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자
|
권 당 독 령 로 루 만 면 묘 병 송 승 심 약 어 요 음 저 절 차 체 추 태 피 향5 건 격 결 곡 광 괴 군 급 내 등 란 려 렬 록 류 맹 목 문 번 변 산 설 습 야 예 욕 용 운 작 점 좌 중 질 채 척 충 타 탁 탄 판 표 필 혼 홍 황 회 후 희4 검 국 궁 귀 규 극 노 담 답 두 락 랑 력 례 료 률 마 막 민 발 백 범 불 빈 술 실 앙 애 억 열 염 옥 은 일 임 준 직 착 참 책 철 촉 총 택 토 통 투 폭 함 헌 혜 확 효3 걸 겸 곤 균 난 남 뇌 다 돈 둔 람 략 뢰 륙 륜 림 맥 몽 묵 물 밀 벌 벽 붕 빙 삭 색 섭 손 쇄 악 암 압 액 언 옹 와 완 왕 외 월 육 윤 읍 응 익 잠 접 족 존 졸 집 징 찬 처 첨 촌 최 측 칠 탈 탐 패 평 풍 학 행 허 험 혈 협 혹 획 휘 휴 흉2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 允(맏 윤)
- 錀(쇠 윤)
- 尹(벼슬 윤)
- 匀(균형 윤)
- 昀(햇빛 윤)
- 沇(흐를 윤)
- 贇(예쁠 윤)
- 玧(구슬 윤)
- 侖(둥글 윤)
- 倫(인륜 윤)
- 胤(후사 윤)
- 圇(둥글 윤)
- 鈗(병기 윤)
- 閏(윤달 윤)
- 潤(불을 윤)
- 阭(높을 윤)
- 淪(빠질 윤)
- 掄(가릴 윤)
- 綸(벼리 윤)
- 輪(바퀴 윤)
1.1. 고유명사
1.2. 尹, 한국의 성 윤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성씨)#|]][[윤(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에서 인구수로 9위에 해당하며 20여 본(本)이 현존하는데, 그 중 약 3/4은 파평 윤씨 및 그 분파(남원 윤씨, 함안 윤씨 등)이며, 이들만 따져도 전국에서 9번째로 흔한 본관이다. 사실상 윤씨의 대성(大姓). 이 외에도 칠원 윤씨, 해남 윤씨, 해평 윤씨, 무송 윤씨 등이 있다. 역사에 가장 많이 등장한 것도 파평 윤씨이며 해당 문서 참고
2. 윤 한국의 이름 글자
"윤"이라는 이름이 많이 쓰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민, 현 등과 함께 항렬자에 자주 나오는 글자에 속하며, 항렬자가 아니더라도 이름에 자주 쓰인다. 돌림자로 가장 많이 쓰이는 글자 중 하나이며, 상명자와 하명자 모두 매우 활발하게 쓰이고, 남매 및 형제, 자매끼리 돌림자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름 글자에서도 상명자와 하명자 매우 활발하게 쓰이며, 민, 현 등과 함께 세대를 크게 타지 않는 글자라서 세대를 불문하고 흔히 보이는 글자이기도 하고, 게다가 항렬자에도 흔히 쓰이는 글자이다. 주변에서 '윤' 자가 들어간 이름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상명자와 하명자 모두 활발하게 사용된다.
"윤"은 여러 한자에 따라 긍정적인 뜻을 가진다. 예를 들어, "윤(尹)"은 "다스리다", "관리하다" , "통치하다"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어 리더십과 책임감을 암시한다. 또한, "윤(潤)"은 "윤택하다", "풍성하다" , "윤기나다"는 뜻을 지니고 있고, "윤(允)"은 "허락하다" , "승낙하다" , "진실되다" 는 뜻을 가지고 있어 이와 같은 의미가 부모에게 긍정적이고 좋은 이미지를 주기 때문에 자주 사용된다.
"윤"은 발음이 부드럽고 자연스럽다. 이름에서 발음이 부드럽고 우아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한다. 또한 발음이 간결하고 리듬감이 있어 쉽게 기억되며, 이름으로 쓰기에 매우 적합하다.
유명한 연예인이나 사회적 인물들이 "윤"이라는 이름을 가진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유명한 연예인이나 정치인들 중에 "윤"이 들어간 이름을 가진 사람들이 있어, 대중문화에서 친숙하고 인기 있는 이름으로 자리 잡았다. 이런 문화적 영향도 사람들에게 "윤"이라는 이름을 선택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
결국, "윤"이라는 이름은 긍정적인 의미, 발음의 부드러움, 전통적인 가치, 그리고 다양한 해석 가능성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이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