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00:23:27

헤르손 가라비토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if 리스트 == null
{{{#!html 헤르손 가라비토의 20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헤르손 가라비토의 2025 시즌: }}}{{{#!if 같은문서1 == null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군
1 이호성 · 3 최원태 · 4 육선엽 · 18 원태인
· 19 양현 · 20 이승현 · 26 이재익 · 27 김태훈
· 28 이승민 · 42 양창섭 · 45 임창민 · 55 배찬승
· 60 가라비토 · 62 김재윤 · 75 후라도
2군
11 최지광 · 15 이상민 · 17 김대우 · 21 오승환
· 29 백정현 · 37 최하늘 · 41 권현우 · 44 김대호
· 46 송은범 · 48 김무신 · 49 정민성 · 51 최충연
· 54 최성훈 · 57 이승현 · 59 이재희 · 61 황동재
· 65 홍원표 · 100 김시온 · 101 박주혁 · 102 유병선
· 108 허윤동 · 109 최예한 · 110 신경민 · 112 홍준영
· 113 박준용 · 114 천겸 · 115 진희성 · 119 김유현
· 120 김백산 · 121 신윤호 · 122 김성경 · 123 김동현
· 128 우승완 · 140 신정환
최종 편집: 2025년 9월 25일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1군 엔트리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60번
김호진
(2024~2025. 5. 11.)
가라비토
(2025. 6. 20.~)
현역
<bgcolor=#D8E3E3> 파일:2025 가라비토.png
<colbgcolor=#074ca1><colcolor=#fff> 삼성 라이온즈 No.60
헤르손 가라비토
Gerson Garabito
본명 헤르손 예리스 가라비토
Gerson Yeris Garabito
출생 1995년 8월 19일 ([age(1995-08-19)]세)
산 크리스토발 주 산 크리스토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도미니카 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도미니카 공화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3cm | 100kg[1]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2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KC)
소속팀 텍사스 레인저스 (2024~2025)
삼성 라이온즈 (2025~)
레오네스 델 카라카스 (2021/22)
레오네스 데 레온[2] (2022/23)
아길라스 시바에냐스 (2023/24~)
계약 1yr / $356,666
연봉 2025 / $356,666
등장곡 Kabusa Oriental Choir -〈Soso〉
파일:삼성 라이온즈 심볼(흰색).sv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1. 개요

삼성 라이온즈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2.1. 텍사스 레인저스

파일:레인저스가라비토.jpg

2012년 9월 17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을 맺고 입단하였다. 그러나 2019 시즌까지 AA 레벨 이상으로는 올라가지 못했고 2020 시즌에 마이너리그가 코로나로 인하여 통째로 취소되어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한 채 시즌 종료 후 마이너리그 FA가 되었다.

2021 시즌을 앞두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AA와 AAA에서 25경기에 등판한 뒤 시즌 종료 후 FA가 되었다.

이후 2022 시즌과 2023 시즌에는 소속팀 없이 중남미 국가의 윈터리그 소속으로만 실전 경기에 등판하다가 2023년 12월 18일 텍사스 레인저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2.1.1. 2024 시즌

5월 26일 처음으로 빅리그에 콜업되었고 당일 미네소타 트윈스전에 선발 등판해 데뷔전을 치러 3⅔이닝 2피안타 4볼넷 2K 1실점을 기록했다.

본인의 빅리그 데뷔 시즌인 2024 시즌에 총 18경기에 등판한 뒤 시즌을 마무리했다.

2.1.2. 2025 시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삼성 라이온즈

2.2.1. 2025 시즌

파일:7리비토.jpg
7월 23일 vs SSG 7이닝 무실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헤르손 가라비토/선수 경력/2025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플레이 스타일

평균 구속 152.5km/h, 최고 구속 156km/h의 포심과 싱커를 구사하는 우완 파이어볼러이다. 변화구로는 커브, 슬라이더, 체인지업, 스위퍼를 구사한다. 이 중 커브는 종적, 스위퍼는 횡적인 무브먼트가 뛰어나 자주 결정구로 활용된다.

단점은 강속구 투수가 으레 갖고 있는 단점인 제구력이다. 사실 제구력의 기복이 심하다는 표현이 더 적절한데, 긁히는 날에는 제구도 잘 되고 매 이닝을 손쉽게 정리하지만 그렇지 못한 날은 1이닝당 볼넷을 하나씩 허용할 정도로 제구력도 나빠지고 투구수도 왕창 잡아먹어 조기 강판되기 일쑤이다. 수치상 구속 자체는 KBO 상위권이기 때문에 제구력을 잘 잡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다만 최근 1년간 피홈런 수도 증가하며 처참한 트리플 A 성적을 기록해 구위 역시 하락세가 아닌가 하는 의문 부호가 따라붙어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이닝 이팅 능력도 부족한데, 한계 투구수 자체는 많지만 사사구가 많고 타자와의 승부가 긴 편이라 투구수가 상당히 빨리 늘어서 호투하는 날에도 5~6이닝 이상 소화하지 못한다. 소위 말하는 꾸역투가 잦은 편.

