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3 04:19:32

삼두일족응

삼두매에서 넘어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 황요 · 황포괴 · 해태 · · 흑풍괴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몽골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 알마스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 용생구자(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 야간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파일:attachment/삼두일족응/삼두매.jpg

1. 개요2. 창작물에서의 등장3. 기타4. 같이보기

1. 개요


삼두일족응은 한자를 보면 알겠지만 머리가 세 개고 이 하나인 다. 삼두일각조(三頭一脚鳥)라고도 하며 흔히 삼두매라고도 부른다. 한민족은 전통적으로 3을 중시하여 머리 세 개가 된 것은 그 결과로 보인다. 한국인의 '신조(神鳥)'라 할 수 있다.

파일:삼두일족응호랑이.jpg
파일:삼두일족응호랑이2.jpg

삼재(三災)를 세 개의 머리로 쪼아발긴다고 하여 조선 후기부터 그 그림을 삼재 막이 부적으로 삼아 가지고 다니기도 했으며 에서 주는 입춘축에 그려지기도 했다. 까치, 호랑이와 더불어 매우 사랑받는 동물로 각종 민화의 소재가 되었다. 어찌나 인기 있었는지 스스로 삼두매라 일컫는 도적이 나타날 정도.

파일:삼두매.jpg

다만 꼭 다리가 하나만 있지는 않았다. 위의 두 유물은 각각 브루클린 박물관과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유물인데 자세히 보면 다리가 두 개 달려있음을 알 수 있다. 하단의 조선군 군기의 주작도 다리가 셋이나 된다. 민화나 부적 등의 삼두매 그림을 보면 현실의 여러 새들이 그렇듯이 두 다리가 있되 한 쪽 다리로만 서 있거나[1] 평범하게 다리 두 개로 그려놓은 경우도 존재했다. 물론 기본적으로는 하나의 다리만 있는 게 주된 이미지긴 했다.

2. 창작물에서의 등장

어찌 된 일인지 현대 대한민국에서의 인지도는 낮다. 삼족오드라마 주몽덕에 인지도라도 있는데 이쪽은 그냥 짝퉁 취급이다. 까치, 호랑이에 비해 민담과 전래동화 소재로 잘 등장하지 않았던 탓으로 보인다. 그래도 최근에는 전통문화콘텐츠에 관심 있는 창작자들의 노력으로 조금씩 얼굴을 보이는 편.

네이버 웹툰 헬퍼의 등장인물 이홍민(홍크)의 자켓 뒤에 그려진 새가 이 삼두일족응이다.

게임 바람의 나라 연에서 캐릭터가 소환가능한 환수 중 하나로 삼두일족응 족속이 등장한다. 상당한 고성능으로 인기가 많은 편.

네이버 웹툰 하이웨이 투 헬 track 63에서 요괴 산 할아버지의 '전설의 보물'이라고 나온다.

대중적인 인지도와 다르게 의외로 타투이스트들에게는 이전부터 호랑이 문신과 같이 꽤 인기 있는 소재였던 것으로 보인다. (구글 검색 결과)

3. 기타

파일:조선군 주작기.jpg

삼두매 외에도 조선에선 종종 성스럽고 신이한 새의 신체 부위를 3개로 표현하는 문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위 사진은 조선군 진영에서 세워두는 대오방기(大五方旗) 중 하나로 주작기인데, 주작을 세 머리와 세 다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렇게 세 머리와 세 다리를 가진 주작의 모습은 약학궤범과 국조오례의 등 다른 사료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삼족오와의 연관성 역시 생각할 수 있다.

파일:대한제국 매 국장.png

러시아 제국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대한제국 국장도 기존에는 독수리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로는 매라고 한다. 정확한 제정 경위는 알 수 없으나 관·민을 통틀어 매 토템이 널리 사랑받아 왔던 만큼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삼두매행진.jpg

현대에도 간간히 민중 행사나 시위 등에 소환되기도 한다. 해당 사진은 2017년 3월 11일 탄핵 시위에 등장한 삼두매다.

4. 같이보기


[1] 플라밍고, 등이 유명하나 사실 백조, , 수리, 갈매기 등 다양한 새들이 다리 하나로만 서 있는 경우를 자주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