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1 20:02:25

요하네스 오케겜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 · 기록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고대 메소포타미아 음악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중세 음악 노트르담 악파 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 비트리 · 마쇼
기타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 부르고뉴 악파 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스페인 빅토리아
영국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프랑스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이탈리아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중부 유럽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영국 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 전고전(로코코)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초기 고전파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 전기 낭만​주의 초기 낭만파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오페라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후기 낭만​주의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폴란드
낭만주의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미국
후기 낭만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국민​악파 러시아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중부 유럽 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흐리스토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모니우슈코 파일:폴란드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 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음악
인상주의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신고전주의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제2 빈 악파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 음악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영국 근현대 음악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헝가리 근현대 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폴란드 현대 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 음악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 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colbgcolor=#C2B99D><colcolor=#000> 요하네스 오케겜
Johannes Ockeghem
[1]
파일:external/i0.wp.com/ockegehn.jpg
출생 1410년
생-기슬랭 (추정)
사망 1497년 2월 6일 (향년 86~87세)
프랑스 왕국 투르
직업 가수, 작곡가, 음악 교육자
장르 플랑드르 악파

1. 개요2. 생애3. 오케겜의 음악
3.1. 특징

[clearfix]

1. 개요

15세기 유럽 음악을 주도했던 플랑드르 악파의 거장이자 15세기 중후반의 가장 중요한 음악가 중 한 사람이다. 현재에는 작곡가로만 알려져 있지만 당대에는 훌륭한 가수이자 음악 교육자이기도 했다. 음악사적으로는 15세기 초반에 활약한 '기욤 뒤파이(Guillaume Dufay, 1397년경 - 1474년)'와 15세기 후반부터 활약한 조스캥 데 프레를 잇는 음악가였다. 물론 단순히 가교 역할을 한 음악가로만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뒤페나 데프레 못지않은 오케겜만의 독창성과 위상을 지니고 있다.

2. 생애

오케겜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별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일단 출생 연도부터 불확실한데, 연구자에 따라 빠르게는 1410년 이전부터 늦게는 1430년까지, 무려 20년 이상의 차이가 날 정도로 온갖 주장이 난무하고 있다. 대략적인 출생 연도는 1410~1425년 사이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설도 많다. 출생지 역시 정확하지 않은데, 그간 오케겜의 선조들이 살았던 동플랑드르 지역의 오케겜(Okegem)이나 덴데르몬더(Dendermonde)를 출생지로 추정하였으나 1993년에 그가 현재 벨기에 영역에 있는 생기슬랭(Saint-Ghislain)에서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는 16세기 문헌이 발견되면서 현재는 생기슬랭이 출생지라는 데에 의견이 모아진 상황이다. 따라서 그의 모국어도 플랑드르에서 사용되는 네덜란드어가 아니라 피카르디어(Picard)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출생 연도와 출생지가 이처럼 불확실하니 당연히 그가 어디서 자랐고 어디서 교육을 받았는지는 더더욱 알기 힘든 상황. 대략적으로 당시 생기슬랭에 있던 두 교회 중 하나에서 교육을 받았을 것으로 막연히 추정하고 있다.[2] 오케겜에 대한 당대의 기록은 1443년이 돼서야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그를 최초로 언급한 이 문헌에서는 안트베르펀에 있는 옹즈 리브 브루베 성당(Onze-Lieve-Vrouwe Cathedral, 번역하면 우리 성모의 성당)에서 가수로 재직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문헌에서는 특이하게 그를 왼편의 가수(left handed singer)로 표현하고 있는데, 왼편이라고 명명된 가수는 성당에서 직접 작곡된 곡을 노래하고 오른편(right handed)이라고 명명된 가수들은 그레고리오 성가 등을 비롯한 전례 음악을 부르는 역할을 맡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때의 오케겜은 노래와 더불어 작곡도 담당했던 것이다. 이 성당에 재직할 당시 오케겜은 존 던스터블(John Dunstable, 1390~1453)을 필두로 하여 유럽 대륙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던 영국식 음악 양식과 기욤 뒤파이, 질 뱅슈아(Gilles Binchois, 1400경~1460) 등의 부르고뉴 악파의 음악을 접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어 1446~1448년에는 부르봉 공 샤를 1세(Charles I, Duke of Bourbon)의 궁정 음악가(가수 및 작곡가)로 재직했으며 1452년경에는 파리로 옮겨서 프랑스 왕실의 악장(maestro di cappella)이자 투르에 있는 성 마르탱 대성당의 재무관과, 파리노트르담 대성당의 참사회 의원으로 재직하고 있었던 것이 확인된다. 프랑스 왕실에서 능력을 인정받았는지 프랑스 왕 샤를 7세와 후임자 루이 11세 밑에서 계속 궁정 음악가로 활동했으며 노트르담 대성당에서도 직책을 맡았던 것이 확인된다.

