디아의 KBO 수상 경력
2023 KBO 수비상 (좌익수 부문)
2024 타율 1위 / KBO 수비상 (좌익수 부문)
2025 KBO 수비상 (좌익수 부문)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파일:에레디아 타격폼.gif
에레디아의 타격폼
2023년 4월 7일 (vs 장민재)

뛰어난 컨택을 바탕으로 한 3할 중반의 타율과 두 자릿 수 홈런을 보장하는 펀치력을 가진 스프레이 히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기준에서는 타격이 크게 좋은 선수는 아니다보니 하위타선으로 자주 출전하였고 그 중에서도 8번으로 출장했을 때의 스탯이 제일 좋았다. KBO 리그에서는 리그 수준차로 주로 클린업으로 출전한다. 외국인 타자치고 사이드암/언더핸드 상대로도 괜찮은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한국에 오기 전부터 한국에 옆구리 투수들이 많다는 것을 참고하여 훈련했다고 한다. KBO 입성 후에는 정훈, 호세 피렐라를 연상케 하는 막스윙으로 코스를 가리지 않고 안타를 쳐내는 뛰어난 컨택과 두 자릿수 홈런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의 파워로 클린업에 주로 배치되고 있다.

다만 이렇게 배트 적극성이 높다 보니 스트라이크 존에서 벗어나는 공이라도 본인이 안타를 만들 수 있는 확신이 있다면 일단 배트를 돌리는 전형적인 배드볼 히터라서 볼넷 생산 능력은 부족한 편이다. 실제로 아웃존 스윙률은 지미 파레디스나 피렐라와 비슷한 정도. 이러한 스타일의 선수들이 컨택이 안되서 선풍기를 돌리거나 배트에 맞추더라도 제대로 힘을 싣지 못하면 안타도 볼넷도 못 얻는 잉여가 되지만, 에레디아는 워낙 컨택이 좋다 보니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종합적으로는 최상위권 컨택 능력과 준수한 갭파워를 바탕으로 한 중거리형 교타자라고 할 수 있다. 높은 배트 적극성 때문에 볼넷이 많지 않음에도 이를 높은 타율과 나쁘지 않은 장타율로 만회하기 때문에 준수한 생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선수.

3.2. 수비

파일:에레디아레전드수비.gif
에레디아의 수비
2024년 5월 17일 (타자 임지열, 주자 박수종)

수비에서는 외야 전 포지션 소화가 가능하지만 MLB 시절엔 빠른 발과 민첩함, 평균 이상의 어깨를 고려했을 때 중견수로 출장하는 경우가 잦았다.[11] 2021년 중견수로 출장했을 때 OAA는 718⅔이닝 동안 +5로 메이저리그 기준으로도 준수하다. 다만 SSG 랜더스에 입단한 후에는 당시 리그 최고의 중견수 수비를 선보이는 김강민최지훈이, 우익수에는 어깨가 강한 한유섬추신수가 있었기 때문에 좌익수로 출장하고 있다.[12]

뛰어난 타구 판단과 펜스 플레이에 넓은 수비 범위, 강한 어깨, 정확한 송구 능력까지 지니며 KBO 수비상이 신설된 2023년부터 3년 연속 KBO 수비상을 수상하며 명실상부 현 시점 리그 최고의 좌익수로 거듭났다. 특히 리그 전체로 봐도 강견을 보유하고 있는데, 2023년엔 외야수 보살 1위, 2024년엔 보살 2위를 기록했다.