KBO 입성 후 현재까지 가장 돋보이는 장점은 위기 관리 능력이다. 주자를 내보내더라도 병살타를 유도하거나 결정적인 순간 아웃 카운트를 잡아 실점을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결정구로 자주 사용하는 스위퍼가 강한 위력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세트 포지션에서 투구 동작이 크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올스타 브레이크 이후 고쳤다. 다만 수정한 세트 포지션에선 제구력과 구속 모두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인도 이를 알고 있는지 느린 주자들이 있을 때는 본연의 큰 세트 포지션 투구동작을 다시 꺼내기도 한다.

여러 모로 본인과 같은 해 롯데 대체 용병으로 들어온 알렉 감보아와 던지는 손이 반대라는 점만 제외하면 피칭 스타일에 유사점이 많다. 다만 결정구로 쓰이는 공이 감보아는 주로 패스트볼, 가라비토는 변화구라는 점이 다르다.

4.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헤르손 가라비토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fff> 연도 G W L S HLD IP ERA H HR BB HBP SO WHIP ERA+ fWAR bWAR
2024 TEX 18 0 2 0 0 26⅓ 4.78 23 4 12 4 22 1.329 84 -0.1 -0.1
2025 3 0 0 0 1 8 9.00 15 1 1 2 8 2.000 44 0.0 -0.6
MLB 통산
(2시즌)
21 0 2 0 1 34⅓ 5.77 38 5 13 6 30 1.485 68 -0.1 -0.6

5. 여담

  • 2024 시즌에 가라비토가 처음으로 빅리그 로스터에 포함되었을 때 로스터 자리를 마련하기 위해 DFA된 선수가 다름 아닌 KIA 타이거즈에서 뛰었던 숀 앤더슨이다.[3]
  • 미국 무대에 데뷔했을 당시 몸무게가 약 72kg 정도에 불과했다. 183cm의 신장 기준 일반인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왜소한 체격이었다. 그런데 이 프로필이 10년 넘게 수정되지 않아서, 삼성 입단 당시 왜소한 체격을 단점으로 지적하는 경우를 왕왕 볼 수 있었다. 결국 삼성 입단 이후 몸무게가 수정되었다.
  • 별명은 가리비토, 가리비. 등판하기도 전에 이름으로 인해 붙었다. 부진한 경기에서는 카리대를 빚대어 가리대라고 부른다.
  • 같은 팀 용병 동료인 르윈 디아즈와 원래부터 인연이 있다고 한다.
  • 삼성에서는 유니폼 상의의 단추를 2개나 풀고서 등판하고 있다. 그래서 기사에 종종 속살을 노출한 사진이 올라오기도 한다.
  • 한국에 올 때 개인 트레이너와 함께 입국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가라비토 옆에 딱 붙어있고 덕아웃에서도 엄청난 텐션을 보여주는 흑인을 찾을 수 있다.
  • 팀 동료 아리엘 후라도와 마찬가지로 피치컴 송신기를 본인이 착용하는데, 허리춤에 차는 후라도와는 달리 특이하게도 자신의 글러브에 송신기를 착용한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디아즈
후라도
가라비토
삼성 라이온즈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74ca1>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삼성 라이온즈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베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파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3)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르티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토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갈베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베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에르가(3)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루크(2) 파일:미국 국기.svg
엘비라(3) 파일:멕시코 국기.svg
패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엘비라(2) 파일:멕시코 국기.svg
라이언(3)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오리어리(2) 파일:미국 국기.svg
로페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바르가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크먼(2)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3)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하리칼라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2) 파일:미국 국기.svg
매존(3)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오버뮬러(2)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즈(2) 파일:미국 국기.svg
(3)(2) 파일:미국 국기.svg
에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나이트(2) 파일:미국 국기.svg
레딩(3) 파일:미국 국기.svg
크루세타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코(2) 파일:미국 국기.svg
매티스(3)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2) 파일:일본 국기.svg
저마노(3) 파일:미국 국기.svg
탈보트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로드리게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리대(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밴덴헐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마틴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피가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클로이드 파일:미국 국기.svg
나바로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웹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플란데(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벨레스터(2) 파일:미국 국기.svg
레온(3) 파일:멕시코 국기.svg
발디리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나도 파일:미국 국기.svg
페트릭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아델만 파일:미국 국기.svg
보니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헤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슨(3) 파일:미국 국기.svg
맥과이어(2)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3) 파일:미국 국기.svg
러프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살라디노(2) 파일:미국 국기.svg
팔카(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몽고메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수아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수아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와이드너(3) 파일:미국 국기.svg
뷰캐넌 파일:미국 국기.svg
피렐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코너 파일:미국 국기.svg
레예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키넌(2) 파일:미국 국기.svg
카데나스(3)(2)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예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가라비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디아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후라도 파일:파나마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헤르손 가라비토의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58번
알렉스 스피스
(2023)
헤르손 가라비토
(2024~2025)
칼 에드워즈 주니어
(2025)
}}}

[1] 영입 당시 체중이 72kg이라는 말도 있었으나, 이는 데뷔 당시 체중이고 현재는 100kg 가까이로 찌운 상태이다.[2] 니카라과 프로야구 리그 소속[3] 이때 DFA된 앤더슨은 마이애미 말린스로 현금 트레이드되며 빅리그 로스터 복귀에 성공하는데, 앤더슨의 자리를 비우려고 DFA된 선수는 다름아닌 고우석이었다. 어쩌다보니 KBO리그와 인연 있는 선수들끼리 엮이고 엮인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