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소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 스페인 | 빅토리아 |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이바노비치 · J. 슈트라우스 3세 |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헤르초겐베르크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레하르 · 푸치크 |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 기타 | 페야체비치 · 랑고르 |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
| 북유럽 | 닐센 |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 20세기음악 |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티에르상 |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 이탈리아 근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모리코네 · 샤리노 · 페델레 · 에이나우디 | |||
| 한국 현대 음악 | 안익태 · 김순남 · 윤이상 · 나운영 · 강석희 · 백병동 · 나인용 · 박영희 · 이만방 · 진은숙 | |||
| 일본 현대 음악 | 타케미츠 · 히사이시 조 · 요시마츠 |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첸 · 도이처 | }}}}}}}}} | ||
| <colbgcolor=#c0c0c0><colcolor=#000> 테리 라일리 Terrence Mitchell Terry Riley | Terry Riley | |
| 이름 | 테런스 미첼 라일리 (Terrence Michell Riley) |
| 국적 | |
| 출생 | 1935년 6월 24일 ([age(1935-06-24)]세) |
| 미국 캘리포니아주 콜팩스 | |
| 활동 | 1950년~ |
| 직업 | 작곡가 |
1. 개요
미국 클래식 현대음악 작곡가. 일본에 거주한다.2. 생애
2.1. 어린 시절
라일리는 1935년 6월 24일 캘리포니아주 콜팩스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주 레딩에서 자랐다.2.2. 대학 시절
1950년대에 그는 솔로 피아니스트로 공연을 시작하여 샌프란시스코 주립대학교, 샌프란시스코 음악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작곡을 공부했으며, 시모어 시프린과 로버트 에릭슨과 함께 공부했다.2.3. 20대 시절
그는 작곡가 라 몬테 영[1]과 친구가 되었으며, 그의 초기 미니멀리즘 작곡은 지속적인 음색을 사용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영과 라일리는 1959-60년에 라일리의 즉흥 작곡 '두 피아니스트와 테이프 레코더를 위한 콘서트'를 함께 공연했다. 라일리는 나중에 모튼 수보트닉, 스티브 라이히, 폴린 올리베로스, 라몬 센더와 함께 실험적인 샌프란시스코 테이프 뮤직 센터에 참여하게 되었는데 1960년대 내내 그는 유럽을 자주 여행하며 음악적 영향을 받고 피아노 바에서 연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2.4. 30대 시절
그는 1965년부터 1966년까지 뉴욕의 영원한 음악 극장에서 잠시 공연하기도 했다.그의 가장 영향력 있는 스승은 판디트 프란 나스(1918–1996)로, 라 몬테 영, 마리안 자젤라, 마이클 해리슨을 가르친 인도 고전 음성의 대가였다. 라일리는 협회 활동 기간 동안 인도를 여러 차례 방문하여 타블라, 탐부라, 목소리를 공부하고 동행했다. 1971년에 그는 밀스 칼리지 교수진에 합류하여 인도 클래식 음악을 가르쳤는데 라일리는 또한 존 케이지와 "존 콜트레인과 마일스 데이비스, 찰스 밍거스, 빌 에반스, 길 에반스로 구성된 정말 위대한 실내악 그룹"을 그의 작품에 영향을 미친 인물로 꼽았기 때문에 그는 2007년에 채프먼 대학교에서 명예 음악 박사 학위를 받았다.
2.5. 40대 시절
1980년경, 라일리는 밀스에서 크로노스 콰르텟의 창립자 데이비드 해링턴을 만났기 때문에 크로노스 콰르텟과의 오랜 인연을 시작하였는데 라일리는 경력 내내 앙상블을 위해 다른 작품들 외에도 13개의 현악 사중주를 작곡하였다.2.6. 50대 이후
그는 1991년에 1번째 관현악곡인 '제이드 팰리스'를 작곡했으며, 여러 의뢰된 관현악곡들을 따라가며 그 길을 계속 걸어오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또한 현재 인도 라가 보컬리스트이자 솔로 피아니스트로서 공연하고 가르치고 있었다.라일리는 계속해서 라이브 공연을 하고 있으며, 2011년 5월에 열린 올 투모로우 파티 페스티벌에 참여하였다.
2.7. 개인 생활
그는 세 자녀를 두고 있었는데 딸 콜린과 기타리스트인 가인, 그리고 숀이었다. 그는 2015년 앤 라일리가 사망할 때까지 앤 라일리와 결혼 생활을 했다.3. 음반
[1] 같은 1935년생 동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