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 |
유니코드 | C774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두벌식–QWERTY | dl |
세벌식 최종–QWERTY | jd |
[clearfix]
1. 순우리말
1.1. 근칭 대명사/관형사 '이'
말하는 이와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이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 또는 지시관형사로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5'으로 실려 있다.* 이 이상 좋게 줄 수 없다(대명사)
* 이 사람(관형사)
'이곳', '이것(이거)'처럼 한 단어로 실린 것들도 있다. '여기'는 약간 형식이 바뀐 예이다.* 이 사람(관형사)
1.2. 의존명사 '이'
사람을 뜻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4'로 실려 있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것'과 유사하게 사물이나 사태에 대해서도 쓰였다.편집하는 이, 지나가는 이
1.3. 감탄사 '이'
다른 사람이 위태한 지경에 있을 때, 그 사람의 주의를 환기하기 위하여 급히 지르는 소리.이, 피해라.
이, 넘어질라.
이, 넘어질라.
1.4. 접사
1.4.1. 부사형 파생 접사 '-이'
자세한 내용은 히 문서 참고하십시오.일부 용언 또는 중복된 명사에 붙어 부사를 만들어 주며 이미 부사여도 붙기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30'으로 실려 있다.
1.4.2. 피사동 접사 '-이'
보이다, 쌓이다, 높이다
일부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 사동사나 피동사를 만든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9'로 실려 있다.1.4.3. 접미사 '-이'
친구와 둘이(서) 영화를 보러 갔다.
수사 뒤에 붙어 그 사람의 수량을 나타낸다. '-이서'로 나타나기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31'로 실려 있다.1.4.4. 명사형 파생 접사 '-이'
1. 몇몇 동사 및 형용사의 명사화: 먹이 , 벌이(동사) / 길이, 높이, 넓이(형용사) 등
1. 몇몇 명사 또는 동사어간의 사람/사물/사건화: 때밀이, 젖먹이(사람) / 옷걸이, 목걸이(사물) / 가슴앓이, 속앓이(일)
1. 몇몇 명사, 어근, 의성어·의태어의 사람/사물화: 절름발이(명사) / 멍청이, 뚱뚱이(어근) / 짝짝이(의성어·의태어)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7'로 실려 있다.1. 몇몇 명사 또는 동사어간의 사람/사물/사건화: 때밀이, 젖먹이(사람) / 옷걸이, 목걸이(사물) / 가슴앓이, 속앓이(일)
1. 몇몇 명사, 어근, 의성어·의태어의 사람/사물화: 절름발이(명사) / 멍청이, 뚱뚱이(어근) / 짝짝이(의성어·의태어)
1번 의미의 '-이'는 본래 '-의/ᄋᆡ'였다가 '-이'로 합류하였다.
1.5. 조사
1.5.1. 호격 조사 '-이'
예를 들어 '홍길동'이란 사람을 친한 사람이 부를 땐 '길동이'라고 부르듯이 '이' 앞에 받침이 있을 경우에만 붙는다. 받침이 없을 때는 '야'가 붙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8'로 실려 있다.나이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 성까지 함께 '이'를 붙여 부르기도 한다.[1] 다만 현재는 이런 식으로 부르는 것이 주류는 아니다.
또한 '사람'을 다르게 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이 경우 '이는'은 '사람은' 과 같은 의미로 보면 된다.[2] 여전히 배우자를 지칭할 때 '그이'라는 표현으로 살아남아 있다.
1.5.2. 주격 조사 '이'
받침이 없을 때에는 '가'로 교체된다. 역사적으로는 '이'가 더 오래되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5'로 실려 있다.어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나, 중세 한국어 코퍼스를 근거로 속격 조사 '의(矣, 衣)'의 오래된 형태가 '이(伊)'가 아니었을까 추측하는 의견이 있다. 본래 한국어는 능격-절대격 언어였으나, 점차 주격-목적격으로 바뀌면서 속격 '이'를 주격 조사로 삼고, '이'에서 매개모음 '*-u-'가 붙은 형태는 속격으로 살아남는 의미분화가 일어났다는 것이다.
1.6. 어미
1.6.1. 하게체 종결어미 '-이'
거참, 미안허이.
상태의 서술이나 느낌을 나타낸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26'으로 실려 있다.1.7. 이[齒], 치아
자세한 내용은 치아 문서 참고하십시오.척추동물의 입에 위치한 소화를 돕는 기관. 치아(齒牙)라고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3'으로 실려 있다.
2. 동물
2.1. 이(蝨), 곤충의 일종
자세한 내용은 이(곤충) 문서 참고하십시오.사람의 머리카락에서 주로 서식하는 아주 작은 곤충. 해당 문서 참조.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1'로 실려 있다.