오케겜은 궁정 음악가뿐만 아니라 행정 관리 직책도 맡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1460년대 후반에 프랑스 왕의 사절로 스페인의 카스티야 왕국에 간 적도 있었다. 당시 오케겜은 카스티야 왕국에 프랑스와 사이가 나빴던 영국부르군디 공국과 동맹을 맺지 말 것과 당시 카스티야 왕국의 공주였던 이사벨라 1세와 루이 11세의 동생인 베리 공 샤를(Duke of Berry)의 결혼을 주선하기 위해 사절로 간 것인데, 결국 두 가지 미션 모두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3]

오케겜은 1483년 루이 11세가 사망한 후 행적이 많이 드러나있지 않는데, 1488년 샤를 8세가 빈자들의 발을 씻겨주는 목요일 세족례에 참석한 것이 공식 기록에 나온 그의 마지막 행적이다. 이후의 행적은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 학자들은 말년의 오케겜이 대체로 부르게(Brugge)나 투르에 살면서 작곡과 음악 교육에 종사하다가 1497년 투르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가 사망하자 그를 존경했던 많은 시인과 음악가들이 그의 죽음을 추모하는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조스캥 데 프레의 샹송 '오케겜의 죽음에 대한 애가(Déploration sur la mort de Jean Ockeghem)'[4]는 매우 유명하다.
조스캥의 오케겜의 죽음에 대한 애가

3. 오케겜의 음악

현존하는 오케겜의 음악은 그의 음악사적인 위상에 비해 숫자가 그리 많지 않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위작들이 계속 걸러지는 덕분에 그의 작품 수는 계속 줄어들고 있다. 현재 오케겜의 것으로 인정받는 작품은 13곡의 미사와 1곡의 진혼곡[5], 5곡의 모테트, 21곡의 샹송 및 악보 일부만 남아 있는 소수의 단편이 있다.

이처럼 작품 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각 작품들의 작곡 연대도 대부분 불명확하기 때문에 오케겜을 연구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나마 연대가 알려진 작품으로 1460년경 뱅슈아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쓴 애가 Mort tu as navré/Miserere 정도가 있는데, 이 작품도 뱅슈아의 사망 연도가 1460년이기 때문에 이때쯤 작곡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수준이지 확실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다. 현대의 학자들은 각 작품의 작곡 수법을 바탕으로 대략 초기/중기/후기 정도로 작곡 연대를 분류하고 있다.

3.1. 특징

오케겜의 작품의 독창성은 광범위한 멜로디에 있다. 길고 유연한 선율이 각 성부들을 하나로 묶는다. 그의 미사 중 카푸트 미사(Missa Caput)와 같은 초기 작품에서는 선배인 뒤파이나 뱅쇼아처럼 정선율(cantus firmus)을 사용하였는데, 점차 전례 음악을 사용하는 정선율 방식에서 벗어나 자신이 작곡한 샹송이나 당시에 유행했던 세속 음악인 무장한 병사 등의 선율을 활용하였으며 패러프레이즈 미사(paraphrase mass)나 패러디 미사(parody mass) 등의 양식을 개척하였다. 그가 개척한 미사 양식과 후배 작곡가들, 특히 야코프 오브레흐트(Jacob Obrecht)나 조스캥 데 프레 등 부르고뉴 악파의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는데, 이런 양식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조스캥 데 프레 항목을 참고하기 바란다.

특히 그의 최후반기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는 미미 미사(Missa Mi-mi), 다중 선법 미사(Missa cuiusvis toni), 프롤라티오눔 미사(Missa prolationum) 에서는 정선율이 사용되지 않고 후에 부르고뉴 악파에 의해 계승된 대위법적인 수법들이 등장하기 시작하기 때문에 음악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작품들이다. 특히 프롤라티오눔 미사는 조스캥 데 프레가 즐겨 썼던 프롤레이션 캐논(prolation canon 또는 mensuration canon) 작법이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이 프롤레이션 캐논은 통상적인 캐논처럼 한 성부의 선율을 다른 성부가 모방을 하되 음의 길이를 달리해서 성부간 진행 속도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기법이다. 자세한 것은 역시 조스캥 데 프레 항목에 나와 있으니 참고하도록 하자.
Missa Prolationum 중 Kyrie[6]
Deo Gratias à 36[7]


[1] 오케겜은 문헌에 따라 Okeghem, Ogkegum, Okchem, Hocquegam, Ockegham 등 다양한 철자로 기록되어 있다.[2] 이처럼 오케겜의 초기 생애가 불확실한 이유는 오케겜 시대의 다른 작곡가들과 마찬가지로 그의 생애에 대해 알 수 있는 당대의 자료가 매우 적기 때문이다.[3] 아시다시피 이사벨라 1세는 다른 결혼 제안을 모두 물리치고 1469년 이종사촌이었던 아라곤 왕국의 페르디난트 5세와 결혼하였다. 더 자세한 것은 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4] 장례를 위한 전례 음악(Requiem Aeternam)을 정선율(cantus firmus)로 사용하고 장 몰리네(Jean Molinet)라는 시인이 오케겜을 애도하기 위해 쓴 시 Nymphes des bois(숲의 님프)를 가사로 사용한 작품이다.[5]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진혼 미사곡이다. 기록상으로는 기욤 뒤파이가 오케겜보다 먼저 진혼곡을 작곡했다고 하는데 현재 이 작품은 실전되었다.[6] 악보를 보면 서두에 1성부의 선율을 2성부가 모방하되 대략 2배의 음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2성부가 1성부를 1/2의 속도로 모방하는 것이다. 다만 이 미사 프롤라티오눔은 작품 전체에 이런 속도 차 모방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부분부분 잠깐 나타났다 사라지며 모든 성부에 이런 모방 기법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온전한 의미의 프롤레이션 카논으로 보기는 어렵다.[7] 카논 문서에도 링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