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드보르자크 · 야나체크 · 에네스쿠 · 도흐나니 · 흐리스토프 · 블라디게로프 · 모니우슈코 · 비에니아프스키 · | |||
북유럽 | 닐센 · 그리그 · 시벨리우스 · 알벤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한슬리크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 |||
한국 현대 음악 |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첸 · 도이처 | }}}}}}}}} |
<colbgcolor=#272727><colcolor=#fff> 아돌프 폰 헨젤트 Adolph von Henselt | |
본명 | 게오르그 마르틴 아돌프 폰 헨젤트 Georg Martin Adolph von Henselt |
출생 | 1814년 5월 9일 |
바이에른 왕국 슈바바흐 | |
사망 | 1889년 10월 10일 (향년 75세) |
프로이센 왕국 슐레지엔 Warmbrunn[1] |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음악교사 |
사조 | 전기 낭만주의 |
[clearfix]
1. 개요
독일의 작곡가이자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이다.2. 생애
1814년 독일 바이에른주 슈바바흐에서 태어났다.세 살 때에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고, 다섯 살 때에 요제프 폰 플라드(1778-1843)에게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다.
1832년 예술에 관심이 많던 바이에른의 루트비히 1세 국왕의 영향으로 헨젤트는 6개월간 바이마르에서 훔멜에게 가르침을 받을 수 있는 재정적 수단을 제공받았다. 뮌헨의 오데온에서의 성공적인 데뷔로 6개월간의 체류를 마치고 그해 말, 그는 빈으로 가서 지몬 제이터(Simon Sechter)[2] 밑에서 2년간 작곡을 공부했다.
빈에서 2년간 공부한 후 헨젤트는 2년 더 은둔생활을 했다. 1836년에 그는 신경쇠약을 겪은 후 회복을 위해 독일의 여러 도시를 여행했다.[3] 그는 여행 중 만난 로잘리 보겔과 사랑에 빠져 1837년에 결혼한다.[4]
1838년에 헨젤트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한다. 그곳에서 그의 작품과 연주는 호평을 받으며 궁정 피아니스트 및 제국 여성 교육원의 음악 연구 검사관으로 일하였다. 이후에 그는 독일과 러시아의 음악원에서 활동하며 1876년에는 귀족으로 승격되는 영예를 안았다. 1889년 10월 10일 그는 독일의 Warmbrunn[5]에서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했다. 그는 ‘신성한 재능을 가진 예술가이자 작곡가'라는 말과 함께 묘비에 묻혔다.
3. 평가
헨젤트의 연주는 리스트의 낭랑함과 훔멜의 부드러움을 결합한 듯했다고 한다. 그의 레가토와 칸타빌레는 그의 연주가 높이 평가되게 하였다. 리스트는 그의 학생들에게 “헨젤트의 손의 비밀을 알아보세요"라고 했다.헨젤트의 작품은 쇼팽과도 비슷한 면이 있지만, 멜로디는 덜 기교적이고, 반음계적 요소가 덜 나타나고, 멜로디의 길이가 더 규칙적이다. 이러한 요소는 독일의 ‘민요'의 세계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6][7] 이러한 면에서 빌헬름 폰 렌츠(Wilhelm von Lenz)는 헨젤트를 가장 독일적인 작곡가라 칭했다.
헨젤트는 러시아에서 활동하며 러시아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라흐마니노프는 그를 매우 존경했고, 자신에게 엄청난 영향을 미친 존재로 여겼다. 발라키레프는 그를 쇼팽, 슈만, 리스트와 동등한 수준으로 언급했다.
리스트[8], 로베르트 슈만[9], 클라라 슈만[10], 발라키레프[11] 등의 작곡가들이 헨젤트에게 곡을 헌정하기도 했다.
헨젤트는 비교적 긴 생애를 보냈음에도 불구하고, 불분명한 이유로 서른 살이 되자 거의 모든 작곡을 그만두었다. 또한 편집증에 가까운 만성 무대 공포증으로 인해 그는 서른셋에 콘서트 출연을 중단하게 되었다.