좌익수 수비력이 뛰어난 것과는 별개로 사실 에레디아의 수비력과 2022년 이후 SSG의 우익수 상황을 고려하면, 좌익수보다 우익수로 출전하는게 더 바람직했다. 추신수는 MLB에서 텍사스 시절부터 수비력이 좋지 못했고 KBO에서도 첫 시즌을 제외하고는 부상과 노쇠화로 인해 거의 지명타자로 출전했고, 한유섬은 22년 한국시리즈에서 햄스트링 부상을 당한 이후로는 23년부터 수비력이 급격하게 나빠졌으며 어깨 또한 전성기 시절에 비해 많이 약해졌다. 또한 백업 외야수인 하재훈은 코너 외야에서 못 쓸 정도로 수비력이 심각하고, 유틸리티 자원인 오태곤도 1루수나 좌익수에 비해 우익수에선 그다지 좋은 수비력을 보여주진 못한다. 따라서 외야 수비가 견고했던 과거와는 달리 23년부턴 특히 우익수에서 아쉬운 수비력을 보였던 팀 사성상 에레디아의 수비력을 고려하면 좌익수보다 우익수로 출전하는게 팀 입장에선 더 바람직했다.

결국 이 문제가 계속 이어지자 구단은 2025년에 내야수에서 수비 불가 판정을 받은 최준우가 코너 외야로 포지션 변경을, 외야 수비력이 뛰어난 김성욱을 NC로부터 트레이드를 하게 된다.

3.3. 그 외

컨택을 최대 장점으로 둔 리그 상급 공격력과 준수한 수비력을 지녔지만 부상이나 기타 이슈들로 인해 매년마다 10~20경기 가량 빠지며 시즌을 풀로 뛰지 못하는 점이 유일한 약점으로 꼽힌다.

KBO 리그 첫 해인 2023년에는 광주 KIA전을 앞두고 가방을 들다 손바닥과 손목 부분에 부상을 당하면서 몇 경기를 결장했었고 전반기 종료를 앞두고 미국 시민권을 따기 위해 출국해 두산과의 전반기 마지막 3연전을 결장한 뒤 입국이 지연되면서 LG와의 후반기 첫 3연전까지 결장해 일부 팬들에게 비판을 받은 바 있다.[13] 또한 8월 달에 좌측 허벅지 염좌 진단을 받으면서 4주간 팀을 이탈했다.

2024년에는 시즌 초반 오른쪽 오금에 통증을 느껴 몇 경기를 결장했다. 이후 전반기 막바지 시점인 6월 28일 잠실 두산전에서 종아리 부상을 당하면서 1군 엔트리를 이탈, 자신의 올스타전 출장 역시 무산되었고 후반기인 7월 10일 문학 롯데전에서 복귀했다.

2025년에는 시즌 초반 우측 허벅지 표피낭종으로 시술을 받으면서 무려 52일간 결장했고 시즌 후반기에 출산 휴가로 출국하게 되면서 KBO 입성 후 처음으로 규정타석 진입 또한 무산되었다.[14]

3.4. 총평

3년 연속으로 0.323, 0.360, 0.339라는 높은 타율을 기록한 타자이다. 종합하자면 컨택과 수비력, 어깨 3툴이 뛰어난 중장거리형 타자.[15] KBO 리그에서는 충분히 A급으로 평가 받을 만한 외야수다. 한 마디로 요약하자면 주력과 수비가 업그레이드된 호세 미겔 페르난데스.

