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22:07:11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스크랴빈에서 넘어옴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 · 기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23729> 상징 국호 · 국기 · 국장 · 국가 · 쌍두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루스 차르국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 소련 · 소련 붕괴 · 러시아 연방조약 · 러시아 헌정 위기
지리 지역 구분() · 극동 연방관구(하위 지역 · 야쿠츠크 · 베르호얀스크 · 오이먀콘 · 아긴스크부랴트 자치구) · 남부 연방관구(하위 지역) · 볼가 연방관구(하위 지역) · 북서 연방관구(하위 지역) · 북캅카스 연방관구(하위 지역) · 시베리아 연방관구(하위 지역 · 노보시비르스크(하위 지역)) · 우랄 연방관구(하위 지역) · 도시 목록 · 모스크바 · 중앙 연방관구(하위 지역) · 툰드라 · 라스푸티차 · 라도가호 · 바이칼호 · 카라차이호 · 한카호 · 돈강 · 레나강 · 볼가강 · 아무르강 · 예니세이강 · 우랄강 · 우랄산맥 · 스타노보이산맥 · 옐브루스 · 나로드나야산 · 시베리아 (시베리아 트랩) · 러시아 극동 · 유럽 러시아 · 북아시아 · 야말반도 · 타이미르반도 · 캄차카반도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 노보시비르스크 제도 · 브랑겔섬 · 콜라반도 · 축치반도 · 크림반도 · 사할린 · 쿠릴 열도 (쿠릴 열도 분쟁) · 세베르나야제믈랴 · 제믈랴프란차이오시파 · 마천루 · 체르노젬 · 쿠즈바스 · 돈바스
문화 문화 전반 · 레프 톨스토이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 모스크바 음악원 · 안톤 루빈시테인 · 표트르 차이콥스키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 니콜라이 메트네르 · 볼쇼이 극장 · 마린스키 극장 (마린스키 발레단) · 러시아 국립 교향악단 ·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러시아 정교회 · 러시아 영화 · 모스크바 국제 영화제 · 러시아 민요 · 발랄라이카 · 요우힉코 · 미하일 글린카 · 러시아 5인조 · 알렉산드르 글라주노프 · 게오르기 스비리도프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안톤 아렌스키 · 니콜라이 카푸스틴 · 알렉산드르 푸시킨 · 미하일 레르몬토프 · 니콜라이 고골 · 이반 투르게네프 · 안톤 체호프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일리야 레핀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엘 리시츠키 · 스트루가츠키 형제 · 관광 · 에르미타주 박물관 · 트레챠코프 미술관 · 러시아 박물관 · 세계 유산 · 오스탄키노 탑 · 우샨카 · 사라판 · 마트료시카 · 사모바르 · 빅토르 초이 · Hardbass
스포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러시아 축구 연합 · 러시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 ·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 러시아 풋볼 내셔널 리그 2 · 러시아 아마추어 풋볼 리그 · 러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콘티넨탈 하키 리그(소속 구단) · 러시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삼보
언어 언어 전반 · 러시아어 · 러시아어/문법 · 러시아어/발음 · Ё ё · 키릴 문자 · 노어노문학과 · 토르플 · 러시아어권
정치 크렘린 · 정치 전반 · 행정조직 · 정부 · 대통령 · 러시아 대통령 선거 · 총리 · 연방의회(국가두마)