4. 작품 목록
- Op.1 Variations de concert sur le motif de l'opéra 'L'elisir d'amore' [12]
- Op.2 12 Études caractéristiques de Concert (12개의 특징적인 연주회용 연습곡)
- No.1 in D minor, "Orage, tu ne saurais m’abattre!"
- No.2 in D♭ major, "Pensez un peu à moi, qui pense toujours à vous!"
- No.3 in B minor, "Exauce mes vœux!"
- No.4 in B♭ major, "Repos d’amour"
- No.5 in C# minor, "Vie orageuse."
- No.6 in F# major, "Si oiseau j’étais, à toi je volerais!"
- No.7 in D major, "C’est la jeunesse, qui a des ailes dorées!"
- No.8 in E minor, "Tu m’attires, m’entraînes, m’engloutis!"
- No.9 in F major, "Jeunesse d’amour, plaisir céleste, ah tu t'enfuis! mais la mémoire nous reste."
- No.10 in E minor, "Comme le ruisseau dans la mer se répand, ainsi, ma chère, mon cœur t'attend."
- No.11 in E♭ major, "Dors tu, ma vie?"
- No.12 in B♭ minor, "Plein de soupirs, de souvenirs, inquiet, hélas! Le cœur me bat."
- Op.3 Poème d'amour
- Op.4 Rhapsodie in F minor[13]
- Op.5 12 Études de Salon (12개의 살롱 연습곡)
- No.1 in E♭ major, "Eroica"
- No.2 in G major
- No.3 in A minor, "Hexentanz"
- No.4 in E major, "Ave Maria"
- No.5 in F# minor, "Verlorene Heimat"
- No.6 in A♭ major, "Danklied nach Sturm"
- No.7 in C major, "Elfenreigen"
- No.8 in G minor, "Romanze mit Chor-Refrain"
- No.9 in A major
- No.10 in F minor, "Entschwundenes Glück"
- No.11 in B major, "Liebeslied"
- No.12 in G# minor, "Nächtlicher Geisterzug"
- Op.6 Deux Nocturnes
- No.1 in G♭ major, "Schmerz im Glück"
- No.2 in F major, "A la fontaine de Potsdam"
- Op.7 Impromptu in C minor
- Op.8 Pensée fugitive in F minor[14]
- Op.9 Scherzo in B minor
- Op.10 Romance in B♭ minor
- Op.11 Variations de concert on ‘Quand je quittai la Normandie’[15][16]
- Op.13 10 Pieces for Piano
- No.1 "Air russe"
- No.2 La Gondole
- No.3 Cavatine de l'opéra 'Rouslan et Ludmilla' de Glinka
- No.4 Barcarole de l'opéra 'Rouslan et Ludmilla' de Glinka
- No.5 Air de Balfe
- No.6 Polka et Mazurka
- No.7 Rákoczy Marsch, marche hongroise nationale (A minor)
- No.8 Marche. Allegro maestoso
- No.9 Polka
- No.10 Romance russe de S. Tanéef
- Op.14 Duo for Cello and Piano
- Op.15 Frühlingslied(Chanson de Printemps, Spring Song)
- Op.16 Fantaisie sur un Air Bohémien-Russe[17]
- Op.16 Piano Concerto in F minor[18][19]
- Op.17 Impromptu No.2
- Op.18 4 Romances
- No.1 in E♭ major
- No.2 in B♭ minor, "Der Dombau"
- No.3 in B♭ major
- No.4 in C# minor
- Op.20 No.1 Pressentiment(Romance du Comte M. Wielhorsky')