4. 여담

파일:에레디야2.gif
  • MLB에서 뛸 때부터 굉장한 깨스통으로 이름을 날린 선수다. 가는 모든 팀에서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시절 팀 동료였던 에디 로사리오가 직접 에레디아는 매우 말이 많다고 인증한 바 있으며, 실제로도 카메라에 잡히는 모습을 보면 굉장히 흥이 많고 활기차다. # 이런 그의 진가는 포스트시즌에 더욱 드러나, 세레머니를 앞장서서 하고 프레디 프리먼2021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4차전 홈런, 에디 로사리오2021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6차전 홈런 때 커튼콜을 유도하는 등 더그아웃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한다.
    • SSG에 와서도 여전하다. 홈런을 치거나 득점을 올리고 돌아온 선수에게 앵겨 붙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으며, 특히 외야 바로 옆자리에 있는 최지훈과 친한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경기장 등에서 서로에게 산을 나타낸 수화를 보여주거나 공수교대 때 달리기 시합 등 장난을 주고받는 장면들이 많이 포착되고 있다. 쓱튜브에서도 자주 엮이는 중.[16] 이런 모습으로 에쪽이라는 별명이 널리 쓰이고 있다.
    • 무언가 덕아웃에서 큰 소리가 들려서 봤더니 응원가 부르는 에레디아(...)였다는 이야기는 하도 퍼질 대로 퍼진 데다 선수들도 익숙해져서 이제 눈길도 잘 안 줄 지경. 경기 중에 응원가를 부르는 걸 보면 랜더스 타자들의 응원가를 모두 외우고 있는 듯 하다. 기존 선수들의 응원가는 기본이고 2024년 신상 출시된 정준재의 응원가까지 모두 숙지한 듯하다. 오죽하면 SSG 박민수 응원단장의 이름을 따서 에레민수라는 별명이 생겼을 정도. 에레민수의 응원가 메들리 명창 에쪽이 그런데 SSG 응원가만 아는 것이 아닌지, 롯데전 승리 이후에는 윤동희의 응원가를 부르기도 했다. #
    • 이런 성격에 이름이 더해지면서 에헤라디야라는 별명도 생겼으며, 실제로 응원가 가사에도 에헤라디야가 들어간다.[17]
    • 2024년 5월 14일 삼성과의 벤치클리어링 때는 오승환과 술래잡기를 하기도 했다. #
    • 비시즌 때도 흥이 많은 건 여전해서, 스프링캠프에서 나는 반딧불을 부르는 게 구단 유튜브에 올라오기도 했다. #
  • 아내가 시리아인이라서 그런지 IS를 무척 증오하는 발언을 자주 하였다.
5월 24일 경기 덕캠
  • 슬하에 2남 1녀를 둔 다둥이 아빠인데 2025년 9월에 아들을 보게 됐다. 2025년 3월 23일 문학 두산전 이후 선수단과 함께 젠더리빌 이벤트를 했는데 푸른색 풍선을 터뜨리면서 셋째 아이의 성별이 아들임을 확인했다. 형제로는 누나가 있는데 2025년 5월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18]
  • 흡연자이다. 본인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물담배와 시가를 피는 모습을 가끔 올린다
  • 현대 야구에서 매우 보기 드문 좌투우타 선수로 KBO 유일의 좌투우타 야수다. KBO 야수 역사 전체로 넓혀도 나세원 이후 3년만이다.[19][20] 또한 KBO 현역으로도 좌투우타 야수는 기예르모 에레디아가 유일하다.[21]
  • 공교롭게도 현재는 팀 동료가 된 김광현이 MLB에 진출했을 당시 데뷔전부터 만났던 바 있다. 2020시즌 에레디아는 피츠버그 파이리츠에서 뛰고 있었으며, 맞대결 결과는 우익수 뜬공. 심지어 이게 김광현의 MLB 통산 1호 아웃 카운트였다.[22] #
  • 등장곡을 자주 바꾼다. 팀 투수 박종훈의 추천으로 2023 시즌 시범경기와 초반 10경기 정도는 MC몽의 인기를 등장곡으로 사용했으나 이후 Tivi Gunz x Angel Dior x Young Gatillo의 Zuculento로 변경했고 9월 말까지 사용하다가 저스틴 팀버레이크, 그웬 스테파니, Ron Funches의 Hair up으로 변경했다. 그러나 일주일 만에 El Alfa & Braulio Fogon의 Doggy Doggy로 바꿨는데 나름 중독성있는 첸트와 동작으로 팬들의 반응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2025년 현재 팀 합류 이후 중복 포함 등장곡만 9번째 바꿨다.
  • 언어에 상당한 재능을 보인다. #
  • 이름의 어감 때문에, 에레디아가 아닌 에레디라고 표기되는 경우도 꽤나 있다. 타 팀 팬카페는 그렇다 쳐도 선수 이름을 틀리면 안되는 공식 언론 기사에서도 간간히 보이는 오기다#[23].
  • FA 계약서에 서명하는 촬영본 등을 보면 글은 왼손으로 작성하고, 공도 왼손으로 던지지만 특이하게 타석에서는 우타자로 들어간다. 주로 왼손잡이지만, 타격만 오른손이 주력인듯.[24]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아시아 쿼터제 선수는 아시아 쿼터제 선수 틀 참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맥브룸(4) 파일:미국 국기.svg
타케다(5) 파일:일본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아시아쿼터제 대상 선수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기예르모 에레디아의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5번
브래드 밀러
(2013~2015)
<colcolor=#fff> 기예르모 에레디아
(2016~2018)
브레이든 비숍
(2019~2021)
탬파베이 레이스 등번호 54번
서지오 로모
(2017~2018)
기예르모 에레디아
(2019)
브레이든 브리스토
(2023)
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5번
조시 해리슨
(2012~2018)
기예르모 에레디아
(2020)
마이클 페레즈
(2021~2022)
뉴욕 메츠 등번호 15번
브라이언 도저
(2020)
기예르모 에레디아
(2020)
카메론 메이빈
(2021)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38번
조시 톰린
(2020)
기예르모 에레디아
(2021~2022)
일라이 화이트
(2023)
}}} ||
기예르모 에레디아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Atlanta_Braves_logo_champion_2021.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21