경제 경제 전반 (모스크바증권거래소 · 스베르방크) · BRICS · 러시아 루블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상임이사국 · G20 · 러미관계 · 미중러관계 · 한러관계(한러관계/2020년대)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러독관계 · 러시아-폴란드 관계 · 독일-러시아-폴란드 관계 · 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폴란드-우크라이나 관계 · 러시아-체코 관계 · 러시아-슬로바키아 관계 · 러시아 제국주의 · 러빠 · 친러 · 반러 · 혐러 · 신냉전 · 독립국가연합 · 집단안보 조약기구 · 구 소련 국가들과의 관계 · 유라시아 경제 공동체
사회 슬라브 · 러시아인 · 사회 문제 · 고프닉 · ЕГЭ · 러시아 정부 장학금 · 레드 마피아
교통 아에로플로트 · 공항 목록 · 고속도로 · 철도(철도 환경 ·도시철도 · 삽산 · 아에로익스프레스 · 바이칼-아무르 철도 · 시베리아 횡단철도 · 투르케스탄-시베리아 철도 · 환바이칼 철도) · 트롤례이부스 · 트로이카 · 금각교 · 루스키 대교 · 크림 대교 · 백해-발트해 운하 · 볼가-돈 운하 · 북극항로
러시아계 러시아계 한국인 · 러시아계 프랑스인 · 러시아계 독일인 · 러시아계 영국인 · 러시아계 라트비아인 · 러시아계 에스토니아인 · 러시아계 리투아니아인 · 러시아계 핀란드인 ·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계 폴란드인 · 러시아계 스페인인 · 러시아계 미국인 · 러시아계 캐나다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러시아계 아르헨티나인 · 러시아계 카자흐스탄인 · 러시아계 중국인 · 러시아계 이스라엘인 · 러시아계 일본인 · 러시아계 호주인
음식 러시아 요리 · 보르시 · 비프 스트로가노프 · 샤슐릭 · 펠메니 · 피로시키 · 크바스 · 보드카 · 만주 요리
군사 러시아 연방군 (소련군) · 육군 · 항공우주군(편제) · 해군 (발트 · 북방 · 태평양 · 흑해) · 전략로켓군 · 국가근위대 · 해외 주둔 러시아군 · GRU · 붉은 군대 합창단 · 알렉산드로프 앙상블 · 열병식 · 스페츠나츠 · 상하이 협력기구 · 아르미야
역사 · 편제 · 계급 · 징병제 · 병역법 · 러시아 지휘참모대학교 · 러시아 연방군/문제점
러시아군/장비 (소련군/장비) · 전투식량 · 라트니크 · 군복 · 모신나강 · 칼라시니코프 (AK-47 · AKM · AK-74 · AK-12 · AK-47 VS M16 · PKM) · RPG-7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 설계국 · 핵가방 (소련의 핵개발) · 아르마타 · 타찬카 · Su-57
데도프시나 · 러시아군 vs 미군 · 러시아군 vs NATO
치안·사법 러시아 경찰 · 러시아 연방교정청 · 흑돌고래 교도소 · 흰올빼미 교도소 · FSB
기타 공휴일/러시아 · 러시아인 캐릭터 · 불곰국 }}}}}}}}}
<colbgcolor=#17191B><colcolor=#fff> 알렉산드르 스크랴빈
Алекса́ндр Скря́бин
Alexander Scriabin
파일:Skrjabin_Alexander.jpg
본명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스크랴빈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 Скря́бин
Alexander Nikolayevich Scriabin
출생 1872년 1월 6일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사망 1915년 4월 27일 (향년 43세)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국적
[[러시아 제국|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작곡가, 피아니스트
학력 모스크바 음악원
사조 후기 낭만주의, 신비주의, 현대음악
자녀 7명
서명 파일:БСЭ1._Автограф._Автографы._21.svg

