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570514> | 키움 히어로즈 2025 시즌 외야수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2 이주형 · 4 카디네스 · 6 임병욱 · 9 변상권 · 14 박수종 · 15 이용규 · 25 주성원 · 29 임지열 · 33 원성준 · 36 이형종 · 38 김동엽 · 57 박주홍 · 61 장재영 · 66 푸이그 · 79 박채울 | ||
최종 편집: 2025년 2월 11일 | |||
프런트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 선수 | 육성선수 | |||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
임지열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40번 | ||||
최현정 (2013) | → | <colbgcolor=#808285><colcolor=#FFFFFF> 임동휘 (2014~2015) | → | 김웅빈 (2016) |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56번 | |||||
김동준 (2013~2015) | → | 임동휘 (2016) | → | 김한별 (2017~2018) | |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94번 | |||||
초이스 (2017.~2018.8.6.) | → | 임지열 (2018.9.8.~2018) | → | 김준연 (2019) | |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34번 | |||||
김선기 (2018) | → | 임지열 (2019~2020) | → | 스미스 (2021~2021.4.14.) | |
질롱 코리아 등번호 34번 | |||||
서지호 (2018-19) | → | 임지열 (2019-20) | → | 결번 | |
키움 히어로즈 등번호 29번 | |||||
이택근 (2012~2020) | → | 임지열 (2021~) | → | 현역 |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키움 히어로즈 No.29 | |||
임지열 林志列 | Im Jiyeol[1] | |||
출생 | 1995년 8월 22일 ([age(1995-08-22)]세) | ||
대전광역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학력 | 대전신흥초 - 건대부중[2] - 덕수고 | ||
신체 | 180cm | 94kg | ||
포지션 | 내·외야 유틸리티(1루수, 좌익수, 우익수), 지명타자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2014년 2차 2라운드 (전체 22번, 넥센) | ||
소속팀 | 넥센-키움 히어로즈 (2014~) 질롱 코리아 (2019/20) | ||
병역 | 경찰 야구단 (2016년 12월 8일 ~ 2018년 9월 7일) | ||
연봉 | 2025 / 5,8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 ||
등장곡 | 크라잉넛 - 《히어로》[3] | ||
응원가 | 《구단 자작곡》[가사] |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570514><colcolor=#FFFFFF> 가족 | 아버지 임주택 |
|
[clearfix]
1. 개요
키움 히어로즈 소속 내야수 겸 외야수.한화 이글스 출신 임주택[5]의 아들, 야구인 2세. 히어로즈 화제의 드래프트인 14년도 2라운드 지명으로 넥센 히어로즈의 유니폼을 입게 됐다. 포지션은 내야수로 주로 3루수로 출장했으며 어깨가 강해 저학년 시절엔 투수, 1루수, 외야수로도 종종 출장한 경험이 있다.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임지열/선수 경력 | |||
| |||
2014년 | 2015년 | 2016년 | 군 복무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아마추어 시절 |
3. 플레이 스타일
임지열의 홈런 |
그러나 프로 1군에서는 컨택트에 어려움을 겪으며 파워 툴을 잘 살리지 못했다. 그렇게 장기간 안터진 유망주로 고생하다, 2022년 포스트시즌부터 중요한 순간마다 홈런을 터뜨리며 혈이 뚫리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일약 큰 경기에 강한 선수로 떠오르게 되었다. 그리고 이 기세를 2023년까지 이어가며 뜬금포를 곁들여 wRC+ 100을 넘기는 기염을 토했으나, 2024년 꼴찌다운 바닥급 팀 전력 덕에 충분히 많이 주어진 기회에서 직전 시즌 말미부터 이어진 39타석 연속 무안타를 기록하는 등 다시 예전으로 돌아간 모습만 보여주고 말았다. 1995년생으로 이미 나이가 꽉 찬 선수이기 때문에 남은 시간이 많지 않게 되었다.
이럴 때 시간을 벌어주는 것이 수비, 주루, 작전수행능력 같은 것들이지만, 투수로서 148km/h를 뿌렸을 정도로 좋은 어깨 툴을 갖추고 있는 것에 비해 수비 스킬 자체는 매우 나쁘다. 팀에 외야수가 귀해지면서 2020년경 외야수로 포지션을 변경하긴 했으나, 코너 외야에서도 수비실력이 빈말로도 좋다고는 할 수 없는 정도의 실력만 보여주었다. 몸집 큰 빅뱃 유형의 선수답게 주루나 작전수행면에서도 별다른 장점이 없다.
결국 팀 동료인 좌타 김웅빈과 마찬가지로 타격, 특히 장타가 살아나야만 백업이나 대타로라도 1군에서 버틸 수 있는 스타일의 선수이다. 둘은 수비가 약하다는 점, 지지부진한 툴들 중 그나마 파워가 돋보인다는 점, 그 덕분에 빅뱃이 태부족한 팀 사정상 조금만 장타가 터졌어도 주전, 준주전급 입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좌타, 우타라는 차이와 수비포지션을 제외하면 서로 유사한 스타일의 선수라고 할 수 있다. 안터진 유망주 시절을 오래 겪다 약 2년간 주전급 언저리의 타격 생산성을 보여주었으나 이후 아쉽게도 마지막 고비를 넘지 못하고 급격한 하락세를 맞았다는 점까지 아주 유사하다. 둘은 1995-1996년생으로 비슷한 연배이기도 하다.
4. 여담
- 일찍이 성장이 멈춰 남들보다 이르게 웨이트 트레이닝에 주력해 몸만 보면 여느 프로선수와 비교해도 꿇리지 않을 정도로 좋은 편.
- 같은 팀 동료이자 절친인 임병욱과 함께한 홍희정 기자와의 인터뷰.
- 동료였던 서건창과 생일이 같다.
5. 논란 및 사건 사고
5.1. 음주운전 자백
2018년 11월 28일, 2016년 9월에 음주운전으로 면허 정지된 사실을 KBO에 자진 신고했다. 당시 혈중알코올 농도 0.074%로 면허정지 100일, 벌금 150만 원 처벌을 받았다고 한다. 시상식에서 했던 경찰 야구단 존속 호소 발언에 스스로 헤드샷을 날린 셈이 되어버렸다.12월 19일 상벌위에서 30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았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164d> | 질롱 코리아 2019-20 시즌 엔트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 1 이인복# · 11 장국헌 · 14 정태승 · 17 허민혁 18 김인범 · 21 신효승 · 30 이찬석# · 32 박정배 38 노경은# · 51 박종무 · 55 양기현 · 60 호키# 98 휴즈# · 99 박주홍 | |
포수 | 12 박재욱 · 22 주성원 · 47 배현호 | ||
내야수 | 2 배지환# · 5 김민수 · 6 김대륙# · 7 백승현 16 김주형 · 36 전병우# · 95 그린할즈# · 98 우드# | ||
외야수 | '''1 강로한 · 9 홍창기 · 25 이재원 · 33 허일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34 임지열 · 52 고승민# · 53 송우현# · 62 추재현''' | ||
''' | |||
# 중도 이탈 선수 | }}}}}}}}} |
임지열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018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격왕 |
2018 KBO 퓨처스 북부리그 타점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