파일:2024 KBO 올스타전 엠블럼.svg
KBO 리그 올스타[25]
2024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타율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0.412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69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0.340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70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29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87
김상훈
MBC 청룡 / 0.354
고원부
빙그레 이글스 / 0.327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0.334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0.348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0.360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0.393
김광림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6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2
마해영
롯데 자이언츠 / 0.372
박종호
현대 유니콘스 / 0.340
양준혁
LG 트윈스 / 0.355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장성호
KIA 타이거즈 / 0.343
김동주
두산 베어스 / 0.342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 0.343
이병규
LG 트윈스 / 0.337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36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현곤
KIA 타이거즈 / 0.337
김현수
두산 베어스 / 0.357
박용택
LG 트윈스 / 0.372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6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57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363
이병규
LG 트윈스 / 0.348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0.370
테임즈
NC 다이노스 / 0.381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0.376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김선빈
KIA 타이거즈 / 0.370
김현수
LG 트윈스 / 0.362
양의지
NC 다이노스 / 0.354
최형우
KIA 타이거즈 / 0.35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360
<rowcolor=#fff> 2022 2023 2024 2025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349
손아섭
NC 다이노스 / 0.339
에레디아
SSG 랜더스 / 0.360
양의지
두산 베어스 / 0.337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수비상
좌익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2023 2024 2025 2026 2027
에레디아
SSG 랜더스
에레디아
SSG 랜더스
에레디아
SSG 랜더스
}}}}}}}}}