1. 개요2. 생애3. 신지학과 스크랴빈4. 주요 작품
4.1. 관현악곡4.2. 피아노곡
4.2.1. 피아노 소나타4.2.2. 연습곡4.2.3. 전주곡4.2.4. 시곡4.2.5. 소곡4.2.6. 기타 작품
4.3. 그 외
5. 작품 성향
5.1. 신비화음
6. 기타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이다. 라흐마니노프와 모스크바 음악원 동기이자 경쟁자였다.

2. 생애

1888년에 모스크바 음악원에 입학하여 바실리 사포노프(1852~1918)에게서, 이론과 작곡은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제자인 안톤 아렌스키(1861~1906)에게서 배웠다.[1]

1895년에 첫 작품을 출판하였고, 1896년까지 여러 지역으로 연주여행을 다녔다. 작곡을 시작한 시기 즈음부터 철학에 큰 흥미를 보이기 시작하여 각종 철학서를 접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니체 철학에 심취하여 극복인(Übermensch)에 대해 깊은 감명을 받는다. 머지않아 신비주의[2]적인 경향이 강한 철학자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Владимир С. Соловьёв)에게 영향을 받아 음악과 철학의 융합을 꾀하게 되고, 이후 헬레나 블라바츠키의 신지학에 관한 저서를 통해 신지학에 완전히 빠지게 되며 오늘날 그의 후기 작품으로 불리는 곡들(법열의 시, 프로메테우스 등)의 작곡에 큰 영향을 끼쳤다. 한편으로 이러한 사상들이 그로 하여금 말년에 각종 기행을 일삼케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생전엔 키도 작고 허약한 체질이었기에 건강에 대해 염려를 자주 하고 다녔는데 애석하게도 1914년 윗입술에 생긴 농양이 원인이 되어 1년 뒤인 1915년 4월 27일 모스크바에서 패혈증으로 세상을 떠났다..

3. 신지학과 스크랴빈

당초 신비주의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시절에만 해도 스크랴빈은 음악을 통해 신비주의의 궁극적인 목표, 즉 음악을 통해 영적으로 더 높은 경지에 이르러 나아가서는 초자연적인 존재(신)와의 합일을 실현하고자 했다. 스크랴빈을 논할 때 꼭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신비화음도 그 목표에 대한 성과물 중 하나였다. 음악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거나 음악을 통해 부차적인 목표를 이루고자 했던 작곡가들이야 많았으니, 이 정도면 그럭저럭 괜찮은 철학을 지닌 작곡가라고 할만 했는데…

3.1. 괴짜?

I am God!
I am nothing, I am play, I am freedom, I am life, I am the boundary, I am the peak.
Notebook-1905
나는 신이다!
나는 아무것도 아니며, 할 수 있고, 자유이다, 나는 삶이며, 경계요, 나는 정점이다.
공책-1905년
끝내 자기 자신을 신이라고 믿기 시작했다. 1905년에 작성된 위의 노트는 일종의 시 같은 형식으로 쓰여있었는데, 단순히 큰 의미를 두지 않은 농담으로 치부하기가 어려운 것이, 자신에게 신비로운 힘[3]이 내재돼있을 거라고 믿고 실제로 아내가 지켜보는 앞에서 스위스의 제네바 호수[4] 위를 걸어가려다 익사할 뻔하기도 했으며, 그의 두번째 아내 타치야나와 함께 하늘을 나는 실험을 하기도 했다. 평소 그의 걸음걸이 역시 하늘을 나는 것같은 스텝이었다는 지인들의 증언도 있다.

이러한 특이한 행동과 자의식 때문에 동시대의 음악인들 사이에서는 비웃음을 샀으며, 스크랴빈의 음악성은 인정하더라도 그의 서투른 사회성 때문에 그를 멀리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4. 주요 작품

