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18:12:21

1. 한자
1.1. 고유명사1.2. 尹, 한국의 성씨
2. 한국의 이름 글자3. 역법의 오차 보정 개념

1. 한자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력 례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1.1. 고유명사

1.2. 尹, 한국의 성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윤(성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에서 인구수로 9위에 해당하며 20여 본(本)이 현존하는데, 그 중 약 3/4은 파평 윤씨 및 그 분파(남원 윤씨, 함안 윤씨 등)이며, 이들만 따져도 전국에서 9번째로 흔한 본관이다. 사실상 윤씨의 대성(大姓). 이 외에도 칠원 윤씨, 해남 윤씨, 해평 윤씨, 무송 윤씨 등이 있다. 역사에 가장 많이 등장한 것도 파평 윤씨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윤(尹)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 당시 남한 내의 총 인구수는 1,020,547명으로 조사되었으며, 한국 내 전체 성 중 인구 순위 9위에 랭크되었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2015년 당시 51,069,375명)로 보면 약 2%를 차지한다. 윤씨는 전국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전라북도, 제주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도내에서 10위 안에는 꼭 드는 성이다. 본관은 문헌에 182본이 전하지만, 현존하는 본관은 파평(坡平), 해남(海南), 칠원(漆原), 남원(南原), 해평(海平), 무송(茂松), 함안(咸安), 경주, 예천(醴泉) 등 44본이다. 인구는 파평 윤씨가 75.5%를 차지하며 파평 윤씨의 파들 중 소정공파와 판도공파가 전체 파평 윤씨의 80%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2. 한국의 이름 글자

한국의 이름에서 매우 많이 등장하는 글자 중 하나다.

이름 글자에서도 상명자하명자 매우 활발하게 쓰이며, 민, 현 등과 함께 세대를 크게 타지 않는 글자라서 세대를 불문하고 흔히 보이는 글자이다. 주변에서 '윤' 자가 들어간 이름을 쉽게 볼 수 있으며 항렬자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된다.

2.1. 윤택

"윤기가 돌아 번지르르하다." , "경제적으로 넉넉하고 여유가 있고 부유하다." , "광택에 윤기가 있거나 살림이 풍부하다." 라고 표현한다.

2.2. 윤기

반질반질하고 매끄러운 기운. 발음은 [윤끼]다. 예를 들면 물건이 반짝거리고 매끄러우면 "윤기가 난다.", "윤기가 흐른다"라고 표현한다.

3. 역법의 오차 보정 개념

3.1. 윤년

윤년은 과년이라고도 하며, 역법인 태음력이나 태양력에서, 자연의 흐름에 대해서 생길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삽입하는 날이나 주, 달이 들어가는 해를 말한다. 삽입하는 달을 정하는 방법을 치윤법이라고 한다.

3.2. 윤달

윤달은 음력에서 평년의 12개월보다 1개월 더 보태진 달이다. 달을 기준으로 하는 태음력에서 한 달은 29일과 30일을 번갈아 사용한다. 이를 1년 12달로 환산하면 총 354일이 된다. 365일을 기준으로 하는 태양력과는 11일이 차이가 난다.

3.3. 윤주

그레고리력의 개력 과정에서 제안된 역법 유형의 하나. 4년에 한번 2월 29일을 넣는 대신 매 해를 평년은 364일(52주), 윤년은 371일(53주)로 한 것이다. 국제고정력이나 세계력에 대해 안식일이 어긋난다며 반대하던 개신교, 가톨릭, 이슬람의 반발을 없앨 수 있었으나 모종의 이유로 별다른 도입 노력을 얻지 못했다. 가장 큰 단점은 아무래도 윤년을 정하는 방법이 매우 복잡하다는 것.

3.4. 윤일

2월 29일 또는 윤일(閏日, leap day)은 윤년에만 존재하는 2월의 마지막 날로, 태양력인 그레고리력에서 4년에 하루를 더하는 날의 날짜다. 한편 그레고리력이 아닌 태음력 등에서는 항상 존재하는 날짜이다

3.5. 윤초

지구의 자전을 근본으로 하여 시각을 나타내는 세계시와 세슘 원자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협정 세계시(UTC)의 차를 조정하기 위해 더하거나 빼게 되는 1초. 오차를 항상 0.9초 이내로 유지하기 위해 1월 1일이나 7월 1일, 혹은 4월 1일과 10월 1일의 오전 8시 59분의 최후의 초 뒤에 조정이 실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