- Op.22 2 Romances Russes de Soumarokoff
- Op.23 Marche funèbre in G minor[20]
- Op.24 Piano Trio
- Op.25 Toccatina in C minor
- Op.26 "Das ferne Land", Romances for Voice & Piano
- Op.27 Nocturne in A♭ major[21]
- Op.28 2 Petites Valses
- Op.29 Sophie Polka
- Op.29b Cadenza for Beethoven's 3rd Piano Concerto[22]
- Op.30 L'aurore boréale - Grande Valse
- Op.31 Ballade
- Op.32 Nocturne in A♭ major
- Op.33 Chant sans paroles[23]
- Op.34 Impromptu No.3
[1] 현재는 폴란드의 Cieplice Śląskie-Zdrój[2] 탈베르크의 스승이자 훗날 안톤 브루크너의 스승[3] 카를로비바리에서 쇼팽을 만났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아서 헤들리를 비롯한 여러 연대기 작가들은 만났을 가능성을 부인한다[4] 로잘리와의 결혼을 영감으로 op.2, op.3, op.5 의 작품들을 작곡했다고 한다[5] 현재는 폴란드의 Cieplice Śląskie-Zdrój[6] 원문 : “Admitting that there exists in Henselt's studies a very evident Chopinesque 'feel', they post date those of Chopin by some years. It is Henselt's melodies which follow a very different route. Less sophisticated, less chromatic, more regular in their bar lengths, many seem to stem from the world of the German 'volkslied'.”[7] 출처 : http://www.henseltsociety.org/henselt.htm[8] S.176 Grosse Konzertsolo[9] Op.21 노벨레테[10] Op.8 벨리니 주제에 의한 콘서트용 변주곡[11] Au jardin[12] 도니체티의 오페라 '사랑의 묘약'에서 뱃노래 "Io son ricco e tu sei bella"를 차용했다.[13] 원래는 Op.4 No.1 "Erinnerung und Freundschaft"라는 이름으로 Op.4 No.2 'Souvenir de Varsovie'와 함께 출판되었다. 'Souvenir de Varsovie'는 현재 Op.51의 작품이다.[14] 프랑스어로 '덧없는 생각'이라는 의미의 제목이다.[15] 마이어베어의 오페라 '악마 로베르'에서 주제를 차용했다[16] 피아노 솔로 버전과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버전이 있다. 그러나 피아노 솔로 버전의 연주 녹음은 없는 듯 하고, 피아노와 오케스트라 버전은 아믈랭과 BBC SSO의 녹음#이 유일한 듯 하다[17] Schuberth와 Stellovsky는 Op.16로 출판했지만 Gutheil은 Op.15라고 출판했다. 초판은 Schuberth & Co. 에서 1842년에 Op.15인 'Frühlingslied'보다 2년 빠르게 출판했다.[18] Op.24의 피아노 트리오, Op.31의 발라드 더불어 헨젤트의 작품 중 몇 안 되는 큰 규모의 작품이다. Lewenthal, Hamelin 등의 연주가 유명하다. 그 외에도 Ponti, Ozel, Paul Wee 등의 연주도 있다.[19] 로베르트 슈만, 클라라 슈만, 리스트, 한스 폰 뷜로우 등 여러 사람들이 이 곡을 즐겨 연주했다. 그러나 정작 헨젤트는 리스트가 라이프치히에서 했던 리허설을 극찬하며 자신의 연주에 만족하지 못하고 공개적으로 이 협주곡을 연주하지 않았다.[20] 러시아의 미하일 파블로비치 대공의 죽음을 추모하는 목적으로 미하일 파블로비치에게 헌정되었다.[21] R. Thal이라는 작곡가의 voice & piano를 위한 'Romance'를 피아노 독주로 편곡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R. Thal이라는 작곡가에 대한 정보는 이 곡을 작곡한 것 이외에는 알려진 것이 없다고 한다.[22] 이것 또한 Op.29의 작품번호를 가지고 있기에 29b로 표기하였다.[23] 이는 프랑스어로 '말이 없는 노래'를 의미한다. 'Abendgedanken'이라는 이름 또한 쓰이고, 이는 독일어로 '저녁 생각'이라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