스크랴빈의 작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Op.1
왈츠
Op.2
3개의 소품
Op.3
10개의 마주르카
Op.4
알레그로 아파시오나토
Op.5
2개의 녹턴
Op.6
피아노 소나타 1번
Op.7
2개의 마주르카 풍의 즉흥곡
Op.8
12개의 에튀드
Op.9
왼손을 위한 전주곡과 녹턴
Op.10
2개의 즉흥곡
Op.11
24개의 전주곡
Op.12
2개의 즉흥곡
Op.13
6개의 전주곡
Op.14
2개의 즉흥곡
Op.15
5개의 전주곡
Op.16
5개의 전주곡
Op.17
7개의 전주곡
Op.18 콘서트 알레그로
Op.19
소나타-환상곡
Op.20
피아노 협주곡
Op.21
폴로네이즈
Op.22
4개의 전주곡
Op.23
피아노 소나타 3번
Op.24
Op.25
9개의 마주르카
Op.26
교향곡 1번
Op.27
2개의 전주곡
Op.28
환상곡
Op.29
교향곡 2번
Op.30
피아노 소나타 4번
Op.31
4개의 전주곡
Op.32
2개의 시곡
Op.33
4개의 전주곡
Op.34
비극적인 시
Op.35
3개의 전주곡
Op.36
악마적인 시
Op.37
4개의 전주곡
Op.38
왈츠
Op.39
4개의 전주곡
Op.40
2개의 마주르카
Op.41
시곡
Op.42
8개의 에튀드
Op.43 신성한 시 Op.44
2개의 시곡
Op.45
3개의 소품
Op.46
스케르초
Op.47
왈츠같이
Op.48
4개의 전주곡
Op.49
3개의 소품
Op.51
4개의 소품
Op.52
3개의 소품
Op.53
피아노 소나타 5번
Op.54
법열의 시
Op.56
4개의 소품
Op.57
2개의 소품
Op.58
알붐블라트
Op.59
2개의 소품
Op.60
프로메테우스
Op.61
녹턴풍의 시곡
Op.62
피아노 소나타 6번
Op.63
2개의 시
Op.64
피아노 소나타 7번
"하얀 미사"
Op.65
3개의 에튀드
Op.66
피아노 소나타 8번
Op.67
2개의 전주곡
Op.68
피아노 소나타 9번
"검은 미사"
Op.69
2개의 시곡
Op.70
피아노 소나타 10번
Op.71
2개의 시곡
Op.72
불꽃을 향하여
Op.73
2개의 춤
Op.74
5개의 전주곡
WoO 1
캐논
WoO 2
로망스
WoO 3
녹턴
WoO 4
스케르초
WoO 5
스케르초
WoO 6
환상곡풍의 소나타
WoO 7
왈츠
WoO 8
왈츠
WoO 9
에고로프 변주곡
WoO 10
듀엣
WoO 11
마주르카
WoO 12
푸가
WoO 13
푸가
WoO 14
마주르카
WoO 15
마주르카
WoO 16
마주르카
WoO 17
알붐블라트
WoO 18
환상곡
WoO 19
소나타
WoO 20
푸가
WoO 21
로망스
WoO 22
에튀드
WoO 23
러시아 주제에 의한 변주곡
WoO 24
교향적 알레그로
WoO 25
알붐블라트
전주곡 론도 헝가리 광시곡 A8
에튀드 Db장조
A9
에튀드 F#장조
A11
소나타
A13
왈츠-즉흥곡
A14
발라드
A16
피아노 곡
A18
스케르초
케이스툿과 비루스타
A20
안단테
미스테리움 }}}

4.1. 관현악곡

교향시 '법열의 시' Op.54 (키릴 페트렌코,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

4.2. 피아노곡

4.2.1. 피아노 소나타

피아노 소나타 전곡(엘레나 리히터)

스크랴빈의 10곡의 피아노 소나타는 그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데 가장 적합한 장르일 것이다.[8] 보통 4번까지를 후기 낭만으로 분류하며, 그 이후의 소나타는 신비화음의 요소가 돋보이는 신비주의적 음악으로 분류한다.[9]

4.2.2. 연습곡

연습곡 Op.42/8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
스크랴빈의 에튀드집은 초기, 중기, 후기에 각각 하나씩 작곡되어 구분하기가 쉽다. Op.8은 양손의 셋잇단 음형, Op.42는 슈만의 영향을 받은 다양한 폴리리듬, Op.65는 오른손의 일정한 음역이 각 작품번호에서의 주된 연습 목표로 되어 있다. 다만 난이도가 상당히 높아 연주하기는 힘든 것들이 꽤 된다.
  • 연습곡 C샤프단조 Op.2/1
  • 12개의 연습곡 Op.8
    • 초기 쇼팽의 영향이 그대로 보이는 곡이며 Op.8의 12번째 곡이 특히 유명한 편이다. 보통 첫번째 버전이 자주 연주되나, 두번째 버전도 있다! 두번째 버전에서는 좀 더 연주회에 적합하게 편곡되었다.
  • 8개의 연습곡 Op.42
    • Op. 30의 4번 소나타 이후 스크랴빈은 자신의 작품에서 점차 전통적 화성에서 벗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5번 소나타처럼 조성감을 느끼기 어려울 정도는 아니지만 그래도 애매한 부분이 확실히 존재한다.
    • 5번째 곡이 좋은 멜로디와 더불어 웅장한 느낌의 곡으로 유명한데, 라흐마니노프는 스크랴빈의 42-5를 어렵다고 해놓고 1시간 만에 칠 수 있게 되었다.[15]
  • 3개의 연습곡 Op.65
    • 후기에 쓰여진 연습곡. 1번은 장9도, 2번은 장7도, 3번은 완전5도의 연습곡이라는 명확한 주제가 있다.[16]