2.2. 이(Yi), 공룡의 일종
자세한 내용은 이(공룡) 문서 참고하십시오.3. 1자 한자어
3.1. 이(理), 철학
유교에서 일컫는 만물의 근원, 본질 또는 원리. 성리학에서 기(氣)의 대립항으로 그 정의가 특히 명확하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13'으로 실려 있다.3.2. 이(裏), 수학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 ||
수리논리학 | 논리 · 논증{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증명보조기 · 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명제 · 아이버슨 괄호 · 역 · #s-3.2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 ||
집합론 | 집합(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튜플) · 서수(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선택공리) · 기수(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 모임 | ||
범주론 | 범주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
계산가능성 이론 |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 ||
정리 | |||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 |||
기타 | |||
예비사항(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 |||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 |
원명제([math(p \to q)])의 가설과 종결을 모두 부정한 명제([math(\sim p \to\ \sim q)]), 즉 대우의 역이 바로 '이'이다.
원명제가 참이더라도 그의 이는 거짓일 수 있고, 반대로 원명제가 거짓이더라도 그의 이는 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4의 배수는 항상 짝수이다'는 참이지만 '4의 배수가 아니면 짝수가 아니다'는 거짓이 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이도 참일 것이라고 생각하면 논리적 오류 중 하나인 전건부정의 오류가 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16'로 실려 있다.
원래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있었다가 빠져버렸다. 역과 대우는 가르치는데 이는 가르치지 않는다. 고등학교 과정에서 수리논리학적으로 이의 중요성은 역이나 대우에 비해 떨어지기 때문[3]으로 보인다. 실제로 교육과정에 있을 적에도 교과서에 나와있긴 해도 정작 다루는 일은 잘 없었다.
3.2.1. 관련 문서
4. 중국의 소수민족, 이족(ꆈꌠ)
자세한 내용은 이족 문서 참고하십시오.4.1. 이족이 사용하는 언어, 이어
자세한 내용은 이어 문서 참고하십시오.4.2. 이어를 표기하는 데 쓰이는 문자, 이 문자
자세한 내용은 이 문자 문서 참고하십시오.5. 문자
5.1. 한글 ㅣ
자세한 내용은 ㅣ 문서 참고하십시오.5.2. 한글 ㅇ의 옛이름
자세한 내용은 ㅇ 문서 참고하십시오.창제 당시엔 '이응'이 아니라 '이'였다.
5.3. 숫자 2
자세한 내용은 2 문서 참고하십시오.중세 한국어 시기에는 초성이 ㅿ이었다. 일본에서 독음이 ジ 내지는 ニ인 것과 통한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7'로 실려 있다.
5.4. 로마자 E
자세한 내용은 E 문서 참고하십시오.영어에서는 '이'에 가깝게 읽지만 다른 로마자 사용 언어들은 '에'에 가깝게 읽는 경우가 많다. E 문서 참조.
5.5. 로마자 I
자세한 내용은 I 문서 참고하십시오.영어에서는 대모음추이의 영향으로 [아이]라고 읽으나, 프랑스어나 독일어 등에서는 [i] 음을 따라 [이]로 읽는다.
Y 역시 '그리스에서 온 I' 식으로 읽는 언어들이 꽤 있다.
5.6. 가나 い/イ
자세한 내용은 い 문서 참고하십시오.5.7. 키릴 문자 И
키릴 문자의 11번째 글자이다.자세한 내용은 И 문서 참고하십시오.
5.8. 캐나다 원주민 문자 ᐃ
자세한 내용은 캐나다 원주민 문자 문서 참고하십시오.6. 고유명사
6.1. 한국의 성씨, 이(李)
자세한 내용은 이(성씨) 문서 참고하십시오.
6.2. 伊, 이탈리아의 약칭
자세한 내용은 이탈리아 문서 참고하십시오.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9'로 실려 있다.
6.3. 爾, 김태웅의 작품
극작가 김태웅의 2000년작 희곡이자 동명의 연극. 조선 연산군 시대를 배경으로, 연산군과 장녹수, 그리고 궁중 광대인 장생과 공길의 네 사람을 통해 인간의 탐욕이 빚어낸 비극을 그려냈다. 위의 포스터 이미지와 광대들의 이름을 통해 짐작할 수 있듯, 2005년 천만 관객을 돌파한 이준익 감독의 영화 <왕의 남자>의 원작이다.
원작이라고는 하지만 영화와는 다른 점이 많은데[스포주의], 그러거나 말거나 영화 흥행 후로는 본 연극이 공연될 때마다 꼬리표처럼 영화 <왕의 남자>의 원작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홍보된다.
한자 훈음은 너 이 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