}}} ||
[1] 스페인어에서는 H가 외래어가 아닌 이상 묵음이다. ㅎ발음은 보통 j로 표기하지만 모음이 e와 i인 경우에 한해 g를 써서 ge gi로 쓰기도 한다. 그 외 멕시코에서는 x를 쓰는 경우도 있다.[2] 일부 뉴스에서는 철자 그대로 읽어 길레르모 에레디아라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실제 발음대로라면 기예르모 또는 기제르모가 된다.[3] 2023년 7월 16일 미국 시민권 취득에 성공했다.[4] 타격은 우타로 한다.[5] 외야 전 포지션 소화 가능. MLB에서는 중견수로 주로 출장했으나 SSG에서는 좌익수로 출전하고 있다.[6] 연봉 $1,600,000 / 옵션 $200,000[가사] 랜더스 에레디아 안타 에헤라디아 랜더스 에레디아 워우워어어 (x2) 에!레!디아![8] #[9] #[10] #[11] 당시 애틀랜타의 외야진은 코너에 오즈나와 아쿠냐 주니어가 있었고, 이 둘이 징계와 부상을 당했던 21시즌 후반기엔 에디 로사리오, 애덤 듀발, 작 피더슨, 호르헤 솔레어를 트레이드로 데려왔는데 듀발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코너 외야수였다.[12] 2023년엔 주전 중견수 최지훈이 아시안 게임에 차출됐을 땐 대신 중견수로 출전했고, 최지훈이 복귀 후에도 타격에서 부진이 이어지자 시즌이 끝날 때까지 에레디아가 중견수로 출장했다.[13] 당시 SSG는 리그 순위 2위였고 1위인 LG 트윈스와 1.5 게임차로 치열한 순위 경쟁 중이었기에 비판이 더욱 거셌다. 다만, 이는 SSG와 처음 계약했을 때부터 사전에 협의한 부분이었다.[14] 전반기에는 다소 부진했으나 후반기 각성에 성공하며 규정타석에 진입했다면 2년 연속 타격왕을 노려볼 만큼 준수한 활약을 보여주었기에 더욱 아쉬움을 남겼다.[15] 2024시즌 21홈런이라는 적지 않은 홈런을 때려냈으나, 타고투저의 영향으로 공동 19위였다. 서술한대로 중간 이상 치는 정도로 보면 될 듯하다.[16] 이렇게 선수들과 격의 없이 친하게 지내고 앵겨 붙는 모습 때문에 놓칠 수도 있는 사실인데, 에레디아는 1991년생으로 야수진에서는 고참 축에 들어간다. 참고로 최지훈은 1997년생으로 무려 6살 연하...[17] 2024년 5월 1일 극적인 역전 적시타를 치고 상대 수비 실책을 틈타 홈까지 질주하며 인사이드 더 파크 모텔을 쳤을 때 김민수 캐스터가 에헤라디야! 바람 부는 활약!이라는 멘트를 했다. 동요 연날리기의 가사 '에헤야디야 바람 분다'에서 따온 듯하다.[18] 그리하여 5월 24일 경기 종료 후 랜더스 선수들이 묵념으로 추모하였다.[19] 나세원 역시 에레디아의 소속팀 SSG의 전신인 SK 와이번스 소속이었다. 나세원 외에는 한때 SK 소속이었던 김동엽삼성 라이온즈 이적 이후 좌투우타로 변신을 시도한 바 있다. 다만 KBO 연감에 김동엽의 투타 포지션은 우투우타로 등록돼 있다.[20] 이후 투수로 영입된 에니 로메로 역시 좌투우타로 랜더스는 좌투우타만 2명을 보유하게 됐으나, 5월 4일 로메로가 부상으로 인해 짐을 싸며 좌투우타는 에레디아 혼자가 됐다.[21] KBO에서 좌투우타인 투수는 kt wiz웨스 벤자민롯데 자이언츠심재민, 한화 이글스류현진이 있다.[22] 통산 상대전적은 2타수 무안타로 김광현이 모두 이겼다.[23] 대표적으로 온갖 오류와 문제점으로 야구팬들의 십자포화를 받은 티빙의 야구 중계 초창기 시절 '에레디야'라는 표기가 사용됐다. 당시 티빙은 전준우를 전근우로, 삼성 라이온즈를 삼성 라이언즈로 오기해 팬들의 분노를 사기도 했다. #[24] 혹은 과거에 스위치 히터였으나, 오른손의 성적이 더 좋아 우타로 굳어진 경우일 수 있다.[25] 베스트 12 1회. 다만, 전반기 막판 부상으로 인해 올스타전에 출전하지 못하게 됐고 황성빈이 대체 선수로 출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