4.2.3. 전주곡

전주곡 Op.74 (엘레나 리히터)
스크랴빈의 전주곡은 피아노 소나타와 더불어 그의 작품세계를 쉽게 잘 알 수 있는 중요한 작품군 중 하나인데, 시기별로 다양한 곡들이 남아 있어 비교하면서 들어보면 꽤 흥미롭다. 각각의 곡들은 길이도 매우 짧은 것들이 대다수라 스크랴빈에 입문하는 데는 최적의 곡들이라 할 수 있다. 스크랴빈은 1888년에 '24개의 전주곡 Op.11'을 쓴 이래로 (소곡집에 들어있는 것은 제외하면) 84개나 되는 전주곡을 작곡하였는데[17], 이러한 소품들을 많이 만들어서인지 스크랴빈에게는 '러시아의 쇼팽'이라는 별명이 붙어 있다.

4.2.4. 시곡

시곡 Op.63/2 '기묘함' (존 오그돈)
스크랴빈만의 독창적인 장르 중에 '시곡(Poème)'도 있다. 그의 중기 때부터 작곡되기 시작했는데, 전주곡과 달리 후기에 더 많이 쓰여졌다. 전주곡이나 소곡보다는 길이가 길고, 일반적으로 스크랴빈의 시곡은 한 작품번호 안에 2곡이 포함되어 있다. 말 그대로 시적인 멜로디가 곡에 녹아 있고, 곡 하나하나에 자신만의 개성이 확실히 드러나 있는 것이 매력으로 다가올 것이다.

4.2.5. 소곡

쇠약한 춤 Op.51/4 (예브게니 키신)
스크랴빈은 소곡도 아주 많이 썼다. 그러나 초기에 만든 소곡집은 단 하나이고, Op.40번대가 되어서야 본격적으로 소곡들을 작곡하기 시작했다. 전주곡, 시곡, 연습곡 중에서 위에 소개되지 않은 것들을 여기에 많이 찾아볼 수 있고, '꿈', '허술함', '수수께끼' 같은 기상천외한 제목을 가진 것들도 있다. 역시 곡 길이는 전체적으로 짧지만 스크랴빈 특유의 정서를 느낄 수 있는 것들이 많다.
  • 3개의 소곡 Op.2
  • 3개의 소곡 Op.45
  • 3개의 소곡 Op.49
  • 4개의 소곡 Op.51
  • 3개의 소곡 Op.52
  • 4개의 소곡 Op.56
  • 2개의 소곡 Op.57
  • 2개의 소곡 Op.59

4.2.6. 기타 작품

환상곡 Op.28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위에서 소개되지 않은 스크랴빈의 기타 작품을 소개한다. 각 장르 별로 곡 수가 많은 것은 또 따로 분류해 보았다.

왈츠
즉흥곡
마주르카
녹턴, 알붐블라트[24]
기타 1[26]
기타 2

4.3. 그 외

5. 작품 성향


한국계 미국인 피아니스트이자 클래식 작곡가인 Nahre Sol이 소개하는 스크랴빈의 작품세계. 영상 21분부터 생일 축하합니다를 스크랴빈 초~중기 방식으로 편곡한 것을 들을 수 있다.

스크랴빈은 크게 초기, 중기, 후기로 작품 성향이 변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초기 : 프레데리크 쇼팽의 영향을 받아 낭만적인 느낌이 풍부한 느낌의 곡을 작곡한다.
  • 중기 : 화성에 신비주의 요소를 도입하기 시작한다.
  • 후기 : 신비화음이 독자적인 작곡 기법으로 확립된다.

5.1. 신비화음

스크랴빈이 독자적으로 고안한 화음으로, 교향시 '법열의 시'부터 본격적으로 사용한 어법이다. 또한 교향시 '프로메테우스' 이후부터는 아예 곡 전체가 신비화음으로 도배되어 있다. 마지막 F# major의 피날레를 제외하고는 전부 신비화음이다.

