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자
|
권 당 독 령 로 루 만 면 묘 병 송 승 심 약 어 요 음 저 절 차 체 추 태 피 향5 건 격 결 곡 광 괴 군 급 내 등 란 려 렬 록 류 맹 목 문 번 변 산 설 습 야 예 욕 용 운 작 점 좌 중 질 채 척 충 타 탁 탄 판 표 필 혼 홍 황 회 후 희4 검 국 궁 귀 규 극 노 담 답 두 락 랑 력 례 료 률 마 막 민 발 백 범 불 빈 술 실 앙 애 억 열 염 옥 은 일 임 준 직 착 참 책 철 촉 총 택 토 통 투 폭 함 헌 혜 확 효3 걸 겸 곤 균 난 남 뇌 다 돈 둔 람 략 뢰 륙 륜 림 맥 몽 묵 물 밀 벌 벽 붕 빙 삭 색 섭 손 쇄 악 암 압 액 언 옹 와 완 왕 외 월 육 윤 읍 응 익 잠 접 족 존 졸 집 징 찬 처 첨 촌 최 측 칠 탈 탐 패 평 풍 학 행 허 험 혈 협 혹 획 휘 휴 흉2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 允(맏 윤)
- 錀(쇠 윤)
- 尹(벼슬 윤)
- 匀(균형 윤)
- 昀(햇빛 윤)
- 沇(흐를 윤)
- 贇(예쁠 윤)
- 玧(구슬 윤)
- 侖(둥글 윤)
- 倫(인륜 윤)
- 胤(후사 윤)
- 圇(둥글 윤)
- 鈗(병기 윤)
- 閏(윤달 윤)
- 潤(불을 윤)
- 阭(높을 윤)
- 淪(빠질 윤)
- 掄(가릴 윤)
- 綸(벼리 윤)
- 輪(바퀴 윤)
1.1. 고유명사
1.2. 尹, 한국의 성씨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성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윤(성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에서 인구수로 9위에 해당하며 20여 본(本)이 현존하는데, 그 중 약 3/4은 파평 윤씨 및 그 분파(남원 윤씨, 함안 윤씨 등)이며, 이들만 따져도 전국에서 9번째로 흔한 본관이다. 사실상 윤씨의 대성(大姓). 이 외에도 칠원 윤씨, 해남 윤씨, 해평 윤씨, 무송 윤씨 등이 있다. 역사에 가장 많이 등장한 것도 파평 윤씨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윤(尹)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 당시 남한 내의 총 인구수는 1,020,547명으로 조사되었으며, 한국 내 전체 성 중 인구 순위 9위에 랭크되었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2015년 당시 51,069,375명)로 보면 약 2%를 차지한다. 윤씨는 전국적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전라북도, 제주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도내에서 10위 안에는 꼭 드는 성이다. 본관은 문헌에 182본이 전하지만, 현존하는 본관은 파평(坡平), 해남(海南), 칠원(漆原), 남원(南原), 해평(海平), 무송(茂松), 함안(咸安), 경주, 예천(醴泉) 등 44본이다. 인구는 파평 윤씨가 75.5%를 차지하며 파평 윤씨의 파들 중 소정공파와 판도공파가 전체 파평 윤씨의 80%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2. 한국의 이름 글자
한국의 이름에서 매우 많이 등장하는 글자 중 하나다.이름 글자에서도 상명자와 하명자 매우 활발하게 쓰이며, 민, 현 등과 함께 세대를 크게 타지 않는 글자라서 세대를 불문하고 흔히 보이는 글자이다. 주변에서 '윤' 자가 들어간 이름을 쉽게 볼 수 있으며 항렬자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된다.