배음렬의 8~14번째 음(C-D-E-F#-G-A-Bb)을 기반으로 한 배음렬 화음(C음 기준에서 C-E-G-Bb-D-F#-A)을 4도 간격으로 배치한 것이 신비화음의 기본형이다. 여기서 무조적 성향을 띄기 위해 C가 근음이면 보통 그 5음인 G가 생략이 되는데, 이를 통해 신비화음의 기본형은 C-F#-Bb-E-A-D가 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상위 2개의 음은 반음계적 변화음을 쓰기도 한다.[31] 사실 음의 배치만 바꿨을 뿐이지만 이로 인해 3도 음정의 존재감이 흐려지기 때문에 기존 조성화성의 흔적은 남아있으면서도 어딘가 다른 색채를 보여준다. 결국 속7화음 계열이기 때문에[32] 스크랴빈의 중/후기 작품은 조성감이 옅음에도 불구하고 그리 불협화적으로 들리지 않는다.

신비화음은 드뷔시가 주로 사용한 온음 음계(모든 음이 온음 간격으로 구성된 음계)와도 비슷한 특징을 보여준다. 신비화음을 펼쳐서 신비"음계"를 만들면 C-D-E-F#-A-Bb와 같은 구조가 형성되는데, 이는 온음 음계인 C-D-E-F#-G#-A#에서 A#=Bb라고 하였을 때 G#음이 A음으로 대치된 것 빼고는 완벽히 같다. 또한 신비화음은 이전의 낭만적인 작풍을 유지할 때 자주 쓰이던 속13화음과도 관련이 깊다. 속13화음의 구성 C-E-G-Bb-D-A에서 G음을 반음 내리고 Gb=F# 이명동음으로 취급하여 C음을 기준으로 4도 간격으로 재배치하면 신비화음과 일치한다.

6. 기타

  • 스크랴빈의 피아노곡은 왼손의 난이도가 매우 높기로 유명하다. 이는 스크랴빈이 젊었을 시절에 프란츠 리스트의 '돈 주앙의 회상(S.418)'[33]을 무리하게 연습하다가 오른손에 부상을 입어 그 회복 기간 동안 왼손 테크닉을 연마했던 것 때문이다.[34] 특히 그의 에튀드는 왼손에서 가장 어렵다는 도약과 아르페지오가 종횡난무하는데, 비교적 규칙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쇼팽의 왼손과는 달리 스크랴빈 작품의 왼손은 박자의 분할이 상당히 특이하고(흔히 쓰는 셋잇단음표 수준을 넘어 7분할, 9분할도 많다), 오른손의 정박과 비교하면 완전히 제멋대로 노는 엇박자 수준의 음형을 보이기 때문에, 처음 스크랴빈의 곡을 접하는 학생들은 적응하기까지 상당히 어려워한다.
  • 까다로운 피아노곡을 작곡한 음악가치고는 손이 작은 편이었는데, 어떤 기사에 따르면 8도밖에 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의 작품에서 10도는 기본이고 11도, 12도 등의 장대한 화음이 자주 나오는데, 롤 피아노로 녹음된 본인의 연주를 들어보면 대부분의 화음을 분산 처리한다. 게다가 애초부터 9도 연습을 표방하고 있는 연습곡 Op. 65, No. 1은 스스로 연주조차 못했다고 한다. 이렇게 불규칙한 왼손과 더불어 넓은 화음을 짚어야 하는 스크랴빈의 곡은 연주할 때에는 손이 작다면 특히 손가락에 부담이 심하게 온다.
  • 막내아들로 율리안 스크랴빈이 있었는데, 굉장한 신동으로 유명하다. 전문가들은 율리안이 남긴 작품들이 (만약 본인의 작품이 맞다면) 음악사에 특기할 만한 신동 중 하나라고 말한다. 그러나 율리안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지 4년 후 1919년 6월 우크라이나의 드네프르 강에서 익사하여 11살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하긴 세상이 뒤숭숭할 때였으니 누가 어떻게 죽든 이상하지 않을 시절이었다.
  • 딸 아리아드나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일원으로 무공 십자훈장까지 받았다.
  • 자식은 첫 아내 베라 이바노브나 이사코비치와의 사이에서 4명, 두 번째 아내 타티아나 표도로브나 슐뢰처와의 사이에서 3명을 얻었다. 전술한 아리아드나와 율리안은 두 번째 아내의 아이들이다.

[1] 헌데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스크랴빈의 작품을 들어보곤 "이거 순 미친 놈 아냐?"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속내가 복잡한 인물이었던 림스키코르사코프는 스크랴빈의 음악을 싫어했지만, 자신의 앞에서 누군가가 스크랴빈에 대해 폄하하면 반대로 스크랴빈을 칭찬했다고 한다.[2] 여기서 말하는 신비주의란 해당 문서의 1번 항목를 가리킨다.[3] 구체적으로는 예수가 보였던 기적을 일으키는 힘이라고 생각했다. 생일이 크리스마스이었기 때문.[4] 프랑스 국경에도 걸쳐있기 때문에 레망 호수라고도 한다.[5]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조성의 아름다움을 극한까지 끌어올린 명곡이다. 6악장의 대곡인데, 6악장이 작곡되지 않은 채 러시아 작곡가 리아도브에 의해 초연이 되었다고 한다. 사실 6악장이 없어도 끝나는 느낌이긴 한데 이 곡으로 스크랴빈은 글린카 상을 수상했다. 특히 6악장은 과장해서 베토벤 교향곡 9번 4악장의 환희 느낌의 합창이다.[6] 위 두 시곡은 교향곡 3번의 후속 교향곡이라고 볼 수 있다. 즉, 교향곡 4, 5번이라고 볼 수 있다는 의미다. 작곡 시기상으로도 그렇고, 스크랴빈은 법열의 시에 대해 사석에서 '교향곡 제4번'이라고 말하고 다니곤 했다.[7] 미완성 뮤지컬곡이다. 스크랴빈은 이 종말론적인 작품을 인도의 히말라야 산자락에서 1주일간 공연을 할 계획이었다.[8] 여기서의 '10곡'은 오직 작품번호가 붙어있는 곡들에만 한정되어 있으며, 목록에는 작품번호가 붙어있지 않은 2곡도 올려놓았다.[9] 스크랴빈의 후기작품을 후기낭만으로 봐야하는지, 현대음악으로 봐야하는지에 대한 의견이 제각각 다르므로 참고하길 바람.[10] 장송행진곡이 있다는 점에서 쇼팽의 2번 소나타를 떠올리게 한다. 더불어 약간 특이하게 악장배치가 되어있는데, 보통 장송행진곡이 끝나고 빠른 악장으로 넘어가는 반면에 이 곡은 3악장이 빠른 악장이고 4악장이 attacca(쉬지 않고 바로 다음 악장으로 넘어가라는 뜻의 지시어)로 이어지면서 장송행진곡이 시작된다. 3악장은 왼손의 옥타브와 오른손 아르페지오가 매우 까다로우며, 4악장의 중간에 있는 교회 코랄풍의 부분은 추억을 회상시키는 듯한 분위기와 pppp까지 써가며 스크랴빈이 특히 더 악상에 신경을 쓴 부분이라는 것이 보여진다.[11] '환상 소나타'라고도 불린다. 스크랴빈의 피아노 소나타 중에서 가장 유명할 뿐만 아니라, 스크랴빈의 모든 곡들 중에서도 에튀드 8-12, 42-5와 함께 가장 사랑받고 있는 곡이다.[12] 3번 소나타까지는 쇼팽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으나 4번부터 점차 자신만의 독자적인 화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13] 피아노 소나타 5번부터는 무조성 곡이나, 곡의 맨 끝부분에서의 화성 진행을 고려하여 조성을 붙여 놓는 경우도 드물게 있는 편이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편의상 억지이지 작곡가 자신은 완전한 무조음악을 추구했기 때문에 굳이 조성을 따지려 드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수는 없다.[14] 그러나 피아노 소나타 5번의 경우 6~10번에 비해서 조성감이 강하기도 하고, 악보상으로도 6~10번과는 달리 조표가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조성이 병기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잦다.[15] 작품 난이도도 상당한 편으로, 왼손의 아르페지오를 커버하기 위한 에튀드이다.[16] Op.65/1의 경우, 스크랴빈은 손이 작아 9도를 겨우 짚을 수 있었고 결국 소나타 8번과 함께 사람들 앞에서 치지 했다고 한다. 게다가 9도뿐만 아니라 스크랴빈만의 엄청난 크기의 왼손 아르페지오까지 감당해야 하니 사실상 10개의 소나타를 제외한 가장 어려운 곡 중 하나라고 꼽을 수 있다.[17] 스크랴빈은 초기~중기까지는 아주 많은 양의 프렐류드를 썼다. Op.11의 24개의 전주곡을 제외한 60개의 전주곡 중에서 초기에 쓴 것이 29개, 중기에 쓴 것이 23개이다. 심지어 Op.30번대에서는 작품번호가 홀수인 곡들이 모두 프렐류드 곡집이다. (이건 뭔가 피아노 소나타의 경우와 비슷한 것 같다.)[35] 반면 후기에는 전주곡을 많이 쓰진 않았다.[18] 스크랴빈 특유의 무조음악에서 나타나는 체념, 긴장, 명상하는 분위기가 1번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2번은 왼손의 난이도가 꽤나 까다롭지만 곡 분위기는 1번과 비슷하며, 마지막에는 신비화음의 기본형(C-F#-Bb-E-A-D-G)에서 C, F#, E, Bb음을 사용한 화음으로 마무리된다.[19] 스크랴빈[20] 연주 난이도는 꽤나 까다롭지만, 그만큼 멋진 곡이다.[21] 특이하게 이 곡집의 2곡에만 각각 부제가 붙어 있다.[22] 본래 피아노 소나타 11번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적 이유로 시곡으로 교체되었다. 호로비츠의 연주로 인지도를 모은 곡. 아주 작게 시작하여 긴장감을 형성하다가 점점 분위기가 고조되어 후반부로 갈수록 불꽃을 연상시키는 트릴이 계속해서 등장하는 것이 특징이다.[23] 2번이 특히 좋다.[24] 알붐블라트 = Feuillet d'Album = Album blatt[25] 스크랴빈이 부상으로 오른손을 쓸 수 없게 되었을 때 작곡하였다. 1악장 전주곡과 2악장 야상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곡 전체를 왼손으로만 진행한다.[26] 기타 1에서는 비교적 연주 시간이 길고 스케일이 큰 곡을, 기타 2에서는 그렇지 않은 곡을 다룬다.[27] 위에 초기작인 피아노 소나타 Eb단조의 1악장을 연주용으로 편곡한 곡이다. 피아노 소나타 Eb단조는 스크랴빈 생전에 출판되지 않았지만 이 곡의 1악장을 편곡한 알레그로 아파시오나토는 생전에 출판되었다.[28] 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이며, 스크랴빈 특유의 화음연타와 왼손의 벌림 등 까다로운 부분들이 매우 많다. '연주회용'이라는 제목답게 관객들에게 꽤나 어필하기 좋은 곡이다.[29] 엄청난 체력과 음량을 요구하므로 체력적으로도 힘들고 마지막의 괴상한 아르페지오도 처리하기 까다롭다. 환상곡이지만 ABCAB의 형식이 대체로 잡혀 있으며 이러한 형식은 쇼팽 스케르초 2번과 (스크랴빈) 피아노 협주곡의 3악장 등에서도 나타난다. 스크랴빈 자신이 이 곡을 썻다는 사실을 까먹었다는 이야기가 있다(...)[30] 장르답게 쇼팽적 느낌이 꽤나 있는 편이며, 환상곡 Op28과 함께 아파트에서 치면 안되는 곡이다[31] 예시로 소나타 7번에서의 첫머리는 기존의 C-F#-Bb-E-A-D의 신비화음 구조에서 D음이 반음 내려간 Db음으로 변형시켜서 사용되기도 한다.(C-F#-Bb-E-A-Db)[32] 특히 4개의 음만 쓰인 C-F#-Bb-E는 아예 프랑스 6화음과 같은 형태인 이명동음 화음이다.[33] 리스트식 기교의 집대성으로 볼 수 있는 곡으로, 매우 어렵기로 악명이 높아 웬만한 피아니스트들도 거의 치지 않는다.[34] 관련 유머에서도 이를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